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7098B1 -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098B1
KR100207098B1 KR1019940010813A KR19940010813A KR100207098B1 KR 100207098 B1 KR100207098 B1 KR 100207098B1 KR 1019940010813 A KR1019940010813 A KR 1019940010813A KR 19940010813 A KR19940010813 A KR 19940010813A KR 100207098 B1 KR100207098 B1 KR 100207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ehicle
airbag
actuator
piston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689A (ko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098B1/ko
Publication of KR95003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0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을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뒷좌석에도 에어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할 목적으로; 차량의 충돌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전달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센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는 점화장치의 작동에 의해 질소가 팽창되면서 피스톤 로드가 신장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신장에 의하여 그의 하단이 하향 회동하고, 이의 하단으로 형성된 보호부재가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루프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승용차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이 차량의 각 좌석 상측외 헤드라이닝 내부에 장착되어 만약의 충돌사고시 헤드 라이닝으로부터 하측으로 펼쳐지면서 작동되도록 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상체부분이 전방의 물체, 즉 핸들이나 크러시 패드등에 부딪치어 부상 또는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의 일예로서 운전석의 예를들면 조향핸들의 보스부분에 에어백을 장착하여 차량의 충돌사고시 이의 충격을 충돌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의 점화장치에 이의 신호를 보내면 점화장치가 작동하면서 압축되어 있는 질소가스를 팽창시킴으로써,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운전자의 상태가 전방으로 세차게 부딪칠 때 이의 상체부분을 공기의 압축력으로 받쳐주어 운전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중상을 경상으로 사망을 부상으로 경감시키게 되는바, 일부의 국가에서는 에어백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에어백 시스템은 에어백이 전방에서 팽창하는 것을 이용하는 구조적인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는 에어백의 안전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에어백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을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뒷좌석에도 에어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전달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센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는 점화장치의 작동에 외해 질소가 팽창되면서 피스톤 로드가 신장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신장에 의하여 그의 하단이 하향 회동하고, 이의 하단으로 형성된 보호부재가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루프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시스템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승용차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헤드라이닝(2)과 루프패널(4) 사이의 공간부(6)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충돌감지센서(8), 액튜에이터(10), 선단의 보호부재(12)를 포함하는 회동부(14)를 주요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돌 감지센서(8)는 차량의 충돌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전달될 때 동작되어 배터리(16)의 전원을 액튜에이터(10)와 보호부재(12)의 점화장치(18)(20)와, 회동부(14)의 피스톤 록킹부(22)에 인가하게 되는 것으로서, 그의 구성과 작동은 공지이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액튜에이터(10)는 상기, 충돌감지센서(8)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면 동작되어 상기 회동부(14)의 자유단을 하향 회동시켜 주는 것으로서, 후단이 브라켓(24)에 힌지 고정되는 실린더(26)와, 상기 실린더(24)내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튼(28)은 선단이 상기 회동부(14)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30)를 포함하고 있으며, 피스톤(28)의 전측부에는 탄발부재(32)가 배치되어 피스톤(28)을 항시 후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게 되며, 피스톤(28)의 후측에는 질소가스(34)가 압축된 상태로 충진되며, 이에 상기의 점화장치(18)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로 점화장치(18)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의 점화장치(18)가 동작되면서 질소가스(34)를 팽창시켜 피스톤(28)을 전방으로 밀어주어 이의 로드(30) 선단에 연결된 회동부(14)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부(14)는 후단이 상기 액튜에이터(10)의 전방에 힌지고정되는 실린더(36)와, 피스톤 로드(38)를 포함하는 피스톤(40)과, 상기 피스톤 로드(38)의 선단으로 장착되는 보호부재(12)와, 상기 피스톤(40)의 초기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피스톤 록킹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실린더(36)의 후단 힌지부(42)는 후측으로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이에 상기 액튜에이터(10)의 피스톤 로드(30) 선단이 힌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액튜에이터(10)의 피스톤 로드(30) 신축 동작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6)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40)의 후측부에는 탄발부재(4e)가 탄지되어 이의 피스톤(40)을 항시 전방으로 밀러주는 탄발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0)에는 이동접점(48)이 배치되어 제4도에서와 같이 이의 피스튼(40)이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의 이동접점(48)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실린더(36)에 배치된 고정접점(60)과 접촉되면서 보호부재(12)의 내부로 배치된 점화장치(2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8)의 선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보호부재(12)는 내부로 질소가스(54)가 충진된 에어백(56)과, 상기 에어백(56)의 외측으로 감싸여진 완충부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스톤(38)의 전진에 의하여 접점(48)(50)의 연결로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되면 점화장치(20)가 동작으로 질소가스(54)가 팽창하여 에어백(56)을 팽창시키게 되는 것으로 종래 에어백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록킹부(22)는 피스톤(40)의 초기상태 즉, 피스톤(40)이 최후측으로 밀린 상태에서 현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서, 제3도에서와 같이 실린더(30)에 증간부가 힌지 고정되어 그의 상단부가 피스톤(40)의 전방을 받쳐주는 회동편(60)과, 상기 회동편(60)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시 상기 회동편(60)을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주는 솔레노이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솔레노이드(62)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은 충돌 감지센서(8)의 동작에 의한다.
