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149Y1 -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49Y1
KR0138149Y1 KR2019960001578U KR19960001578U KR0138149Y1 KR 0138149 Y1 KR0138149 Y1 KR 0138149Y1 KR 2019960001578 U KR2019960001578 U KR 2019960001578U KR 19960001578 U KR19960001578 U KR 19960001578U KR 0138149 Y1 KR0138149 Y1 KR 0138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powder
cap
powder case
container
mil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981U (ko
Inventor
임복빈
Original Assignee
임복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복빈 filed Critical 임복빈
Priority to KR2019960001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49Y1/ko
Publication of KR970050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4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각 수납통 내부에 분유를 소정량만큼 넣어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분유를 영아에게 먹이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분유 수납통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납통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분유 케이스의 캡을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리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분유 수납통들의 각 내, 외주면중 어느 한 면을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강도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4)는 스커트부(43)에 의하여 컵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4)의 천정부(41)에는 수납홈(46)을 형성하여 여기에 고체 알갱이(47)를 수납시킴으로써, 캡(4)를 노리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캡(4)의 스커트부(43) 및 손잡이부(44) 중 어느 한 부분을 어두운 곳에서 발광될 수 있도록 형광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 분유 케이스를 찾을 때 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분유 케이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분유 수납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캡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시킨 사시도.
제5도는 캡의 저면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제6도는 종래 분유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유 수납통 2 : 오염방지원반
3 : 주입구 4 : 캡
41 : 천정부 42 : 결합부
43 : 스커트부 44 : 손잡이부
46 : 수납홈 47 : 고체 알갱이
48 : 덮개
본 고안은 다단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각 수납통 내부에 분유를 소정량만큼 넣어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수납통으로부터 분유를 꺼내어 젖병에 타서 영아에게 먹이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를 데리고 여행을 하는 등과 같이 이동할 때에는, 젖병과 분유통을 휴대하고, 때때로 예컨대 분유통으로부터 숟가락으로 분유를 퍼서 젖병에 넣어 분유를 물에 탄 다음 영아에게 먹인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분유통을 통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보호자로서는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숟가락으로 분유를 퍼서 젖병에 넣기 때문에 정확한 양의 분유를 먹일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는 또한 집에서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분유를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제6도에서와 같은 분유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이 분유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 하단에 상호 대응하는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호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 다수의 분유 수납통(91)과, 최상단 수납통(91)의 상단 수나사부에 결합되도록 하단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깔대기형 주입구(92)와, 그리고 상기 주입구(92)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분유케이스에 의하면, 영아에게 우유를 먹이고자 할 경우에는, 주입구(92)로부터 캡을 분리한 다음, 주입구(92)를 젖병(미도시)에 대고 최상단 수납통(91) 내부에 소정량 수납된 분유를 젖병에 넣어 물에 타서 영아에게 먹인다. 그리고, 사용완료한 최상단 수납통(91)으로부터 주입구(92)를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최상단 수납통(91)을 그 하부의 수납통(91)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상기 주입구(92)를 다시 최상단에 위치한 아직 사용하지 않은(즉, 분유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통(92)에 결합하여 상기 주입구(92)에 캡(93)을 결합함으로써 분유가 쏟아지지 않게 하고, 다음에 최하단 수납통(91)의 하단 암나사부에 사용완료한 수납통(91)을 결합한다. 즉, 종래의 분유 케이스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수납통(91)들 내부에 수납된 소정량의 분유를 필요에 따라 영아에게 먹일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수납통(91)을 필요에 따른 소정의 수만큼 휴대하면 되었고, 또한 별도의 계량수단이 없어도 분유를 미리 소정량만큼 수납통(91)에 넣어 영아에게 먹일 수 있었으므로 매우 편리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분유 케이스에 있어서는, 분유 수납통(91)이 얇고 또한 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납통(91)들을 상호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통(91)이 찌그러져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힘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음으로써 수납통(91)을 분리시키는 것이 힘이 들었다. 또한 수납통(91)의 강도가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납통(91)의 저면에는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보호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수납통(91)의 하면이 오염될 우려가 있었고, 또한 수납통(91)의 저면으로부터 분유가루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분유 수납통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납통의 강도를 향상시킨 분유 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유 케이스의 캡을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리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 분유 케이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분유 케이스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유 케이스가 오염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호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 다수의 분유 수납통과, 최상단 수납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깔대기형 주입구와, 그리고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입구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분유 수납통은 그 내, 