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6141B1 -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141B1
KR0176141B1 KR1019960023618A KR19960023618A KR0176141B1 KR 0176141 B1 KR0176141 B1 KR 0176141B1 KR 1019960023618 A KR1019960023618 A KR 1019960023618A KR 19960023618 A KR19960023618 A KR 19960023618A KR 0176141 B1 KR0176141 B1 KR 017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ddress
data
generating
deco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878A (ko
Inventor
김병준
심재성
조찬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141B1/ko
Priority to CN97113816A priority patent/CN1118814C/zh
Priority to US08/882,231 priority patent/US6072755A/en
Priority to GB9713310A priority patent/GB2314668B/en
Priority to JP9169241A priority patent/JP2977512B2/ja
Publication of KR98000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1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하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디스크램블링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트크블 완료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터의 기록 혹은 재생을 위해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및 빈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로 더 이상의 기록 중지를 명하거나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메모리를 제어하는데 사용한다.

Description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중 시스템 디코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상기 제2도중 메모리 제어에 관련된 부분 및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조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러정정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전송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120 : 광헤드
140 : 이송 모터 160 : 디스크 모터
200 : 시스템 디코더 280 : 메모리
300 : 디지털 위상동기루프 400 : 디스크구동제어부
500 : 마이컴 600 :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10 : 디멀티플랙서 700 : NTSC 엔코더
800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900 : 시스템클럭발생부
950 : 롬 디코더 960 : 모니터
970 : 스피커
본 발명은 메모리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비디오(혹은 versatile) 디스크 재생장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는 디지털 동화상디스크 매체의 하나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의 디지털 영상을 2시간 이상 저장하는 차세대 고화질·고음질의 보급형 멀티미디어 기억장치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는 에러정정용과 데이터 버퍼링용 메모리를 따로 가진다. 전자의 경우 주로 스태틱 램(static RAM)을 사용하고, 후자의 경우는 다이나믹 램(dynamic RAM)을 사용한다. 이렇게 별개의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메모리에 대한 기록 및 재생 등을 제어하는 부분도 별개로 가져야 하므로 그 구성의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그만큼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 그리고 제품의 소형화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하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디스크램블링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크램블 완료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터의 기록 혹은 재생을 위해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및 빈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및 빈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로 더 이상의 기록 중지를 명하거나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크(100)를 재생시키면 디스크 모터(160)가 어떤 속도로 회전을 시작하고, 헤드(120)를 구비한 광픽업에서는 트래킹 및 포커싱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크(100) 정보가 아나로그의 고주파(RF)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주파(RF)신호는 고주파 등화기를 거쳐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 다음 ESM 슬라이서(slicer)를 통하여 펄스 파형으로 정형되어 데이터 스트림(ESM, EFM)이 하기 디지털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이하 PLL이라함.)(300)와 시스템 디코더(200)에 전달된다.
