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66844B1 -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 Google Patents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844B1
KR100266844B1 KR1019940702969A KR19940702969A KR100266844B1 KR 100266844 B1 KR100266844 B1 KR 100266844B1 KR 1019940702969 A KR1019940702969 A KR 1019940702969A KR 19940702969 A KR19940702969 A KR 19940702969A KR 100266844 B1 KR100266844 B1 KR 10026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vement
tip
vibration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174A (ko
Inventor
그래함스콧것셀
피터존테일러
Original Assignee
지. 애비슨
티티피그룹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 애비슨, 티티피그룹피엘씨 filed Critical 지. 애비슨
Publication of KR95070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8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장치용의 이동센서(40)는, 센서팁(42)과, 이 센서팁으로부터 이동이 발생한 때의 결과적인 진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수단(43)으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41)을 갖추고 있다. 각각 소정 주파수 이상/이하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고, 출력신호가 소정의 주파수 사이에 있을 때 이동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70)이 더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본 발명은 어떻게든 하여 표면을 처리하도록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표면에 관한 능동장치의 이동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별한 응용분야는 기록, 스캐닝, 코팅, 스프레잉(spraying), 가열 등을 위해 필요로 하는 휴대용 장치의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든 사전에 준비될 수 없는 표면까지 어떤 장치를 가져오고, 어떻게든 하여 표면을 처리하거나 감지하는 동안에 전표면에 걸쳐 그 장치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응용이 많이 있다. 예컨대,
- 잉크를 증착(depositing)함으로써 표면상에 기록하거나 인쇄하는 일
- 표면 위로 어떤 물질을 스크레잉하는 일
- 바코드(bar code)나 문자 등과 같은, 표면 위에 존재하는 마크를 읽기 위해 광센서를 이용하는 일
- 적외선 복사의 촛점이 맞추어진 광으로 표면을 가열하는 일
- 전자기 헤드로 자기 패턴을 기록하거나 읽는 일 등이 있다.
특별한 예는 휴대용 프린터의 내용 안에 있다.
일반적인 응용에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표면의 원하는 영역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로 하는 기본 제어기능은, 그 장치가 표면을 가로 질러 이동할 때, 그리고 표면과 접촉하여 이동할 때, 프로세스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기록 기구에서 처럼 횡단하는 이동이 없을지라도 접촉하게 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여러 기술이 이용되어 왔다. 가장 간단한 휴대용 장치로의 접근은, US-A-4 746 936에 개시된 잉크젯 펜에서와 같이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장치를 켜고 끌 때를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사실상 이것은 사용하기 불편하고, 정확하며 충분한 제어를 제공하지 못한다.
예컨대, US-A-4 168 533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현존하는 많은 장치는, 그 장치가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함에 따라 마찰에 의해 이동하는 바퀴(wheel)나 벨트를 갖고 있다. 바퀴나 벨트의 이동은 어떤 부가적인 센서시스템에 의해 검출된다. 이 접근은 많은 응용에서 좋은 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또한 다음과 같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 이동하는 부품 메카니즘의 낮은 신뢰성
- 높은 구성부품 및 조립 비용
- 대형의 크기 및 불편한 형상
- 단방향 작동.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 고체상태 작동과 신뢰성
- 소형의 크기
- 저비용
- 무지향성 작동
- 편리한 형상과 형태(format).