외주면중 어느 한 면이 다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통의 내,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이 다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수납통들을 상호 분리시킬 때 수납통이 찌그러지지 않아 힘이 고르게 전달됨으로써 수납통 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형 단면 구조에 의하여, 수납통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캡을 천정부와,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천정부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천정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연설된 스커트부와,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 양쪽에 양단이 고정된 손잡이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커트부에 의하여 상기 캡을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천정부 상면에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에 작은 고체 알갱이(바람직하게는 구슬)를 넣어, 상기 수납홈을 덮개로 닫아 상기 캡을 흔들었을 때 구슬이 부딪히는 소리가 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캡을 노리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스커트부 및 손잡이부 중 어느 한 부분이 어두운 곳에서 발광되도록 형광부로 형성하면, 한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 분유 케이스를 찾을 때 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납통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오염방지원반이 제공됨으로써, 항상 최하단 수납통의 저면에 상기 오염방지원반을 결합하면 수납통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분유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분유 케이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분유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형 분유 수납통으로서, 상기 수납통(1)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수납통(1)의 상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암, 수나사부에 의하여 다수의 수납통(1)들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상기 수납통(1)의 내, 외주면 중 어느 한면(여기서는 내주면)은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다각형 단면 구조에 의하여, 상기 수납통(1)은 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된 수납통(1)들을 상호 분리할 경우에는 수납통(1)이 찌그러지지 않아 힘이 고르게 전달됨으로써 수납통(1)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수납통(1)들 중 최하단에 결합된 수납통(1)의 하단에는, 외주면에 상기 수납통(1)의 하단 암나사부와 대응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오염방지원반(2)이 결합되어 있다. 이 오염방지 원반(2)은 최하단 수납통(1)의 하면을 막음으로써 수납통(1)의 하면이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수납통(1)의 저면에 묻은 분유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최상단 수납통(1)에는 깔대기형 주입구(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입구(3)는 하단 내주면에 수납통(1)의 수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통(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입구(3)의 폭이 좁은 상단 입구는 젖병(미도시)의 입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3)의 상단 입구를 통하여 수납통(1)내의 분유를 쏟지 않고 젖병 내에 쉽게 넣을 수 있다. 또한 주입구(3)의 상단입구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캡(4)은,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나는 것처럼, 천정부(41)와, 상기 천정부(4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부(42)와, 상기 천정부(4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설된 스커트부(43)와,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43)의 외주면 양쪽에 양단이 고정되는 스트립형 손잡이(4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42)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입구(3)의 상단 입구의 수나사부와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캡(4)을 상기 주입구(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스커트부(43)에 의하여 캡(4)을 뒤집으면 컵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캡(4)을 노리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천정부(41)에 수납홈(46)을 형성하고, 이 수납홈(46)에 각종 고체 알갱이(여기서는 구슬)(47)를 넣어 상기 수납홈(46)을 덮개(48)로 닫은 구조로 상기 캡(4)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48)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캡(4)의 스커트부(43)와 손잡이부(44) 중 어느 한쪽을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할 수 있는 형광부로 형성함으로써, 한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 분유 케이스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행시와 같이 영아를 데리고 어디로 멀리 갈 경우에, 영아에게 먹일 분유량을 고려하여 이에 해당하는 수(도면에서는 5개)만큼 분유 수납통(1)들을 준비하고, 상기 수납통(1)들에 각각 분유를 소정량 넣은 다음, 상기 수납통(1)들을 차례로 결합한다. 이때, 오염방지원반(2)이 결합된 수납통(1)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결합한다. 다음에, 최상단 수납통(1)에 주입구(3)를 결합하고, 상기 주입구(3)에는 캡(4)을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결합이 완료된 분유 케이스를 휴대하고 여행 등을 하는 도중 영아에게 분유를 먹이고자 할 경우에는, 캡(4)을 분리한 상태에서 분유 케이스를 거꾸로하여 주입구(3)를 젖병에 집어 넣어 최상단 수납통(1) 내의 분유를 젖병 내에 쏟아 넣어 분유를 탄 다음 영아에게 먹이면 된다. 분유 케이스로부터 최상단 수납통(1)만을 분리한 다음 분유를 젖병에 넣어도 된다. 한편 사용완료한 최상단 수납통(1)을 그 하부의 수납통(1)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이 분리된 수납통(1)으로부터 주입구(3)도 분리하고, 다음에는 주입구(3)를 다시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수납통(1)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주입구에 캡(4)을 다시 결합한다. 또한 사용완료하여 분리한 상태인 수납통(1)을, 최하단 수납통(1)의 하단에 결합된 오염방지원반(1)을 분리한 다음 최하단 수납통(1)의 하부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사용완료한 수납통(1)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이 최하단 수납통(1)의 하단에 다시 상기 오염방지원반(3)을 결합하면 분유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영아에게 분유를 먹이고자 할 때마다 상기한 과정을 되풀이하면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통(1)들을 상호 분리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수납통(1)의 내, 외주면 중 어느 한 면이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수납통(1)이 찌그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힘의 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분리 및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강성구조에 의하여 내구력도 향상된다.
