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가 기록되고, 혹은 기록되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복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부에 미리 수납하여 놓고, 이들 디스크 카트리지의 1개를 선택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에 기록된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를 재생하고, 혹은 사아기 디스크에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디스크 교환가능을 갖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종래 이용되고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의 주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즉 얇은 평판형을 이룬 복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도록 하여 하여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도록하여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함으로써 다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얼마안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효율 좋게 수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에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 수납부에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꺼내는 조작을 하여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부에 반송 조작하여 장착시키는 디스크 교환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디스크 교환기구를 갖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에 있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수납부에서 꺼내는 조작을 한후 디스크 회전구동기구나 정보신호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갖춘 디스크 구동부에 장착조작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디스크 기록 및/또는 쟁생장치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기구가 복잡하게 된다.
또, 복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도록하여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춘 디스크 수납체에 있어서는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표면에 접착된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라벨 등의 표시를 눈으로 보도록 할 수 없다.
또한, 복수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도록하여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체에 있어서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폭을 가지는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가 하나의 면에 순차 겹쳐 쌓아지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끼우고 빼는것이 극히 곤란하게 된다.
즉, 소정의 카트리지 수납부에 소망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정확히 수납조작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본체 내에 수납한 디스크의 주면이 일평면내에 병렬하여 배열가능하게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납하고 복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지 않고 수납가능하게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표면에 설치되는 기록내용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외부에서 투시 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시킨 후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하여 셔터부재의 개폐조작을 행하도록 하고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의 확실한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수납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의 끼우고 떼기에 관련하여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한 셔터부재의 개폐를 행하도록 하고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의 보호 및 셔터부재의 확실한 개폐를 실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및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를 이용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복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쌓지않고 병렬로 수납가능하게 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가 장착되고 이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에 수납된 디스크에 대하여 하나의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이용하여 순차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복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겹쳐 쌓지않고 병렬로 수납가능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자체의 기구의 간소화 및 소형·박형화를 실현하여서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탑재한 구동부 지지기체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고,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에 장착되는 디스크에 대응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의 조작모드를 설정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이 디스크 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하고 혹은 디스크에 정보신호를 기록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이 이동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고 안정한 상태에서의 정보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나의 캠체를 이용하여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의 디스크에 대한 근접 이간조작 및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독해기구의 유지조작을 행하도록 하고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및/또는 재생수단의 이동조작기구 및 위치결정기구의 확실한 동작을 실현하고, 또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도록 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디스크 회전구동기구 및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이 탑재된 회전지지기체 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로부와, 이 회전지지기체를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고정지지기체 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로부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하는 플렉시를 배선기판의 보호를 도모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지지기체의 안정된 회전을 보증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는 카트리지 본체에 디스트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유지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추고, 이들 카트리지 수납부가 각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주면과 대향하는 평면부측을 병렬로 배치되도록 병렬배치한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 수납부에는 상기 카트리지 수납된 디스크의 적어도 일부를 지름방향에 걸쳐서 외편에 향하게 하는 상기 카트리지본체에에 설치된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부재가 부착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부재를 개폐조작하는 셔터개폐기구와 적어도 상기 카트리지의 본체에 설치된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개구부 및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의 개구부를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개방부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된 위치결정핀 결합구멍을 외편에 향하게 하는 절결부가 설치되어 이룬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수납부에는 이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일부를 외부에서 시인가능한 창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또,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에는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부재가 이동하는 전단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와 상기 셔터개방조작부재와 병렬하여 배치된 셔터폐색조작부재가 설치되는 동시에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대응하여 한쌍식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와 셔터폐색조작부재를 이동조작하는 회동조작판과 상기 회동조작판의 외주부에 형성된 기어부에 맞물려서 상기 상기 회동조작판을 회동조작하는 회동조작기어가 설치되어서 이룬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유지되고, 각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주면과 대향하는 평면부측을 병렬로 배치되도록 병렬배치되어서 이루는 복수의 디스크 수납부와,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부재가 이동하는 전단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와, 상기 셔터개방조작부재와 병렬하여 배치된 셔터폐색조작부재와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와 셔터폐색조작부재를 이동조작하는 회동조작판과, 상기 회동조작판의 외주부에 형성된 기어부에 맞물려서 상기 회동조작판을 회동조작하는 회동조작기어를 갖추고 이루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가 삽입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의 끼우고 떼기에 관련하여 상기 회동조작기어와 맞물려서 이 회동조작기어를 회동조작하여 상기 회동조작판을 회동조작하는 랙기어가 설치되어 이루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를 갖추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의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에 끼우고 떼기에 관련하여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된 셔터부재의 개폐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 디스크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납유지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부를 갖추고 이들 카트리지 수납부가 각 디스크 가트리지가 디스크 주면과 대향하는 평면 측을 병렬하여 배치되도록 병렬배치되어서 이루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근접이간되는 적어도 상기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이 탑재된 구동부 지지기체를 지지하는 회전지지기체와, 상기 회전 지지기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기체와, 상기 회전지지기체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를 탑재된 상기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유지된 어느것 하나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를 승강조작하며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에 탑재된 상기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카트리지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근접이간시키는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를 갖추고, 상기 회전지지기체를 지지한 회전지지기체를 회전조작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에 수납된 어느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에 의해 탑재된 구동부 지지기체를 승강조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을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에 수납된 디스크에 대해 근접 이간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 회전지지기체는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중의 선택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이 규제되고,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와 정보신호 기록 및/또는 재생수단이 상기 선택된 디스크 카트리지 에 수납된 디스크에 근접된 위치 및 상기 디스크에서 이간된 위치에 있어서 승강조작이 규제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의 설명에 앞서서,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에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1)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몰드성형하여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상반부(2)와 하반부(3)를 서로 맞대어 결합하여 구성되는 카트리지본체(4)내에 정보신호의 기록매체가 되는 광디스크(5)를 수납하여 이룬다.
여기서 이용되는 광디스크(5)는 직경을 대략 64mm로 하고, 악음신호로 74분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억용량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광디스크(5)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본체(4)도 이 광디스크(5)를 수납하는데 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디스크(5)를 수납한 카트리지본체(4)의 하반부(3)측에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디스크 카트리지(1)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광디스크(5)를 회전조작하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의 디스크 테이블이 진입하는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가 개설되어 있다. 이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카트리지본체(4)내에 수납된 광디스크(5)의 센터구멍을 덮고 부착되는 디스크 램프용의 자성판으로서의 금속판(7)을 포함하는 광디스크(5)의 내주축부분을 외편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본체(4)의 상하면, 즉 상하반부(2, 3)에는 적어도 여기에 수납된 광디스크(5)의 신호기록영역의 일부를 지름방향에 걸쳐서 외편으로 향하게 하는 정보신호 기록 재생용 개구부(8, 9)가 개설되어 있다. 