디지털 위상동기루프(300)는 위상비교회로, 전압제어발진기 및 분주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의의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신호(ESM, EFM)에 동기된 제1클럭을 발생하여 시스템 디코더(200)에서 상기 재생된 신호(ESM, EFM)를 읽을 수 있는 클럭(PCLK)을 발생한다. 디스크구동제어부(400)는 시스템디코더(200)내의 동기검출부(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제공되는 프레임동기신호(Sf)에 따라 주파수서보, 위상서보등을 고려하여 디스크 회전의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및 기타 디스크 관련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80)는 4메가 비트의 다이나믹 메모리이다. 상기 메모리(280)는 에러정정과 VBR(Variable Bit Rate) 및 데이터 버퍼용이다. 상기 시스템 디코더(200)에서는 상기 디스크(100)로부터 읽어낸 데이터를 기록전의 상태로 복조한다. 이 복조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블록단위로 독출되어 시스템 디코더(200)에서 에러가 정정된 데이터는 다시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 디코더(200)에서는 상기 메모리(280)에서 독출한 데이터에 대한 디스크램블링을 실시한 후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하게 되고, 이 데이터는 다시 독출되어 디멀티플랙서(610)로 전달된다. 상기 디멀티플랙서(610)는 데이터 파서(parser)로서,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의 해당 처리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컴(500)은 광디스크 재생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로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로부터 데이터전송개시신호를 받으면 전송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600)에서 복조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각각 NTSC(혹은 PAL)엔코더(700)와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800)로 전달되어 각각 모니터(960)와 스피커(970)를 통해 출력된다. 롬 디코더(950)는 주로 호스트(예: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되며, 컴퓨터에서 처리하기에 맞도록 테이터를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시스템 디코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이컴 인터페이스 제어부 111은 마이컴 500과 시스템 디코더 200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컴 500은 DVD 재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로서, 시스템 디코더 200의 전반적인 동작도 총괄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100을 재생시키면 디스크 모터가 소정의 선 속도로 회전을 시작하고, 헤드를 구비한 광픽업에서는 디스크 정보가 아나로그의 고주파(RF)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신호는 펄스 파형으로 정형되어 데이터 스트림의 ESM 데이터는 증폭기 114에 의해 증폭되고, ESM 복조부 115에 전달된다. 상기 ESM 복조부 115는 상기 ESM 데이터를 소정 비트들로 이루어진 심볼단위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ESM 복조부 115는 상기 ESM 데이터를 32비트 쉬프트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음.)로 입력하고, 상기 32비트 쉬프트레지스터의 출력 32비트중 하위(혹은 상위) 16비트를 선택하여 16-8복조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한다.
상기 16-8복조부는 입력된 16비트의 데이터를 하나의 심볼을 이루는 8비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데이터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100에 기록할 때 8-16변조(Eight to Sixteen Modulation)를 했기 때문이다. 에러정정부 116은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블록에 대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에러정정을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280은 상기 데이터 버스 230 및 메모리 제어부 210을 통해 상기 ESM 복조부 115에서 출력되는 ID 데이터 및 주데이터들을 모아 소정의 블록단위로 저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마이컴 500의 제어를 받은 메모리 제어부 210가 상기 메모리 280에 적절한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대응되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에러정정블록을 형성한다. 상기 에러정정블록은 16섹터에 대한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 280는 상기 두 방향의 에러정정사이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정정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디스크램블러 117은 상기 메모리 280에 저장된 정정 완료된 데이터중 주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독출한 것을 입력받아 스크램블링으로 인한 시간 지연정도를 보상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이때 상기 1섹터의 주데이터는 2킬로바이트(Kbyte)이다. 마이컴 메모리 억세스부 119는 상기 마이컴 500이 상기 메모리 280을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A/V(Audio/Video) 디코더 인터페이스 121은 본 시스템디코더 200과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0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예를 8들면,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100으로부터의 데이터전송요구신호에 의거 메모리 280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600로 출력된다. 또한 ROM(Read Only Memory)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도 호스트의 롬 디코더 95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즉, 디스크램블이 끝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280은 롬디코더 950의 데이터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ROM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를 통해 전송데이터를 상기 롬디코더 950으로 출력한다. 