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6289B1 -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89B1
KR100246289B1 KR1019960048158A KR19960048158A KR100246289B1 KR 100246289 B1 KR100246289 B1 KR 100246289B1 KR 1019960048158 A KR1019960048158 A KR 1019960048158A KR 19960048158 A KR19960048158 A KR 19960048158A KR 100246289 B1 KR100246289 B1 KR 10024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ray tube
cathode ray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963A (ko
Inventor
최백영
변수룡
최돈빈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6004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2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5Wires and conductors
    • H01J2229/7036Form of conductor
    • H01J2229/7037Form of conductor flat, e.g. foil, or ribb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편향부재용으로 평면화되어 다수적층된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각각 포밍및 벤딩하여 편향부재를 제조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 방법은,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F(F1,Fn))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포밍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분할금형(401) 및 하부금형(402)틀내에 RF코일(404)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분할금형(401)이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서로 결합된때 상기 RF코일(404)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포밍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필름형 편향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적층된 필름의 포밍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음극선관에 균일한 소정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적층되는 평면화된 필름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포밍시키기 위해 상부 분할금형(401) 및 하부금형(402)틀내에 RF코일(404)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분할금형(401)이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서로 결합된때 상기 RF코일(404)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포밍하도록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의 제조방법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면판(18)의 배면에 형광스크린(20)이 형성된 판넬(12)과, 전자빔(19a, 19b)을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20) 쪽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전자총(11)을 내부에 지니는 네크(14)와, 그 네크(14)와 판넬(12)을 연결하는 펀넬(13)과, 그 네크-펀넬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편향요크조립체(17)를 포함하는 칼라음극선관(10)이 도시된다.
그 펀넬(13) 내면에는 양극단자(15)에 접촉하는 내부 전도층(도시생략됨)이 형성된다. 다수의 애퍼처 또는 슬리트(16a)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새도우마스크(16)는, 스크린(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판넬(1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편향요크조립체(편향장치)(17)는 통상 수평편향부재와 수직편향부재를 지닌다. 그 수평편향부재는 수평편향전류가 인가되면, 전자빔(19a, 19b)의 운동경로를 수평으로 편향시키도록 수평편향 자계를 형성하고, 한편, 수직편향부재는 수직편향전류가 인가되면, 전자빔(19a, 19b)의 운동을 수직으로 편향시키도록 수직편향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편향장치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편향 자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빔(19a, 19b)이 스크린(22)의 전면에 걸쳐 주사되어 음극선관 판넬(12)에 이차원 상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수평 및 수직편향부재는 코일을 권선한 것으로 그 권선 방법으로는 토로이덜(toroidal) 타입 권선 법과 새들(saddle)타입 권선 법이 있는데. 수평편향코일에는 주로 새들 타입 코일이 주로 사용되고, 수직편향코일은 토로이덜 타입 또는 새들타입 코일로 권선된다.
그러나, 코일형 편향부재는 권선에 따른 자기장의 패턴의 제한, 권선 작업이나 제조공정의 조건에 따른 제품특성의 불 균일성 등으로 인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필름형 편향부재의 많은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필름을 이용, 음극선관의 편향부재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어 현실적으로 제품화 내지는 상업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필름구조를 제2(a)도 내지 제5도와 함께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에서 소정의 패턴구조의 도선(E)이 적어도 하나 이상 내장되는 필름(F1(Fn))은, 평면화된 상태로서, 코아(236)의 내면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소정의 자기장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3차원곡면형상을 이루는 편향부(TF)와, 그 편향부의 전후 양단(도면에서는 상하양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코아(236)의 전후양단에서 외면으로 벤딩되는 한 쌍의 벤딩부(BF, BF′)와, 그 벤딩부로부터 전후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결선구조로 서로의 필름 내지는 도선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연결단자(CE1,…CE41)(CE′0…CE′40), 플러그형 보강부재(RP, RP1, RP2) 및 콘넥터(C, C1, C2)가 제공되는 연결부(CF, CF′)로 구성된다. 그 편향부(TF)내의 각 도선(E1,…E40)의 패턴은 3 차원곡면형상을 이룬 때에 소정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 필름(F1(Fn))의 벤딩부(BF, BF′)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슬리트(S)가 형성되고, 그 슬리트(S)의 양단에는 파열방지공(SR)이 형성되며, 각 도선(E)의 전방단부 즉 도면상 상단 부에는 콘넥터(C)에 연결되는 콘넥터연결단자(CE1,…CE41)(CE′0,…CE′40)가 형성된다.
