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4146B1 -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46B1
KR100194146B1 KR1019960020627A KR19960020627A KR100194146B1 KR 100194146 B1 KR100194146 B1 KR 100194146B1 KR 1019960020627 A KR1019960020627 A KR 1019960020627A KR 19960020627 A KR19960020627 A KR 19960020627A KR 100194146 B1 KR100194146 B1 KR 10019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igerant
evaporator
outlet port
capillary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341A (ko
Inventor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146B1/ko
Priority to JP9144213A priority patent/JPH1054627A/ja
Priority to US08/869,987 priority patent/US5890374A/en
Priority to CN97112153A priority patent/CN1055644C/zh
Priority to IT97TO000495A priority patent/IT1293927B1/it
Priority to BR9703516A priority patent/BR9703516A/pt
Publication of KR98000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1Preventing leaks from devel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매를 수령하는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시키는 오일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세관에 접속되는 유입포트와, 증발기 배관에 접속되어 유입포트로부터의 냉매를 상향유출하는 냉매유출포트와, 냉매유출포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일유도관이 접속되는 오일유출포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증발기 내로 유입되는 냉매 내의 오일이 분리되어 증발기 내에 오일이 누증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 내의 오일의 감소를 방지하여 냉각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분리장치를 갖는 증발기 주변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오일분리장치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오일분리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냉매 사이클 수행하는 냉기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냉각시스템의 개략적 블럭도.
제5도는 종래의 증발기 주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세관 7 : 증발기
11 : 유입포트 15 : 걸림부재
21 : 냉매유출포트 31 : 오일유출포트
40 : 오일분리장치 51 : 압축기
53 : 응축기 55 : 모세관
57 : 증발기
본 발명은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매를 수령하는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시키는 오일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나 에어컨과 같이 냉기를 생성하는 제품에서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해 냉매를 압축하고 증발시키는 등의 일련의 냉매사이클을 수행한다. 제4도는 이러한 냉매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의 개략적 블럭도이고, 제5도는 종래의 증발기 주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냉기생성 시스템은 압축기(51), 응축기(53), 모세관(55) 및 증발기(57)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51)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로 만들고, 응축기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다.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55)을 거쳐 감압되고, 모세관(55)로부터의 냉매는 증발기(57)에 유입되어 기화된다. 이때 기화가 일어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증발기(57) 주변의 공기가 냉각되고, 이에 따라 냉기가 생성되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나 실내에 공급된다. 기화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51)에 유입되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다.
이러한 냉각시스템에서 압축기(51)는 기계적인 작동으로 냉매를 압축하므로 구동을 위한 윤활작용을 하는 오일이 필요하게 된다. 윤활용 오일은 냉매의 순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혼입되게 되고, 따라서 냉매는 오일을 함유한 상태로 냉각시스템 내에서 순환하게 된다. 오일은 냉각시스템 내에서 냉매와 함께 흐르다가, 냉매가 모세관(55)에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될 때 냉매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저온이 됨에 따라 오일은 기체 상태로 변환되지 않고 냉매와 분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오일은 증발기 내부에 누증된다. 이러한 오일의 분리는 HFC-134a 냉매에 에스테르계의 오일이 섞여 있는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한다. 특히, 압축기(51)의 조립시에는 미네랄계의 오일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 미네랄계 오일이 압축기 내의 에스테르계 오일과 혼합될 경우에는 증발기 내에서 냉매가 기화할 때 냉매와 오일의 분리가 더욱 심하게 발생하여 증발기 내의 오일의 누증이 심하게 된다.
증발기 내에 오일이 누증되면 증발기는 주위에서 열을 많이 뻬앗지 못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되며, 압축기 내의 오일은 감소하여 압축기 내부의 마모가 심해지고 압축효율도 떨어지게 되어, 전체 냉각시스템의 구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에서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증발기 내의 오일의 누증과 압축기 내의 오일의 감소를 방지하여, 압축기 및 증발기의 기능을 유지하고 우수한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일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매를 수령하는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시키는 오일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에 접속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증발기 배관에 접속되어 냉매를 상향유출하는 냉매유출포트와,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일유도관이 접속되는 오일유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유도관의 내경이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이 증발기쪽으로 유도하고 오일유도관쪽으로의 냉매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오일유도관의 내경은 상기 냉매 유출포트의 내경의 ¼ 이하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유도관은 말단부가 상기 증발기의 냉매유출구와 연통되도록 하여 증발기를 거친 냉매가 다시 오일과 합쳐지게 함으로써, 오일이 혼합된 냉매가 압축기에 재 유입되게 하여 압축기 내의 오일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냉매유출포트의 관벽을 따라 증발기에 유입되는 오일을 걸러내고 오일유도관으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향절곡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를 갖는 증발기 주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오일분리장치(40)는 모세관(5)과 증발기(7)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세관(5)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모세관(5)으로부터의 냉매를 수령하는 유입포트(11)와, 증발기(7) 배관에 접속되어 있으며 유입포트(11)로부터의 냉매를 상향유출하여 증발기(7)에 공급하는 냉매유출포트(21)와, 냉매유출포트(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오일유출포트(31) 및, 유입포트(11)와 냉매유출포트(21) 사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15)로 이루어져 있다.
