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581B1 -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 Google Patents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8581B1 KR100248581B1 KR1019970051386A KR19970051386A KR100248581B1 KR 100248581 B1 KR100248581 B1 KR 100248581B1 KR 1019970051386 A KR1019970051386 A KR 1019970051386A KR 19970051386 A KR19970051386 A KR 19970051386A KR 100248581 B1 KR100248581 B1 KR 100248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developing
- container
- opening
- clos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2—Details of liquid circulation
- G03D3/06—Liquid supply; Liquid circulation outside tank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2—Details of liquid circulation
- G03D3/06—Liquid supply; Liquid circulation outside tanks
- G03D3/065—Liquid supply; Liquid circulation outside tanks replenishment or recovery apparatu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plates, films, or prints held individu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편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반자동식 필름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로 병,의원 등에서 X-필름, 일반필름 등의 현상작업에 편익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상부에 덮개(2)가 개폐되며 내부에 현상코저하는 필름을 필름통으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필름을 현상할 수 있도록 작업대(6)와 현상용기(7)가 각각 마련된 암실박스(1)로 구성되고, 상기 현상용기(7) 저면에 설치되며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이 각각 분리수용되는 저장용기(8)의 각 분리조(9,9a,9b)에는 펌프(10,10a,10b)가 설치되어 공급관(11,11a,11b)으로 현상용기(7) 측에 공급할 수 있게 되고, 현상용기(6)의 드레인(12) 저면에는 저장용기(8)의 각 분리조(9,9a,9b)로 배수관(14,14a,14b)이 배관되며 상기 배수관(14,14a,14b)에는 개폐수단(15,15a,15b)이 설치되어 현상용기(6)에 공급된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을 각 분리조(9,9a,9b)로 회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펌프(10,10a,10b)와 개폐수단(15,15a,15b)은 타이머가 설치된 제어회로기판(16) 및 암실박스(1)의 콘트롤판넬(17)과 전기적으로 회로연결되어 펌프(10,10a,10b)와 개폐수단(15,15a,15b)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에 요지가 있음.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film developing device that provide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convenient usability, and in particula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X-film, general film, etc., mainly in bottles, clinics, etc. The cover (2) is opened and closed on the inside and consists of a dark room box (1) provided with a worktable (6) and a developing container (7), respectively, to draw out the film to be developed therein from the film container and to develop the drawn film. In addition, pumps 10, 10a, and 10b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separation tanks 9, 9a, and 9b of the storage container 8, which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eveloping container 7, and in which the developer,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fixer are separately received. (11, 11a, 11b) can be supplied to the developing container (7) side, the drain 12 of the developing container (6)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separation tank (9, 9a, 9b) of the storage container (8) (14, 14a, 14b) is pip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15b) are installed in the drain pipe (14, 14a, 14b) The developer, cleaning solution, and fixer supplied to (6) can be recovered by the separation tanks 9, 9a, 9b, and the pumps 10, 10a, 10b 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15, 15a, 15b are time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board 16 and the control panel 17 of the darkroom box 1 to which the pumps 10, 10a and 10b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and 15b are controlled. There is a point in this.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교적 간편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반자동식 필름 현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로 병, 의원 등에서 X-선 필름과 일반필름, 사진 등의 현상작업에 편익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automatic film developing device that provide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convenient usability, and in particular, to be conveniently used for developing operations such as X-ray film, general film, and photography in bottles and clinics.
통상 촬영된 필름의 현상작업은 주지된 바와 같이 암실에서 이루어지며, 촬영된 필름을 현상하기 위하여 자동식과 반자동식의 필름현상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었다.Normally, the development of the photographed film is performed in a dark room as is well known, and the automatic and semi-automatic film developing systems are used to develop the photographed film, but thes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and disadvantages.
종래 수동식 현상기는 암실내에서 설치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현상, 세척, 정착 등을 직접 수행하게 되므로서 암실작업으로 인한 불편과 부정확한 조작 등으로 인하여 필름의 현상 완성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Conventional manual develop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dark room, so that the operator directly performs the development, washing, fixing,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s poor due to inconvenient and incorrect operation due to the dark room work.