또한, 영아가 울거나 할 경우에는, 분유 케이스의 캡(4)을 흔들면 상기 캡(4)의 수납홈(46)에 수납된 고체 알갱이(47)가 서로 부딪혀 청아한 소리를 내게 되므로, 상기 캡(4)을 노리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캡(4)의 손잡이부(44)에 의해서는 분유 케이스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캡(4)의 스커트부(43)와 손잡이부(44) 중 어느 한 부분을 형광부로 구성함으로써, 한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 분유 케이스를 손쉽게 찾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을 발하기 때문에 캡(4)의 노리개로서의 효과가 더욱 커진다.
또한, 캡(4)를 분리하여 뒤집으면, 스커트부(43)에 의하여 상기 캡(4)을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도모된다.
또한, 오염방지 원반(2)에 의해서는 최하단 수납통(1)의 저면을 막음으로써, 수납통(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통(1)의 저면에서 분유가루가 떨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호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 다수의 분유 수납통(1)과, 최상단 수납통(1)의 상단에 결합되는 깔대기형 주입구(3)와, 그리고 상기 주입구(3)를 개폐하도록 상기 주입구(3)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4)를 포함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분유 수납통(1)은 그 내, 외주면중 어느 한 면이 다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4)은 천정부(41)와, 상기 주입구(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천정부(4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결합부(42)와, 상기 천정부(4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설된 스커트부(43)와,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43)의 외주면 양쪽에 양단이 고정되는 스트립형 손잡이(4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4)의 천정부(41)의 상면에는 수납홈(4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홈(46)이 덮개(48)로 덮여 수납홈(46) 내에 고체 알갱이(47)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캡(4)의 스커트부(43)와 손잡이부(44) 중 최소한 어느 한 부분이 형광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4)의 천정부(41)의 상면에는 수납홈(4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홈(46)이 덮개(48)로 덮여 수납홈(46) 내에 고체 알갱이(47)가 수납되고, 또한 스커트부(43)와 손잡이부(44) 중 최소한 어느 한 부분이 형광부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하단 수납통(1)의 하단에는 오염방지원반(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KR2019960001578U 1996-02-02 1996-02-02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0138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578U KR0138149Y1 (ko) 1996-02-02 1996-02-02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578U KR0138149Y1 (ko) 1996-02-02 1996-02-02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981U KR970050981U (ko) 1997-09-08
KR0138149Y1 true KR0138149Y1 (ko) 1999-04-01

Family

ID=1945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578U Expired - Fee Related KR0138149Y1 (ko) 1996-02-02 1996-02-02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02B1 (ko) * 2001-08-06 2008-04-11 엠.엘.아이.에스. 프로젝트 리미티드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KR101714914B1 (ko) * 2015-11-06 2017-03-22 이이화 적층형 젖꼭지 세트, 및 그 사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802B1 (ko) * 2001-08-06 2008-04-11 엠.엘.아이.에스. 프로젝트 리미티드 다중격실 용기조립시스템
KR101714914B1 (ko) * 2015-11-06 2017-03-22 이이화 적층형 젖꼭지 세트, 및 그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981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299A (en) Baby bottle cap storage organization
US4485963A (en) Cup with pivoting straw
US20050252923A1 (en) Spill proof container for non-liquid materials
US5887740A (en) Container for seasonings such as salt, pepper and spices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4813173A (en) Fishing lure container
US11465822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mixing food items
US20100206766A1 (en) Pill tray attachable to a pill storage container
NZ709526A (en) Adapters for consumable product packag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WO2007097533A1 (en) Multipurpose storage container having compound structure
US8051996B1 (en) Baby bottle with a spare nipple storage assembly
US3063602A (en) Plastic dispensing container
US2971304A (en) Interlocking container structure and method
GB21399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eeding bottles
US4946054A (en) Cover for pacifiers
KR0138149Y1 (ko) 휴대용 다단 분유 케이스
JP6390895B2 (ja) 錠剤容器
US20030192894A1 (en) Compartmentalized container
CA2137885C (en) Mug and lid combination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US3093239A (en) Package
KR200307225Y1 (ko) 젖병
KR200489168Y1 (ko) 젖꼭지 보관 케이스
KR102765030B1 (ko) 빨대용 마개
JPH01311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01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12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