본 발명은 한 표면의 이동과, 처리되는 표면에 닿고, 처리되는 다른 표면과 접촉하는 프로세스 장치의 부분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vibration)에 민감한 센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팁(sensor tip)과, 이 센서팁으로부터 이동이 발생한 때의 결과적인 진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수단(transducer means)으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이동센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센서는 각각 소정 주파수 이하 및 이상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고 출력신호가 1000㎐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 사이에 있을 때 이동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현재 제안된 실시예에서는, 변환기는 압전장치(piezoelectric device)이고, 진동은 변환기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교대로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이 고찰되며, 어떤 경우에 지지수단으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 공기 진동을 이끌기 위해 음향(acoustic) 도파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본 발명자들이 출원하여 심사계류중에 있는 출원, 참조번호 90/4361/03에 개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기록기구에서 특별한 응용을 발견하지만, 또한 이동감지가 중요한 다른 장치의 넓은 범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장치는 도면 등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되는 X-Y 플로터에서 종이 표면을 가로질러 펜의 이동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종이 재밍(jamming)을 감지하는 신속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프린터, 팩스기계, 사진복사기 등과 같은 장치에서 종이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3가지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할 것인데, 여기서
제1도는 제1실시예의 분해조립도이고,
제2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며,
제4도는 제3실시예의 센서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며,
제6도(a)는 종이 시트와 맞물린 제3실시예의 센서 부분의 측면도이며,
제6도(b)는 제6도(a)를 확대한 도면이며,
제7도는 제3실시예의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부품의 블록회로도이며,
제8도는 센서신호의 필터링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첨필(stylus)이나 센서 팁(1)이 레이저 기록장치에 실장된 캔틸레버(cantilever; 2) 위에 탑재된다. 압전스트레인 게이지(piezo electric strain gauge; 3)는 캔틸레버(2) 위에 실장되어 기록 표면에 걸쳐 첨필(1)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검출한다.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프로세스장치가 표면과 접촉하지 않을 때, 변환기는 진동을 수신하지 못하고, 그 결과로서 프로세스장치는 정지(off)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첨필(1)이 기록 표면에 닿을 때 진동 임펄스가 변환기로 전달된다. 이것은,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공급한다. 이것은 순간적으로 프로세스장치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횡단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런 진동도 발생하지 않고, 프로세스장치는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어떤 방향에서든 횡단이동이 있을 때에는, 진동이 발생되어 검출되고, 따라서 장치가 이동하는 표면을 프로세스하기 위해 프로세스장치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도와 제2도의 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연관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동작되는 휴대용 마커 펜(marker pen)에 적용된 센서를 나타낸다(또한 본 발명자들이 출원하여 심사계류중에 있는 출원, 참조번호 90/4361/03 참조).
센서의 팁은 캔틸레버에 연결된 첨필(2)로 구성되고, 상대적인 이동이 있을 때 진동이 발생되도록 기록 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진동은 기록 표면의 거칠기와, 표면과 첨필 사이의 마찰 등의 계수의 결과이다. 진동신호는 첨필재료, 그 표면마무리 및 그 기하학적 배열의 선택에 의해 크게 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 바람직하게 압전 세라믹 변환기(3)는 첨필 어셈블리의 컴플라이언트 영역(compliant region)을 모니터한다. 결합된 전자신호 프로세싱은 기록에 기인한 센서신호와, 공기로 운반되는 잡음(airborne noise), 마커 몸체에서 예컨대 이것을 가볍게 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기인한 위조신호간의 구별을 위해 정렬된다. 진동의 레벨과 주파수내용은 식별 특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신호로부터 속도신호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펜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진동의 평균주파수와 총 진동에너지도 증가한다. 적당한 신호프로세싱과 교정(calibration)은 마킹 프로세스가 속도변화를 고려하여 제어되도록 한다. 마크가 레이저 에너지의 펄스로 만들어지면, 펄스반복율은 펄스 사이의 거리와 마크 사이의 거리를 더욱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높은 속도로 증가될 수 있다.
제3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서는, 첨필(1)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위에 변환기(3)가 탑재된 캔틸레버(2)에 교대로 접속되어 있는 축(shaft; 5)상에 탑재된다.