이들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는 제2도에 나나태는 바와 같이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 측에 걸쳐서 카트리지본체(4)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본체(4)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개폐하는 셔터부재(10)가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 측에서 끼워 맞추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카트리셔터부재(10)지본체(4)의 셔터부재(10)가 이동하는 전단면 측에는 셔터부재(10)의 일부가 진입하는 동시에 이 카트리지본체(4)를 이동조작하는 셔터개방조작부재가 진입하는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의 홈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의 홈부(11)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에 직교하는 일측면에 개구단(11a)을 가지고 셔터부재(10)이 이동방향으로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부재(10)는 얇은 금속판을 쳐서 구멍을 내어 절곡하고 혹은 합성수지재료를 몰드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써,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각각 개폐하는 셔터부(10a, 10b)와, 이들 셔터부(10a, 10b)의 기단측을 연결하는 연결편(10c)으로 구성되고, 전체를 가지고 단면(스캔)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부재(10)의 연결편(10c)의 양단에는 셔터부재(10)가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 측에 따라서 평행으로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및 제2슬라이드 가이드부(12, 13)가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슬라이드 가이드부(12)의 선단측에는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측에 형성한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의 홈부(11)에 삽입되는 동시에 카트리지본체(4)내에 설치되는 셔터체결부재(14)에 상대결합하는 체결편(15)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부재(10)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폐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체결편(15)이 셔터체결부재(14)에 상대결합하고, 상기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폐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셔터부재(10)를 개구부 폐색위치에 유지하는 셔터체결부재(14)는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측에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의 홈부(11)에 셔터개방조작부재가 진입하여가면 이 셔터개방조작부재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그 결과 이 셔터체결부재(14)에 상대결합하는 체결편(15)의 결합이 해제되고, 셔터부재(10)가 셔터개방조작부재에 의해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1)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등의 소정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면 셔터부재(10)는 정보신호 기록개생용 개구부(8, 9)를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카트리지 장착부측에 설치한 셔터폐색조작부재가 셔터부재(10)의 연결편(10c)의 대략 중앙부에 뚫어서 설치한 셔터폐색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 결합하고, 셔터부재(10)를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개방한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상기 셔터폐색조작부재는 디스크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장착부에서 이젝트조작할때 셔터부재(10)에 부하를 준다. 그리고 이 셔터폐색조작부재는 디스크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장착부에서 이젝트조작할때 카트리지본체(4)의 이젝트 방향에의 이동에 대하여 셔터부재(10)를 개구부개방위치에 정시시키도록 한다. 그 결과, 셔터부재(10)는 카트리지본체(4)에 대해 상대이동되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폐색한 위치에 이동된다. 이 셔터부재(10)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폐색한 위치로 이동되면 체결편(15)이 셔터체결부재(14)에 상대결합하고, 상기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를 폐색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1)를 구성하는 카트리지본체(4)의 상반부(2)측에는 이 카트리지본체(4)내에 수납된 광디스크(5)에 기록되고, 혹은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라벨(17)이 접착되는 라벨접착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라벨접착부(18)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재(10)의 셔터부(10a)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카트리지본체(4)의 중앙부에서 후단측으로 걸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본체(4)의 하면측을 구성하는 하반부(3)에는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되는 위치결정핀이 결합하는 위치결정핀 결합구멍(19, 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핀 결합구멍(19, 20)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부재(10)가 슬라이드하는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되고, 한편의 위치결정핀 결합구멍(19)은 셔터부재(10)의 슬라이드 방향을 긴지름으로한 긴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카트리지본체(4)의 셔터부재(10)가 부착되는 전단면측과 대향하는 후단면측에는 카트리지 장치부에의 삽입단이 되는 일측면에 개구단을 가지는 오삽입 방지홈(4a)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디스크 카트리지(1)는 광헤드에서 출사되는 광빔을 조사하면서 외부자계헤드에서 외부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정보신호의 재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형의 광디스크(5)를 수납하여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에는 미리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가 기록된 재생전용형의 광디스크(2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1)도 장착가능하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21)는 기록형의 광디스크(5)를 수납한 상술한 디스크 카트리지(1)와 외형형태를 같게하는 것이며, 카트리지본체(24)내에 수납되는 광디스크(25)도 기록형의 광디스크(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서 이룬다.
그러나, 재생전용형의 광디스크(2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1)는 오로지 정보신호의 재생을 하기 위해서만 이용되어서 이루는 것이므로 상기 광디스크(25)에 외부자계를 인가하기위한 외부자계헤드를 카트리지본체(24)내에 향하게 하는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정보신호를 기록할 때에 이용되는 외부자계의 인가를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디스크 카트리지(21)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형의 광디스크(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1)에의 상면측을 구성하는 상반부(2)측에 설치되는 외부자계헤드가 향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21)의 상면측을 구성하는 상반부(2)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고 폐색된 상태에 있다. 또 셔터부재(22)도 상반부(2)측을 덮는 셔터부를 가지지 않고,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본체(4)의 하반부(3)측에 설치된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을 덮는 셔터부(22b)만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이 셔터부재(22)는 한쪽에만 셔터부(22b)를 갖출뿐으로 다른 구성은 상술한 재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형의 광디스크(5)를 수납하고 디스크 카트리지(1)에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동일한 조작에 의해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를 개폐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재생전용형의 광디스크(2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1)는 상반부(2)측에 개구부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반부(2)의 대략 전면이 라벨접착부(18)로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본체(24)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서 이루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신호의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오로지 정보신호의 재생만을 가능하게 하는 광디스크(2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21)를 복수개, 구체적으로는 4개의 디스크 카트리지(1 및/또는 21)를 수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사각형태를 이루며 중간칸막이판(32)과, 이 중간칸막이판(32)을 덮고 설치되어서 상기 수납부본체(31)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체(33)를 갖추고 있다.
상기 수납부본체(31)는 4개의 상술한 디스크 카트리지(1 및/또는 21)가 카트리지본체(4, 24)에 수납한 광디스크(5, 25)의 주면과 대향하는 평면부측을 저면벽(34)의 대향시켜서 매트릭스형으로 병렬시켜서 배치가능한 크리고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납부본체(31)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2개씩 병렬하여 배치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이룬다. 이 수납부본체(31)의 외주축의 각 변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크 카트리지(1 및/또는 21)를 각각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부(35)를 구성하는 상승주벽(3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본체(31)의 저면벽(34)의 중심부에는 이 수납부본체(31)의 개구부측에 설치되는 중간칸막이판(32) 및 덮개체(3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29)가 나사식으로 맞추어지는 보스부(37)가 세워져 있다. 이 보스부(37)를 중심으로 하여 수납부본체(31)의 각변으로 향해 복수의 칸막이벽(38)이 세워져 있다. 이들 칸막이벽(38)은 수납부본체(31)의 각변에 직교하도록 세워져있다. 그리고 이들 칸막이벽(38)과 상승주벽(36)에 의해 각 디스크 카트리지(1 및/또는 21)가 개별로 배치되는 영역이 구성되어 이룬다.
그리고 수납부본체(31)의 개구부측을 폐색하도록 중간칸막이판(32)이 부착됨으로써 각 칸막이벽(38)과 각 상승주벽(36) 및 중간칸막이판(3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가지고 카트리지수납부(35)가 구성된다.
그리고 수납부본체(31)의 외주측의 각 변에 설치되는 상승주벽(36)은 수납부본체(31)의 한변의 반에만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본체(31)의 외주측의 각 변의 상승부벽(36)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이 상승주벽(36)이 형성되지 않는부분에는 서로 대향하는 저면벽(34)과 중간칸막이판(32)에 의해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가 구성되어 이룬다. 그리고 상승주벽(36)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각변에 걸쳐서 인접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이루는 것이며, 수납부본체(31)의 외주측의 각 변에 있어서, 제6도중 좌편측부분에 있어서 설치되어서 이룬다. 이와 같이 상승주벽(36)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설치됨으로써 수납부본체(31)의 각 변의 제5도중 좌편측부분에 각각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가 구성된다. 이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를 구성하는 저면벽(34)의 개구가장자리에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끼우고 빼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끼우고 떼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본체(31)의 각 카트리지의 수납부(35)에 대응하는 저면부(34)에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의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하반부(3)측에 형성한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 및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를 외편에 향하게 하는 개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43)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21)의 끼우고 떼기를 할 때의 손가락거는부로 하여도 가능하다.
그리고 카트리지 수납부(35)를 구성하는 칸막이판(38)과 대향하는 상승주벽(36)이 내주면측에는 제 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카트리지본체(4)의 후단면측에 형성한 오삽입방지홈(4a)에 결합하는 오삽입방지편(44)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오삽입방지편(44)은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삽입방향을 잘못하여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삽입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ㄸ 상승주벽(36)의 내부면측에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후단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45a)에 결합하고 상기 카트리지 수납부(35)로 부터의 빠짐을 막는 것을 도모하는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부재로 형성된 빠짐막는 방지부재(4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본체(31)의 개구부측을 폐색하도록 상기 수납부본체(31)에 부착되는 중간칸막이판(32)은 얇은 금속판을 대략 사각형형태로 구멍을 내서 형성되어서 이루는 것으로서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각각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상반부(2)측의 상면을 가압지지하는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6, 47)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6, 47)는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되어서 되고, 한편의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6)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내면측의 한측을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편의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7)는 디스크 키트리지(1 또는 21) 끼우고 빼는 입구(40) 측에 위치하는 일측을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서 된다. 그리고 한편의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6)는 판스피링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이루고, 선단측의 만곡형성한 가압부(46a)를 중간칸막이판(32)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절결구멍(48)을 거쳐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시켜 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상면측을 가압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편의 카트리지 가압지지부재(47)는 판스피링으로 되는 탄성변위부재(47a)의 선단에 부착한 합성수지로 되는 돌기부(47b)를 절결구멍(48)을 거쳐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시켜 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상면측을 가압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칸막이판(32)에는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셔터부재(10 또는 22)가 이동하는전단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해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는 제 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스라이드방향과 직교하는 일측면을 삽입단으로서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를 거쳐 끼우고 떼어지게된다. 따라서 각 카트리지 수납부(35)를 구성하는 각 칸막이벽(38)이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셔터부재(10 또는 22)가 이동하는 전단면에 대향하는 면이 된다. 그래서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한쌍씩 설치되는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각 칸막이벽(38)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개방조작부재(51)는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카트리지본체(4)의 전단면측에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의 홈부(11)에 진입하는 셔터개방조작편(53)을 선단측에 형성한 슬라이드 가이드편(54)과, 이 슬라이드 가이드편(54)의 상단가장자리측에 부착된 빠짐막는 방지편(55)과, 이 빠짐막는 방지편(55)의 상단면측에 부착된 롤러(56)로 구성되어서 이룬다.