제2도는 오일분리장치의 확대단면도이고, 제3도는 오일분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걸리부재(15)는 냉매유출포트(21)의 내벽면 하향연장 형성된 걸림턱(16)을 제공한다. 유입포트(11)와 걸림부재(15) 및 걸림부재(15)와 냉매유출포트(21)는 전기 용접 등으로 융착된다. 오일유출포트(31)는 하부쪽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오일유출포트(31)의 하부에는 오일유도관(19)이 설치되어 있다. 오일유도관(19)의 내경은, 냉매유출포트(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냉매 유출포트(31)의 내경의 ¼ 이하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오일유도관(19)은 말단부가 증발기(7) 말단부의 냉매유출구(7a)와 연통하여 있다.
모세관(5)으로부터 유입된 액체 상태의 냉매는 유입포트(11)에 유입되면서 기화된다. 오일유도관(19)의 내경은 냉매유출포트(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화된 냉매는 오일유출포트(31)를 통해 거의 빠져나가지 않고 대부분이 냉매유출포트(21)를 통해 증발기에 공급된다. 모세관(5)으로부터 유입포트(11)로 유입된 냉매 내에 함유되어 있던 오일은 기화되지 못하여 액상으로 존재하면서 냉매로부터 분리된다. 이 분리된 오일(25)은, 일부는 점성에 의해 오일분리장치(40)의 관벽을 따라 이동하고 일부는 자중에 의해 하향하여 오일유출포트(31)를 거쳐 오일유도관(19)으로 향한다. 냉매유출포트(21)의 관벽에 붙어 있는 오일(25)은 기화된 냉매의 흐름에 의해 상향하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의해 냉매유출포트(21)의 관벽을 따라 상향하는 오일(25)은 걸림턱(16)에 걸리어 모이게 된다. 오일(25)이 어느 정도 모이면 자중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 오일유도관(19)에 유입된다. 오일유출포트(31)의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내경은 오일유도관(19)으로 오일(25)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매 내의 오일이 분리되어, 오일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냉매가 증발기(7)에 유입된다.
오일유도관(19)은 증발기(6)의 말단에 있는 냉매유출구(7a)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오일유도관(19)으로 유입된 오일은 증발기(7)를 거쳐나온 기체 상태의 냉매와 합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오일(25)과 합쳐진 냉매가 압축기에 다시 공급되어 압축기 내의 오일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일분리장치에 의해, 증발기 내로 유입되는 냉매 내의 오일이 분리되어 증발기 내에 오일이 누증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고 압축기 내의 오일의 감소를 방지하여 냉각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으로부터의 냉매를 수령하는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시키는 오일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에 접속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증발기 배관에 접속되어 상기 유입포트로부터의 냉매를 상향유출하는 냉매유출포트와,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일유도관이 접속되는 오일유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의 내경은,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의 내경은, 상기 냉매 유출포트의 내경의 ¼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유도관은, 말단부가 상기 증발기의 냉매유출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냉매유출포트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하향절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분리장치.
KR1019960020627A 1996-06-10 1996-06-10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27A KR100194146B1 (ko) 1996-06-10 1996-06-10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JP9144213A JPH1054627A (ja) 1996-06-10 1997-06-02 蒸発機用オイル分離装置
US08/869,987 US5890374A (en) 1996-06-10 1997-06-05 Oil separator for evaporator
CN97112153A CN1055644C (zh) 1996-06-10 1997-06-06 带有蒸发器用的油分离器的冷却系统
IT97TO000495A IT1293927B1 (it) 1996-06-10 1997-06-06 Separatore di olio per evaporatore.