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지지 및 진동발생수단을 제공하는 특정 부품은 없지만, 프로세스장치는 그 능동소자가 표면을 프로세스하기 위해 적당한 위치에 있으면, 프로세스장치의 케이싱(casing)의 어떤 부분도 장치를 지지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변환기는 작업 표면으로부터 그것으로 소리의 전달을 위해, 알맞은 경로(pathway)가 있는 곳에 설치된 통상의 음성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진동이 표면에 걸친 케이싱의 이동에 의해 발생될 때, 이 진동에너지의 일부는 공기를 통하여 변환기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응용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가능한 실시예가 많이 있다.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3실시예는 본 발명자들의 심사계류중에 있는 출원 90/4361/03에 개시된 마커 펜에 사용된 예이다.
제3실시예에 실제로 사용된 센서를 설명하기 전에 이론을 고려할 가치가 있다.
강(steel)에서의 소리의 속도는 대략 6000m/s이다. 20㎑의 전류 최대센서 동작주파수에서 그 파장은 센서(10㎜)보다 매우 긴 250㎜이다.
이것은, 장치의 거동의 모델링에 있어서 정적(static) 거동을 가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강빔(steel beam)의 산출된 "튜닝 포크(tuning fork)" 공진주파수는
이다. 여기서, M1은 팁의 질량, M2는 빔의 질량, I는 단면적 모멘트이다. 전류세서에 대해, 이 공진주파수는 f=68㎑이다.
공진주파수를 센서 통과대역내에 이르도록 하여 설계를 변화시키지 않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센서가 아주 민감해서 진동을 놓치게 될 것이다.
피에조 강빔(piezo-steel beam)의 접착선에 관하여 중성표면의 위치는 다음 식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ds는 강의 두께, dp는 피에조의 두께이다.
고정된 최대기록력 F에 대해, 중성표면이 접착경계에 있으면 피에조내에 저장된 에너지가 최대로 된다. 이것은 또한 접착제상에서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이 경우에는 접착선상에 전단응력만이 작용한다). 이 경우, y=0이고,
dp=ds·Es/Ep
으로 된다. 강의 영률(Young's modulus)은 200GPa이고, PZT5의 영률은 70GPa이다. 따라서,
dp=1.7×ds
이다. 따라서, 피에조 두께는 500㎛ 두께의 강빔에 대해 대략 850㎛이어야 한다.
지지점에서와 마찬가지로, 빔내의 최대응력은, 벤딩 모멘트(G)에 의해, 팁에 힘(F)이 가해지는 동안 거기서 최대로 된다. 따라서, 피에조는 빔의 지지단을 덮어야 한다.
아주 휘기 쉬운 빔이 큰 신호를 검출할 것이라는 기대는 2가지 이유로 합당하다. 첫째로 휘지 않는 빔은 종이 높이의 변동을 보다 용이하게 분쇄할 것이고, 둘째로 피에조상에 행해진 작업은 빔 휘어짐에 의해 곱해진 (외부적으로 고정된) 기록력이기 때문에, 에너지 전송은 보다 큰 휘어짐을 주는 빔에 대해 더욱 커질 것이다. 따라서, 빔은 가능한 한 좁아야 한다. 실제적으로, 1㎜의 두께의 빔이 편리한 제조의 한계이다.
접착선의 전단응력이 소정의 전단 한계를 초과하면, 그 빔은 최대 기록압력에 의해 구부러질 것이다. 고정 부하(load)에 대한 전단응력은 빔의 길이보다 짧게 일정하고,
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ds는 강의 두께이고, w는 빔폭이다.
대부분의 접착제에 대해, 전형적인 파손 전단응력은 약 50MPa이고, 따라서 안전한 작동을 위해
로 된다. 최대 힘은 F=3N이고, 폭은 w=1mm이며, ds=500㎛이고, 따라서
로 된다. 즉 가해진 전단응력은 소정의 최대기록력에서 전단응력 한계의 1/10이다.
제안된 빔 구조가 제5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센서 팁은 과도한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단단한 물질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산화알루미늄(alumina)이나 소결(燒結)한 강이 가장 확실한 물질이다. 이런 물질이 주어지면, 표면구조는 센서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조정되어도 좋다. 거기에는 2가지의 불가결한 파라미터가 있다:
펜의 '감촉(feel)'이 시장수용에 중요하다. 센서는 종이 위에서 움직일 때 거칠게 느껴서는 안된다.
