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591B1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3591B1 KR0173591B1 KR1019960042083A KR19960042083A KR0173591B1 KR 0173591 B1 KR0173591 B1 KR 0173591B1 KR 1019960042083 A KR1019960042083 A KR 1019960042083A KR 19960042083 A KR19960042083 A KR 19960042083A KR 0173591 B1 KR0173591 B1 KR 0173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mote control
- armrest
- seat
- cover
- receiving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을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에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mount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on an armrest of a rear seat.
본 발명의 구성은 암 레스트(16)의 커버(22) 선단부에 바닥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는 수납홈(26)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26)의 선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되는 멈춤 돌기(24)를 형성하며, 후방부의 작동홈(30)으로는 텐숀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출몰구(28)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26 is formed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cover 22 of the armrest 16 so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inclined gradually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6, The protrusion 24 is formed and the protruding and retreating opening 28 facing forward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groove 30 at the rear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spring 34. [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을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에 설치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 레스트의 커버 선단부 바닥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는 장방형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의 선단부에는 수직으로 멈춤 돌기를 형성하며, 후방부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출몰되는 출몰구를 설치하여, 리모트 컨트롤을 상기 수납홈에 수납함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mount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on an armrest of a rear seat. More specifically, a bottom surface of a cover end portion of an armrest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groove inclined gradually toward the rear, And the rear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and retracting opening that is protruded and retract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hou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more stably hous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passenger To a rear seat armrest in which a car audio remote control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버킷 시트(bucket seat)와, 두 명 이상의 탑승자가 동시에 앉을 수 있는 벤치 시트(bench seat)로 대별되고 있다.Generally, a seat to be mounted in an automobile is roughly divided into a bucket seat for each passenger and a bench seat for two or more passengers to sit at the same time.
상기 버킷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탑승자의 몸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 시트이고,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는 대부분 이러한 버킷 시트를 채택하여 장착하고 있다. 또한 코너링시 안정감을 높인 시트는 스포츠 시트라고 하는 표현을 할 때도 있으며,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시트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라고도 한다.The bucket seat is a cushion seat for allowing a passenger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for each passenger, and most of the front seat of a car is equipped with such a bucket seat. In addition, a seat having increased stability during cornering may be referred to as a sports seat,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separate sheet because it is divided into sheets for each passenger.
상기 벤치 시트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나 세러페이트 시트와는 대조적으로 쓰이는 시트를 말하고, 승용차용의 경우 앞좌석은 대부분 버킷 시트인 반면 뒷좌석의 시트는 벤치 시트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bench seat is a bench-shaped seat used in contrast to a bucket seat or a serpentate seat. In the case of a passenger car, the front seat is generally a bucket seat, while a rear seat is a bench seat.
또한 상기한 버킷 시트 및 벤치 시트의 백 시트 상단부에는 헤드 레스트(head restraint)가 설치되는데, 이 헤드 레스트는 시트의 백 시트 위에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부분으로, 자동차의 추돌 및 충돌시 목의 부상 방지와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백 시트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과 착탈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조정치 가능한 것도 있다. 또한 백 시트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가 백 시트 상단부에 붙어 있는 것을 하이 백 시트라고 부르기도 한다.In addition, a head restrain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ack sheet of the bucket seat and the bench seat. The headrest is a pillow-like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on the back sheet of the seat. It is installed to prevent injury of the neck and to comfort the head part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and it is integrated with the back sheet, an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it, and there are some that can be adjusted. Also, w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ck sheet and the headrest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 sheet is called a high back sheet.
종래의 자동차 리어 시트(100)에는 도 4 에서와 같이 등받이 시트(120)의 중앙부에서 힌지 부재(200)를 축으로 하여 쿠션 시트(140)를 향하여 인출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등받이 시트(120)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암 레스트(16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암 레스트(160)는 단순히 리어 시트(100)의 탑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단순한 구조에서부터 커버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이 수납공간으로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까지 여러 가지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었다.4, the conventional rear seat 100 is provided with a hinge member 200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backrest seat 120 toward the cushion seat 140 or installed on the backrest seat 120 The conventional armrest 160 is formed simply from a structure in which a passenger of the rear seat 100 can put his / her arm, and a cover and a storage space are formed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store various articles in this storage space.
또한 상기 암 레스트(160)의 상부 커버에 장방형의 홈을 형성하여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을 설치하여 사용케 하거나 또는 수납공간에 리모트 컨트롤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리어 시트(100)의 탑승자로 하여금 오디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었다.Further, a rectangula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upper cover of the armrest 160 to provide an audio remote control or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 in the storage space, thereby allowing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100 to provide audio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암 레스트(160)는 단순히 리모트 컨트롤이 수납될 수 있는 장방형의 홈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 및 또는 충격 그리고 추돌 및 충돌에 의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이 수납홈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rmrest 160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for forming a rectangular groove in which a remote control can be simply accommodat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be moved to the receiving groove 160 due to vibration and / .