콘넥터연결단자(CE1,…CE41)중 최외측의 양 콘넥터연결단자(CE1)와 (CE41)에는 내장되는 도선과 같은 형태로 내장되는 점프도선(JE1, JE2)이 외측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 각 점프도선(JE1, JE2)의 단부에는 도선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점프단자(OE1, OE2)가 형성된다. 또, 편향부에는 40개의 도선이 형성되고, 콘넥터(C)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콘넥터연결단자(CE′0,CE41)에는 도선이 일측 연결부에만 일부 형성되고 벤딩부, 편향부 및 타측 연결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나, 결선구조에 따라서는 그 콘넥터연결단자(CE′0,CE41)가 제거된다. 하나의 필름(F1…Fn)에 양면으로 다수의 도선이 내장되는 때에는 상하도선 연결공(CH)에 의해 상하로 배열되는 도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제3(b)도에 도시된 다른 예의 필름은 제2(a)도에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중앙에 형성되는 슬리트(CS)가 연결부 측으로 연장,확대되어 분할된 연결부(CF1,CF2,CF′1,CF′2)를 형성하며, 그 각 분할된 연결부(CF1,CF2,CF′1,CF′2)는 더욱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분할됨으로써 연결부 단부를 서로 자유로운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폭을 넓히는 것이 더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c)도에서는 편향부(TF)내의 각 도선(E1,…E40)(E1,…E40)의 패턴은 3차원곡면형상을 이룬 때에 소정의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중심선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 1 도선부(E1,…E40)와 제 2 도선부(E1,…E40)를 지니며, 벤딘부(BF, BF′)는 제 1 도선부와 제 2 도선부로 필름이 분할되고 연결부(CF1,CF2,CF′1,CF′2)에서는 그 분할된 제1 도선부와 제 2도선부의 연결단자(CE1,…CE40((CE41))((CE′0)CE′1…CE′40)를 더욱 분리 수평으로 연장시켜 코아(136)외면에서 새들타입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각종 평면화된 필름들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키트 필름(FPC)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각 도선의 패턴설계, 아트워크(마스크 필름)제작, 베이스에 동박판적층, 포토레지스트도포, 네가필름으로 현상, 동박판 에칭의 일련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술한 구조의 평면화된 필름을 음극선관의 편향부재로 사용하기 위해 포밍금형에 의하여 포밍시 그 필름(F)에 주름등이 형성되어 그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우선 보강부재(RP, RP1, RP2)를 필름(F)의 상하 양단에 마련하고, 그 다음에 필름(F)을 다수적층시킨다. 그리고나서 보빈(135)에의 소정의 부분에 부착되도록 그 해당하는 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고온으로 가열하여 포밍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킴으로써 고형화시킨다. 그뒤 보빈(135)과 같은 픽스쳐에 부착 내지는 결합시키고 코아(136)를 장착시킨 후, 소정의 결선구조로 각 필름(F1)(Fn)의 각 도선(E)들을 연결시킴으로써 편향장치(117)의 조립이 완료되고, 그 편향장치(117)는 음극선관(1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다.