이때 A/V디코더 인터페이스 121 및 ROM 디코더 인터페이스 122는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롬 디코더 950으로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한다. 이에 상기 전송데이터가 상기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으로 전송되는 경우는 디스크가 DVD일 경우 예를 들면, 영화감상 등을 위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전송데이터가 상기 롬디코더 950으로 전송되는 경우는 디스크가 DVD-ROM일 경우로 예를 들면, 정보검색등을 위해 발생된다. 메모리 리플래쉬부 220은 상기 메모리 280의 데이터 소거 방지를 위한 것이다. 우선순위 제어부 240은 상기 ESM 복조부 115, 에러 정정부 116, 디스크램블러 117, 마이컴 메모리 억세스부 119, A/V 디코더 인터페이스 121, ROM 디코더 인터페이스 122, 메모리 리플래쉬부 220에서 발생되는 메모리를 억세스하기 위한 요구신호(REQuest:이하 REQ라 칭함)를 입력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허가신호(ACKnowlege:이하 ACK라 칭함)를 해당 장치들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제어부 240은 상기 허가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이하 메모리 제어부 210으로 억세스 요구신호(ACCess_REQuest:이하 ACC_REQ라 칭함)를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제어부 210은 마이컴 500의 제어를 받아 메모리 억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고, 억세스를 요구한 장치들과 데이터 버스 230로의 통로를 형성하여 억세스 동작을 한다. 즉 상기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100에서 읽은 데이터를 메모리 280에 저장시키고 소정의 블록단위로 읽어내어 에러정정부 116에 제공하며, 상기 에러정정부 116에서 정정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280의 해당 영역에 다시 저장되도록 하고, 디스크램블 및 디인터리브를 할 때도 그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280에 다시 저장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한다. 또한 상기 ACC_REQ를 입력한 메모리 제어부 210은 상기 각 장치들로부터 인가되는 리드/라이트(Read/Write:이하 R/W라 침함) 신호에 대해 해당하는 메모리 280의 어드레스를 독출하여 억세스를 수행한다. 이에 상기 각 장치들은 상기 R/W와 더불어 메모리 280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은 각 장치들에 어드레스 카운터를 구비하여 메모리 제어부 210으로 출력한다. 마이컴 레지스터 112는 마이컴 500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시스템 디코더 200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저장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되는 상태정보를 상기 마이컴 500이 읽어갈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마이컴 인터페이스 111은 마이컴 500이 상기 마이컴 레지스터 112 및 메모리 280의 메모리 내용을 읽고 쓰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장치들은 하나의 메모리 280을 공유하여 디코더를 수행한다. 그리고 우선 순위 제어부 240에 의해 억세스가 허락된 장치들이 상기 메모리 280을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V 디코더 인터페이스 121은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60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전송요구신호에 의해 메모리 280의 디스크램블링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중 메모리 제어에 관련된 부분 및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는 어드레스버스, ⓓ는 데이터버스, ⓒ는 제어버스를 나타낸다.
메모리(280)는 에러정정 및 데이터 버퍼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메모리(280)는 섹터단위(2Kbyte)로 어드레스로서의 유닛번호(unit number)가 할당되며, 한 유닛은 2048바이트로 이루어진다.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는 복조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ESM 복주부(250)는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ESM)을 소정 비트들로 이루어진 심볼단위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ESM 복조부(250)는 상기 데이터스트림(ESM)을 각각의 심볼을 이루는 두개의 8비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는 데이터를 디스크(100)에 기록할 때 8-16변조(Eight to Sixteen Modulation)를 했기 때문이다.
에러정정부(116)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로 이루어진 소정의 에러정정블록에 대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에러정정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각각(182, 172, 11), (208, 192, 17)로 한다. 즉 코드워드의 길이가 각각 182, 208이고, 패리티를 제외한 주(main)데이터가 172, 192이며, 코드워드간격은 각각 11, 17이다. 이러한 에러정정을 위해 상기 메모리(280)는 상기 ESM 복조부(250)에서 출력되는 ID 데이터 및 주데이터들을 모아 소정의 블록단위로 저장해 놓음으로써 상기 에러정정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러정정블록은 16섹터에 대한 데이터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280)는 상기 두 방향의 에러정정 사이에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정정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도 한다.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235)는 메모리(280)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디스크램블러(240)는, 상기 메모리(280)에 저장된 정정 완료된 데이터중 주데이터는 디스크에 기록되기전에 스크램블이 되어 있으므로, 주데이터를 독출한 것을 입력하고 이를 디스크램블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이때 상기 주데이터는 2킬로 바이트(Kbyte)이다.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245)는 디스크램블한 데이터를 메모리(280)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기록/재생제어부(275)는 데이터의 기록 혹은 재생을 위해 상기 메모리(280)를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제어를 한다. 즉 라스(RAS), 카스(CAS), 입력 인에이블 및 출력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한다.
