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4891B1 -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891B1
KR100254891B1 KR1019970054883A KR19970054883A KR100254891B1 KR 100254891 B1 KR100254891 B1 KR 100254891B1 KR 1019970054883 A KR1019970054883 A KR 1019970054883A KR 19970054883 A KR19970054883 A KR 19970054883A KR 100254891 B1 KR100254891 B1 KR 10025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ezoelectric
piezoelectric element
electronic component
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03A (ko
Inventor
김종선
윤일용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5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891B1/ko
Priority to US08/972,541 priority patent/US6087763A/en
Priority to JP33203597A priority patent/JP2939218B2/ja
Priority to CNB971203105A priority patent/CN1150637C/zh
Publication of KR1998008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8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of the energy-tra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0504Holders or supports for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528Holders or supports for bulk acoustic wave devices consisting of cli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or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47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consisting of a vertical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기판상에 함께 실장토록 하는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제 1단자의 절곡부로서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이 용이함은 물론, 제 1,2 지지수단으로서 압전소자 및 콘덴서소자를 동시에 견고하게 접속하여 소자와 단자간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함으로 인하여, 소자와 단자간의 접속작업이 완벽하게 수행되어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한편, 단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며, 몰딩작업의 균일함으로 전자부품의 외관이 미려토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의 요지는,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를 갖는 소자부(110);와, 대향 위치되어 절곡부(121)를 갖고, 내,외측으로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가 접속되는 제 1단자(123)와, 콘덴서소자(115)의 외측면에 접속되는 제 2 단자(124)를 구비하는 단자부(120); 와, 상기 제 1,2 단자(123)(124)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2 리드(132)(136)와,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구비하는 리드부(130); 및, 상기 제 1 단자(123)와 제 1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일체로 돌설되어 양측으로 절곡되는 제 1, 2 지지수단(141)(142)을 구비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본 발명은 압전효과를 이용하는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함께 기판상에 실장토록 하는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 1단자와 접속하는 압전소자와, 제 1단자의 외측 및 제 2단자와 접속하는 콘덴서소자를 제 1,2 지지수단으로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여 그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동시에, 접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압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소자는 소자의 압전효과 즉, 전기 및 기계에너지의 상호변환기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준신호의 동작원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으로서, 주로 호출기 등의 이동통신장비, 텔레비젼 또는 오디오등과 같은 전자부품에 사용되어 현재 그 수요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압전소자 전자부품은, 압전소자의 제조와, 상기 소자의 표면에 전극을 증착 및 패턴하는 전극 형성공정과, 상기 소자를 기판상에 실장토록 하는 단자부품과의 결합공정과, 마지막으로 왁스도팅(Dotting)과 에폭시코팅 등의 몰딩공정 및, 마킹 등의 마무리 순으로 진행된다.
또한, 공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와 접속하는 제 1단자와, 회로구성상 필수부품인 콘덴서소자와 접속하는 제 2 단자로서 구성되는 3 단자부품을 사용하여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일체로 패키지화하여 내장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의 소형화 및 간소화가 용이하게 되고, 이에따라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동시에 접속 실장토록 하는 3단자부품을 갖는 압전소자 전자부품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2 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일본국 특허공보 평 5-33847호에서 개시되고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압전공진소자와 접속되는 양측의 단자와 콘덴서소자와 접속되는 다른 단자를 갖는 3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이다.