팁은 출력신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표면구조를 가져야 한다.
종이의 표면은 엮어진 섬유(fiber)의 매트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섬유폭은 대략 10㎛이고, 이것은 최대 특징크기(feature size)를 정의한다. 그러나, 팁이 검출하는 것은 섬유 사이의 간극(gap)이다. 이 경우, 전형적인 특징크기는 대략 5섬유직경(50㎛)이다.
매스캐드(MathCad) 모델은, 매끈매끈한 팁에서는 출력주파수 스펙트럼이
P(f)=Af2e-2f/ℓ
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ℓ은 통상 섬유-섬유 거리이다.
전형적인 팁의 특징크기가 형상(figure)크기보다 작거나 훨씬 큰 경우에, 이 스펙트럼은 팁표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섬유크기와 유사한 단일분산(monodisperse) 거칠기를 갖는 팁을 사용하는 것만이 스펙트럼의 고주파수 성분을 증가시킨다.
30μ의 전형적인 특징크기에 있어서, 스펙트럼 전력의 벌크(bulk)는 1∼3㎐범위내에 있다. 5㎑ 이상에서는 유용한 스펙트럼 전력이 없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신호주파수와 전력응답은 30μ의 전형적인 표면특징크기에 대해 최적화된다. 이 경우, 본래의 전력은 매끈매끈한 팁에 의해 생성된 전력보다 높은 대략 16dBV이다(40배의 증가).
굵은(30μ) 팁은 더 크고 높은 주파수성분을 제공한다.
rms(root-mean-square) 신호전력은 인수 3.7에 의한 속도의 증가에 대해 인수 3.2에 의해 상승한다. 즉, rms 전력은 대략 기록속도에 비례한다.
항력(drag)은 기록속도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게 남는다. 항력에 대한 일은 항력에 속도를 곱한 값이고, 그래서 우리는 센서 출력전력이 속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상승하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
신호전력은 가해진 하중과 비선형 관계에 있다. 1.3x의 하중의 증가는 rms 센서 츨력전력의 3.2x의 증가로 된다. 이 지수함수적인 상승은 종리 표면으로 더 누르는 팁에 기인할 수 있다(모델에 따라서 섬유밀도는 종이로의 깊이로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어느 정도의 기록 하중에 대해 더 높은 압력을 주는 뾰족한 팁이 더 높은 신호출력전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팁은 '감촉'의 과도한 저하없이 가능한 한 뾰족하고 거칠어야 한다. 그런 팁은 증가된 마멸에 대해 시험하여도 견뎌야 하지만, (펜텔(Pentel)안의 볼과 유사한) 대략 100㎛로의 딥(dip) 반경의 감소가 달성가능해야 한다.
센서의 김촉은 펜의 시장수용에 부가되기 때문에, 기술적인 관심이 없어도 종이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상업상 대단히 중요할 수 있다. "감촉"은 센서에 관해 만들어진 3가지의 본질적인 판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진동-손가락이 펜을 이동함에 따라 펜의 진동이 감지되는가?
스크래칭(Scratching)-센서가 종이섬유를 찢는가?
잡음-센서가 거친 것처럼 소리를 내는가?
스크래칭은 최악의 영향이고, 이것은 작은 곡률반경(radii of curvature)이 센서 팁에 존재할 때에 일어난다. 이들 영역에서는, 바늘이 종이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해진 기록력이 종이표면을 뚫고 거친 스틱 미끄러짐운동을 일으키는 큰 압력으로 변환된다. (최악의 경우는 곡률반경이 전형적인 표면 섬유-섬유 거리(전형적으로 15㎛)와 같거나 작을 때이고, 그래서 팁은 표면으로 파고든다). 본질적으로 그 영향은 스크래칭 소음과 손가락에 의해 검출된 스틱 미끄러짐운동의 결합이다. 이와 같이, 전체적인 팁 반경은 찢어짐을 회피하기 위해 50㎛보다 커야 한다.