잔량제어부(276)는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의 어드레스 발생 상황과 마이컴(500) 혹은 자체적으로 갖고 있던 소정의 임계치를 참조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overflow), 언더플로우(underflow) 및 빔(empty)을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275)로 더 이상의 기록 중지를 명하거나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294)는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620, 630, 950)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모리(28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의 수신 사실은 마이컴(500)에서 감지되고, 상기 마이컴(500)은 상기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294)와 상기 기록/재생제어부(275)로 전송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조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이다. (4a)는 마이컴(500)에서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로 출력하는 기록시작어드레스로서 메모리(500)상의 어드레스이다. (4b)는 디스크상에 ID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시크아이디어드레스로서, 디스크구동제어부(400)에서 발생되는 신호이다.
또한 이 시크아이디어드레스는 해당 ID의 데이터를 시크하고 있다는 정보를 상기 마이컴(500)에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4c)는 실제로 저장되는 ID 데이터이다. (4d)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215)에서 마이컴(500)으로 전달하는 정보로서, 그때까지 데이터를 기록한 메모리(280)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이다. 예를 들어 2번지까지 기록했다는 정보를 기억해둠으로써 다음 기록시 3번지부터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e)는 그때까지 메모리(280)에 저장한 섹터에 해당하는 시크아이디어드레스를 나타낸다. (4f)는 마이컴(500)에서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제어부(270)로 전달하는 기록명령신호이다. (4g)는 디스크구동제어부(400)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신호로써 기록/재생제어부(275)에서 발생하여 마이컴(500)으로 전송하는 인터럽트신호로서, 1섹터마다 펄스가 발생되어 해당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구간 ①에 따르면, 상기 기록명령이 발생하여 다음 인터럽트신호부터 복조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시작한다. 이때 마이컴(500)은 현재 기록을 원하는 섹터의 ID(SID)보다 두 클럭 앞선 섹터의 ID(SID-2)가 읽혀진 것을 감지한 때 상기 기록명령신호를 인에이블한다. 상기 두 클럭의 차이는 임의의 한 섹터를 읽은 시간으로부터 ESM복조를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때문이다. 구간 ②에 따르면, 시크아이디어드레스와 기록시작어드레스가 자동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를 저당하게 되며,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하고자 할 때 기록명령신호를 로우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마이컴(500)의 기록레지스터에는 다음 기록완료 메모리어드레스(WBA+1)와 다음 시크아이디어드레스(SID+1)를 저장한다. 구간 ③은 시크구간을 나타낸다. 구간 ④에 따르면, 저장을 다시 하고자 할 때 원하는 섹터의 시크아이디어드레스(SID)보다 두 클럭 앞선 섹터의 시크아이디어드레스(SID-2)가 감지될 때 기록명령신호를 하이상태로 전환한다. 연속 저장을 원할 경우 '메모리 기록완료 어드레스 + 1'의 값을 기록시작어드레스 레지스터에 로드(load)한다. 반면에 불연속 저장을 원할 경우 '메모리 기록완료 어드레스 + N'의 값을 기록시작어드레스 레지스터에 로드(load)한다. 이때 기록시작어드레스를 하이상태로 전환하면 다음 인터럽트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저장을 시작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러정정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이다. (5a)는 마이컴(500)에서 에러정정어드레스발생부(235)로 출력하는 에러정정 시작어드레스로서, 메모리(500)상의 어드레스이다. (5b)는 디스크구동제어부(400)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읽으면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신호로서, 1섹터마다 펄스가 발생되어 해당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5c)는 에러정정어드레스발생부(235)에서 마이컴(5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그때까지 에러정정이 끝난 데이터에 대한 메모리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에러정정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이다. 예를 들면 3번지까지 에러정정했다는 정보를 기억해두었다가 다음 에러정정시 그 이후부터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5d)는 에러정정부(230)에서 에러정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마이컴(500)으로 전달하는, 현재 에러정정중인 섹터에 대한 ID데이터이다. (5e)는 에러정정시작신호로서, 마이컴(500)에서 출력되는 것이다. (5f)는 에러정정완료어드레스로서, 에러정정부(230)에서 마이컴(500)으로 에러정정 완료 사실을 알리는 정보이다. 이 정보로써 마이컴(500)은 어느 섹터까지 에러가 정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간 ㉠에 따르면, 에러정정시작신호가 발생하면 다음 인터럽트신호부터 에러정정을 개시한다. 구간 ㉡은 에러정정 시작어드레스가 자동 증가하면서 데이터 에러정정이 실시됨을 나타낸다. 구간 ㉢에 따르면, 에러정정을 중지하고자 할 때 상기 에러정정시작신호를 로우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에러정정완료 메모리어드레스와 ID 데이터가 로도된다. 그리고 이미 진행중이던 에러정정블록의 에러정정은 완료한 이후의 에러정정작업을 하지 않는다. 