KR0140917B1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 Google Patents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0917B1 KR0140917B1 KR1019950702845A KR19950072845A KR0140917B1 KR 0140917 B1 KR0140917 B1 KR 0140917B1 KR 1019950702845 A KR1019950702845 A KR 1019950702845A KR 19950072845 A KR19950072845 A KR 19950072845A KR 0140917 B1 KR0140917 B1 KR 0140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as
- complementary
- input
- output
- ampl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집속된 제1 입력 신호(420)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노드(427)에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발생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접속된 제2 입력 신호(421)에 응답하여,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에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 제1 및 제2 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되는, 캐스코드 입력단(416, 417),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 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 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신호(420)과 발생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1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캐스코드 출력단(410, 411), 제1 및 제2 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제1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56, 457), 및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 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 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입력 신호(421) 및 발생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2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 4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416, 417)은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1형의 제1 및 제2 전계 효과 트래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코드 출력단(410, 411)은 또한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1형의 제1 및 제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16, 417)은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2형의 제1 및 제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10, 411)은 또한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2형의 제1 및 제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2 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은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420)과 상기 제2 입력 신호(421) 내에 나타나는 공통 모드 신호들은 상기 공통 출력 단자(510)에서 발생된 상기 출력 전류 신호 내에서 효과적으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5항에 있어서, 트릭클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트릭클 바이어스 발생기(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 및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 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노드(620) 내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 및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 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노드(620) 내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 45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트릭클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트릭클 바이어스 발생기(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노드 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 41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 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 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는 선택 호출 신호를 변환하여 복조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무선 신호 내의 정보를 회복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접속되어 이 제어기에 응답하며, 상기 회복된 정보에 따라 경보 표시를 발생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접속된 제1 입력 신호(420)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노드(427)에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발생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접속된 제2 입력 신호(421)에 응답하여,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에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 제1 및 제2 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1 입력 신호(420)에 접속되는 , 캐스코드 입력단(416, 417),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 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 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신호(420)과 발생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1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캐스코드 출력단(410, 411), 제1 및 제2 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제1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2 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56, 457), 및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 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 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입력 신호(421) 및 발생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2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 451)를 포함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8/150930 | 1993-11-10 | ||
| US08/150,930 US5373249A (en) | 1993-11-10 | 1993-11-10 | Complementary cascode push-pull amplifier |
| PCT/US1994/013082 WO1995013653A1 (en) | 1993-11-10 | 1994-11-10 | 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0140917B1 true KR0140917B1 (ko) | 1998-07-15 |
Family