도 1은 종래의 3 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3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3 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양 주면의 길이방향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중앙에 걸쳐서 형성되는 양방의 전극(2)을 갖는 단책상의 압전공진소자(10)와, 상기 압전공진소자(10)의 길이방향의 양 선단 및 상기 압전공진소자(10)의 양주면에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압전공진소자(10)의 양방 전극(2)에 전도성 접합재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컵형상의 양방의 지지부(16)를 갖는 양방의 컵단자(12)와, 상기 양방 지지부(16)의 외측면에 전도성 접합재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임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24) 및, 상기 회로기판(24)에 전도성 접합재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다른 단자(2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3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양 주면에 일방 및 타방의 전극(2)을 갖는 단책상의 압전공진소자(10)가 그 길이방향의 선단 및 양주면에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컵형상의 양방의 지지부(16)를 갖는 양방의 컵단자(12)의 내측면에 도전성접합재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양방 지지부(16)의 외측면에 전도성 접합재로 회로기판(24)의 일측 전극(26a)이 접속되고, 그 타측면의 전극(26 b)은 다른 단자(28)와 접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 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압전공진소자(10)가 양방의 컵단자(12)와 스토퍼부(18)로서 지지되면서 접속되고, 상기 컵단자(12)의 외측면에 콘덴서소자인 회로기판(24)의 일측 전극(26a)이 접속되고, 그 타측면 전극(26b)은 다른 단자(28)와 접속되며, 상기 압전공진소자(10)가 컵단자(12)의 스토퍼(18)부분에 지지되지만, 상기 회로기판(24)은 별도의 스토퍼부분 없이 접속하게 되어 상기 회로기판(24)과 컵단자(12)의 접속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한편, 상기 회로기판(24)의 타측면 전극(26b)과 다른단자(28)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인하여, 전도성 접착재에 의한 접속작업은 용이하나,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의 접속시 사용되는 납땜접속시에는 납땜의 용융공간이 없게 되어 접속작업이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컵단자(12)의 지지부분(16)과 그 저부개구를 막는 스토퍼부분(18)으로서 전도성 접착재로는 접속작업이 가능하나, 실질적인 스토퍼부(18)의 완벽한 절곡작업이 어렵게 되어, 납땜에 의한 접속작업시에는 용융된 납땜이 컵단자(12)의 아래로 흐르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려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 1단자에 형성된 절곡부로서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함과 동시에, 제 1,2 지지수단으로서 압전소자 및 콘덴서소자의 단자 접속작업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토록 하는 한편, 제 2단자에 형성된 돌기에 의하여 제 2단자와 콘덴서소자 전극과의 납땜에 의한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전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리드의 보강부에 형성된 절개홈으로서 단자부품의 몰딩작업을 용이토록 하고, 용융된 납땜이 단자부품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따라 제품 신뢰성을 가일층 향상시킨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단자의 평면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제 1단자의 내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지지수단의 끝단이 제 1단자의 외측면 밖으로 돌출토록 됨으로써, 하나의 지지수단으로서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동시에 지지 고정토록 하여 접속작업 및 단자부품의 제조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토록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3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3단자형 압전공진소자를 갖는 전자부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압전소자와 콘덴서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압전소자 3단자부품에 있어서, 단자 절곡부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2단자의 돌기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 3 단자부품을 도시한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자부품 101 : 전자부품
110 : 소자부 111 : 압전소자
115 : 콘덴서소자 120 : 단자부
121 : 절곡부 123, 124 : 제 1,2 단자
130 : 리드부 132, 136 : 제 1,2 리드
135, 135' : 절개홈 140, 240 : 지지부
141, 142 : 제 1, 2 지지수단 241: 지지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압전소자 및 콘덴서소자가 내장된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 측면에 중앙에서 겹쳐지도록 전극이 각각 형성된 압전소자와, 일측면 양단부 및 타측면 중앙에 전극이 각각 형성된 콘덴서소자를 구비하는 소자부;와,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고, 내측 및 외측면에 압전소자의 양단부 전극과, 콘덴서소자의 일측면 양 전극이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콘덴서소자의 타측면 전극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 와, 상기 제 1 단자의 내측 하단부 및 제 2단자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1,2 리드와, 상기 제 1,2 리드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드부;및, 상기 제 1단자 및 제 1리드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제 1단자와 평행하게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 1단자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절곡각도(β)로 절곡되어 압전소자를 지지토록 하는 제 1 지지수단과, 상기 제 1 단자의 외측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콘덴서소자를 지지토록 하는 제 2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압전소자 및 콘덴서소자가 내장된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 측면에 중앙에서 겹쳐지도록 전극이 각각 형성된 압전소자와, 일측면 양단 및 타측면 중앙에 전극이 각각 형성된 콘덴서소자를 구비한 소자부; 와,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고, 내측 및 외측면에 압전소자의 양단부 전극과 콘덴서소자의 일측면 전극이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와, 콘덴서소자의 타측면 전극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의 내측 하단부 및 제 2 단자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1,2 리드와, 상기 제 1,2 리드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드부; 및, 상기 제 1단자의 외측 평면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 1 단자의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은,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를 함께 접속토록 하는 3단자형 단자부품(100)을 갖는 전자부품에 대한 것이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소자부(110)와 단자부(120)와 리드부(130) 및, 지지부(140)로서 구성된다.