구간 ㉣에 따르면, 에러정정을 다시 하고자 할 때는 상기 에러정정시작신호를 하이상태로 하면 된다. 이전 블록의 반복 정정을 원할 때에는 에러정정 시작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에러정정완료 메모리 어드레스를 로드하고 연속해서 정정하고 싶을 때에는 (REA+1)을 불연속 정정을 원할 때는 (REA+N: N은 16의 배수이다.)의 값을 로드한다. 에러정정시작신호를 하이상태로 전환하면 다음 인터럽트신호부터 정정을 개시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전송을 위한 각 신호의 파형도이다. (6a)는 마이컴(500)에서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239)로 출력하는 전송시작어드레스로서, 메모리(500)상의 어드레스이다. (6b)는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마이컴(500)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현재 전송중인 섹터에 대한 ID데이터이다. (6c)는 전송을 중지한 경우 그때까지 전송한 데이터가 속한 메모리상의 번지를 나타내는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이다. 이 정보로써 상기 마이컴(500)은 어느 섹터까지 전송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번지까지 전송했다는 정보를 기억해두면 다음 전송시에는 그 다음 번지부터 전송할 수 있다. (6d)는 마이컴(500)에서 출력하는 전송완료 ID데이터로서, 메모리(28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읽어내어 오디오 디코더 혹은 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620, 630, 950)로 전송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6e)는 전송인에이블신호로서, 마이컴(500)에서 출력되는 것이다. (6f)는 오디오 디코더 혹은 비디오 디코더 혹은 롬 디코더(620, 630, 950)로부터 마이컴(500)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인터럽트신호이다.
구간 ㉮에 따르면, 인터럽트신호가 발생하자마자 전송인에이블신호가 발생된다. 구간 ㉯에 따르면,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ID데이터가 자동으로 증가하면서 데이터가 연속전송된다. 불연속 데이터 전송을 원할 때는 전송인에이블신호를 로우상태로 변환하고, 재전송을 원하는 버퍼유닛번호를 로드한 뒤 전송인에이블신호를 하이상태로 변환한다. 불연속 저장을 원할 때에는 전송시작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전송완료 메모리어드레스 + N'을 전송인에이블신호를 이용하여 강제로 로드한다. 구간 ㉰에 따르면, 인터럽트신호가 발생하면서 상기 전송시작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지정된 번지부터 자동 증가하면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시 하나의 메모리를 다중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개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록 및 재생 등을 제어하는 부분도 하나만 가지면 되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그만큼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들고 제품의 소형화에도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정보에 대한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을 하고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 디스크램블 완료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유닛은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조, 에러정정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의 리드 혹은 라이트를 하는 하나의 메모리와, 복조된 데이터를 래치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복조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에러정정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에러정정 어드레스발생부와, 디스크램블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디스크램블 어드레스발생부와, 데이터의 기록 혹은 재생을 위해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신호들을 발생하는 기록/재생제어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디코더나 롬디코더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데이터출력 어드레스발생부와, 상기 각 어드레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메모리의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및 빈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기록/재생제어부로 더 이상의 기록 중지를 명하거나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잔량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이나믹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KR1019960023618A 1996-06-25 1996-06-25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017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8A KR0176141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CN97113816A CN1118814C (zh) 1996-06-25 1997-06-24 用来控制多区域存储器的装置和方法
US08/882,231 US6072755A (en) 1996-06-25 1997-06-25 Optical disk player having multidomain memory for storing demodulated, error-corrected and descrambled data
GB9713310A GB2314668B (en) 1996-06-25 1997-06-25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domain memory
JP9169241A JP2977512B2 (ja) 1996-06-25 1997-06-25 メモリ多重領域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8A KR0176141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878A KR980004878A (ko) 1998-03-30