이와같은 에어백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초기 즉, 사고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도의 실선과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의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사고로 충돌 감지센서(8)가 동작되어 배터리(16)의 전원을 엑튜에이터(10)와 회동부(14), 그리고 록킹부(22)로 인가한다.
그러면 액튜에이터(10)에서는 점화장치(18)가 작동하여 피스톤(28)을 전방으로 밀어 회동부(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부(14)가 회전함과 동시에는 록킹부(22)의 솔레노이드(62)에도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이의 솔레노이드(62)가 동작하여 회동편(60)을 동작시켜 피스톤(40)의 록킹상태를 해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피스톤(40)의 록킹이 해지되면 이의 피스톤(40)은 탄발부재(46)의 탄발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의 말단부에서는 피스톤(40)의 이동접점(48)과 실린더(36)의 고정접점(50)이 연결되어 에어백(56)의 점화장치(2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에어백(66)은 질소가스(64)의 팽창에 의하여 팽창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이 완료된 상태는 제1도 및 제2도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가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충돌의 충격으로 상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이를 완충작용으로 인명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로 에어백이 동작된 후에는 손으로 상기 보호부재를 들어올리면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헤드라이닝 상측에 설치되어 에어백의 고유기능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헤드라이닝의 어느 부위에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에만 한정되지 않고, 뒤좌석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뒷좌석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신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충돌시 소정 이상의 충격력이 전달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하는 충돌 감지센서와; 상기 충돌 감지센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도록, 후단이 브라켓에 힌지 고정되는 실린더와, 전측으로 피스톤 로드가 입설되어 상기 실린더 내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전측부에 배치되어 피스톤을 항시 후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와, 충돌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의 후측에 충진된 질소가스를 팽창시키는 점화장치로 이루어진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신장에 의하여 그의 하단이 하향으로 회동하고 이의 하단으로 형성된 보호부재가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후단이 상기 액튜에어터의 전방에 힌지 고정되는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으로 장착되는 보호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초기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피스톤 록킹부와, 상기 피스톤의 후측으로 배치되어 항시 피스톤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발부재와, 상기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에 배치된 이동접점과 연결되어 보호부재의 점화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루프 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록킹부는 실린더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되어 그의 상단부가 피스톤의 전방을 받쳐주는 피동편과, 상기 회동편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원의 인가시 상기 회동편을 동작시켜 주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 로드의 선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보호부재는 내부로 질소가스가 충진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외측으로 감싸여진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KR1019940010813A 1994-05-17 1994-05-17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813A KR100207098B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813A KR100207098B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89A KR950031689A (ko) 1995-12-20
KR100207098B1 true KR100207098B1 (ko) 1999-07-15

Family

ID=1938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8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098B1 (ko) 1994-05-17 1994-05-17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0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89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0199B2 (ja) エアーバッグ装置
US7441799B2 (en) Non-circular steering wheel assembly and airbag module
US6631920B1 (en) Airbag module
US20070057490A1 (en) External air bag for a vehicle
GB2368562A (en) An air-bag arrangement for deployment between the rear of the bonnet and the windscreen of an automobile
KR10020709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JPH0740435Y2 (ja) 車両のエアバック装置
JP297571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JPH068005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配設構造
KR0116919Y1 (ko) 차량 충돌시 뒤로 젖혀지는 자동차용 시트(a seat for motor turning back when motor run into other)
JP2556529Y2 (ja) エアバッグ作動用の補助装置
JPH06344842A (ja) 車両のエアバッグ構造
KR100348571B1 (ko)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KR100410844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JPH06262999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141565Y1 (ko) 차량용 에어 백 도어의 전개장치
JPH072530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47183B1 (ko) 자동차 리어시트 암레스트 회전 장치
KR100231982B1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의 탑승자에 따른 팽창방향 조정장치
KR100254995B1 (ko) 에어백 장착 차량의 안전조향칼럼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200269425Y1 (ko) 차량용 승객 보호장치
EP1615803B1 (en) Side impact airbag disable switch
JP2919439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4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4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