상기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를 갖는 소자부(110)는,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 일단 및 타단에서 부터 대략 중앙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전극(112a)(112b)이 각각 형성되어 중앙부분에서 상기 전극(112a)(112b)이 겹쳐지는 압전소자(111)와, 일측면 양단부 및 타측면 중앙에 전극(114a)(114b)이 각각 형성되는 콘덴서소자(1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가 함께 접속되는 단자부(120)는, 도 4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압전소자(111)의 길이방향 선,후단면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제 1단자(1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단자(123)는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단면 및 그 양측면을 감싸토록 내측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으며,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면에는 압전소자(111)의 선,후단면 및, 그 양측면에 형성된 전극(112a)(112b)이 납땜 등의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콘덴서소자(115)의 일측면 양 단부에 형성된 전극(114a)이 접속되며, 내측 개구부(122)가 대향 위치된다. 또한, 상기 콘덴서소자(115)의 타측면 중앙에 형성된 전극(114b)과 접속되는 제 2단자(12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2°가장 적당하다. 상기 절곡부(121)는 내측 중앙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토록 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의 내측 및 외측면에 접속되는 단자부(120)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기판(미도시)에 실장토록 되는 리드부(130)는, 도 4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보강부(131)를 갖으며, 하단부가 프레임(133)의 동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압전소자(111)의 일측 및 타측에 대향 위치되는 제 1 리드(132)와, 상기 제 1 리드(132)사이에 상기 제 2단자(124)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레임(133)의 동일면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보강부(134)를 갖는 제 2 리드(136)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133)으로서 상기 제 1,2 리드(132)(136)는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를 함께 지지 고정토록 하는 지지부(140)는, 상기 제 1 단자(123)와 제 1 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제 1단자(123)와 평행하게 일체로 돌설되어 절곡되는 제 1, 2 지지수단(141)(142)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수단(141)은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절곡각도(β)로 절곡되며, 상기 제 2 지지수단(142)은 상기 제 1단자(123)의 외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1 지지수단(141)의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5°가 가장 적당하며, 상기 제 1 지지수단(141)의 폭길이(T)는 상기 제 1리드(132)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면 일단 및 타단에서부터 중앙부분까지 길이방향으로 전극(112a)(112b)이 형성된 압전소자(111)는 제 1단자(123)의 내측면에 접속되며, 콘덴서소자(115)의 일측면 양단에 형성된 전극(114a)은 상기 제 1단자(123)의 외측면에 접속되고, 타측면 중앙에 형성된 전극(114b)은 제 2단자(124)에 각각 접속된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111)는 주로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며, 전원인가시 상기 압전소자(111)의 중앙에서 겹쳐지는 전극(112a)(112b)사이에서 공진주파수가 발생되며, 상기 콘덴서소자(115)는 압전소자 전자부품(101)의 소형화와 간소화를 위하여 압전소자(111)와 함께 단자부품(100)에 접속되며, 이를 콘덴서 내장형 세라믹 진동자라 한다.
한편, 상기 제 1 단자(123)는 내측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한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111)의 선,후단면 및 그 양측면은 제 1 단자(123)의 절곡부(121) 내측으로 감싸지면서 납땜 등의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 1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42°가 가장 적당하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11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 1 단자(123)의 절곡부(121) 내측으로 위치될 때, 상기 압전소자(111)는 상기 절곡부(121)내에 정확하게 접속위치가 결정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압전소자(111)가 제 1단자(123)내에 항상 일정하게 접속되어 압전소자(111)와 제 1단자(123)의 접속시 상기 압전소자(111)의 유동으로 인한 접속불량이 방지되는 동시에, 자동화에 의한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각도(α)가 40°보다 작으면 그 내측으로 압전소자(111)가 위치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절곡각도(α)가 45°보다 크면 상기 제 1단자(123)의 개구부(122) 폭이 크게 되어 압전소자(111)의 접속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단자(123)와 압전소자(111)의 접속을 위한 결합수단은 그 접속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납땜 작업으로 수행되며, 상기 절곡부(121)는 그 내측 중앙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전소자(111)의 접속작업을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와 제 2단자(124)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2 리드(132)(136)의 중앙에는 보강부(131)(134)가 각각 형성되며, 그 하단부는 프레임(133)의 동일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리드(132)와 