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095B1 -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3095B1 KR100233095B1 KR1019970001394A KR19970001394A KR100233095B1 KR 100233095 B1 KR100233095 B1 KR 100233095B1 KR 1019970001394 A KR1019970001394 A KR 1019970001394A KR 19970001394 A KR19970001394 A KR 19970001394A KR 100233095 B1 KR100233095 B1 KR 1002330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 time
- redial
- telephone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09—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oo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전화기에 있어서 기억 재다이얼 기능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emory redial function in a telephone.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리스트에 발신시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nabling the display of a call time in a redial list in a telephon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는 전화기에서 메모리에 기억 재다이얼을 위한 발신번호의 저장시 그 발신시각을 함께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억 재다이얼 리스트 표시 요구가 있을 때 해당 발신번호와 발신시각을 함께 읽어 표시부에서 표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은 사용자가 번호를 발신하는 순간 또는 발신한 번호에 대한 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When you store the calling number for redial, store the calling time together in the memory on the phone that knows the current time, and when the request to display the memory redial list is ma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calling time and the calling time together Read and display on the display. The storage takes place at the moment the user dials the number or at the moment the call channel for the dialed number is connecte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재다이얼 리스트를 보고 해당 발신번호의 발신시각을 알 수 있게 하는 데 사용한다.It is used to view the redial list and to know the call time of the calling nu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기억 재다이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시각을 저장해두었다가 재다이얼 리스트에 표시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기억 재다이얼 또는 콜 히스토리(call history) 기능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눌러 발신을 하게 되면 그 발신한 번호 또는 발신 뒤 통화채널까지 연결된 번호를 특정 메모리영역에 저장해둠으로써 차후에 사용자가 자신이 전화를 했던 번호들을 가장 최근에 전화를 했던 순서대로 불러내어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이 저장할 수 있는 발신번호의 개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메모리 용량에 따라 다르다.The memory redial or call history function saves the outgoing number or the number connected to the call channel after the outgoing call when the user dials the phone number in a specific memory area. This function allows you to call out the numbers in the order you called them most recently. The number of calling numbers that can be stored in this way depends on the memory capacity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그런데 이 기억 재다이얼 기능은 관련 정보의 제공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즉 단말기에 사용자가 전화했던 번호와 그 번호와 같이 저장된 이름만을 표시한다. 실제로, 디지털 전화기인 경우 해당 전화기가 현재 시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기억 재다이얼 표시를 할 때에는 사용자가 몇 시, 몇 분에 전화를 걸었던 번호인지를 알 수가 없다.However, this memory redial function has a very limited scope of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That is, the terminal displays only the number that the user called and the stored name such as the number. In fact, in the case of a digital telephone, even when the telephone is displaying the current time, when the memory redial display is performed, it is not known what time and number of minutes the user dial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에서 재다이얼 리스트에 발신시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nabling the display of a call time in a redial list in a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radiotele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무선전화기의 기억 재다이얼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emory redial of a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radiotelepho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어부 111은 이동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메모리 112는 제어프로그램과 초기 서비스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제1메모리 112는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메모리 113은 이동 무선전화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즉 발신번호, 발신시각 등을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상기 제2메모리 113은 램(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3메모리 113-1은 이동 무선전화기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중요 변수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이이피롬(EEPROM)으로 구성할 수 있다. 