한편,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제 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카트리지본체의 전단면에 올려놓고,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연결편(10c)에 형성한 셔터폐색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 압접하여 결합하는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부재로 되는 셔터폐색조작편(57)을 선단측에 형성한 슬라이드 가이드편(58)과, 이 슬라이드 가이편(58)의 상단가장자리측에 부착된 빠짐막는 방지편(59)과, 이 빠짐막는 방지편(59)의 상단면측에 부착된 롤러(60)로 구성되어서 이룬다.
상기 셔터개방조작부재(51)는 셔터개방조작편(53)을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시켜 슬라이드 가이드편(54)을 각 칸막이벽(38)에 따라서 중간칸막이판(32)에 뚫어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홈(61)에 끼워서 통하고 상기 중간칸막이판(32)의 상면측에 빠짐막는 방지편(55)을 결합시켜서 상기 중간칸막이판(32)에 슬ㄹ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셔터폐색조작편(57)을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시켜 슬라이드 가이드편(58)을 슬라이드 가이드홈(61)에 끼워서 통하고, 상기 중간칸막이판(32)의 상면측에 빠짐막는 방지편(59)을 결합시켜 셔터개방조작부재(51)에 병렬시켜서 상기 중간칸막이판(3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의 각 롤러(56, 60)가 돌출한 중간칸막이판(32)의 상면측에는 상기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를 슬라이드 가이드홈(61)에 따라서 슬라이드조작시키는 회동조작판(6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조작판(62)은 수납부본체(31)의 중심부에 세워진 보스부(37)에 중심구멍(63)을 끼워서 통하여 부착되고, 이 보스부(37)를 회동중심으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이룬다. 그리고 회동조작판(62)에는 각 카트리지 수나부(35)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된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에 대응하여 4개의 캠홈(64)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각 캠홈(64)에는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의 롤러(56, 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조작판962)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조작됨으로써 각롤러(56, 60)가 캠홈(64)에 따라서 이동되고,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슬라이드 가이드홈(61)에 따라서 제9도 화살표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그런데 캠홈(64)은 기단부측에 분기편(65)이 돌출설치되고, 2개의 분기캠홈(64a, 64b)으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장착되지 않은 초기사아태에 있어서는 각 롤러(56, 60)가 분기캠홈(64a, 64b)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셔터개방조작부재(51)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설치한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 홈부(11)의 개구단부(11a)측에 셔터개방조작편(53)을 진입시킨 위치에 놓인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부착된 셔터부재(10 또는 22)를 조작하지 않는 위치에 놓인다. 또 셔터부재조작부재(52)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부착된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연결편(10c)에 형성한 셔터폐색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서 셔터폐색조작편(57)을 압접결합시키는 위치에 놓인다.
그리고, 회동조작판(62)이 제9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되면, 각 롤러(56, 60)가 분기캠홈(64a, 64b)에서 캠홈(64)에 진입하고, 이 캠홈(64)에 가이드되어서 이동하여 간다. 그 결과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슬라이드 가이드편(54 및 58)이 슬라이드 가이드홈(61)에 가이드되어서 제9도중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셔터개방조작부재(51)의 셔터개방조작편(53)이 디스크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디스크 카트리지 본체(4)에 설치한 셔터개방조작부재 삽입용 홈부(11)로 진입하여가고,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체결릉 해제하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셔터폐색조작편(57)이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연결편(10c)에 형성한 셔터폐색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 압접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셔터부재(10 또는 22)와 일체가 되어 이동하여 간다.
또, 회동조작판(62)이 제9도중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고 각 롤러(56, 60)가 캠홈(64)에 가이드되어서 이동되면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슬라이드 가이드편(54 및 58)이 슬라이드 가이드홈(61)에 가이드되어서 제9도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셔터폐색조작편(57)을 셔터폐색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 압절결합시킨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제9도중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부재(10 또는 22)를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조작판(62)이 제9도중 화살표C방향 및 화살표 D방향에의 회동조작은 이 회도오작판(62)의 외주부에 형성한 기어부(66)에 맞물려서 중간칸막이판(32)상에 세워진 지지축(67)에 회전자재로 부착된 회동조작기어(62)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회동조작기어(68)의 회전조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트 카트리지 수납에(30)가 장착되는 디스크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되는 랙기어에 맞물림으로써 행하여진다.
그런데, 회동조작판(62)에 형성된 기어부(66)의 선단측에는 절결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9)에 의해 기어부(66)의 선단부(66a)는 회동조작판(62)의 제9도중 화살표E방향으로 탄성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회동조작기어(68)에 의해 회동조작판(62)에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셔터부재(10 또는 22)를 개구부개방위치까지 이동시킬때까지 회동시켠진후, 다시 상기 회동조작기어(68)에 의해 회동조작판(62)을 회동시키는 힘이 기어부(66)에 가하여졌을 때, 이 기어부(66)에 가하여지는 과일회동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칸막이판(32)의 회동조작판(62) 및 회동조작기어(68)가 설치된 상면측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본체(31)의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부착되는 덮개체(33)에 의해 수납부본체(31)의 중심부에 세워진 보스부(37)에 고정됨으로써, 회동조작판(62)의 상기 보스부(37)로 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회동조작기어(68)도 지지축(67)의 선단이 덮개체(33)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67)으로 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서 이룬다.
또한, 덮개체(33)에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하여깔때 회동조작기어(68)에 맞물리는 상기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측에 설치되는 랙기어를 한쪽에 형성한 랙판이 결합하는 랙판결합홈(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랙판결합홈(72)
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의 삽입단에서 중도부에 걸쳐 회동조작기어(68)의 한쪽에 다라서 형성되어 이룬다. 즉랙판결합홈(72)은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중심에서 편위한 위치에 형성되어서 이루는 것에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대한 오삽입을 규제하는 홈으로서 가능하다.
그리고 또, 덮개체(33)의 수납부본체(31)의 저면벽(34)과 서로 대향하여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상기 저면벽(34)에 형성되는 절결부(43)에 대응하는 손가락거는용의 절결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납부본체(31)에 형성되는 절결부(43)와 덮개체933)에 형성되는 절결부(73)로 각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의 개구단측에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를 잡기 위한 카트리지 파지부를 구성하여서 된다.
그런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하였을때 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수납체 끼우고 빼는 입구의 향하는 하나의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를 구성하는 덮개체(33)의 개구단측에는 이 개구단의 전폭에 걸쳐서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삽입측으로 후퇴시킨 절결오목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오목부(74)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삽입측 후단을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에서 돌출시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장착하였을때 상기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에서 돌출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일부를 용이하게 잡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디스크 수납부(35)에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셔터부재(10 또는 22)가 슬라이드하는 전단면에 직교하는 일측면을 삽입단으로서 삽입된다.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디스크 수납부(35)에 삽입되었을 때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는 초기위치에 있어서 부작동작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셔터부재(10 또는 21)는 셔터체결부재(14)에 체결된 상태에 있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10 또는 21)는 셔터체결부재(14)에 체결된 상태에 있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를 거쳐 카트리지본체(4 또는 24)내에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광디스크(5 또는 25)의 보호가 달성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가 카트리지 수납부(35)의 소정의 수납위체 삽입되었을 때 카트리지 수납부(35)측에 설치한 빠짐막는 방지부재(45)가 카트리지본체(4 또는 24)의 결합홈부(45a)에 결합하므로, 카트리지 끼우고 빼는 입구(40)로 부터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각각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를 수납2한 후 회동조작기어(68)를 제9도중 화살표 F방향으로 회전조작하고 회동조작판(62)을 제9도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제9도중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셔터개방조작부재(51)의 제9도중 화살표 A방향에의 이동에 수반하여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체결이 해제되고, 상기 셔터개방조작부재(51)에 의한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이동조작이 행하여지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조작기어(68)가 제9도중 화살표 F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되면, 회동조작판(62)은 제9도중 화살표D방향으로 회동되어지고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제9도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그리고 셔터개방조작부재 결합구멍(16)에 셔터폐색조작편(57)이 압접결합되어 있는 셔터부재(10 또는 22)는 셔터폐색조작부재(52)와 일체가 되어 제9도중 화살표B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체결이 해제되고, 으로 이동조작되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를 폐색한다.