제 2리드(136)가 기판에 실장되면, 상기 제 1 리드(132)와 제 2리드(136)를 통하여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는 전기적으로 인가되며, 상기 보강부(131)(134)로 인하여 제 1 ,2 리드(132)(136)의 강도와 탄성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에더하여, 상기 제 1단자(123) 및, 제 1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양측으로 제 1 단자(123)와 평행하게 일체로 돌설되어 제 1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절곡각도(β)로 제 1 지지수단(141)이 절곡되고, 제 1단자(123)의 외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제 2지지수단(142)이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 1,2 단자(123)(124)와 접속되는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의 하부가 상기 제 1,2 지지수단(141)(142)으로서 견고하게 지지 고정토록 된다.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의 접속작업 및 그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토록 되는 동시에, 접속작업시 용융된 납땜이 아래로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지지수단(141)의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85°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상기 절곡각도(β)가 83°보다 작으면, 상기 제 1지지수단(141)이 제 1단자(123)의 끝쪽에 치우치게 되고, 87°보다 크면, 상기 제 1지지수단(141)이 제 1단자(123) 앞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압전소자(111)의 지지 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수단(141)의 길이(T)는 상기 제 1 리드(132)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1지지수단(141)이 절곡되어도 상기 제 1리드(132)의 두꼐로 인한 제 1 지지수단(141)의 불안정한 압전소자(111) 고정상태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가 제 1,2 지지수단(141)(142)으로서 제 1,2 단자(123)(124)와 견고하게 접속되면서도 그 접속작업은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로 인하여 압전소자 3 단자부품(100)을 갖는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중요한 특징은, 상기 콘덴서소자(115)의 타측 전극(114b)과 제 2 단자(124)와의 납땜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돌기(137)를 제 2단자(124)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2단자(124)에는 콘덴서소자(115)의 타측면 중앙에 형성된 전극(114b)과 접속작업을 용이토록 돌기(137)가 콘덴서소자(115)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2단자(124)의 돌기(137)로 인하여 콘덴서소자(115)의 전극(114b)과 제 2단자(124)사이에는 돌기(137)로 인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납땜에 의한 제 2단자(124)와 콘덴서소자(115)의 전극(114b) 접속작업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토록 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3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은, 상기 제 1,2 리드(132)(136) 중앙부에 형성된 보강부(131)(134)의 중앙 양측단에는 삼각형 형상의 절개홈(135)(135')을 형성하여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가 접속된 단자부품(100)의 몰딩작업을 용이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2 리드(132)(136) 의 보강부(131)(134) 중앙 양측단에 삼각형 형상의 절개홈(135')(135)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제 1,2리드(132)(136)의 절개홈(135)(135')에 압전소자 전자부품(201)의 몰딩작업시 몰딩재(202)가 삽입되면서 경화토록 되어 보다 견고한 몰딩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절개홈(135)(135')을 기준으로 하여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압전소자 전자부품(201)의 몰딩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압전소자 전자부품(201)의 몰딩상태가 균일하여 압전소자 3단자부품(200)를 갖는 전자부품(201)의 제품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와 같은 제 4 실시예에서 중요한 특징은, 하나의 지지수단(241)으로서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를 함께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소자부(110)와 단자부(120)와 리드부(130) 및 지지부(240)로서 구성되며, 상기 소자부(110)와 단자부(120) 및 리드부(13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를 함께 지지 고정토록 하는 지지부(240)는, 제 1단자(123)의 외측 평면부(125)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241)을 구비토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241)의 길이(D)은 상기 제 1단자(123)의 개방폭(d)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압전소자(111)와 콘덴서소자(115)의 제 1, 2 단자(123)(124) 접속에 따른 소자부(110)와 단자부(120) 및, 리드부(130)는 제 1 실시예와 그 작용이 같으며, 상기 제 1 단자(123)의 외측 평면부(125)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하나의 지지수단(241)이 돌설되어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며, 그 길이(D)는 상기 제 1단자(123)의 개방폭(d)보다 크게 형성토록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241)은 제 1단자(123)의 외측면 바깥으로 선단부분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가 하나의 지지수단(241)으로서 함께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에 의하면, 압전소자의 단자접속 위치고정이 용이하며, 압전소자 및 콘덴서소자의 단자접속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고 