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2994B1 - 영상포맷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포맷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994B1
KR100252994B1 KR1019980002940A KR19980002940A KR100252994B1 KR 100252994 B1 KR100252994 B1 KR 100252994B1 KR 1019980002940 A KR1019980002940 A KR 1019980002940A KR 19980002940 A KR19980002940 A KR 19980002940A KR 100252994 B1 KR100252994 B1 KR 10025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value
format
mu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990A (ko
Inventor
송치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324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529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994B1/ko
Priority to US09/241,413 priority patent/US6862043B1/en
Priority to CNB991005716A priority patent/CN1179552C/zh
Publication of KR1999006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9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07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interpolation, e.g. bilinear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포맷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영상의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현재 수행한 연산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 다음 수행하여야 할 연산을 알아낸 후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포맷변환에 필요한 각각의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싱부로 구성되어 소량의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하고, 새로운 포맷의 추가에 따른 하드웨어의 수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미래에 생길지도 모를 새로운 포맷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보다 하드웨어의 크기를 약 50% 이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모드의 디스플레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 있다.

Description

영상포맷 변환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DTV)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영상을 임의의 크기로 변환시켜 주는 영상포맷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TV의 경우 HDTV와 SDTV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포맷의 입력영상을 처리해야 하며 출력영상 또한 다양한 포맷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입력포맷을 원하는 출력포맷으로 변환시키는 포맷변환 장치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포맷 변환장치는 도 1과 같이 병렬로 연결된 여러 개의 수직 N:M 보간부(11)와, 병렬로 연결된 여러 개의 수평 N:M 보간부(12) 및 먹스(13)를 두어 여러 입력포맷을 원하는 출력포맷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입력 영상의 포맷이 720×1280 이면 여러 개의 수직 N:M 보간부(11)중의 수직 2:3 보간부와 여러 개의 수평 N:M 보간부(12)중의 수평 2:3 보간부에서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을 수행한 후 먹스(13)를 통해 변환된 1080×1920의 출력 포맷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입력 영상의 포맷이 480×720 이면 여러 개의 수직 N:M 보간부(11)중의 수직 2:3 보간부와 여러 개의 수평 N:M 보간부(12)중의 수평 3:8 보간부에서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한 후 먹스(13)를 통해 변환된 1080×1920의 출력 포맷 영상을 출력한다.
즉, 입력 영상의 포맷에 따라 여러 개의 수직 N:M 보간부(11)와 여러 개의 수평 N:M 보간부(12)에 필요한 수직 N:M 보간부와 수평 N:M 보간부를 추가하여 원하는 출력 포맷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는 새로운 입력포맷이 추가될 때마다 새로운 포맷 변환장치를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사이즈가 커지고, 새로운 입력 포맷이나 출력 포맷을 수용하기 위한 회로의 수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5528301의 경우는 도 2와 같이 3개의 필터를 사용한다.
즉, 데시메이션 필터(21)는 입력 영상을 각 비율에 대해서 계수로 정해진 데시메이션을 수행한 후 밴드 리미팅 필터(22)에서 주파수 대역을 리미팅하고 마지막으로 보간 필터(23)를 사용하여 저주파수대 영역만을 출력하여 원하는 출력 포맷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3개의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사이즈가 커지고,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탭수의 계수를 결정하는 문제가 복잡하므로 설계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소량의 하드웨어의 사이즈로 구현 가능하고, 새로운 포맷에 대해서도 적용이 쉬운 영상포맷 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특징은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임의의 시점에서 어떠한 연산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제어하면 이 제어에 따라 입력영상의 포맷 변환에 필요한 각각의 연산을 수행하여 변환된 포맷의 출력영상을 출력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 실시예로 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일반적인 HDTV의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휘도신호에 대한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5의 각 블록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휘도신호에 대한 수평방향 포맷변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조신호에 대한 수평방향 포맷변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색조신호에 대한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영상포맷 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제어부 32 : 프로세싱부
321 : 지연기 322 : 오퍼랜드 맵핑부
323 : 분자 생성부 324 : 분모 생성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포맷 변환장치를 도 3의 (b)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31)는 영상의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현재 수행한 연산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 다음 수행하여야 할 연산을 알아낸 후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싱부(32)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경우의 포맷변환에 필요한 각각의 연산을 수행한다.