KR0176141B1 true KR0176141B1 (ko) 1999-04-15

Family

ID=1946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618A Expired - Fee Related KR0176141B1 (ko) 1996-06-25 1996-06-25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2755A (ko)
JP (1) JP2977512B2 (ko)
KR (1) KR0176141B1 (ko)
CN (1) CN1118814C (ko)
GB (1) GB2314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634B1 (ko) * 1997-01-15 1999-10-15 윤종용 고속 데이타 처리 및 전송을 위한 에러정정용 메모리를 구비하는 시스템 디코더 및 에러정정용 메모리 제어방법
SG76578A1 (en) * 1997-12-19 2000-11-21 Texas Instruments Inc A buffer bandwidth-saving implementation of dvd ecc
JP2000036162A (ja) * 1998-07-16 2000-02-02 Fujitsu Ten Ltd Md及びcd共用再生装置
US6999386B2 (en) * 2000-03-17 2006-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e, method for reading dat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having reading errors
KR100434296B1 (ko) * 2002-03-1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스크 기록 재생기의 메모리 운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3859A (nl) * 1983-11-10 1985-06-03 Philips Nv Selektief scramblen bij compact disc.
KR920010453B1 (ko) * 1990-03-15 1992-11-28 주식회사 금성사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JPH06162743A (ja) * 1992-11-13 1994-06-10 Sony Corp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と光学式ディスク再生方法
US5499252A (en) * 1992-11-20 1996-03-12 Sanyo Electric Co., Ltd. CD-ROM decoder having means for reading selected data from a CD into a memory
MY114518A (en) * 1994-03-19 2002-11-30 Sony Corp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then playing information back from that disk
CA2156463A1 (en) * 1994-09-05 1996-03-06 Nobuyuki Aoki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100302480B1 (ko) * 1995-08-21 2001-11-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내용의신선함을오래유지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JP3729364B2 (ja) * 1996-07-18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媒体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66029A (ja) 1998-03-06
US6072755A (en) 2000-06-06
CN1118814C (zh) 2003-08-20
GB2314668A (en) 1998-01-07
JP2977512B2 (ja) 1999-11-15
CN1170200A (zh) 1998-01-14
GB9713310D0 (en) 1997-08-27
GB2314668B (en) 1998-06-17
KR980004878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015B1 (ko) 메모리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42448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고속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US6158039A (en) System decoder having error correcting memories for high-speed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217745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US6282367B1 (en) System decoder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ck buffering
KR0176141B1 (ko)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208714B1 (ko) 다종 광디스크 선택적 재생시스템
CN1193240A (zh) 数字视盘重放装置中的测试数字信号处理器装置
JPH11164253A (ja) メモリ制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KR0182970B1 (ko) 메모리 잔량 제어장치
JPH1097492A (ja) メモリアクセスのための優先順位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217747B1 (ko) 메모리의 전송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194044B1 (ko) 메모리 억세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4656679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38667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KR0183298B1 (ko) 억세스를 위한 메모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35062B1 (ko) 디지탈 비디오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KR100200096B1 (ko) 메모리의 전송데이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H0855415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0176648B1 (ko) 다종 광디스크 선택적 재생시스템
KR100270695B1 (ko) 데이타처리장치및방법그리고그에따른디지탈비디오디스크구동장치
EP0928000A2 (en) Buffer bandwidth-saving apparatus and method
JPH06150573A (ja) データ復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11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