상술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중간칸막이판(32)을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덮개체(33)를 불투명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여 이루므로 디스크 수납부(35)의 내부를 투시할 수 없느나 중간칸막이판(32) 및 덮개체(33)를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수납부(35)의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수납부(35)의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스크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설치된 라벨(17)을 외부에서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디스크 수납부(35)의 내부를 투시가능하게 하기 위해 금속판 등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중간칸막이판(32) 및 불투명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 덮개체(33)에 제10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시창(75, 76)을 각각 절결형성하므로써 상기 디스크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설치된 라벨(17)을 외부에서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간칸막이판(32) 및 덮개체(33)에 설치되는 투시창(75, 76)은 회동조작판(62)과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다. 또, 상기 투시창(75, 76)에는 투명한 합성수지판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술과 같이 구성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장착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4 또는 25)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을 하는 디스크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디스크 재생장치는 장치본체내를 구성하는 바깥케이스내에 설치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유지된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에 기록된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기구를 내장하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유지된 어느 하나의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에 기록된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기구는,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유지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이간되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와 정보신호 독해수단으로서 광픽업장치(83)가 탑재된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지지하는 회전지지기체(85)와 상기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기체(086)와 상기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조작하고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84)에 탑재된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와 광픽업장치(83)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유지된 어느 하나의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구동기구(87)와, 상기 구동부지지기체(84)를 승강조작하고, 회전구동기구(82)와 광픽업장치(83)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이간시키는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88)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폭에 대략 같은 천정판(90)이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한쌍의 측벽(91, 91)을 설치하고, 단면(스캔)자형으로 형성되어서 이룬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끼우고 빼는 수납체 끼우고 배는 입구(92)가 구성되는 전단측과 대향하는 후단측에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과잉삽입을 규제하는 삽입규제벽(93)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는 한쌍의 측벽(91, 91)을 고정지지기체(86)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세워진 한쌍의 측벽(95, 95)에 각각 중합되어 고정비스(96)에 의해 고정되어서 상기 고정지지기체(8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천정판(90)과 평행이 되도록 절곡형성한 수납체 지지편(94)과의 사이에 구성되는 공간을 가지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장착부가 된다.
또한 고정지지기체(86)는 이 고정지지기체(86)에 부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한쌍의 측벽(91, 91)의 외측면쪽에 돌출설치한 지지핀(97)이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탄성지지부재를 거쳐 바깥케이스에 지지됨으로써 이 바깥케이스에 부착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천정판(90)상에는 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이젝트조작하는 이젝트판(9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젝트판(98)은 천정판(90)에 뚫은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홈(90a)에 슬라이드 가이드핀(99)을 겹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90)에 세워진 슬라이드 가이드핀(100)에 슬라이드 가이드홈(101)을 결합시켜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장치하고 떼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판(98)의 후단가장자리측에는 천정판(90)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절결홈(102)을 거쳐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내로 돌출하는 가압조작편(10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조작편(103)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가압되고 또 이젝트조작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가압조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젝트판(98)은 이 이젝트판(98)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한쌍의 스프링걸림핀(104, 104)과 천정판(90)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걸림핀(105, 105)사이에 각각 팽팽히 설치된 잡아당기는 스프링(106, 106)에 의해 제12도 및 제13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상시 가세되어 있다. 측 이젝트판(98)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상기 수납체 홀더에서 배출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천정판(90)상에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의해 강바조작편(103)이 가압조작되고 잡아당기는 스프링(106, 106)의가세력에 항거해서 제13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된 이젝트판998)을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장착위치에 유지하는 대략 L자형을 이루는 체결판(1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체결판(108)은 천정판(90)상에 세워진 지지축(109)에 회전지지되고 이 지지축(109)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일단측에 형성한 스프링걸림편(110)과 천정판990)의 일부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편(111)과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에 의해 상시 제12도 및 제13도중 화살표H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상기 체결판(108)의 다른단부에는 이젝트판(98)에 세워진 피체결핀(114)이 일측면에 미끄러져 접하는 회동규제홈(115)이 뚫어져 있다. 이 회동규제홈(114)이 일측면이 미끄러져 접하는 회동규제홈(115)이 뚫어져 있다. 이 회동규제홈(115)의 피체결핀(114)이 미끄러져 접하는 일측면쪽의 선단부에는 상기 피체결핀(114)과 결합하는 제결편(116)이 회동규제홈(115)내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체결핀(114)과 체결편(116)과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이젝트판(98)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의해 가압조작되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장착위치까지 이동되어가면 피체결핀(114)이 회동규제홈(115)의 일측면쪽에 미끄러져 접하면서 이동하여 가고 체결판(108)을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회동시키면서 체결편(116)에 올라앉혀간다. 그리고 피체결핀(114)이 체결편(116)을 타고넘으면 체결판(108)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의 가세력을 받아서 제12도 및 제13도중 화살표H방향으로 회동복귀됨으로써 상기 피체결핀(114)의 체결편(116)으로의 결합이 행하여진다. 으 결과 이젝트판(98)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위치된 위치에 체결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한편의 측벽(91)에는 체결판(108)을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회동조작하고, 피체결핀(114)과 체결편(116)과의 상대결합을 해제하여 이젝트판(98)을 잡아당기는 스프링(106, 106)에 의해 제12도 및 제13도중 화상표G방향으로 이동조작하여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이젝트조작하는 이젝트 조작레버(12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이젝트 조작레버(121)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한편 측벽(91)상에 세워진 한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핀(122, 122)에 긴구멍(123, 123)을 결합시켜서 이젝트판(98)의 슬라이드방향과 동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트조작레버(121)의 선단측의 상단가장자리에는 체결판(108)의 일단측에서 돌출설치된 피회동조작편(124)에 대향하여 맞닿는 체결판 회동조작편(125)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젝트 조작레버(121)는 상기 측벽(91)과의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잡아당기는 스프링(120)에 의해 체결판(108)의 회동복귀방향인 제12도중 화살표I방향으로 이동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위치에 체결되는 이젝트판(98)의 체결을 해제하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이젝트조작을 하는데는 잡아당기는 스프링(120)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이젝트 조작레버(121)를 제12도중 화살표I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체결편(116)이 피체결핀(114)에 대한 상대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젝트판(98)은 잡아당기는 스프링(106, 106)의 가세력을 받아서 제12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압조작편(103)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서 이젝트조작한다.
또한 체결판(108)에 뚫은 회동규제홈(115)의 체결편9116)이 돌출설치된 측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다른측면쪽에는 이젝트판(98)의 일부를 절기하여 형성한 걸림편(126)이 걸리는 절결단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젝트조작레버(121)가 조작되어서 체결판(108)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회동조작되고 체결편(116)과 피체결편(114)과의 상대결합해제되었을때 걸림편(126)을 절결단부(127)에 맞닿게하여 이젝트판(98)의 급준한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젝트 조작레버(121)의 가압조작의 해제에 관련하여 이젝트판(98)의 이동을 행하도록 하고, 돌연히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상에 설치된 이젝트판(98)의 상기 수납체 홀더(81)의 한편의 측벽(94)상에 중합되는 수하편(129)에는 상기 측벽(94)에 형성된 절결부를 거쳐 상기 수납체 홀더(81)에 돌출하고 이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일측면을 가압지지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수평방향의 장착위치를 규제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내측면인 천정판(90)의 내측면에는 이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덮개체(33)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한 랙판결합홈(72)에 결합하고 회동조작판(62)을 회동조작하는 회동조작기어(68)에 맞물리는 랙기어(130)를 일측에 형성한 랙판(131)를 일측에 형성한 랙판(13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랙판(131)은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삽입단에서 바르게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에 장착되어 갈때에 랙판결합홈(72)에 결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서 이루는 것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의 한편의 측벽(94)측에 편위한 위치에 따라서 부착되어 이룬다.