도 4는 일반적인 HDTV의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입력 영상이 16:9 또는 4:3 비율의 포맷을 가지고 있을 때 16:9 비율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드로 줌(ZOOM), 모드 I-1, 모드 I-2, 모드 Ⅱ-1, 모드 Ⅱ-2, 모드 Ⅲ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아래 표 1은 HDTV의 입력 영상의 포맷과 출력 영상모드에 대한 각각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입 력 출 력 모 드 V(수직) 비율 H(수평) 비율
1080×1920,16:9540×1920,16:9 540×1920,16:9 모드 Ⅰ-2 1:1(540) 1:1(1920)
540×1920,16:9 1:2(1080) 1:2(3840)
720×1280,16:9 540×1920,16:9 모드 Ⅰ-2 4:3(540) 2:3(1920)
540×1920,16:9 2:3(1080) 1:3(3840)
480×720,16:9 480×1728,16:9 모드 Ⅰ-1 1:1(480) 5:12(1728)
540×1920,16:9 모드 Ⅰ-2 8:9(540) 3:8(1920)
240×720,16:9 480×1728,16:9 모드 Ⅰ-1 1:2(480)-De 5:12(1728)
480×720,4:3 480×1728,16:9 모드 Ⅰ-1 1:1(480) 5:12(1728)
540×1920,16:9 모드 Ⅰ-2 8:9(540) 3:8(1920)
480×1280,4:3 모드 Ⅱ-1 1:1(480) 9:16(1280)
540×1440,4:3 모드 Ⅱ-2 8:9(540) 1:2(1440)
540×1920,4:3 모드 Ⅲ 2:3(720) 3:8(1920)
240×720,4:3 480×1728,16:9 모드 Ⅰ-1 1:2(480)-De 5:12(1728)
480×1280,4:3 모드 Ⅱ-1 1:2(480)-De 9:16(1280)
540×1920,4:3 모드 Ⅲ 1:3(720)-De 3:8(1920)
480×640,4:3 480×1706,16:9 모드 Ⅰ-1 1:1(480) 3:8(1706)
540×1920,16:9 모드 Ⅰ-2 8:9(540) 1:3(1920)
480×1280,4:3 모드 Ⅱ-1 1:1(480) 1:2(1280)
540×1440,4:3 모드 Ⅱ-2 8:9(540) 4:9(1440)
540×1920,4:3 모드 Ⅲ 2:3(720) 1:3(1920)
240×640,4:3 480×1706,16:9 모드 Ⅰ-1 1:2(480)-De 3:8(1706)
480×1280,4:3 모드 Ⅱ-1 1:2(480)-De 1:2(1280)
540×1920,4:3 모드 Ⅲ 1:3(720)-De 1:3(1920)
768×1240,4:3 540×1489,4:3 모드 Ⅱ-2 17:12(542) 11:16(1489)
480×768,4:3 480×1728,16:9 모드 Ⅰ-1 1:1(480) 4:9(1728)
540×1920,16:9 모드 Ⅰ-2 8:9(540) 2:5(1920)
480×1280,4:3 모드 Ⅱ-1 1:1(480) 3:5(1280)
540×1440,4:3 모드 Ⅱ-2 8:9(540) 8:15(1440)
540×1920,4:3 모드 Ⅲ 2:3(720) 2:5(1920)
240×768,4:3 480×1728,16:9 모드 Ⅰ-1 1:2(480)-De 4:9(1728)
480×1280,4:3 모드 Ⅱ-1 1:2(480)-De 3:5(1280)
540×1920,4:3 모드 Ⅲ 1:3(720)-De 2:5(1920)
상기 표 1에서 모드 Ⅰ은 출력영상의 영상비가 16:9인 경우이고, 모드 Ⅱ,Ⅲ는 영상비가 4:3인 경우를 나타낸다.