키입력부 114는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의 각종 모드 및 다이얼링 등을 수행하기 위한 키데이터들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논리부 115는 상기 제어부 111과 이동 무선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논리부 115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처리부 116은 상기 제어부 111과 데이터 통신을 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 116은 RF수신부 120에서 출력되는 수신데이터 RXD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 11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데이터 RXD를 신호 처리하여 RF송신부 12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처리부 116은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할 수 있다.The
듀플렉서(duplexer) 122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송신RF신호 및 수신RF신호를 분리한다. RF수신부 120은 상기 듀플렉서 122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RF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 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수신부 120에서 출력되는 수신오디오신호 RXA는 오디오수신부 117에 출력하며, 수신데이터 RXD는 상기 데이터처리부 116에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수신부 117은 상기 RF수신부 117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하여 오디오신호를 재생한다. 오디오송신부 118은 오디오신호를 입력하여 처리한다. RF송신부 121은 상기 오디오송신부 118에서 출력되는 송신오디오신호 TXA 및 데이터처리부 116에서 출력되는 송신데이터 TXD를 입력하여 송신형태로 변조한 후 상기 듀플렉서 122로 출력한다. 주파수합성부 119는 상기 논리부 115의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RF수신부 120의 수신 채널 및 상기 RF송신부 121의 송신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주파수 합성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 123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아 발신번호 및 발신시각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소정의 타이머를 포함한다.The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무선전화기의 기억 재다이얼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2A to 2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mory redial control process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전원키를 이용하여 이동무선전화기에 전원을 가하면, 제어부 111은 동작을 개시하여 1단계에서 초기화(initial) 작업을 실시한다. 즉 아날로그/디지털 시스템의 설정 및 상기 이동무선전화기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변수값 등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2단계로 진행하여 파일럿(pilot) 채널 획득상태에서 파일럿 채널의 획득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지정된 시간 내에 파일럿 채널을 획득하지 못하면 다시 상기 1단계로 되돌아가 초기화 작업을 실시한다. 즉 상기 2단계에서 파일럿 채널이 획득되지 않으면 3단계로 진행하여 파일럿채널획득타임 아웃 여부를 체크하여 타임아웃 되지 않았으면 상기 2단계로 되돌아가고, 타임 아웃되었으면 상기 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지정된 시간 내에 파일럿 채널을 획득하면 4단계에서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수신상태로 전이하고 동기채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동기채널 수신상태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동기채널 메시지를 수신하면 6단계로 진행하여 시스템 타임(system time)을 설정한다. 즉 상기 6단계에서는 수신된 동기채널 메시지로부터 시스템 타임 및 여러 가지 변수값들을 획득하고 설정한다. 반면에 지정된 시간 내에 동기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상기 1단계로 되돌아가 초기화 작업을 실시한다. 즉 상기 4단계에서 동기채널메시지가 획득되지 않으면 5단계로 진행하여 동기채널메시지수신타임 아웃 여부를 체크하여 타임아웃 되지 않았으면 상기 4단계로 되돌아가고, 타임 아웃되었으면 상기 1단계로 되돌아간다. 7단계에서 제어부 111은 아이들(idle) 상태에서 필요한 변수들을 초기화한 뒤 아이들 상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는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감시하거나 사용자가 발신을 하거나 그 외 여러 가지 기능들을 사용하는지 등에 관하여 확인하고 그에 맞는 동작을 취한다. 또한 시스템 타임을 획득하거나 사용자 시간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해서 시각이 설정되었으면 시각을 증가시킨다. 8단계에서 제어부 111은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키입력부 145를 스캔한다. 9단계에서 숫자키가 입력이 감지되면 1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123으로 하여금 그 입력된 숫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그 숫자를 버퍼에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2A, when power is supplied to a mobile wireless telephone using a power key, the
도 2b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1의 11단계에서 발신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 111은 상기 입력된 번호의 다이얼링을 제어한 후 13단계에서 호(call)가 연결되었는지 체크한다. 단, 만일 기억 재다이얼 버퍼에 저장되는 번호가 일단 발신한 전화번호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면 상기 13단계로 전환하기 전에 기억 재다이얼 버퍼에 발신 전화번호와 발신시 현재 시각을 저장한다. 상기 13단계에서 주 호출 처리상태(main call processing state)로부터 호가 연결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1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초기상태(conversation initial state)로 전환한다. 이 통화초기상태에서는 통화상태에서 필요한 변수값들을 초기화한다. 또한 만일 기억 재다이얼 버퍼에 저장되는 전화번호가 통화로가 연결된 즉 통화에 성공한 번호들만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면 이 상태에서 기억 재다이얼 버퍼에 발신 전화번호와 발신시 현재 시각을 저장한다. 