BR9703516A BR9703516A (pt) 1996-06-10 1997-06-10 Separador de óleo para evaporad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27A KR100194146B1 (ko) 1996-06-10 1996-06-10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341A KR980003341A (ko) 1998-03-30
KR100194146B1 true KR100194146B1 (ko) 1999-06-15

Family

ID=1946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146B1 (ko) 1996-06-10 1996-06-10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0374A (ko)
JP (1) JPH1054627A (ko)
KR (1) KR100194146B1 (ko)
CN (1) CN1055644C (ko)
BR (1) BR9703516A (ko)
IT (1) IT1293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97B1 (ko) * 2003-10-08 2010-12-16 한라공조주식회사 증발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1667208B1 (ko) * 2015-04-23 2016-10-18 케이티씨 주식회사 냉동 및 공조시스템용 오일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2171C1 (de) * 1998-03-19 1999-04-22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fahrzeug-Klimaanlage mit einem Kompressor mit Schmiermittelumwälzung
US6170286B1 (en) 1999-07-09 2001-01-09 American Standard Inc. Oil return from refrigeration system evaporator using hot oil as motive force
US6341492B1 (en) 2000-05-24 2002-01-29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Oil return from chiller evaporator
JP4722173B2 (ja) * 2008-09-29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10097367A (ko) * 2010-02-25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칠러
CN103649654B (zh) * 2011-07-19 2016-01-27 开利公司 制冷回路中的油补偿
US9637687B2 (en) 2013-11-27 2017-05-02 Yoichiro Yamanobe Infectious medical waste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975C (ko) * 1929-10-07 1933-02-15
JPS5254060Y2 (ko) * 1973-08-27 1977-12-07
JPS5354340A (en) * 1976-10-27 1978-05-17 Hitachi Ltd Accumulator for refrigeration unit
JPS54138152U (ko) * 1978-03-20 1979-09-25
JPS58168864A (ja) * 1982-03-26 1983-10-0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油分離器
JPS599466A (ja) * 1982-07-09 1984-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用アキユ−ムレ−タ
US4551990A (en) * 1984-10-18 1985-11-12 Honoshowsky John C Oil return apparatus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5036679A (en) * 1990-06-27 1991-08-06 Savant Instruments, Inc. Oil separation from refrigerant gas flow
JPH0744237U (ja) * 1992-07-22 1995-11-07 三星電子株式会社 冷暖房兼用空気調和機のアキュムレータ構造
JPH06207751A (ja) * 1993-01-08 1994-07-26 Yoriyuki Oguri オイル分離器を取り付けたヒートポンプ
JPH06347141A (ja) * 1993-06-10 1994-12-20 Hitachi Ltd 冷凍装置の油分離器
KR0118810Y1 (ko) * 1993-12-22 1998-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오일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97B1 (ko) * 2003-10-08 2010-12-16 한라공조주식회사 증발기의 오일 분리 구조
KR101667208B1 (ko) * 2015-04-23 2016-10-18 케이티씨 주식회사 냉동 및 공조시스템용 오일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4627A (ja) 1998-02-24
US5890374A (en) 1999-04-06
ITTO970495A1 (it) 1998-12-06
CN1055644C (zh) 2000-08-23
BR9703516A (pt) 1998-12-22
ITTO970495A0 (ko) 1997-06-06
CN1171284A (zh) 1998-01-28
KR980003341A (ko) 1998-03-30
IT1293927B1 (it)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3377A (en) Refrigeration system oil separator
US5704215A (en) Internal oil separator for a refrigeration system condenser
KR100236574B1 (ko) 칠러용 이중 유입구 오일 분리기
US6009715A (en) Refrigerating apparatus, refrigerator, air-cooled type condensor unit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compressor unit
KR20020033515A (ko) 상 분리를 갖는 냉장 시스템
KR20050086183A (ko) 오일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 장치
KR101890107B1 (ko) 냉매 순환계 내 냉매-오일 혼합물의 오일을 분리하고 상기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그리고 냉매를 냉각 및/또는 액화하기 위한 장치
MXPA05002848A (es) Deposito-secador para mejorar la eficiencia del ciclo de refrigeracion.
KR100194146B1 (ko)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 내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분리장치
JP3617083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JP2000055488A (ja) 冷凍装置
JP3812582B2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
KR20090132938A (ko) 오일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2863109B2 (ja) 冷凍システム
JP2019124432A (ja) サイクロン式冷凍装置および該サイクロン式冷凍装置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2536383B1 (ko) 냉매 사이클을 구비하는 기기
KR100498638B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KR200202581Y1 (ko) 김치냉장고
KR20050066352A (ko) 냉동사이클 장치
JPH08219595A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20070013409A (ko) 냉동장치의 기액분리장치
KR200303479Y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EP0374688A2 (en) Refrigerator system with dual evaporators for household refrigerators
KR0134978Y1 (ko) 냉동싸이클 수액기 겸용 액분리기
KR200303998Y1 (ko) 냉각장치의 오일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2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20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