수직 방향의 비율란에 De라고 쓰여진 것은 격행주사 영상이 순차주사 영상으로 바꾸는 디인터레싱이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1과 같이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이 주어질 때 도 3의 (a)와 같이 필터부(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한 후 수직 포맷 변환부(200)와 수평 포맷 변환부(300)를 이용하여 출력포맷에 맞도록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입력된 영상신호의 포맷을 변환한다.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200)와 수평 포맷 변환부(300)는 도 3의 (b)와 같은 제어부(31)와 프로세싱부(32)를 두어 각각의 비율에 대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즉, 도 7과 같이 입, 출력 포맷에 따른 비율에 대해 입력포맷을 출력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선형 보간식과 이 보간식들의 대칭성을 이용해서 변환하기 위한 필요한 연산식을 제어부(32)에서 제공하고 이를 프로세싱부(32)가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싱부(32)와 제어부(31)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써, 입력되는 휘도신호를 지연한 후 출력하는 지연기(321)와, 지연기(321)에서 출력된 지연된 휘도신호(Yn)와 현재 입력되는 휘도신호(Yn-1)를 입력받아 포맷 변환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a,b)을 결정하는 오퍼랜드 맵핑부(322)와, 오퍼랜드 맵핑부(322)에서 입력된 연산식의 오퍼랜드를 이용하여 변환 연산식의 분자를 생성하는 분자 생성부(323)와, 변환 연산식의 분모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분모로 분자 생성부(323)에서 출력된 연산식의 분자를 나누어 변환된 새로운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분모 생성부(324)와, 오퍼랜드 맵핑부(322)와 분자 생성부(323) 및 분모 생성부(324)로 영상의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다음 수행하여야 할 연산을 알아낸 후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1)로 구성된다.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322)는 지연기(321)에서 출력된 지연된 휘도신호(Yn)와 현재 입력되는 휘도신호(Yn-1)를 입력받아 각각 포맷 변환 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a)을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61)와, 지연기(321)에서 출력된 지연된 휘도신호(Yn)와 현재 입력되는 휘도신호(Yn-1)를 입력받아 각각 포맷 변환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b)을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6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자 생성부(323)는 상기 제 1 먹스(61)에서 출력된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레프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 1 쉬프트 레프트(Shift left)부(63)와, 상기 제 2 먹스(62)에서 출력된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레프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 2 쉬프트 레프트부(64)와, 제 1 쉬프트 레프트부(63)에서 쉬프트된 값을 입력받아 제어부(31)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3 먹스(65)와, 제 1 쉬프트 레프트부(63)에서 쉬프트된 값과 0을 입력받아 제어부(31)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4 먹스(66)와, 제 2 레프트 쉬프트부(64)에서 쉬프트된 값을 입력받아 제어부(31)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5 먹스(67)와, 제 2 레프트 쉬프트부(64)에서 쉬프트된 값과 0을 입력받아 제어부(31)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6, 7 먹스(68,71)와, 제 3 먹스(65)에서 선택 출력된 값과 제 4 먹스(66)에서 선택 출력된 값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오퍼랜드 a에 이의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가산기 또는 감산기(69)와, 제 5 먹스(67)와 제 7 먹스(71)에서 출력된 값을 가산하는 제 1 가산기(70)와, 제 1 가산기(70)와 제 7 먹스(71)에서 출력된 값을 감산하여 오퍼랜드 b에 계수를 곱한 값을 출력하는 감산기(72)와, 가산기 또는 감산기(69)와 감산기(72)에서 출력된 값을 가산하여 변환 연산식의 분자(f1)를 출력하는 제 2 가산기(7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모 생성부(324)는 분자 생성부(323)에서 출력된 분자의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라이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쉬프트 라이트(Shift right)부(74)와, 쉬프트 라이트부(74)에서 출력된 값들과 분자 생성부(323)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8 먹스(75)와, 제 8 먹스(75)에서 출력된 값을 3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 1 DIV 3(Divider)(76)과, 분자 생성부(323)에서 출력된 값과 제 1 DIV 3(76)에서 출력된 값을 선택 출력하는 제 9 먹스(77)와, 제 9 먹스(77)에서 출력된 값을 5로 나누어 출력하는 DIV 5(78)와, 제 1 DIV 3(76)에서 출력된 값을 3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 2 DIV 3(79)와, 제 1,2 DIV 3(76,78)과 DIV 5(79)에서 출력되는 값과 현재 입력되는 휘도신호 및 쉬프트 라이트부(74)에서 출력되는 값들을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10 먹스(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휘도신호에 대한 수평방향 포맷 변환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7의 (a)는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의 각각 수평방향 비율이 3:8의 경우이고, 도 7의 (b)는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의 각각 수평방향 비율이 2:5의 경우를 나타낸다.