그리고 랙판(131)은 랙기어(130)를 상단측의 일측에서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루는 것으로서 단면 L자형에 형성되어 이룬다. 그래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에 형성되는 랙판결합홈(72)의 개구측단부(72a), 즉 랙판(131)의 삽입단측은 폭넓은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랙판결합홈(2)에 랙판(131)이 결합하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의 하편측에의 탈락이 방지되어서 이룬다.
상술한 같이 랙기어(130)를 설치한 랙판(131)이 부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수납체 기우고 빼는 입구(92)를 거쳐 삽입 하여가면 개구측단부(72 a)에서 랙판결합홈(72)에 상기 랙판(131)이 결합하여 간다.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의 중도부까지 삽입되면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판(131)에 설치한 랙기어(130)가 회동조작기어(68)에 맞물린다.
이때 랙판결합홈(72)은 한쪽측에 편기한 위치에 설치되어서 이루므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올바른 삽입방향에서 수납체 끼우고 빼는 입구(92)에 삽입되지 않는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에의 삽입이 금지된다. 즉 랙판(131)의 랙판결합홈(72)에의 결합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홀더(81)내에 삽입하여 가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와 랙판(131)과의 상대이동에 의해 회동조작기어(68)가 제14도중 화살표F방향에의 회전에 의해 회동조작판(62)이 제14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회동시켜져서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제14도중 화살표C방향으로 조작된다. 셔터개방조작부재(51)의 제14도중 화살표A방향에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 디스크 수납부(35)에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셔터부재(10 또는 22)의 체결이 해제된다. 그리고 셔터부재(10 또는 22)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를 개방시키는 제15도중 화살표A방향에의 이동된다. 이 제14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다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 안편에 삽입하여가면 랙기어(130)에 맞물리는 회동조작기어(68)가 제15도중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조작되고, 셔터부재(10 또는 22)는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를 완전히 개방시킨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서러치한 개방부(41)를 거쳐 외편으로 향한 상태가 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삽이되어가면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삽입단측에서 가압조작편(103)이 가압조작되어 이젝트판(98)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06, 106)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제13도중 화살표G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젝트판(98)의 이동에 수반하여 피체결핀(114)이 체결편(108)을 제13도중 반화살표H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장착위치에 이를때까지 삽입되면 체결판(108)이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에 의해 제13도중 반화살표H방향으로 회동되고 피체결핀(114)이 체결핀(116)에 상대결합하고 이젝트판(98)을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장착위치에 유지한다.
여기서 잡아당기는 스프링(112)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이젝트 조작판(121)을 가압조작하면 체결판(108)이 제13도중 반화살표H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피체결핀(114)의 체결편(116)에의
제13도중 반화살표G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가압조작편(103)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을 가압조작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서 이젝트 조작한다. 이때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이젝트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랙기어(130)에 맞물린 회동조작기어(68)가 제16도중 화살표F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회동조작판(62)을 16도중 화살표B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셔터개방조작부재(51) 및 셔터폐색조작부재(52)가 제13도중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되고, 각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셔터부재(10 또는 22)를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서 이젝트도었을때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는 셔터부(10 또는 22)에 의해 완전히 폐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수납되었을때에는 각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가 개방된 상태가 괴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서 이젝트도었을때에는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8, 9) 또는 정보신호 재생용 개구부(23)는 셔터부(10 또는 22)에 의해 완전히 폐색된 상태가 되므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한 광디스크(5 또는 25)의 확실한 보호가 실현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가 부착된 고정지지기체(86)상에는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지지하는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회전지지기체(85)는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고정지지기체(86)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었을 때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어느 하나의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대향하도록 구동부 지지기체(84)가 부착되어 있다. 이 구동부 지지기체(84)에는 제12도 및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되는 광디스크(5 또는 25)를 회전조작하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와 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광디스크(5 또는 25)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조작되어서 상기 광디스크(5 또는 25)에 기록된 악음신호 등의 정보신호를 독해하는 광픽업장치(83)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는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서 형성되어 이루는 것으로서, 기단측을 탄성변위가능한 지지부재인 판스프링(135)을 거쳐 고저어지지기체(86)에 한쪽만 가지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부 지지기체(84)는 판스프링(135)을 힌지부로서 고정지지기체(86)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승강조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 지지기체 승작조작기구(88)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탑재한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지지한 회전지지기체(85)는 회전중심부에 돌출설치한 회전지지축(133)을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세워진 추지지부(134)에 축으로 지지시켜서 상기 고정지지기체(8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이룬다. 상기 회전지지기체(85)는 제1구동모터(136)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지지기체 회전구동기구(137)에 의해 고정지지기체(86)에 대해 회전조작된다. 이 회전지지기체 회전구동기구(137)는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세워진 추지지부(134)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기어판(138)의 바깥주위에 형성된 기어부(139)에 맞물리는 중간기어(140)와 이 중간기어(140)에 맞물리는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41)로 구성되어 이룬다. 상기 중간기어(140)와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41)는 회전지지기체(85)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41)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고 제1구동모터(136)의 구동축에 부착된 윔기어(144)와 중간기어(140)간을 연결하고 제1구동모터(136)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중간기어(14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136)가 구동되면, 이 제1구동모터(136)의 회전구동역이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41) 및 중간기어(140)를 거쳐 고정지지기체(86)측에 부착된 기어판(138)에 형성된 기어부(139)에 전달되고 회전지지기체(85)는 회전지지축(133)을 중심으로하여 고정지지기체(86)에 대해 회전조작된다.
그런데 회전지지기체(85)는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을 재시하기전의 초기상태에 있을때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칙업장치(83)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4개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서 특정된 특정된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 놓인다. 이것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수납된 4개의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서 소망하는 것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용이하게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대향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서 이다.
즉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된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지않을때에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장착되면 제1구동모터(136)가 구동을 개시하여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조작된다. 그리고 회전지지기체(85)는 이 회전 지지기체(85)의 하면측에 독출된 스위치 조작편(143)이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한 초기위치 설정스위치(142)를 가압조작할때까지 제19도중 반시계돌아가는 방향의 화살표J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초기위시 설정스위치(142)가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조작편(143)에서 가압조작되면 제1구동모터(136)의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지지기체(85)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특정된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된 초기위치인 1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된 위치에서 정지된다. 여기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중의 소망하는 카트리지 수납부(35)가 선택되면 제1구동모터(136)가 회전을 개시하고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조작한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136)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선택된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조작하여 정지된다.