수행됨으로 인하여,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의 제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한편,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며, 몰딩작업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수행되어 제품 외관이 미려토록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가 내장된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 측면에 중앙에서 겹쳐지도록 전극(112a)(112b)이 각각 형성된 압전소자(111)와, 일측면 양단부 및 타측면 중앙에 전극(114a)(114b)이 각각 형성된 콘덴서소자(115)를 구비한 소자부(110); 와,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고, 내측 및 외측면에 압전소자(111)의 양단부 전극(112a)(112b)과 콘덴서소자(115)의 일측면 전극(114a)이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123)와, 콘덴서소자(115)의 타측면 전극(114b)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124)를 구비하는 단자부(120)와,
    상기 제 1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 및 제 2 단자(124)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1,2 리드(132)(136)와, 상기 제 1,2 리드(132)(136)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구비하는 리드부(130); 및,
    상기 제 1단자(123) 및 제 1리드(132)의 연결부분 하부에서 양측으로 상기 제 1단자(123)와 평행하게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 1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절곡각도(β)로 절곡되어 압전소자(111)를 지지토록 하는 제 1 지지수단(141)과, 상기 제 1 단자(123)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콘덴서소자(115)를 지지토록 하는 제 2 지지수단(142)을 구비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123)의 절곡부(121) 절곡각도(α)는 40°- 45°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123)의 절곡부(121)는 내측 중앙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0)의 제 1지지수단(141) 절곡각도(β)는 83°- 87°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수단(141)의 길이(T)는 상기 제 1 리드(132)의 두께(t)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자(124)의 중앙에는 콘덴서소자(115)의 타측면 전극(114b)과 결합수단으로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돌기(137)가 콘덴서소자(115)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자(124)의 돌기(137)와 콘덴서소자(115)의 전극(114b)을 접속하는 결합수단은 납땜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리드(132) 및 제 2 리드(136)의 중앙에는 보강부(131)(134)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리드(132)(136)의 중앙에 형성된 보강부(131)(134)의 양측단에는 삼각형 형상의 절개홈(135)(135')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0. 압전소자(111) 및 콘덴서소자(115)가 내장된 전자부품에 있어서,
    양 측면에 중앙에서 겹쳐지도록 전극(112a)(112b)이 각각 형성된 압전소자(111)와, 일측면 양단 및 타측면 중앙에 전극(114a)(114b)이 각각 형성된 콘덴서소자(115)를 구비한 소자부(110); 와,
    상기 압전소자(111)의 양측 단부를 감싸도록 중심선(s)을 중심으로 일정 절곡각도(α)로 절곡되는 절곡부(121)를 갖고, 내측 및 외측면에 압전소자(111)의 양단부 전극(112a)(112b)과 콘덴서소자(115)의 일측면 전극(114a)이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123)와, 콘덴서소자(115)의 타측면 전극(114b)과 결합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124)를 구비하는 단자부(120)와,
    상기 제 1 단자(123)의 내측 하단부 및 제 2 단자(124)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1,2 리드(132)(136)와, 상기 제 1,2 리드(132)(136)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프레임(133)을 구비하는 리드부(130); 및,
    상기 제 1단자(123)의 외측 평면부(125)에서 하방으로 일체로 돌설되어 상기 제 1 단자(123)의 내측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수단(241)을 구비하는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1)의 길이(D)는, 제 1 단자(123)의 개방폭(d)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KR1019970054883A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883A KR100254891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US08/972,541 US6087763A (en) 1997-05-28 1997-11-18 Electronic component involving 3-terminal type piezo-electric device
JP33203597A JP2939218B2 (ja) 1997-05-28 1997-12-02 圧電素子3端子部品を有する電子部品
CNB971203105A CN1150637C (zh) 1997-05-28 1997-12-03 带有三端子型压电器件的电子元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233 1997-04-02
KR101997012233 1997-04-02
KR1019970012232 1997-04-02
KR101997012235 1997-05-28
KR101997012232 1997-05-28
KR19970012232 1997-05-28
KR19970012235 1997-05-28
KR19970012233 1997-05-28
KR1019970012235 1997-05-28
KR19970012452 1997-05-29
KR1019970012452 1997-05-29
KR101997012452 1997-05-29
KR1019970054883A KR100254891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03A KR19980086403A (ko) 1998-12-05
KR100254891B1 true KR100254891B1 (ko) 2000-05-01

Family