상술한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편향부재는 그 형상이 편향부의 편향각은 고려하지 않은채, 음극선관의 펀넬과 동일한 곡면을 형성하여 성형되는 보빈과 동일한 형태로 그대로 성형이되어 그 보빈에 3차원곡면형상을 이루면서 장착되기 때문에 편향각이 협소하게 되어 필름형 편향부재및 스크린 단부쪽에서의 자기에러발생과 Transformer Effect 등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주사되는 전자빔이 스크린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출원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구조”에 의해 필름의 편향부(TF)의 상단 양내측사이로 도선이 없는 형상유지용 필름(201)으로 일체로 접합시켜 연결지지함으로써 중앙에 중앙절개공(202)이 형성되고, 그 필름의 편향부(TF)의 상부 양단에는 각각 다수의 도선(E)이 노출되면서 연장되어 돌출되게 연결부(204)가 형성된다. 그리고 필름의 편향부(TF)의 하단에 음극선관의 전자빔에 영향없이 도선이 내장되어 연결단자가 형성되지 않은채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도록 원호를 형성하는 엔드턴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음극선관의 편향필름의 구조에 의해 그 다수의 필름을 적층하여, 제8도에 도시된 금형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데, 우선 하부금형(302)의 포밍다이(302a)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01a)에 필름의 중앙절개공(202)을 맞추어서 필름(F(F1,Fn)을 다수적층시키고 3분할된 상부금형(301)을 포밍다이(302a)에 서로 상하좌우 방향에서 결합시켜 가압시키고 내장된 히터를 가열하여 다수적층된 필름(F(F1,Fn)을 소정의 형상으로 고온 포밍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평면화된 필름을 음극선관의 편향부재로 사용하기 위해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시키는 데에는 고온에서 성형되는데, 히터를 이용하여 다수적층된 필름(F(F1,Fn)을 3분할 상부금형이 3방향에서 가압포밍하고 히터로 가열하는 성형조건은 필름의 융착이 부분적으로 행해지고 또한 포밍시간과 냉각고형화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적층되는 평면화된 필름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포밍시키기 위해 상부분할금형및 하부금형틀 내에 RF코일을 설치하여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된때 RF코일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포밍하도록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칼라음극선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 평면도.
제2(a),(b),(c)도는 필름형 편향부재를 구성하는 평면화된 여러 가지 타입의 필름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필름형 편향부재의 연결부를 생략하고 편향부만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2-2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5-5 단면도.
제6도는 필름형 편향부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제7도는 편향부가 양측으로 분리된 음극선관의 편향필름의 개략평면도.
제8도는 종래의 필름형 편향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포밍 금형의 개략 부분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편향부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포밍금형의 개략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극선관 11 : 전자총
12 : 판넬 13 : 펀넬
14 : 네크 15 : 양극단자
16 : 새도우마스크 18 : 면판
19a, 19b : 전자빔 20 : 스크린
117 : 편향요크조립체(편향장치) 135 : 보빈
136 : 코아 F1,…Fn : 필름(FPC기판)
C, C1, C2 : 콘넥터 E : 도선
E01, E02 : 외부점프단자 JE1, JE2 : 점프도선
CE1,…CE41; CE′0,…CE′40 : 연결단자
LF, RF, UF, BF : 필름형 편향부재 TF : 편향부(포밍부)
CF, CF′, CF1, CF2, CF′1,CF′2 : 연결부
BF, BF′: 벤딩부 RP, RP1, RP2 : 플러그형 보강부재
CH : 상하도선연결공 200 : 편향필름
201 : 형상유지용 필름 202 : 중앙절개공
204 : 연결단자부 300 : 제조장치(종래)
301,401 : 상부분할금형 301a,401a : 돌출부
302,402 : 하부금형 302a,402a : 포밍다이
400 : 제조장치(본 발명) 404 : RF코일
405 : 유압실린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이 하부 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2이상의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소정의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포밍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분할금형및 하부금형틀내에 RF코일을 설치하여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된때 RF코일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 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의 제조장치는,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2이상의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소정의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다수 적층되는 평면화된 필름에 고주파전류를 인가시켜 주름내지 손상없이 가열,포밍시키도록 상기 상부분할금형및 하부금형틀내에 RF코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분할금형및 하부금형은 열에 강한 내열성재질로된 목형또는 플라스틱수지금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의 개략 부분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은 우선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401a)에 필름의 중앙절개공(202)을 맞추어서 필름(F(F1,Fn)을 다수적층시키고 3분할된 상부금형(401)을 포밍다이(402a)에 서로 상하좌우 방향에서 결합시켜 가압시킨다. 그리고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틀내에 설치된 RF코일(404)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에디 커렌트에 의해 각 포밍부에서만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저항열이 가열하여 다수적층된 필름(F(F1,Fn)을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시킨다.