더욱이 수납홈에서 이탈된 리모트 컨트롤이 바닥면에 부딪히거나 또는 다른 물품에 부딪히게 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Furtherm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remote control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collides with the floor surface or collides with another article and is damaged.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순히 탑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로 된 암 레스트는 리어 시트의 탑승객이 리모트 컨트롤을 자신의 손으로 잡고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과 아울러 하차시에는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게 되는데, 그냥 쿠션 시트에 올려놓고 하차하게 될 경우 리모트 컨트롤이 분실되거나 또는 재승차시 리모트 컨트롤을 탑승객이 깔고 앉게 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More specifically, the armres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assenger can raise his / her arm is inconvenient for a passenger of the rear seat to grip the remote control by his / her hand, and is kept at a certain place when getting of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te control is lost if it is just put on a cushion sheet and the remote control is damaged when the remote control is seated with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상기 커버의 상부에 리모트 컨트롤 수납홈이 구비되는 암 레스트는 단순히 장방형의 홈이 구비되어 탑승객이 이 수납홈에 리모트 컨트롤을 수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수납홈에 설치된 리모트 컨트롤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rmrest provided with the remote control receiving groov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is merely provided with a rectangular groove so that the passenger can store and operate the remote control in the receiving groove. However, The remote control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disengaged.
더욱이 이탈되는 리모트 컨트롤이 바닥면에 부딪히게 되어 파손되거나 다른 탑승객에게 부딪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ached remote control collides with the floor surface and is damaged or hit by other passengers.
또한 상기 커버가 구비되고 수납공간이 구비되는 암 레스트는 상기 커버를 반드시 열어서 또는 열어 놓은 채로 리모트 컨트롤을 조작하여여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mrest having the cover and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by opening or opening the co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 커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모트 컨트롤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수납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te control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n armrest cover of a rear seat, Which is provided with a car audio remote control capable of providing a rear seat se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암 레스트의 커버 선단부에 바닥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는 수납홈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의 선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되는 멈춤 돌기를 형성하며, 후방부의 작동홈으로는 텐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출몰구를 설치하여서, 상기 수납홈에 안착되는 리모트 컨트롤의 후방면을 상기 출몰구가 밀어줌과 동시에 전방면을 상기 멈춤 돌기가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cover is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a cover of the armrest so as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rear, A protruding and retracting opening facing forward is provided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spring so that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opening pushes the rea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front surface is fixedly supported by the stopping projec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car audio remote control for the rear seat.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interi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interior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예시도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종래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interi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리어 시트 12 : 등받이 시트10: Rear seat 12: Backrest seat
14 : 쿠션 시트 18 : 리모트 컨트롤14: Cushion seat 18: Remote control
20 : 힌지 부재 22 : 커버20: hinge member 22: cover
24 : 멈춤 돌기 16 : 수납홈24: detent projection 16: storage groove
28 : 출몰구 30 : 작동홈28: Demonstration site 30: Operation home
32 : 출몰홈 34 : 텐숀 스프링32: Emergency home 34: Tenshon spring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 내지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18)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10)의 암 레스트(16)는 자동차 리어 시트(10)의 등받이 시트(12)의 중앙부에서 쿠션 시트(14)를 향하여 인출되어 설치되는 암 레스트(16)의 커버(22) 상부에 수납홈(26)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26)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멈춤 돌기(24) 및 출몰구(28)로 구성된다.1 to 3 show an armrest of a rear seat in which a car audio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armrest 16 of the rear seat 10, on which the car audio remote control 18 is mounted, A storage groove 26 is formed on the cover 22 of the armrest 16 which is drawn out from the center of the backrest sheet 12 of the rear seat 10 of the car 10 toward the cushion sheet 14, Stop projections 24 and projecting / retracting openings 28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26, respectively.
상기 수납홈(26)은 내측면은 커버(22)에 대해 수직면을 구비하고,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며, 좌우측면 그리고 후방면이 구비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6 has a vertical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over 22.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6 is inclined gradually toward the rear side and has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
상기 멈춤 돌기(24)는 수납홈(26)의 전방면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 전방면의 바닥면이 커버(22)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이 커버(22)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detent projection 24 has a front 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6. The bottom face of the front face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upper face of the cover 22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22 .
상기 출몰구(28)는 수납홈(26)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장방형의 작동홈(30)에 몸체의 후단부가 설치되고, 선단부는 이 작동홈(30)에 구비되는 출몰홈(32)에서 출몰될 수 있게 위치하게 되며, 후단부에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된 텐숀 스프링(34)이 면접되어 설치된다.The protruding / retracting opening 28 is provided with a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in a rectangular operating groove 30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6, And a tensile spring 34 made of a material excellent in elasticity is placed 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상기 암 레스트(16) 커버(22)에 형성된 수납홈(26)으로 리모트 컨트롤(18)을 삽입하여 결합하면 이 리모트 컨트롤(18)의 선단부는 멈춤 돌기(24)가 고정지지하게 되고, 후단부는 상기 항시 전방을 향하고 있는 출몰구(28)에 의해 지지되어 리모트 컨트롤(18)은 보다 견고하게 수납홈(26)에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remote control 18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6 formed in the cover 22 of the armrest 16 and engaged with the remote control 18, the detent projection 24 is fixed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18, The remote control 18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 retracting opening 28 facing forward at all times so that the remote control 18 is more firmly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26.