즉, 비율이 3:8인 경우는 a, (a+7b)/8, (a+3b)/4, (3a+5b)/8, (a+b)/2에 해당하는 연산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출력포맷을 얻을 수 있으며, 비율 2:5의 경우는 a, (a+4b)/5, (2a+3b)/5에 해당하는 연산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출력포맷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표 1에 나타난 수평 방향에 대한 입력포맷과 출력포맷 비율에 대하여 포맷변환에 필요한 모든 연산을 각각의 대칭성을 고려하여 나열해보면 a,(a+b)/2,(a+2b)/3,(a+3b)/4,(a+4b)/5,(a+5b)/6,(a+7b)/8,(3a+5b)/8,(2a+9b)/9,(a+8b)/9,(4a+5b)/9,(a+11b)/12,(5a+7b)/12,(a+14b)/15,(2a+13b)/15,(4a+11b)/15,(7a+8b)/15,(a+15b)/16,(3a+13b)/16,(5a+11b)/16,(7a+9b)/16이 있다.
먼저, 오퍼랜드 맵핑부(322)는 현재 입력되는 휘도신호와 지연기(321)를 통해 지연된 휘도신호, 예를 들어 Y1과 Y2가 동시에 입력되면 앞에서 나열한 연산의 a와 b에 들어갈 휘도신호가 Y1인지 Y2인지를 제 1, 2 먹스(61,62)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즉, 수행할 연산이 (3a+5b)/8이라면 이것이 (3Y1+5Y2)/8을 수행하는 것인지 (3Y2+5Y1)/8을 수행하는 것인지 결정해준다.
이렇게 결정된 a와 b가 분자 생성부(323)의 제 1, 2 쉬프트 레프트부(63, 64)로 입력되어 각 피연산자 a와 b에 필요한 쉬프트 레프트가 수행되고, 이 결과는 제 3, 4, 5, 6, 7 먹스(65,66,67,68,71)와 가산기 또는 감산기(69)와 제 1,2 가산기(70,73) 및 감산기(72)를 통해 필요한 연산의 분자에 해당하는 계수를 생성한다.
즉, 연산 (3a+5b)/8의 경우 제 1 쉬프트 레프트부(63)는 입력된 a를 쉬프트 레프트하고 쉬프트 레프트한 결과중 제 3 먹스(65)는 2a를 선택하고 제 4 먹스(66)는 a를 선택하여 가산기 또는 감산기(69)로 선택 출력한다.
가산기 또는 감산기(69)는 제 3, 4 먹스(65,66)에서 출력된 2a와 a를 가산하여 오퍼랜드 3a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쉬프트 레프트부(64)는 입력된 b를 쉬프트 레프트하고 쉬프트 레프트한 결과중 제 5 먹스(67)는 b를 선택하고 제 6 먹스(68)는 4b를 선택하여 제 1 가산기(70)로 출력하고, 제 1 가산기(70)는 4b와 b를 가산하여 제 2 가산기(73)로 출력한다.
이때, 다른 오퍼랜드의 연산이 가능하도록 제 7 먹스(71)와 감산기(7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 2 가산기(73)는 가산기 또는 감산기(69)에서 출력된 3a와 감산기(72)에서 출력된 5b를 가산하여 3a+5b를 분모 생성부(324)로 출력한다.
그리고, 분모 생성부(32)의 쉬프트 라이트부(74)는 나누기 연산을 위해 상기 생성된 3a+5b를 한 번에서 다수번 쉬프트 라이트 하여 출력한다.
즉, 3a+5b/8의 경우 3비트 쉬프트 라이트 함으로써 입력된 3a+5b에 나누기 8을 수행한다.