제8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는,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401)이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2이상의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F(F1,Fn)을 소정의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틀내에 RF코일(404)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는 우선, 평면화된 필름(F(F1,Fn)이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의 돌출부(401a)에 정렬되면서 다수적층되고 그후 유압실린더(405)가 작동함으로써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401)이 각각 상하좌우로 3방향으로 전진운동하여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결합된다. 그러고나서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틀내에 설치된 RF코일(404)에 고주파전류를 인가시켜 유도되는 에디 커렌트에 의해 각 포밍부에서만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저항열이 가열하여 다수적측된 평면화된 필름(F(F1,Fn)을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시킨다. 이때,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은 열에 강한 내열성재질로된 목형또는 플라스틱수지금형으로 형성되기때문에 RF코일(404)에 인가되는 고주파전류에 의해 가열,포밍될때 발생하는 열에 아무런 영향이없이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F(F1,Fn)을 가압포밍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에 의해 상부분할금형및 하부금형틀 내에 RF코일을 설치하여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된때 RF코일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하여 가열,포밍함으로써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균일하게 포밍시키게 된다. 그 결과 음극선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이나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러가지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2이상의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소정의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F(F1,Fn))을 주름내지 손상이 없이 포밍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틀내에 RF코일(404)을 설치하여 상기 상부분할금형(401)이 하부금형(402)의 포밍다이(402a)에 서로 결합된때 상기 RF코일(404)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열,포밍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
  2. 3분할된 상부분할금형이 하부금형의 포밍다이에 서로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2이상의 다수적층된 평면화된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 적층되는 평면화된 필름(F(F1,Fn))에 고주파전류를 인가시켜 금형을 가열함이 없이 가열,포밍시키도록 상기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틀내에 RF코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분할금형(401)및 하부금형(402)은 열에 강한 내열성 재질로된 목형 또는 플라스틱수지 금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
KR1019960048158A 1996-10-25 1996-10-25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58A KR100246289B1 (ko) 1996-10-25 1996-10-25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58A KR100246289B1 (ko) 1996-10-25 1996-10-25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63A KR19980028963A (ko) 1998-07-15
KR100246289B1 true KR100246289B1 (ko) 2000-03-15

Family

ID=1947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6289B1 (ko) 1996-10-25 1996-10-25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2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6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289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및 장치
KR100227702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성형장치 및 방법
KR100227700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연결단자구조
KR19980018442U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
KR19980018441U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
KR19980023415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구조
KR19980023525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
KR19980028959A (ko) 상이한 길이의 필름으로 제조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KR19980023524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
KR19980021451A (ko) 필름형 편향부재의 제조장치
KR19980021446A (ko) 필름형 편향부재의 로케이션핀에 의한 적층장치 및 방법
KR19980023529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연결방법
KR19980021450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장치
KR19980040957A (ko) 불균일한 도선이 배열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KR100225436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어시스템
KR19980021445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의 다층결선방법 및 장치
KR19980028958A (ko) 개구를 지니는 연결단부가 형성된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구조
KR100246288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새들타입 편향부재
KR100246292B1 (ko) 음극선관의 편향부재 제조용 필름 및 이들을 적층, 성형한 편향부재
KR100253441B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제조방법 및 그편향부재
KR19980018440U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연결구조
KR100246290B1 (ko) 단폭 네크엔드턴부를 지니는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KR200159894Y1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연결용 콘넥터
KR100227589B1 (ko) 편향부재용 필름의 단부연결구조
KR19980023527A (ko) 음극선관의 필름형 편향부재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20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