그리고, 자동식 현상기는 필름의 현상완성도는 매우 양호한 것이나 가격이 고가하고, 유지관리에 고비용이 요구되며, 특히 대부분이 암실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불편한 등의 단점이 따랐던 것이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eveloping machine has a very good development completion degree of the film, but the price is high, and the maintenance is required a high cost, and in particular, most of them require a dark room, and workability is inconvenie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간편한 작동으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현상완성도의 우수한 품질을 보장하며, 제작비와 유지, 관리비를 저렴화하는 한편, 현상작업을 위한 별도의 암실이 필요없이 정확한 현상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반자동식 필름현상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s the convenience of use and excellent quality of development completion by simple operation, while lowering production co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and enabling accurate development work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dark room for development work.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automatic film developer that can take advantage and benefits.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회로구성도.5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암실(DARKROOM) 박스 2 : 덮개1: DARKROOM Box 2: Cover
3 : 작업공 3a : 주름커버3:
4 : 관찰창 5 : 커버4: observation window 5: cover
6 : 작업대 7 : 현상용기6: worktable 7: developing container
8 : 저장용기 9, 9a, 9b : 분리조8:
10, 10a, 10b : 펌프 11, 11a, 11b : 공급관10, 10a, 10b:
12 : 드레인(DRAIN) 13 : 분기관12: drain 13: branch pipe
14, 14a, 14b : 배수관 15, 15a, 15b : 개폐수단14, 14a, 14b:
16 : 제어회로기판 17 : 콘트롤판넬16: control circuit board 17: control panel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외형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암실박스(1) 상부로 덮개(2)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2)에는 암실박스(1)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적, 황, 녹색 등의 색조를 가진 관찰창(4)이 마련되며, 상기 관찰창(4)에는 관찰창(4)을 통하여 암실박스(1) 내부로 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별의 커버(5)가 결합된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excerp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darkroom box (1) The
상기 관찰창(4)은 통상의 "적외선 렌즈", "카메라(주로 비디오카메라)의 뷰파인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암실박스(1)내부에는 필름의 현상도를 상기 관찰창(4)으로 관찰할 시에 내부를 조명할 수 있는 램프(L)(주로 적색등)를 설치하는 바, 상기 램프(L)는 일반 암실 등에서 사용되어지는 것과 같이 필름을 감광시키지는 않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암실작업용 램프(L)의 구성과 작용 등은 일반적인 것이다.The observation window 4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infrared lens", "viewfinder of a camera (mostly a video camera)", etc., of course, the development of the film inside the dark room box (1) the observation window A lamp L (mainly a red light) is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terior when observed with (4), and the lamp L does not expose the film as used in a general dark room.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ame darkroom lamp (L) is common.
한편, 암실박스(1) 전면에는 작업자가 암실박스(1) 내부로 손을 넣어 필름의 인출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작업공(3)이 형성되며, 내부의 제어회로기판(16)과 연결된 콘트롤판넬(17)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ont of the dark room box (1), a worker (3) is formed so that the operator can put the hand into the dark room box (1) to perform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film, the control panel connected to the
상기 작업공(3)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름커버(3a)가 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암실박스(1)에 설치되는 작업공(3)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The inside of the work hole (3) is a wrinkle cover (3a) is coupled to block the inflow of light from the out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work hole (3) installed in the dark room box (1) in this way is common.
암실박스(1) 내부에는 촬영된 필름을 필름통(필름카세트)으로부터 인출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작업대(6)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작업대(6) 탸측으로는 필름통으로부터 인출된 필름을 넣어서 현상할 수 있도록 현상용기(8)가 마련된다.In the
그리고, 상기 현상용기(8) 저면에는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이 각각 분리조(9,9a,9b)에 분리 수용되는 저장용기(8)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용기(8)의 각 분리조(9,9a,9b)에는 소형 펌프(10,10a,10b)가 각각 설치되고 이의 공급관(11,11a,11b)이 현상용기(7) 측에 연결되어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을 각각 개별로 현사용기(7)측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developing
상기 저장용기(8)의 각 분리조(9,9a,9b)는 후방을 깊게 형성하고 여기에 공급용 펌프(10,10a,10b)를 설치하여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의 원만한 공급작용이 수행되게 함이 바람직하다.Each separation tank (9, 9a, 9b) of the storage container (8) is deeply formed in the rear and the supply pumps (10, 10a, 10b) are installed here so that a smooth supply action of the developer, the cleaning solution, the fixing solution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o.