만일, 나누기가 쉬프트 라이트부(74)의 쉬프팅만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경우 즉, 3과 같은 경우는 제 1 DIV 3(76)을 이용하고 5와 같은 경우는 DIV 5(78)를 이용하고, 15와 같은 경우는 제 1 DIV 3(76)에서 나누기 3을 한 후 DIV 5(78)로 나누기 5를 다시 하여 제 10 먹스(80)를 통해 선택 출력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은 구성으로 앞에서 보인 표 1에 나타난 입력포맷과 출력포맷 대한 수평방향의 비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표 1에 나타낸 입/출력포맷이 아니더라도 제어부(31)의 제어 프로그램과 연산에 따른 쉬프트 래프트부와 쉬프트 라이트부와 가산기 및 감산기를 추가하여 복잡한 하드웨어 추가 없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1)는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으로 구현된다. 즉, 도 7의 (a)와 같이 비율 3:8의 경우 스테이트 변환(state transition)이 a→(3a+5b)/8→(a+3b)/4→(a+7b)/8→…→a 등의 순서로 일어나도록 하며, 각각의 해당하는 연산을 프로세싱부(32)가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만들어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프로세싱부(32)는 전체 연산중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31)는 수개의 플립플롭(flip-flop)과 소량의 콤비내셔널 회로(Combinational Logic)를 갖는 하드웨어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색조신호에 대한 수평방향 포맷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색조신호에 대한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써, 수평방향에 대한 색조신호의 포맷변환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지금까지 상기 설명한 실시 예는 수평방향에 대한 휘도신호의 포맷변환에 대한 것이나 색조신호(Chrominance)의 포맷변환도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써 구현되고, 제어부(31)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휘도신호시와 공유하여 사용한다.
도 8과 같이 색조신호는 휘도신호 2개마다 하나씩 들어온다. 따라서, 색조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새로운 색조신호(C12, C23)를 프로세싱부(32)의 입력부분에서 생성한다.
도 9와 같이 현재 입력되는 색조신호와 지연기(91)에서 지연된 색조신호를 입력받아 평균값을 연산하는 평균값 연산부(92)와, 현재 입력되는 색조신호와 평균값 연산부(92)에서 출력된 값을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93)와, 지연기(91)에서 지연된 색조신호와 평균값 연산부(92)에서 출력된 값을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94)를 도 5의 프로세싱부(32)에 더 추가하고, 나머지 부분은 휘도신호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제어부(31)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 역시 휘도신호와 공유하여 사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색조신호는 도 8과 같이 4:2:2 형태로 들어오므로 휘도신호의 반밖에 없어 각 색조신호 사이에 평균값 연산부(92)를 이용하여 중간 색조신호(C12, C23, …)를 생성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색조신호와 새로 생성된 중간 색조신호를 제어부(31)의 제어로 필요에 따라 제 1,2 먹스(93,94)에서 선택 출력하도록 하여 4:4:4로 만든 후 제어부(31)를 공유하여 동일한 프로세싱부(32)로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영상포맷 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써, 비율 검출부(400)를 두어 아주 다양한 입/출력 포맷 비율에 대하여 이의 포맷변환 비율을 검출하여 도 3의 (a)와 같은 제어부(31)와 프로세싱부(32)를 각각 포함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200)와 수평 포맷 변환부(300)로 출력해준다.
그러면 수직 포맷 변환부(200)와 수평 포맷 변환부(300)는 비율 검출부(400)에서 검출된 비와 가장 가까운 즉, 이미 구현되어져 있는 비로 변환하면 원하는 출력포맷에 가까운 포맷을 얻을 수 있어 임의의 포맷 변환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포맷 변환장치는 소량의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하고, 새로운 포맷의 추가에 따른 하드웨어의 수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미래에 생길지도 모를 새로운 포맷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보다 하드웨어의 크기를 약 50% 이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모드의 디스플레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 있다.