그런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중의 소망하는 카트리지 수납부(35)의 선택 미 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의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의 이동은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지지기체(85)의 외주측에 설치된 검출편(145)이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된 포토이터럽터(146)를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여 행하여진다. 검출편(145) 및 포토이터럽터(146)는 초기위치에 있는 카트리지 수납부(35)이외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검출편(145)이 포토이터럽터(146)가 통과하는 수를 계산함으로써 특정의 카트리지 수납부(35)가 선택된다. 즉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응하는 번지가 지정되고 이 지정된 번지에 대응하는 수만 검출편(145)이 포토이터럽터(146)를 통과함으로써 선택된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가 검출될때까지 회전지지기체(85)가 제18도중 화살표 시계회전방향의 화살표K방향으로 회전되고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선택된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회전지지기체(85)의 외주측에는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형성된 복수의 지지편(147)을 거쳐 복수의 전동롤러(148)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전동롤러(148)는 회전지지기체(85)가 고정지지기체(86)상을 원활히 회전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조작하고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후 ㄱ동부 지지기체(84)를 승강조작하여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에 광디스크(5 또는 25)를 장착시키는 동시에 이 광디스크(5 또는 25)에 광칙업장치(83)를 근접시키는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88)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구동부 지지기체 승각조작기구(88)는 회전지지기체(85)측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15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캠기어(152)와, 이 캠기어(152)의 회전에 의해 회동조작되는 승강조작레버(153)와, 이 승강조작레버(153)의 선단측에 부착된 승강조작블록(154)과를 주된 구성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기어(152)는 회전지지기체(85)에 세워진 지지축(155)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지지되어 있다. 이 캠기어(152)의 기단측의 바깥주위에는 기어부(1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어부(156)에 제2구동모터(151)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56)를 구성하는 제1기어(157)가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2구동모터(151)에 의해 회전조작된다. 또한 제2구동모터(151)와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56)는 제2구동모터(151)의 구동축에 부착된 윔기어(158)에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56)를 구성하는 경사톱니기어(159)를 맞물리게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승강조작레버(153)는 제1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측을 (스캔)자형으로 절곡 형성한 회전가능지지부(160)를 회전지지기체(85)에 세워진 지지축(1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이 지지축(15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승강조작레버(153)의 기단측에서 연장된 일단측의 중도부에는 대략 사각형태를 하는 핀결합구멍(161)이 뚫어져 있다. 이 핀결합구멍(161)에는 제17도 및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기어(152)의 선단측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한 위치에 부착된 승강조작레버 조작핀(162)이 결합되어 있다. 또 승강조작레버(153)의 기단측에서 연장된 다른측의 선단측은 회전지지기체(85)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강조작레버(153)의 회동에 의해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승강조작하는 승강조작블록(15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승강조작블록(154)에는 제21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된 승강조작핀(164)이 미끄러져 접하는 제1경사캠부(165)와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된 승강가이드핀(166)이 미끄러져 접하는 제1경사캠부(165)와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된 승강가이드핀(166)이 미끄러져 접하는 제2경사캠부(1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경사부캠부(167)는 상기 제1경사캠부(165)와 대향하는 승강조작블록(154)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조작블록(154)에는 구동부 지지기체(84)상승위치에 이동되었을 때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에 승강가이드핀(166)과 대향하도록 돌출설치된 체결핀(163)이 결합하고 상기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상승위치에 유지하는 결합홈(1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조작핀(164)은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형성된 승강조작블록(154)이 향하는(스캔)자형의 절결부(169)의 일측쪽에서 돌출설치된 판스프링(170)의 선단측에 수하하도록 부착된 승강조작블록(154)의 제1경사캠부(165)에 맞닿게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170)은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지지축(170a)을 거쳐 부착되고,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70b)에 의해 승강조작블록(154)에서 도피하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또 승강가이드핀(166)은 (스캔)자형의 절결부(169)의 일측쪽에서 구동부 지지기체
(84)의 평면에 평행으로 돌출설치되어서 제2경사캠부(167)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체결핀(163)은 (스캔)자형의 절결부(169)의 일측쪽에서 구동부 지지기체(84)의 평면에 평행으로 돌출설치되어서 승강조작블록(154)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조작레버(153)는 지지축(155)에 감겨지고 일단측을 구동부 지지기체(84)에 걸리게하고 다른단측을 승강조작레버(153)에 걸리게하여 부착된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71)에 의해 상시 제17도중 화살표L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즉 승강조작블록(154)이 승강조작핀(164)에서 도피하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또한, 승강조작레버(153)에는 캠기어(152)에 부착한 승강조작레버 조작핀(162)이 결합하는 핀결합구멍(161)내에 일측쪽에 향하도록 하여 리미터판(172)이 부착되어 있다. 이 미리터판(172)은 승강조작레버(172)은 승강조작레버 조작핀(162)에 의한 과잉가동조작을 규제하는 것으로,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조작레버(153)에 세울 지지축(172a)에 일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 지지축(172a)에 일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 지지축(172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리머터판(172)은 지지축(172a)에 감겨지고 일단측을 승강조작레버(153)에 걸리게하고 다른단측을 리미터판(172)에 걸리게하여 부착된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73)에 의해 일측쪽이 핀결합구멍(161)내에 향하는 방향의 제22도중 화살표M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또한 리미터판(172)은 승강조작레버(153)에 형성된 걸림부(174)에 선단측을 걸리게함으로써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73)에 의한 회동가세위치가 규제되어서 이룬다.
또, 승강조작레버(153)를 회동조작하는 캠기어(152)에는 제2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캠기어(152)를 회전조작하는 제2구동모터(15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환스위치(175)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레버(176)가 관련되어 있다. 이 스위치 조작레버(176)는 회전지지기체(85)에 세워진 지지축(177)에 기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 지지축(17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조작레버(176)는 이 스위치 조작레버(176)와 회전지지기체(85)간에 팽팽히 설치된 잡아당기는 스프링(178)에 의해 제20도중 화살표N방향으로 회동가세되고 중도부를 캠기어(152)의 기어부(156)상에 형성된 스위치제어캠부(179)에 압점시키고 있다.
또 스위치 조작레버(176)의 선단측의 스위치조작부(180)를 회전지지기체(85)상에 부착된 전환스위치(175)의 조작자(181)에 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레버(176)는 캠기어(152)가 회전함으로써 스위치 제어캠부(179)에 가압조작되어서 잡아당기는 스프링(178)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제20도중 화살표N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스위치 조작부(180)가 조작자(181)를 가압조작하여 전환스위치(175)를 전환조작한다. 이 스위치 조작레버(176)는 캠기어(152)가 제2구동모터(151)가 회전조작되고 구동부지지기체(84)를 상승위치로 이동된후 캠기어(152)의 스위치 제어캠부(179)에 가압조작되어서 회동되고, 제2구동모터(151)를 정지시키도록 전환스위치(175)를 조작한다.
그리고 또 캠기어(152)에는 회전지지기체(85)가 제1구동모터(136)에 의해 회전조작되고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될 때 회전지지기체(85)를 고정지지기체(86)에 체결시키는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가 관련되어 있다.
이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일단측에 고정지지기체(86)에 세워진 체결핀(186)에 결합하는 결합오목부(187)가 형성되고 다른 단측에 캠기어(152)에 형성한 체결레버 조작캠부(188)에 맞닿게 하는 캠맞닿는부(18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중도부의 일측에 형성된 그 자형을 이루는 회전가능지지부(190)를 회전지지기체(85)에 세운 지지축(19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 지지축(19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지지축(191)에 감겨지고 일단측을 회전지지기체(85)에 걸리게하고 다른 단측을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에 걸리게 한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92)에의해 일단측의 결합오목부(187)가 체결핀(186)에 결합하는 방향의 제20도중 화살표O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이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광디스크(5 또는 25)를 재생하지 않은 디스크 회동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서 이간시켜진 하강위치에 있을 때에는 체결레버 조작캠부(188)에 의해 캠맞닿는부(189)가 가압조작된 상태에 놓여지고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92)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회동하고 결합오목부(187)를 체결핀(186)에서 이간시킨 상태에 놓여진다. 즉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는다. 그리고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대향되고 이들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캠기어(152)가 회전을 개시하면 체결레버 조작캠부(188)에 의한 캠맞닿는부(189)를 가압조작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92)의 가세력을 받아서 회동되고, 결합오목부(187)를 체결핀(186)에 결합시켜 회전지지기체(85)를 위치결정체결한다.
그리고 또, 캠기어(152)에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내의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에 이르렀을 때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채(30)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가압지지하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95)를 조작하는 가압부재 조작레버(197)가 관련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조작레버(197)는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지지기체(85)의 상면측에 세워진 한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핀(198, 198)에 긴쪽방향을 긴지름으로한 긴구멍(199, 199)을 결합시키고 이 긴구멍(199, 199)의 범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에 의해 제24도중 화살표P방향으로 이동가세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부재 조작레버(197)는 일단측에 돌출설치한 결합핀(201)을 회전지지기체(85)에 뚫은 투시구멍(202)를 거쳐 캠기어(152)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캠기어(152)의 단면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캠홈에 결합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가압부재 조작레버(197)는 캠기어(152)가 회전함으로써 결합핀(201)의 캠기어(152)의 단면에 형성한 캠홈에 가이드되어서 이동함으로써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슬라이드 조작된다.