또한, 현상용기(7)는 대략 중앙에 형성된 드레인(12) 저면으로 분기관(13)을 결합하고 상기 분기관(13)에는 저장용기(8)의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이 구분수용되는 분리조(9,9a,9b)로 각각 연결되게 배수관(14,14a,14b)을 결합한다.In addition, the developing
그리고, 상기 배수관(14,14a,14b)측에는 개폐수단(15,15a,15b)을 설치하여 각 배수관(14,14a,14b)측의 개폐수단(15,15a,15b)이 현상용기(7)에 수납된 내용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므로서 현상액은 현상액 분리조(9)에, 세정액은 세정액 분리조(9a)에, 정착액은 정착액 분리조(9b)에 각각 회수되게 한다.T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15b) on the side of the drain pipe (14, 14a, 14b) is installe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15b) on each side of the drain pipe (14, 14a, 14b) is a developing container (7)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he developer is recovered in the
상기 현상용기(7)는 중앙 드레인(12)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원활한 배수작용이 도모되게 함이 바람직하다.The developing
한편, 상기 각 분리조(9,9a,9b)의 펌프(10,10a,10b)와 각 배수관(14,14a,14b)의 개폐수단(15,15a,15b)은 타이머 등으로 구성되 제어회로기판(16) 및 암실박스(1) 전면의 콘트롤판넬(17)과 전기적으로 회로구성하여 콘트롤판넬(17)의 스위칭조작을 각 펌프(10,10a,10b)와 개폐수단(15,15a,15b)의 작동시간을 제어 설정하므로서 현상용기(7)로 공급되는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의 각 공급량과 필름의 현상시간, 세정시간, 접착시간 및 이들의 배수, 회수작동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ump (10, 10a, 10b) of the separation tank (9, 9a, 9b)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15b) of each of the drain pipe (14, 14a, 14b) is composed of a control circuit The circuits are electrically configured with the
상기 펌프(10,10a,10b)와 개폐수단(15,15a,15b), 타이머가 설치된 제어회로기판(16), 콘트롤판넬(17)간의 회로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일반적인 관용기술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관체상에 설치되어 유체를 개폐단속하는 개폐수단(15,15a,15b)은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여러 수단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이의 구체적인 실시는 생략한다.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the pump (10, 10a, 10b)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15a, 15b), the
도면 중 미설명부호 18은 콘트롤판넬(17)의 전원스위치, 19는 덮개(2)의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In the figur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병,의원(주로 치과 등) 등에서 촬영한 X-선 필름 등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현상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X-ray film taken in a bottle, a clinic (mainly a dentist,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eveloped very easily and quickly. Hereinafter, the method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암실박스(1) 상부의 덮개(2)를 개방하고 현상하고자 하는 필름이 촬영된 필름통 등을 암실박스(1) 내부 작업대(6)상에 올려놓은 다음 덮개(2)를 닫는다.Open the
사용자는 암실박스(1) 전면에 마련된 작업공(3)을 통하여 암실박스(1) 내부로 손을 넣어 작업대(6)상의 필름통으로부터 현상하고자 하는 필름을 인출하여 이를 현상용기(8)위에 올려놓는다.The user puts his hand into the
콘트롤판넬(17)의 시작버튼을 ON하면 저장용기(8)의 현상액 분리조(9)의 펌프(10)가 작동하여 현상액을 공급관(11)을 통해 현상용기(7)로 공급한다.When the start button of the
상기 현상용기(7)로 공급되는 현상액의 공급량은 펌프(10)의 구동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이하 세정액, 정착액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다.The supply amount of the developer supplied to the developing
상기 현상용기(7)로 현상액이 공급되면 현상액에 필름이 소정시간동안 침지상태로 방치되어 현상액에 의해 약품처리되고, 이후 현상용기(7)의 드레인(12)저면 분리관(13)을 통하여 현상액 분리조(9)측과 연결된 배수관(14)의 개폐수단(15)이 개방작동되어 현상용기(7)내의 현상액은 현상액분리조(9,9a,9b)로 배수, 회수되고 개폐수단(15)은 다시 폐쇄작동된다.When the developer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상기 필름의 현상액 침지시간은 현상하고자 하는 필름의 종류와 성질 등에 따라 배수관(14)측 개폐수단(15)의 개방시간을 설정하여 조절,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세정액, 정착액의 세정시간, 정착시간의 설정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다.The developer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to adjust and control the opening tim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5 on the
상기 현상액이 완전 배수되면, 저장용기(8)의 세정액 분리조(9a)의 펌프(10a)가 구동하여 세정액을 현상용기(7)로 공급하여 현상액에 약품처리된 필름을 세정하여 주게 되고, 이의 세정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현상용기(7)의 드레인(12)에 연결된 세정액 분리조(9a)측 배수관(14a)의 개폐수단(15a)이 개방작동되어 세정액이 세정액 분리조(9,9a,9b)로 회수되고, 다시 폐쇄작동된다.When the developer is completely drained, the
또, 상기 세정액이 완전 배수되면, 저장용기(8)의 정착액 분리조(9b)의 펌프(10b)가 구동하여 정착액을 현상용기(7)로 공급하고 소정시간동안 필름을 정착액에 침지시켜 상(像)을 정착시키는 정착작업을 수행한 다음, 다시 드레인(12)의 정착액 분리조(9b)측 배수관(14b)의 개폐수단(15b)을 개방하여 정착액을 정착액 분리조(9b)로 회수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solution is completely drained,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일련의 현상, 세정, 정착작업이 완료되면 상부 덮개(2)를 열어서 현상된 필름을 꺼내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completes a series of development, cleaning, and fixing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pens the
한편, 사용자는 상기 현상액과, 세정액, 정착액에 필름을 침지하여 현상, 세정, 정착 등의 작업도중 등에 소망하는 작업완성도가 충분히 달성되었는지 암실박스(1) 상부의 관찰창(4)을 통하여 필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immerse the film in the developer,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fixing solution to ensure that the desired work completion degree is achieved, such as during development, cleaning, fixing, etc., through the observation window 4 on the upper part of the