그리고 15단계에서 통화상태로 전환한 다음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동작들을 체크하여 그에 따른 절차(procedure)들을 실행한다. 즉 16단계에서 키 입력 유무를 체크하여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15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키 입력이 있으면 17단계에서 사용자가 종료(END)키를 입력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만일 종료키가 입력되었다면 18단계에서 통화종료상태로 전환하여 통화시간 및 총 통화시간 등을 저장한 뒤 전술한 7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17단계에서 종료키가 아니면 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키 처리 동작을 수행한 다음 전술한 15단계로 되돌아가 통화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2B, when an input of a calling key is detected in
도 2c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1의 12단계에서 재호출(recall)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 111은 20단계에서 전화번호 재호출 상태를 설정한다. 이 상태는 기억 재다이얼 및 저장된 전화번호의 확인을 할 수 있는 상태이다. 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1은 키입력부 145를 스캔하여 임의의 키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키 입력이 있으면 22단계로 진행하여 그 입력된 키가 저장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주소(address)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주소의 입력인 경우에는 23단계로 진행하여 그 주소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어 표시부 123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표시부 123이 이를 표시하게 하고 이름이 함께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름도 함께 읽어 전달하여 표시하게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지정한 주소의 내용을 표시한 뒤에는 40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키 입력이 있으면 41단계∼43단계를 통해 그 입력된 키가 종료키 혹은 재호출키 혹은 숫자키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2C, if an input of a recall key is detected in
상기 22단계에서 주소의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24단계로 진행하여 기억 재다이얼 키의 입력인지 체크한다. 상기 기억 재다이얼 키는 사용자가 기억 재다이얼 리스트를 보고 싶을 때 그 표시를 요구하는 키이다. 한편 전술한 12, 20단계 ∼ 23단계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처럼 미리 입력해 만들어둔 내용중 원하는 전화번호를 단지 찾아보기 위한 과정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다. 그러므로 상기 23단계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은 순서를 따르지 않고, 전술한 11단계에 바로 이어지는 순서를 가질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상기 기억 재다이얼 키의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25단계로 진행하여 종료키인지 체크하고 종료키이면 전술한 7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기억 재다이얼 키의 입력으로 판단되면 26단계로 진행하여 기억 재다이얼 표시상태로 전환한다. 이렇게 기억 재다이얼 표시상태로 들어가면 이동무선전화기는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를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기억 재다이얼 버퍼에 있는 내용의 마지막 인덱스(index)를 가지고 상태를 전환한다. 27단계에서 제어부 111은 상기 기억 재다이얼 주소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기억 재다이얼 버퍼로부터 발신 전화번호와 발신 시각을 읽어 표시부 123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표시부 123으로 하여금 이들을 표시하게 한다. 아울러 이름이 함께 저장되어 있다면 이름도 같이 읽어 전달함으로써 표시되게 한다. 상기 발신시각은 기억 재다이얼 기능의 구현에 따라 전술한 14단계에서 발신키의 입력을 감지한 때 입력되는 현재 시각일 수도 있고 전술한 13단계에서 호가 연결된 뒤 14단계로 전환되면서 입력되는 현재 시각일 수도 있다.If the memory redial key is not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5 and checks whether it is the end key.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mory redial key is input, the flow advances to step 26 to switch to the memory redial display state. When the memory redial display state is entered,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must display the most recently called telephone number, so the state changes with the last index of the contents in the memory redial buffer. In
기억 재다이얼에 대한 정보를 다 표시한 뒤에는 28단계에서 임의의 키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키 입력을 감지하면 29단계에서 그 입력된 키가 종료키인지 체크하여 종료키이면 전술한 7단계로 되돌아간다. 종료키가 아니면 30단계에서 기억 재다이얼 스크롤(scroll)키인지 체크하여 스크롤 키이면 31단계에서 다른 기억 재다이얼 번호의 주소를 지정하고 그 번호에 대한 기억 재다이얼 표시를 위해 상기 27단계로 되돌아간다.After all the information on the memory redial is displayed, it is checked i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무선전화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시계기능 및 표시기능을 갖는 전화기라면 그 종류를 불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lthough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has bee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y type of telephone having a clock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can be us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신한 전화번호 및 그 발신 시각을 함께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해당 전화를 언제 걸었는가를 확실하게 알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time of the call, which the user has sent, so that the user can clearly know when the user makes the call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have to pay attentio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01394A KR100233095B1 (en) | 1997-01-18 | 1997-01-18 |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