한편,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95)는 탄성변위가능한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제2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 조작레버(197)상에 직교하도록 중합되어서 압접되고, 기단측을 회전지지기체(85)에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ㅂ재(195)는 가압부재 조작레버(197)상에 중합되는 부분에 상기 가압조작레버(197)측에 돌출하여 한쌍의 돌기부(205, 205)가 설치되고, 선단측에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가압지지하는 수납체 가압부(206)가 팽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95)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한쌍의 돌기부(205, 205)가 가압조작레버(197)에 뚫은 결합구멍(207, 207)에 결합하고 선단의 수납체 가압부(206)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서 이간하는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그리고 캠기어(152)가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압조작레버(197)를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슬라이드시키면 돌기부(205, 205)가 결합구멍(207, 207)에서 이탈하고 상기 가압조작레버(197)에 올라 앉힌다. 돌기부(205, 205)가 가압조작레버(197)상에 올려 앉히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95)는 선단측의 수납체 가압부(206)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위시켜서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에 설치한 수납체 가압부(206)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채(30)의 저면측을 가압지지한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의 천정판(90)에 가압지지되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내에서의 덜거덕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또 가압부재 조작레버(197)에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소망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내의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에 이르렀을때 회전지지기체(85)를 고정지지기체(86)에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아암(210, 210)을 회동조작하는 체결아암(210, 210)을 회동조작하는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가 관련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체결아암(210, 210)은 회전지지기체(85)에 세운 지지축(212, 21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지지축(212, 2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체결아암(210, 210)에는 제26도에는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는 회전지지기체(85)에 세운 지지축(213, 213)에 각각 회전가능 지지되고 이들 지지축(213, 21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한쌍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의 기단측은 회전가능 지지핀(214)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는 한편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와 회동지지기체(85)에 팽팽히 설치된 잡아당기는 스프링(216)에 의해 제26도중 화살표Q방향의 여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쌍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가 회동가세됨으로써 체결아암(210, 210)은 선단측이 회전지지기체(85)의 외편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고 고정지지기체(86)의 외주측에 형성한 결합편217, 217)에서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잡아당기는 스프링(216)에 의해 회동가세된 한쌍의 체결아암 회동렙머(211, 211)는 다른편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의 중도부에 세워진 회전가능지지핀(218)이 회전지지기체(85)에 뚫은 투시구멍을 통해 가압조작레버(197)측에 돌출되고 이 가압조작레버(19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조작레버(197)가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의 가세력을 받아서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쌍의 체결아암 회동레버(211, 211)는 잡아당기는 스프링(216)의 가세력을 받아서 제26도중 화살표Q방향의 여는 방향으로 회동가세되고 체결아암(210, 210)을 회전지지기체(85)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하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를 재생활때까지를 설명한다.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되면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되고 제1구동모터(136)가 구동을 개시하고, 스위치 조작편(143)이 초기위치 설정스위치(142)를 가압조작할때까지 회전지지기체(85)를 제19도중 화살표 J방향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구동모터(136)의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41), 중간 기어(140)를 거쳐 고정지지기체(86)측의 기어부(139)에 전달되고, 제1구동모터(136)를 부착한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지지기체(86)에 대해 회전한다.
그리고 초기위치 설정스위치(142)가 스위치 위치편(143)에서 가압조작되면 제1ㄹ구동모터(136)의 구동이 정지되고, 회전지지기체(85)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 픽업장치(83)를 특정된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시킨 초기위치에서 정지된다.
이어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중의 소망하는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가 조작되면 제1구동모터(136)가 구동을 개시하고, 회전지지기체(85)를 제18도중 화살표 K방향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조작한다. 그리고 회전지지기체(85)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 회전지지기체(85)의 외주측에 설치된 검출편(145)이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된 포터이터럽터(146)을 통과한다. 이 검출편(145)이 포토이터럽터(146)를 통과하는 수를 계수하고 선택된 번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선택된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면 제1구동모터(136)의 구동이 정지되어서 회전지지기체(85)의 회전도 정지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가 선택된 번지에 위치하는 카ㅌ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상태가 된 후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88)의 제2구동모터(151)가 구동을 개시하면, 이 모터(151)의 회전구동력은 구동력 전달기어기구(156)를 거쳐 캠기어(152)에 전달되고 이 캠기어(152)를 제27도중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캠기어(152)에 설치한 승강조작레버핀(162)을 핀결합구멍(161)에 결합시킨 승강조작레버(153)가 제21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승강조작레버핀(162)이 피결합구멍(161)을 가압하면서 승강조작레버(153)를 제21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승강조작레버(153)가 21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하여가면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64) 및 승강 가이드핀(166)이 각각 제1경사캠부(165) 및 제2경사캠부(167)에 미끄러져 접하면서 이들 경사캠부(165 및 167)의 상편으로 이동하여 간다.
또, 캠기어(152)가 제27도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맞닿는부(189)를 상기 캠기어(152)에 설치한 체결레버 조작캠부(188)에 맞닿게한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가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92)의 가세력을 받아서 제27도중 화살표T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캠기어(152)가 제27도중 화살표R방향으로 60°회전하면 회전지지기체 체결레버(185)의 일단측에 설치한 결합오목부(187)가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한 체결핀(186)에 체결레버(185)가 체결핀(186)에 체결됨으로써 고정지지기체(85)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선택된 번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결정회전된다.
상술과 같이 회전지지기체(85)가 고정지지기체(86)에 체결된후 다시 캠기어(152)가 제28도중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하면 다시 승강조작레버(153)가 제28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되어 간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64) 및 승강가이드핀(166)이 각각 제1경사캠부(165) 및 제2경사캠부(167)에 미끄러져 접하면서 다시 각 경사캠부(165 및 167)의 상편으로 이동하여 간다. 캠기어(152)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9도중 화살표R방향으로 대략 160°회전하면, 제3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조작핀(164)이 제1경사캠부(165)의 상면측의 수평부(165a)상에 이르고 승강가이드핀(166)이 제2경사캠부(167)의 상단측에 형성된 결합홈(168)에 결합한다. 그 결과 구동부 지지기체(84)는 힌지부로서의 판스프링(135)을 중심으로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측에 상승시켜 진다.
또,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상승위치에 이동시킬때까지 승강조작레버(153)가 제29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승강조작레버(153)의 승강조작블록(154)을 부착한 선단을 절곡하여 형성한 걸림편(220)이 고정지지기체(86)상에 부착한 승강조작레버 가압지지스프링(221)에 의해 고정지지기체(86)상에 가압지지됨으로써 승강조작레버(153)가 회동불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승강조작레버(153)가 회동불능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구동부 지지기체(84)는 승강조작블록(154)에 의해 확실히 상승위치에 유지되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상승위치로 이동시킬때까지 캠기어(152)가 회전되면, 이 캠기어(152)에 의해 가압부재 조작레버(197)가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 가압부재 조작레버(197)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부재(195)가 그 선단측의 수납체 가압부(206)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변위시켜지고 제2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납체 가압부(206)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저면측을 가압지지한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압접지지되고 이 홀더(81)내에서의 덜거덕거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가압부재 조작레버(197)가 슬라이드 조작됨으로써 체결아암(210, 210)을 회전지지기체(85)의 외편에 돌출시켜 고정지지기체(86)의 외주측에 형성한 결합편(217, 217)에 결합시켜 회전지지기체(85)를 고정지지기체(85)에 체결하고,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중에 회전지지기체(85)가 부주의하게 회전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를 상승위치에 이동될때까지 승강조작레버(153)을 제29도중 화살표S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기어(152)를 회전조작시키는 제2구동모터(151)의 캠기어(152)에 설치한 스위치 제어캠부(179)에 의해 가압조작되어서 잡아당기는 스프링(178)의 가세력에 항거해서 제28도중 화살표T방향으로 회동되고, 스위치 조작부(180)에 의해 전환스위치(175)의 전환조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151)의 구동이 정지되고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상승조작이 완료한다.
그런데 구동부 지지기체(84)가 상승위치로 이동되면 이 구동부 지지기체(84)상에 세운 한쌍의 위치결정핀(221, 222)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저면벽(34)에 설치한 절결구멍(42) 및 절결부(43)를 거쳐 카트리지 수납체(35내에 집입하고, 이 카트리지 수납체(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위치결정핀 결합구멍(19, 20)에 결합한다. 또 구동부 지지기체(84)상에 세운 높이위치 결정핀(223)이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된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는 구동부 지지기체(84)상에 수평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위치결정이 도모된 상태에서 지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상에 탑재된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의 디스크 테이블(224)이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저면벽(34)에 설치한 개방부(41)를 거쳐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하고 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내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가 디스크 테이블(224)상에 척킹되어 이 디스크 테이블(224)과 일체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 구동부 지지기체(84)상에 탑재된 광픽업장치(83)의 대물렌즈(225)가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저면벽(34)에 설치한 개방부(41)를 거쳐 카트리지 수납부(35)내에 돌출하고 이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의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9)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21)의 정보신호 기록재생용 개구부(23)에 면하고 광디스크(5 또는 25)의 신호기록영역에 근접한 상태에서 대향한다.