Claims (7)

  1. 입력 영상의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현재 수행한 연산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 다음 수행하여야 할 연산을 알아낸 후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포맷변환에 필요한 각각의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포맷에 대한 임의의 출력포맷과의 비를 검출하여 가장 가까운 검출된 비로 변환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비율 검출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3. 현재 입력된 영상신호와 바로 이전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포맷 변환 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을 결정하는 오퍼랜드 맵핑부와,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에서 입력된 연산식의 오퍼랜드를 이용하여 변환 연산식의 분자를 생성하는 분자 생성부와,
    상기 변환 연산식의 분모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분모로 상기 분자 생성부에서 출력된 연산식의 분자를 나누어 변환된 새로운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분모 생성부와,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와 분자 생성부 및 분모 생성부로 영상의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에 따라 다음 수행하여야 할 연산을 알아낸 후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지연한 후 출력하는 지연기와,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된 지연된 영상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포맷 변환 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을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와,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된 지연된 영상신호와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포맷 변환 비에 따른 연산식의 오퍼랜드에 입력될 값을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생성부는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에서 출력된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레프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 1 쉬프트 레프트부와, 상기 오퍼랜드 맵핑부에서 출력된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레프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제 2 쉬프트 레프트부와, 상기 제 1 쉬프트 레프트부에서 쉬프트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와, 상기 제 1 쉬프트 레프트부에서 쉬프트된 값과 0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와, 상기 제 2 레프트 쉬프트부에서 쉬프트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3 먹스와, 상기 제 2 레프트 쉬프트부에서 쉬프트된 값과 0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선택 출력하는 제 4, 5 먹스와, 상기 제 1 먹스에서 선택 출력된 값과 제 2 먹스에서 선택 출력된 값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오퍼랜드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가산기 또는 감산기와, 제 3 먹스와 제 5 먹스에서 출력된 값을 가산하는 제 1 가산기와, 제 1 가산기와 제 5 먹스에서 출력된 값을 감산하여 오퍼랜드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감산기와, 상기 가산기 또는 감산기와 감산기에서 출력된 값을 가산하여 변환 연산식의 분자를 출력하는 제 2 가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모 생성부는
    상기 분자 생성부에서 출력된 분자의 값을 0∼다수번 쉬프트 라이트 하여 각각 출력하는 쉬프트 라이트부와, 상기 쉬프트 라이트부에서 출력된 값들과 분자 생성부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와, 상기 제 1 먹스에서 출력된 값을 3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 1 디바이더3과, 상기 분자 생성부에서 출력된 값과 제 1 디바이더3에서 출력된 값을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와, 상기 제 2 먹스에서 출력된 값을 5로 나누어 출력하는 디바이더5와, 제 1 디바이더3에서 출력된 값을 3으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 2 디바이더3과, 제 1,2 디바이더3과 디바이더5에서 출력되는 값과 현재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상기 쉬프트 라이트부에서 출력되는 값들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3 먹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중 색조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현재 입력되는 색조신호와 지연된 색조신호를 입력받아 평균값을 연산하는 평균값 연산부와, 현재 입력되는 색조신호와 평균값 연산부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1 먹스와, 상기 지연된 색조신호와 평균값 연산부에서 출력된 값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는 제 2 먹스를 더 추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포맷 변환장치.
KR1019980002940A 1998-02-03 1998-02-03 영상포맷 변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5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40A KR100252994B1 (ko) 1998-02-03 1998-02-03 영상포맷 변환장치
US09/241,413 US6862043B1 (en) 1998-02-03 1999-02-02 Device for converting video format
CNB991005716A CN1179552C (zh) 1998-02-03 1999-02-03 图象格式转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940A KR100252994B1 (ko) 1998-02-03 1998-02-03 영상포맷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990A KR19990068990A (ko) 1999-09-06
KR100252994B1 true KR100252994B1 (ko) 2000-04-15

Family

ID=1953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9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2994B1 (ko) 1998-02-03 1998-02-03 영상포맷 변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62043B1 (ko)
KR (1) KR100252994B1 (ko)
CN (1) CN11795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3921A1 (en) * 2000-02-24 2001-08-30 Sony Corporation Image signal converter, image signal conver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using it, and coefficient data generator for use therein