ID=2753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4891B1 (ko) 1997-05-28 1997-10-24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87763A (ko)
JP (1) JP2939218B2 (ko)
KR (1) KR100254891B1 (ko)
CN (1) CN11506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430B1 (en) * 1996-02-07 2002-06-18 Micron Technology, Inc. Workpiece moving methods
WO1998031095A1 (fr) * 1997-01-13 1998-07-16 Seiko Epson Corporation Vibreur piezo-electriqu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unite a vibreur piezoelectrique
KR100287481B1 (ko) * 1997-05-28 2001-08-07 무라타 야스타카 진동자이로스코프
US6085407A (en) * 1997-08-21 2000-07-11 Micron Technology, Inc. Component alignment apparatuses and methods
TW427059B (en) * 1998-08-07 2001-03-21 Tdk Corp Resonator, piezoelectric resona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00047400A (ko) * 1998-12-19 2000-07-25 이형도 고주파형 공진자 및 그 제조방법
JP3438660B2 (ja) * 1999-08-17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ード付電子部品
JP2001156573A (ja) * 1999-09-17 2001-06-08 Murata Mfg Co Ltd リード付圧電部品
JP3584887B2 (ja) * 2001-01-29 2004-11-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360534B2 (ja) * 2003-12-25 2009-11-11 Tdk株式会社 リード端子、レゾネータ及び電子部品連
KR100589905B1 (ko) * 2004-06-17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캐패시터 조립 구조
JP5032036B2 (ja) * 2006-02-23 2012-09-26 Tdk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JP4650298B2 (ja) * 2006-02-23 2011-03-16 Tdk株式会社 複合電子部品
EP1959568A1 (en) * 2007-02-19 2008-08-20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Thin-film bulk acoustic ware resonator and method for performing heterogeneous integration of the same with complementary-metal-oxide-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4666185B2 (ja) * 2008-06-26 2011-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533135B2 (ja) * 2010-03-30 2014-06-25 富士通株式会社 パッケージ、圧電振動子及び圧電発振器
CN103824827B (zh) * 2012-11-16 2017-02-08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封装模块、封装终端及其制造方法
CN203723442U (zh) * 2014-01-08 2014-07-23 刘秋明 一种电子烟的内电极
JP7428962B2 (ja) * 2019-10-28 2024-02-07 Tdk株式会社 セラミック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7989A1 (de) * 1989-06-02 1990-12-06 Bayer Ag Vorrichtung zum ausbessern oder zur erneuerung von behaelterstutzen emaillierter apparate
JP2924909B2 (ja) * 1989-09-20 1999-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発振子
US5184043A (en) * 1989-12-05 1993-02-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resonator
US5345136A (en) * 1991-03-18 1994-09-0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posite type piezoelectric component
JP2949935B2 (ja) * 1991-07-30 1999-09-20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ケース
JP3221253B2 (ja) * 1994-09-13 2001-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5805397A (en) * 1997-09-29 1998-09-08 Eaton Corporation Arcing fault detector with multiple channel sensing and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87763A (en) 2000-07-11
KR19980086403A (ko) 1998-12-05
CN1150637C (zh) 2004-05-19
JP2939218B2 (ja) 1999-08-25
CN1200579A (zh) 1998-12-02
JPH10335553A (ja) 199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891B1 (ko) 압전소자 3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US7298069B2 (en) Crystal unit
KR100254890B1 (ko) 압전소자 2 단자부품을 갖는 전자부품
JPS6367908A (ja) 2端子形圧電共振素子を有する電子部品
JPH0691168B2 (ja) 圧電振動子を内蔵して樹脂成形したハイブリツドicの実装構造
US709335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omponent
JPS63305604A (ja) 圧電発振器
JP3401775B2 (ja) モールド型水晶振動子
JPH0450649Y2 (ko)
JPH0749861Y2 (ja) 圧電部品
JP2611693B2 (ja) 圧電発振器の実装構造
EP0117253A1 (en) Cylindrical piezoelectric vibrator
JPH0516724Y2 (ko)
JPS63263902A (ja) 圧電発振器
JPH0611636Y2 (ja) 圧電振動子
JP2570653B2 (ja) 圧電振動子の実装構造
JP4162384B2 (ja) 水晶振動子
JPS6020916Y2 (ja) アキシヤルリ−ド型コンデンサ
JP2936597B2 (ja) 圧電振動子の樹脂パッケージ製造方法
JPH02213210A (ja) 圧電部品
JPH0311943Y2 (ko)
JPH0691167B2 (ja) 圧電振動子を内蔵して樹脂成形したハイブリツドicの実装構造
JPS58212219A (ja) チツプ状圧電振動部品
JPS6239907A (ja) 圧電発振器
JP2001285010A (ja) 表面実装型圧電振動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2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2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