상술과 같이 디스크 테이블(224)사아에 광디스크(5 또는 25)가 척킹되고 광픽업장치(83)가 대물렌즈(225)을 광디스크(5 또는 25)에 근접시킨 위치로 이동되면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를 구6성하는 스핀들모터가 구동을 재시하고, 광디스크(5 또는 25)를 회전조작한다. 이 광디스크(5 또는 25)의 회전에 따라 광픽업장치(83)가 픽업이 송모터(226)에 의해 한쌍의 이송가이드(227, 227)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광디스크(5 또는 25)의 내편측에서 외편측으로 이송조작되고, 상기 광디스크(5 또는 25)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지정된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이 종료하면, 다시 제2구동모커(151)가 구동을 개시하고, 캠기어(152)가 상술한 구동지지기체(84)를 상승시키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기어(152)의 회전에 의해 승강조작레버(153)가 제29도중 화살표S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에 설치한 승강조작핀(164) 및 승강가이드핀(166)이 각각 승강조작블록(154)의 제1경사캠부(165) 및 제2경사캠부(167)에 미끄러져 접하여지면서 이들 경사캠부(165 및 167)의 하편으로 이동하여 간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는 판스프링(135)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하편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저지지기체 체결레버(185)는 비틀어진 코일스프링(192)의 가세력에 항거하여 회동되고, 결합오목부(187)을 체결핀(186)에 이탈시킨다. 또 가압주재 조작레버(197)도 잡아당기는 스프링(200)의 가세력을 받아서 초기위치에 복귀이동되고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가압조작부재(195)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가압지지가 해제되는 동시에 체결아암(210, 210)의 고정지지기체(86)에의 체결도 해제된다. 그리고 캠기어(152)가 제29도중 화살표R방향으로 대략 350°회전되면 스위치조작부(180)에 의해 전환스위치(175)의 전환조작이 다시 행하여지고 제2구동모터(151)의 구동이 정지되고, 제2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하강조작이 완료하고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동부 지지기체(84)의 하강조작이 완료하고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지지축(133)을 중심으로하여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1구동모터(136)가 개시하고 회전지지기체(85)를 회전조작하고 다음에 지정된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151)를 구동시켜서 캠기어(152)를 회전조작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상승조작을 하여 다음에 지정된 번지의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을 한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에 수납된 복수의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각 광디스크(5 또는 25)가 순차재생된다.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캠기어(152)를 한방향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승강조작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캠기어(152)에 형성되는 캠부를 변경하고 180°의 쌍방향의 회전에 의해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승강조작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회전지지기체(85)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구동모터(136 및 151)도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등의 전자회로부와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되는 신호처리회로 등의 전자회로부와는 제3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기판(23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배선기판(230)을 이용함으로써 회전지지기체(85)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부와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로부사이에서 다량의 신호의 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230)은 고정지지기체(86)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로부에서 연장된 고정측 연재부(231)의 중도부를 회전가능지지부(137)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기어판(138)에 뚫은 기판끼워서 통하는 구멍(232)에 끼워서 통하게 되어서 도정지지기체(86)의하면측에서 상면측에 꺼내 다. 또한 기판끼워서 통하는 구멍(232)에는 기판가압편(233)이 설치되고 고정측 연재부(231)를 고정지지기체(86)에 압접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230)의 고정지지기체(86)의 상면측에 꺼내진 고정측 연재부(231)의 일부는 회전지지기체(85)의 중심부에 세운 회전지지축(133)에 따라서 연재되어 있다. 이 고정측 연재부(231)의 단부로 부터는 상기 고정측 연재부(23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회전측 연재부(235)가 꺼내져 있다.
이 회전측 연재부(235)는 회전지지기체(85)측에 설치되는 전자회로부에 접속되어서 이룬다.
그리고 회전측 연재부(235)의 상기 고정측 연재부(231)에의 연결부측의 일부는 상기 회전지지축(133)의 외주측에 대략 180°의 범위에 걸쳐서 감겨진 권회부(234)로 되어있다. 그리고 회전지지기체(85)에는 회전지지축(133)의 외주측에 대략 180°의 범위에 걸쳐서 감겨진 권회부9234
)를 위하도록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기판(230)의 휘어짐규제벽(2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휘어짐 규제벽(236)은 회전지지기체(85)가 회전지지축(133)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지지기체(86)에 대해 회전조작되었을 때에 권회부(234)가 회전지지기체(85)의 회전에 따라 원활히 휘어져 변위하도록 가이드하는 동시에 다수회의 휘어지는 변위에 의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2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5 또는 25)의 재생상태에 이르렀을때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를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에 가압지지하고 있으나, 재생이 행하여지지 않는 다른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를 지접가압지지하고, 이들 광디스크(5 또는 25)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3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지지기체(85)의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 홀더(81)와 대향하는 상면측에 복수의 광디스크 가압부재(241)를 설치한 회동판(242)을 지지축(24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한다. 한편, 제2구동모터(151)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캠기어(152)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부채형기어(244)을 설치하고 이 부채형기어(244)에 맞물려서 회동조작되는 제2캠기어(245)를 회전지지기체(85)의 상면측에 부착한다. 이 제2캠기어(245)의 주면에 형성한 캠홈(246)에 일단측을 회동판(242)의 일측부에 지지축(246)을 거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킨 회동조작레버(245)의 다른단측에 세운 결합핀(247)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캠기어(152)의 회전에 의해 부체형기어(244)를 거쳐 제2캠기어(245)를 회전조작하여 회동조작레버(245)을 요동조작한다. 이 회동조작레버(245)의 요동에 의해 회동판(242)을 지지축(24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복수의 광디스크 가압부재(241)를 재생에 이용되지 않는 광디스크(5 또는 25)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광디스크 가압부재(241)의 선단측에 만곡형성한 디스크 가압부(241a)에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디스크 테이블 진입용 개구부(6)에 향하여진 광디스크(5 또는 25)의 중심부를 가압지지함으로써, 상기 광디스크(5 또는 25)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수납된 광디스크(5 또는 25)에 기록된 정보신호를 오로지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나 본 발명은 정보신호의 재기록을 가능하게하는 광디스크(5 또는 25)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1)를 이용하므로써 정보신호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할 수 있다. 이경우에는 광픽업장치(83)가 설치되는 측에 상기 광디스크(5)에 외부자계를 인가하는 외부자계헤드를 설치하도록 이룬다. 혹은 광빔만을 이용하여 정보신호으 기록을 가능하게는 광디스크를 이용하여 광픽업장치(83)에 의해 정보신호의 기록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자치에 있어서는 디스크 회전구동기구(82) 및 광픽업장치(83)를 탑재한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승강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1)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에 근접하고, 이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종류를 판별하는 디스크 종류판별기구(251)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디스크 종류판별기구(251)는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체(30)의 각 카트리지 수납부(35)에 수납된 각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하반부(3)측에 설치된 디스크 종류판별구멍(3a, 3b, 3c)에 대응시켜서 고정부 지지기체(86)상에 설치된 검출스위치(252)를 갖추고 있다. 이 검출스위치9252)는 고정부 지지기체(86)의 일부를 되풀이 하여 형성한 지지편(253)에 부착된 회도어지지축(25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지지판(255)상에 부착되어 있다. 이 회동지지판(255)은 회동지지축(254)에 감겨지고 일단측을 고정부 지지기체(86)에 걸리게하고 다른단측을 회동지지판(255)에 걸리게 한 비트러진 코일스프링(256)에 의해 고정부 지지기체(86)측에 회동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지지판(255)의 일단측에 구동부 지지기체(84)의 선단측의 일측에서 돌출설치된 회동조작편(257)과 상대로 맞닿는 맞닿는편(258)이 돌출설치되어서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종류판별기구(251)는 구동부 지지기체 승강조작기구(88)의 동작에 의해 구동부 지지기체(8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되어가면, 회동조작편(257)이 맞닿는편(258)에 맞닿는다. 그리고 구동부 지지기체(84)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다시 회동조작되면 회동지지판(255)이 비틀어진 코일스프링(256)의 가세력에 항거에 의해 제3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스위치(252)가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디스크 종류판별구멍(3a, 3b, 3c)에 압접하고 이들 디스크 종류판별구멍(3a, 3b, 3c)에 의한 검출스위치(252)의 가압조작상태에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 또는 21)의 종류판별이 행하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