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959B1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86959B1 KR100186959B1 KR1019960028888A KR19960028888A KR100186959B1 KR 100186959 B1 KR100186959 B1 KR 100186959B1 KR 1019960028888 A KR1019960028888 A KR 1019960028888A KR 19960028888 A KR19960028888 A KR 19960028888A KR 100186959 B1 KR100186959 B1 KR 1001869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ssion
- service
- participant
- application
- medi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상호 참여형 응용이 최초로 세션 관리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응용을 등록하고 세션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다수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이 정보 통로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공통 응용 인터페이스(21);각 미디어 서버를 초기화하고, 상기 공통 응용 인터페이스(21)를 생성하여 응용의 세션 생성을 지원하며,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받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에 의해 생성되어, 세션을 제어하고 응용이 요구한 미디어 자원의 생성을 요청하는 세션 관리자(24);상기 세션 관리자(24)에 의해 생성되어, 세션이 생성된 후에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과 상기 세션 관리자(24)와의 통신로로 사용되는 사적 응용 인터페이스(23);상기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과 세션 관리자(24)에 연결되어, 세션이 생성되면 다른 세션과는 독립적인 가상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세션 관리 네트워크 서비스와 미디어 자원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25);외부의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세션 관리자(24)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여 상기 세션 관리자(24)가 요청한 미디어 자원의 생성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의 응답을 상기 세션 관리자(24)로 전달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26);단일 세션내의 발언권을 제어하고, 상기 미디어 인터페이스(26)를 통하여 요청되는 상기 세션 관리자(24)의 미디어 제어 요구를 조정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달하는 발언권 제어기(27);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이 요청한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25)를 제어하여 세션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중재를 수행하는 전체 세션 관리자(28);상기 전체 세션 관리자(28)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세션 관리자(24)와 미디어 서버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25)에 연결되어 세션의 전체적인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세션 모니터(29); 및상기 세션 모니터(29)에 연결되어 세션이 가지고 있는 가상적인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출력하는 트래픽 모니터(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세션 관리자(24)는,상기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25)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을 해석하는 패킷 해석기(32);상기 사적 응용 인터페이스(23)와 패킷 해석기(32), 및 미디어 인터페이스(26)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벤트를 해석하는 이벤트 해석기(31);단일 세션에서 응용의 미디어 사용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미디어 인스턴스 제어기(34);미디어의 사용을 위해 상기 미디어 서버에 미디어 자원을 요구하는 미디어 서버 제어기(35); 및상기 이벤트 해석기(31), 패킷 해석기(32), 미디어 서버 제어기(35), 및 미디어 인스턴스 제어기(34)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세션 제어기(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상호 참여형 응용이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으로 등록을 요구하면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은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제 1 단계(36,37);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이 세션 생성 정보를 공통 응용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으로 전송하여 세션의 생성을 요구하면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은 전체 세션 관리자(28)에 응용을 등록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는 제 2 단계(38,39);상기 전체 세션 관리자(28)는 세션 모니터(29)를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에 할당하는 제 3 단계(40,41);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은 할당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가지고 세션 관리자(24)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관리자(24)는 각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자원을 생성하도록 요구하는 제 4 단계(42,43);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세션 관리자(24)로부터 부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는 상기 세션 관리자(24)로 핸들을 전송하는 제 5 단계(44,45); 및상기 세션 관리자(24)는 사적 응용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세션 형성 결과를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 통지하고,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은 세션 관리 서비스를 상기 세션 관리자(24)로 요구하는 제 6 단계(46,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의 처리 과정은,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이 실행되면 상기 미디어 서버를 실행시킨 후에 상기 미디어 서버로 핸들을 전달하여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종류를 등록한 다음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위치가 같은 컴퓨터에 있는 응용인지 또는 원격지의 응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8 내지 52);상기 단계(48 내지 52)의 판단 결과, 같은 컴퓨터에 있는 응용의 경우에는 응용으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아 응용이 사용할 수 있는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하여 응용을 등록한 후에 응용으로부터 세션 생성을 요청받으면 상기 전체 세션 관리자(28)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 받음과 동시에 세션 관리자(24)를 생성하는 단계(53 내지 58); 및상기 단계(48 내지 52)의 판단 결과, 원격지의 응용인 경우에는 원격지의 초기 세션 생성자로부터 세션 참여 정보를 전송받아 세션에 참여하는 응용의 세션 관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참여자 관리자(24)를 생성하는 단계(59,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세션 관리자(24)의 처리 과정은,세션에 필요한 미디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 생성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요청하여 생성 결과를 응답받으면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를 등록한 후에 응용으로 등록 정보와 자신의 핸들을 전송하는 