KR101007245B1 (ko) * 2002-05-17 2011-01-28 톰슨 라이센싱 Vfc 메모리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804995B2 (en) 2002-07-02 2010-09-28 Reald Inc. Stereoscopic format converter
US20060077213A1 (en) * 2004-09-30 2006-04-13 Chrontel, Inc. Video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EP1943558A4 (en) * 2005-09-16 2010-06-09 Stereographics Corp STEREOSCOPIC FORMAT CONVERTER
JP2008252701A (ja) *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CN101094369B (zh) * 2007-07-18 2010-08-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数字电视机显示模式切换方法
US20100226437A1 (en) * 2009-03-06 2010-09-09 Sony Corporation, A Japanese Corporation Reduced-resolution decoding of avc bit streams for transcoding or display at lower resolution
JP5627860B2 (ja) 2009-04-27 2014-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配信システム、立体映像配信方法、立体映像配信装置、立体映像視聴システム、立体映像視聴方法、立体映像視聴装置
US9083958B2 (en) * 2009-08-06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ing video data in accordance with three dimensional input formats
US8542241B2 (en) 2010-04-29 2013-09-24 Acer Incorporated Stereoscopic content auto-judging mechanism
EP2384008A1 (en) * 2010-04-30 2011-11-02 Acer Incorporated Stereoscopic content auto-judg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054A (en) * 1988-06-30 1989-10-03 Adaptive Video, Inc. Video interface for capturing an incoming video signal and reformatting the video signal
US5008752A (en) * 1989-06-16 1991-04-16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image interpolator with multiple interpolation algorithms
JPH03192392A (ja) * 1989-12-22 1991-08-22 Yamashita Denshi Sekkei:Kk 映像信号出力装置
US5159438A (en) * 1989-12-26 1992-10-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spect ratio conversion of television display
KR940009970B1 (ko) * 1991-12-04 1994-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의 라인변환방법과 그 장치
JPH05158464A (ja) * 1991-12-09 1993-06-25 Toshiba Corp 解像度変換回路
US5444491A (en) * 1993-02-26 1995-08-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elevision system with multiple transmission formats
US5694148A (en) * 1993-07-01 1997-12-02 Intel Corporation Vertically scaling image signals using selected weight factors
US5943097A (en) * 1993-12-24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signals of different signal formats
JPH0851600A (ja) * 1994-08-04 1996-02-20 Sanyo Electric Co Ltd 映像信号変換装置
JP3435961B2 (ja) * 1996-02-16 2003-08-11 ヤマハ株式会社 画像データ変換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変換方法
US5781241A (en) * 1996-11-08 1998-07-14 Chrontel, Inc.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rt computer graphics signals to television video signal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caling requiring no frame buffers
US5739867A (en) * 1997-02-24 1998-04-14 Paradis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scaling an image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5477A (zh) 1999-11-17
KR19990068990A (ko) 1999-09-06
CN1179552C (zh) 2004-12-08
US6862043B1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452B1 (ko) 디지털 신호 처리용 집적 회로
KR100611517B1 (ko) 디지털 신호의 보간 방법 및 시스템
KR100252994B1 (ko) 영상포맷 변환장치
US6229574B1 (en) Screen ratio converter for digital TV
US5493338A (en) Scan converter of television receiver and scan converting method thereof
JPH02117273A (ja) 画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7142249B2 (en) Interpolating a pixel from an intermediate line of a field
KR101816661B1 (ko) 비디오 스케일러들에서의 링잉 억제
KR910000157B1 (ko) Tv 수신기를 위한 색 신호의 분리 회로
JPS6149581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100275700B1 (ko) 영상신호 규격 변환장치
US5659370A (en) Fuzzy logic based filter architecture for video applications and corresponding filtering method
US7236205B2 (en) Scan line conversion circuit for simultaneously carrying out three-dimensional motion adaptive sequential scan conversion and scan line conversion
JP3196118B2 (ja) 多モードくし形フィルタ
KR920005018B1 (ko) 텔레비젼수상기에 있어서 동작적응형 수직윤곽 보상회로
JPH1169200A (ja) 走査線補間装置および走査線補間方法
KR100226836B1 (ko) 영상 포맷 변환 장치
US5070394A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JP2658625B2 (ja) 補間信号生成回路
JP4028615B2 (ja) 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イメージ処理装置、ならびに信号を変換するための回路
EP0881827A2 (en) Method for processing transitional regions in a picture signal
US5668609A (en) Motion detector and key signal interpolator using same
FI99075C (fi) Menetelmä liikkeen ilmaisemiseksi videosignaalista
JP3196119B2 (ja) 多モードくし形フィルタ装置における制御信号発生回路
US2004026480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1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