또한 이러한 상태로 수납홈(26)이 고정되는 리모트 컨트롤(18)은 암 레스트(16)의 미사용시 등받이 시트(12)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으로 밀어 넣어도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remote control 18 to which the receiving groove 26 is fixed is prevented from being firmly detached even when the armrest 16 is pushed into the receiving space provided in the backrest seat 12 when the armrest 16 is not used will be.
다시 설명하면 암 레스트(16)의 커버(22) 선단부에 바닥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는 수납홈(26)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26)의 선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되는 멈춤 돌기(24)를 형성하며, 후방부의 작동홈(30)으로는 텐숀 스프링(34)의 탄성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출몰구(28)를 설치하여서, 상기 수납홈(26)에 안착되는 리모트 컨트롤(18)의 후방면을 상기 출몰구(28)가 밀어줌과 동시에 전방면을 상기 멈춤 돌기(24)가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rear end of the cover 22 of the armrest 16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6 that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rear and a detent projection And a remote control 18 that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6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groove 30 of the rear portion by projecting an opening 28 toward the front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spring 34. [ The protruding / retracting opening 28 pushes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2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24 is fixedly supported.
그러면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먼저 등받이 시트(12)에 설치된 암 레스트(16)를 힌지 부재(20)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쿠션 시트(14)에 놓이게 한 다음 리모트 컨트롤(18)을 커버(22)에 구비되는 수납홈(26)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결합하면, 이 리모트 컨트롤(18)의 선단부는 멈춤 돌기(24)가 고정지지하게 되고, 후단부는 출몰구(28)가 지지하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수납홈(26)에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탈 또는 유동됨이 없는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18)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The armrest 16 provided on the backrest sheet 12 is rotated around the hinge member 20 so as to be placed on the cushion seat 14 and then the remote control 18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6 ar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control 18 by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etent projection 24 is fixed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18 and the proximal end portion 28 is supported at the rear end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 18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deviation or flow.
따라서, 암 레스트(16)의 수납홈(2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협지고정시키는 출몰구(28) 및 멈춤 돌기(24)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te of being housed more firmly by the protruding and retracting openings 28 and the stopping projections 24 for holding and fixing the front and rear faces, into which the receiving grooves 26 of the armrests 16 are inserted, will be.
그러므로, 암 레스트의 커버에 결합되는 리모트 컨트롤의 유동됨이 방지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리모트 컨트롤을 암 레스트에 결합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remote control coupled to the cover of the armres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remote control can be coupl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armres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42083A KR0173591B1 (en) | 1996-09-24 | 1996-09-24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42083A KR0173591B1 (en) | 1996-09-24 | 1996-09-24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22799A KR19980022799A (en) | 1998-07-06 |
| KR0173591B1 true KR0173591B1 (en) | 1999-01-15 |
Family
ID=194751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60042083A Expired - Fee Related KR0173591B1 (en) | 1996-09-24 | 1996-09-24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01735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3785B1 (en) * | 2004-10-29 | 2011-05-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armrest with remote control |
-
1996
- 1996-09-24 KR KR1019960042083A patent/KR01735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22799A (en) | 1998-07-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0539675B (en) | Headrest and vehicle seat | |
| US20040070243A1 (en) |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 |
| JP2003237530A (en) | Seat device for vehicle | |
| JP3380192B2 (en) | Car seat | |
| GB2415616A (en) |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 |
| KR0173591B1 (en) | Armrest of rear seat having a car audio remote control | |
| KR0128699Y1 (en) | Armrest structure of a car | |
| KR20040042946A (en) | Structure for mounting center seat of vehicle | |
| KR19990024739U (en) | Child Protection Car Seat | |
| KR100461605B1 (en) | A rear armrest for vehicle | |
| KR0166546B1 (en) | Coin box in the rear seat for a vehicle | |
| KR0134235Y1 (en) | Headrest of a car | |
| KR100229383B1 (en) | Seat belt buckle assembly in a car | |
| KR0149142B1 (en) | Headrest of a car rearseat center move couple with armrest | |
| KR19980074403A (en) | Headrests for Car Seats | |
| KR0136144Y1 (en) | Car rear seat center headrest mounting structure | |
| KR19980037896U (en) | Headrest Structures for Vehicle Seats | |
| KR19980052446U (en) | Armrest device for rear seat of car | |
| KR19990038576A (en) | Car headrest | |
| KR19990021288U (en) | Child Seats in Vehicles | |
| KR980008738A (en) | A vehicle front seat having an auxiliary seat | |
| KR20070035633A (en) | Resilient installation structure of car rear armrest | |
| KR19980024529U (en) | Car Back Seat Headrest With Rotating Means | |
| KR19980054287A (en) | Headrest of car | |
| KR19990049573A (en) | Lever type passenger seat back seat folding device for automobi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10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103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