단계(61 내지 64);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이벤트를 해석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65 내지 67); 및상기 단계(65 내지 67)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세션을 유지/관리하는 세션 관리 서비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계(65 내지 67)부터 반복 수행하고, 해당 응용의 미디어 자원에 대한 접근을 서비스하는 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계(65 내지 67)부터 반복 수행하고, 세션을 파괴하는 종료 서비스를 수행하고 종료하는 단계(68 내지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68 내지 70)의 세션 관리 서비스는,세션 관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71);상기 단계(7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세션의 생성 후에 세션에 참여자를 참여시키는 초청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72);상기 단계(7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관리하는 참여자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73); 및상기 단계(7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세션 모니터(29)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세션을 유지하는 세션 유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72)의 초청 서비스는,사용자에게 초청에 필요한 자료의 입력을 요구하여 초청 자료가 입력되면, 입력받은 자료와 세션의 참여에 필요한 미디어와 네트워크 자원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초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75,76);초청을 종료하기 전까지 초청에 응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세션에 참여하는 참여자로 등록하는 단계(77,78); 및초청을 종료하게 되면 현재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에 대한 모든 정보를 상기 참여자 관리자(24)로 전송하는 단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73)의 참여자 관리 서비스는,참여자 관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81);상기 단계(81)의 판단 결과, 응용이 참여자 정보에 대한 열람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참여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82);상기 단계(81)의 판단 결과, 원격지에서 탈퇴자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세션내에서 수신하면 탈퇴자의 정보를 세션 참여자 등록 정보에서 삭제하고 탈퇴자가 발생했음을 세션내에 통지하는 단계(83 내지 85);상기 단계(81)의 판단 결과, 참여자 생존 검사이면 참여자 생존 검사 패킷을 참여자 관리자 객체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실패 횟수를 하나씩 증가시킨 후에 실패 횟수가 허용치가 초과하면 세션 참여자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세션내에 통지하며, 실패 횟수가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리턴하는 단계(84 내지 88); 및상기 단계(81)의 판단 결과, 참여자 생존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실패 횟수를 초기화하는 단계(89,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68 내지 70)의 미디어 서비스는,미디어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97);상기 단계(97)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용의 발언 요청을 오디오로 지원하는 발언권 요청 서비스, 현재 가지고 있는 발언권을 포기하는 발언권 포기 서비스, 발언자를 선택하여 발언권을 주는 발언권 전달 서비스, 및 트래픽을 조절하는 오디오 활성화 조절 서비스와 같은 오디오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98,102 내지 106);상기 단계(97)의 판단 결과에 따라 화상을 추가하는 화상창 추가 서비스, 활성화된 화상창을 삭제하는 화상창 삭제 서비스, 여러 개의 화상을 균형있게 정렬하는 화상창 정렬 서비스, 초당 발생하는 프레임을 조절하는 프레임률 조절 서비스, 자신의 사진을 파일로 저장하는 사진 찍기 서비스, 비디오 캡쳐 보드와 카메라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비디오 조절 서비스, 및 화상의 밝기, 농도, 대비, 색상 등을 조절하는 오버레이 조절 서비스와 같은 비디오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99,107 내지 114);상기 단계(97)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공유 작업 영역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드로우잉 서비스,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문자 편집 서비스, 화일 처리를 담당하는 화일 관련 서비스, 및 공유하는 영역을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경우에 사건 발생의 순서화와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접근을 통제할 수 있는 락킹(Locking) 방법을 제공하는 접근 제어 서비스와 같은 화이트 보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100,115 내지 119); 및상기 단계(97)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용 공유를 위한 초기 환경을 설정해주는 초기 설정 서비스, 공유되는 응용의 뷰(View)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조절을 하는 공유 조절 서비스, 공유되는 응용의 접근을 순서화하는 방법과 락킹(Locking)을 하는 공유 접근 제어 서비스, 및 응용 공유 환경 설정을 해제하는 공유 종료 서비스와 같은 응용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101,120 내지 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59,60)의 참여자 관리자(24)의 처리 과정은,상기 참여자 관리자(24)가 생성되면 초청 정보와 생성 인자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초청 메시지를 출력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를 가지고 참여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참여하는 경우에는 상기 참여자 관리자(24)가 종료되는 단계(125 내지 127);상기 단계(125 내지 127)의 판단 결과, 세션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참여자 정보 전송을 요구하여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인스턴스 생성을 요청하여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 생성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128 내지 131);응답받은 미디어 인스턴스의 핸들을 등록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에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이벤트를 해석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132 내지 136); 및상기 단계(132 내지 136)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참여자 유지 서비스, 종료 서비스, 또는 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137 내지 1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137 내지 139)의 참여자 유지 서비스는,참여자 유지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140);상기 단계(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탈퇴자가 발생한 경우에 원격지에서 송신한 탈퇴자에 대한 정보를 세션내에서 수신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탈퇴자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141,142); 및상기 단계(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세션 관리자(24)로부터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참여자 생존 검사 패킷을 수신하여 참여자 생존 응답 패킷을 상기 세션 관리자(24)로 송신하는 