ID=22536600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50702845A Expired - Fee Related KR0140917B1 (ko) | 1993-11-10 | 1994-11-10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
| KR1019950702845A Granted KR960700560A (ko) | 1993-11-10 | 1994-11-10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50702845A Granted KR960700560A (ko) | 1993-11-10 | 1994-11-10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5373249A (ko) |
| EP (1) | EP0682826A4 (ko) |
| KR (2) | KR0140917B1 (ko) |
| CN (1) | CN1034381C (ko) |
| CA (1) | CA2153586A1 (ko) |
| WO (1) | WO19950136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40681A (en) * | 1993-11-10 | 1997-06-17 | Motorola, Inc. | Boot-strapped cascode current mirror |
| DE10016445C2 (de) * | 2000-03-29 | 2002-03-28 | Infineon Technologies Ag | Elektronische Ausgangsstufe |
| US6329878B1 (en) * | 2000-08-04 | 2001-12-11 |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supply rejection in amplifier rail to rail output stages |
| JP4639269B2 (ja) * | 2001-11-22 | 2011-02-23 |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 画像表示装置及び集積回路 |
| DE102005038442B4 (de) * | 2005-08-12 | 2011-11-17 | Siemens Ag | Gegentaktverstärker mit transformatorischer Gegenkopplung |
| US7729300B1 (en) * | 2005-08-19 | 2010-06-01 |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Class-B transmitter and replica transmitter for gigabit ethernet applications |
| US7541871B2 (en) | 2007-05-02 | 2009-06-02 | Micron Technology, Inc. |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OTA) |
| US20090160557A1 (en) * | 2007-12-20 | 2009-06-25 | Infineon Technologies Ag | Self-biased cascode current mirror |
| US7694243B2 (en) * | 2007-12-27 | 2010-04-0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voiding device stressing |
| US8847685B2 (en) * | 2012-09-14 | 2014-09-30 |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 Push-pull amplifier and differential push-pull amplifier |
| US9225303B1 (en) * | 2014-07-11 | 2015-12-29 |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 AB audio amplifier output stage voltage protection |
| CN113098404B (zh) * | 2021-04-02 | 2022-08-26 | 华南理工大学 | 一种高增益超宽带低噪声放大器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209254B (en) * | 1987-08-29 | 1991-07-03 | Motorola Inc | Current mirror |
| GB2214018A (en) * | 1987-12-23 | 1989-08-23 |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 Current mirror circuit arrangement |
| US5170078A (en) * | 1990-10-22 | 1992-12-08 | Gould Inc. | Highly stable high-voltage output buffer using CMOS technology |
| FR2672749B1 (fr) * | 1991-02-12 | 1996-11-08 |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 Amplificateur operationnel a transconductance a grande excursion de mode commun. |
-
1993
- 1993-11-10 US US08/150,930 patent/US537324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11-10 WO PCT/US1994/013082 patent/WO1995013653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4-11-10 KR KR1019950702845A patent/KR014091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1-10 EP EP95901239A patent/EP0682826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4-11-10 CA CA002153586A patent/CA2153586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4-11-10 KR KR1019950702845A patent/KR960700560A/ko active Granted
- 1994-11-10 CN CN94191358A patent/CN103438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A2153586A1 (en) | 1995-05-18 |
| CN1118640A (zh) | 1996-03-13 |
| WO1995013653A1 (en) | 1995-05-18 |
| KR960700560A (ko) | 1996-01-20 |
| EP0682826A1 (en) | 1995-11-22 |
| US5373249A (en) | 1994-12-13 |
| CN1034381C (zh) | 1997-03-26 |
| EP0682826A4 (en) | 2003-03-1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360501B2 (ja) | 増幅回路及び携帯電話用半導体集積回路装置 | |
| KR0140917B1 (ko)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 |
| JPH01138813A (ja) | Ecl―cmosレベル変換回路 | |
| US6316996B1 (en) | Adjustable AC load structure | |
| JP2805181B2 (ja) | 混合型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給電する方法 | |
| US5640681A (en) | Boot-strapped cascode current mirror | |
| KR960016878B1 (ko) | 저주파 전력 증폭용 파워 세이브 회로 | |
| US5412336A (en) | Self-biasing boot-strapped cascode amplifier | |
| KR20040092489A (ko) | 오디오 신호 증폭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
| KR100290285B1 (ko) | 프리스케일러의 입력 버퍼 | |
| EP0020778B1 (en) | Amplifier circuit | |
| US5363061A (en) |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with matched outputs | |
| JPH06204818A (ja) | 入力増幅回路 | |
| JPH09162647A (ja) | オーディオ信号増幅回路 | |
| KR100256972B1 (ko) | 전력 증폭 모듈의 효율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효율 개선장치 | |
| DE69531720D1 (de) | Rufgeneratorschaltung | |
| KR930002739Y1 (ko) | 전화기의 송화증폭회로 | |
| KR100565720B1 (ko) | 이동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 | |
| JP2993298B2 (ja) | 電話機の拡声受話用増幅器 | |
| JPH0412056B2 (ko) | ||
| JP2906708B2 (ja) | 自動レベル制御回路 | |
| JP2004048424A (ja) | ヘッドフォンアンプ回路 | |
| JPS60105353A (ja) | 電話機回路 | |
| JPS60105352A (ja) | 電話機回路 | |
| JPH05327578A (ja) | 携帯電話機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03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031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