| KR1019970056638A KR19980070059A (en) | 1997-01-18 | 1997-10-30 |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01394A KR100233095B1 (en) | 1997-01-18 | 1997-01-18 |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66070A KR19980066070A (en) | 1998-10-15 |
| KR100233095B1 true KR100233095B1 (en) | 1999-12-01 |
Family
ID=19495033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70001394A Expired - Lifetime KR100233095B1 (en) | 1997-01-18 | 1997-01-18 |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
| KR1019970056638A Abandoned KR19980070059A (en) | 1997-01-18 | 1997-10-30 |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70056638A Abandoned KR19980070059A (en) | 1997-01-18 | 1997-10-30 |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1002330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51195B1 (en) * | 2002-07-31 | 2004-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call |
| KR200325216Y1 (en) * | 2003-06-16 | 2003-09-02 | 조창호 | molding materials for wallpaper executio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829A (en) * | 1993-07-14 | 1995-02-18 | 백중영 | How to redial a keyphone system |
| JPH08163223A (en) * | 1994-12-01 | 1996-06-21 | Ricoh Co Ltd |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ial function |
-
1997
- 1997-01-18 KR KR1019970001394A patent/KR10023309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10-30 KR KR1019970056638A patent/KR19980070059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50004829A (en) * | 1993-07-14 | 1995-02-18 | 백중영 | How to redial a keyphone system |
| JPH08163223A (en) * | 1994-12-01 | 1996-06-21 | Ricoh Co Ltd | Communication device with redial func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80066070A (en) | 1998-10-15 |
| KR19980070059A (en) | 1998-10-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729380B2 (en) | Telephone | |
| JP2000078304A (en) | Portable telephone set | |
| US7532903B2 (en) | Method for performing TRS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EP1615411A1 (en) |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wo radio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standard and VoIP communication | |
| US20080020741A1 (en) | Speed dial se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terfa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233095B1 (en) | Method for displaying the calling time on memory redial list in telephone | |
| KR100462751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737672B2 (en) |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 |
| KR20020038331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002334032A (en) | Data download system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ed therefor | |
| KR0184470B1 (en) | Originating call of mobile wireless phone | |
| KR20030073014A (en) | Method for setting a image communications in image communications mobile phone | |
| JPH09107396A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 KR100188876B1 (en) | Multi-call processing method for mobile telephone | |
| KR100834659B1 (en)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322272B1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seclecting calling line identification presentation in a mobile terminal | |
| KR100369654B1 (en) | How to dial a mobile cordless phone | |
| KR19990069674A (en) | Selective reception method in simple exchange system | |
| KR100650688B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packet download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 |
| KR100241898B1 (en) | Password exposure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phone | |
| KR100333943B1 (en) | Cal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Base Station Controller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594003B1 (en) | How to copy memory to your phone | |
| KR100548374B1 (en) | How to Detach a Mobile Terminal | |
| KR20000044290A (en) | Method for attempting spee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9980083095A (en) | Specific hand calling method of multi-hand wireless telephone in telephone exchan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