단계(143,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전체 세션 관리자(28)의 처리 과정은,트래픽 모니터(30)를 생성한 후에 오디오 재생을 지원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145,146); 및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 데몬(22)으로부터 발생되는 네트워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여 할당한 후에 상기 세션 모니터(29)를 생성하는 단계(147 내지 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세션 모니터(29)의 처리 과정은,상기 전체 세션 관리자(28)로부터 전달받은 인자를 분석하여 세션의 모든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통신로를 생성한 후에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151 내지 153);상기 단계(151 내지 153)의 판단 결과, 세션 생존 검사이면 주기적으로 세션 관리자(24)로 세션 생존 검사 패킷을 전송하여 실패 횟수를 증가시킨 후에 실패 횟수가 허용치를 초과하면 세션의 강제 종료 서비스를 요청한 후에 종료인지를 판단하고, 실패 횟수가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154 내지 157,164);상기 단계(151 내지 153)의 판단 결과, 세션 생존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실패 횟수를 초기화한 후에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158,159,164);상기 단계(151 내지 153)의 판단 결과, 세션내 패킷을 수신하면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하여 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디어 표현 계층을 통하여 표현한 후에 상기 트래픽 모니터(30)에 트래픽 발생을 알리고 종료인지를 판단하고, 미디어 데이타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트래픽 모니터(30)에 트래픽 발생을 알리고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160 내지 164); 및상기 종료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종료가 아니면 상기 단계(151 내지 153)의 서비스 종류 판단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28888A KR100186959B1 (ko) | 1996-07-12 | 1996-07-12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60028888A KR100186959B1 (ko) | 1996-07-12 | 1996-07-12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80010813A KR980010813A (ko) | 1998-04-30 |
| KR100186959B1 true KR100186959B1 (ko) | 1999-05-15 |
Family
ID=194665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600288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186959B1 (ko) | 1996-07-12 | 1996-07-12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186959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48695B1 (ko) | 2006-02-17 | 2007-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나의 세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pta 서비스를동시에 수행하는 pta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39374B1 (ko) * | 1998-10-27 | 2002-07-18 | 구자홍 | 분산처리시스템에서의멀티미디어미들웨어 |
-
1996
- 1996-07-12 KR KR1019960028888A patent/KR10018695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48695B1 (ko) | 2006-02-17 | 2007-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하나의 세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pta 서비스를동시에 수행하는 pta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980010813A (ko) | 1998-04-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652866A (en) | Collaborative working method and system for a telephone to interface with a collaborative working application | |
| US10326807B2 (en) | Method and software for enabling n-way collaborative work over a network of computers | |
| US5539886A (en) | Call management in a collaborative working network | |
| US5724508A (en) | Apparatus for collaborative computing | |
| RU2438169C2 (ru) | Подсистемно-контекстная архитектура для комнат для работы в группе в виртуаль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 |
| US7085244B2 (en) | Floor control language | |
| JP2544581B2 (ja) | 会議システム制御方法、会議装置及び会議システム | |
| JP4979954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の1つのクラスのユーザに、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別のクラスのユーザが視覚的に体験している事物のビュー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 US20130132586A1 (en) | Selective Connection Between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omponents Involved in a Teleconference | |
| US8037170B2 (en) | Integrated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and integrated session management server, system, program and server chassis, and communication system, session management server and integration application server | |
| US20050198197A1 (en) | Integrated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and integrated session management server, system, program, and apparatus | |
| CN118101343B (zh) | 一种用于医院内网环境的联邦学习系统 | |
| KR100186959B1 (ko)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 WO2021159108A1 (en) | Personal calendar bridge for room-based conferencing | |
| KR100248264B1 (ko)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 KR100235845B1 (ko) |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 |
| KR101674616B1 (ko) | 가상화 기반 원격 화상 회의 제공 시스템 | |
| CN115002392A (zh) | 一种视频会议分组管理方法和装置 | |
| KR100307194B1 (ko) |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및 컴포넌트 관리장치와 그 방법 | |
| JP2006285494A (ja) | マルチメディア対応フロア権管理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メディアサーバ及び端末 | |
| KR100608639B1 (ko) | 화상 회의 시스템의 다지점 회의 연결 장치 | |
| KR100267378B1 (ko) | 컴퓨터 그룹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 Romano | UMPIRE: a universal moderator for the participation in IETF remote events | |
| KR20000004802A (ko) |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의 원격 강의 방법 | |
| JPH1188375A (ja) | 管理ソフトウエアを有する伝送システ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31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12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123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