즉, 암실박스(1) 내부 램프(L)를 점등하고, 덮개(2) 일측의 관찰창(4) 커버(5)를 열어서 관찰창(4)을 통하여 현상용기(7)에 내입된 필름의 작업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필름이 내입된 현상용기(7)에 필요한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 등을 재공급하여 동일 작업이 소정시간동안 다시 반복수행되게 하므로서 보다 완성도 높은 양질의 현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lamp L inside the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하고자 하는 필름을 현상용기(7)에 내입한 다음 원터치의 스위칭동작으로 이미 설정된 현상액, 세정액, 정착액 각각의 공급, 배출시간에 따라 필름의 현상, 세정, 정착시간이 제어되어 일련의 현상작업과정이 일괄 수행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현상액과 세정액, 정착액의 공급, 배출작동을 개별의 스위칭작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필름의 현상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m to be developed is introduced into the develop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이한 수단과 작동성으로 필름의 현상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주로 병, 의원등에서 촬영한 X-선 필름을 암실박스(1)내에서 필름통으로부터 인출하여 현상용기(7)에 내입하고 스위칭작동으로 현상액과 세정액, 정착액이 각각 공급, 배출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필름을 현상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과 편리한 사용성을 가지는 저렴가의 필름 현상기를 제공하므로서 주로 병,의원에서 각종 X-선 필름 등의 현상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득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developing operation of the film with relatively simple means and operab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uses the X-ray film taken in a bottle, a clinic, etc. in the darkroom box (1). It is drawn out from the film canister into the developing container (7) and the switch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 series of operation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developer,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fixing solution respectively to develop the fil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configuration By providing an inexpensive film developing device having convenient and usability, it is an excellent invention that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developing work of various X-ray films and the like mainly in hospitals and clinic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51386A KR100248581B1 (en) | 1997-10-04 | 1997-10-04 |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70051386A KR100248581B1 (en) | 1997-10-04 | 1997-10-04 |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90030916A KR19990030916A (en) | 1999-05-06 |
| KR100248581B1 true KR100248581B1 (en) | 2000-03-15 |
Family
ID=195223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700513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8581B1 (en) | 1997-10-04 | 1997-10-04 |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24858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61053A (en) * | 2001-01-12 | 2002-07-22 | 미래의료산업 주식회사 | Dark room module for lighting condition and automatic developing apparatus thereof |
-
1997
- 1997-10-04 KR KR1019970051386A patent/KR1002485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61053A (en) * | 2001-01-12 | 2002-07-22 | 미래의료산업 주식회사 | Dark room module for lighting condition and automatic developing apparatus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9990030916A (en) | 1999-05-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035818A (en) | Color print or film processor | |
| CN112442860B (en) | Storage container and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 JPS6147094B2 (en) | ||
| US6508599B2 (en) | Multi-reaction chamber static film processor which allows for multiple overlapped-cycle film processing | |
| KR100248581B1 (en) | Semi automatic film developing machine | |
| CN112853689B (en) | washing machine | |
| US4190346A (en) | Automated clean-out system for film processors | |
| EP0089605B1 (en) | Washing apparatus for an endoscope | |
| US20210062392A1 (en) | Draw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 US3555990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ic prints | |
| JP2000102695A (en) |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 |
| US3722394A (en) | Developing and washing tray | |
| RU2744859C1 (en) | Drawer and clothing treatment machine containing such drawer | |
| JPH0866586A (en) | Concentrated liquid agent injection device for washing machine | |
| US4508809A (en) | Process for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of photo-graphic images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 |
| US4456359A (en) | Flat photographic sheet processing cassette | |
| JPS58149049A (en) | Automatic developing machine | |
| CN214310294U (en) | PAGE electrophoresis dyeing, color development and fixed integration equipment of shooing | |
| RU2744802C1 (en) | Drawer and a handling machine containing such a drawer | |
| US685640A (en) | Apparatus for developing photographs. | |
| JP2001137625A (en) | Filtering device | |
| TWM616756U (en) | Endoscopic cleaning device | |
| JP2001190661A (en) | Cleaning system for hemodialyzer | |
| JP2936173B2 (en) | Chlorine solvent recovery equipment | |
| JPH0824793B2 (en) | Cleaning method in dry cleaning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219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