일반화된 신경세포의 응답시간에 의한 주파수 한계는 대략 초당 1000펄스이고, 따라서 1㎑를 초과한 주파수의 진동이 일반화된 신경세포에 의한 진동으로서 측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는 합당하지 않다(물론, 귀 속의 세포가 이 목적을 위해 특수화되기 때문에, 귀 속의 세포는 실질적으로 다른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2가지의 '전형적인' 개별 시험은 본질적인 거칠기가 팁의 전형적인 특징크기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스케일에서 15㎛ 이하의 크기는 받아들일 수 있는 '부드러운(silky)' 감촉을 주도록 나타나는데 반해, 그보다 큰 입자 크기는 스틱 미끄러짐운동을 줄 수 있다.
15㎛ 직경 이하의 알갱이는 받아들일 수 있는 '감촉'을 주어야 하지만, 분명히 타협의 필요성이 있고, 따라서 채용한 칩은 대략 15∼40㎛의 평균 알갱이 크기의 입자를 갖는 표면을 가지며, 대략 500㎛의 직경(즉, 250㎛의 반경)의 굽은 표면을 갖는다(제6도(a)와 제6도(b)참조).
다음에는 제4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센서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센서(40)는, 사용자가 기록하기를 원할 때 잉크가 흐르도록 하면서, 기록하는 동안에 잉크공급의 자연적인 조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시에 받아들일 수 있는 "감촉"을 준다. 센서는 예컨대 도구가 우연히 떨어졌을 때 손상에 견디도록 충분히 튼튼하여야 하고, 종이, 손의 압력, 기록속도 및 기록각도 등의 넓은 범위에 걸쳐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업적인 요구로는 저비용, 소형 사이즈,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간섭에 대한 면역성 및 낮은 전력소비 등이 있다.
30∼150㎜/s의 기록속도는 30∼300g의 기록력과 함께 조절될 필요가 있는 속도의 전형적인 범위이다. 센서는 볼펜과 비교할 수 있는 감지 경도를 제공해야 한다.
센서의 근본적인 기능은, '기록'이 발생할 때 잉크젯 기구를 작동하도록 펜의 제어전자부품에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기록'은 어떤 특정조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잉크젯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작동되어야 한다:
펜이 종이와 접촉하여 어떤 방향으로 종이를 가로질러 이동한다.
펜이 종이를 가로 질러 이동하지 않고(완전한 정지와 마찬가지로) 접촉에 들어가고 있다.
펜이 종이와 접촉하고 있지만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잉크젯은 동작을 중지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한 점에 계속해서 잉크를 공급하게 된다.
진동센서는 비교적 간단한 신호처리로 유니트에서 이들 조건을 달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정된다.
첨필이 (미세한 척도에서 거친 표면이 있는) 종이를 가로질러 당겨지는 경우, 진동은 3가지의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생성되고, 그 중 2가지는 종이와 평행하고 90°를 이루고 있으며, 세번째 것은 수직한 성분으로 종이와는 직교한다. 본 발명의 센서는 2가지의 특정 이익을 갖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성분에 응답한다:
이것은 종이를 가로질러 어느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진동에 동등하게 응답한다.
이것은 매우 콤팩트한 센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센서(40)는 기판(21) 아래 및 접촉영역 사이의 다른 비사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설계된다.
센서 기구는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에 첨필이나 팁(42)을 갖춘) 금속빔(41; 이하, 아암이라고도 한다)과, 이 금속빔에 접합된 압전 스트립(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빔과 압전 스트립은 종이로부터의 진동신호에 응답하여 휘어진다.
상기 센서의 각 소자의 크기와 형상은 다음의 것들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이용가능한 체적내의 공간, 매우 높은 감도가 이유없이 요구되지 않고, 처리하는데 전자제어시스템에 대해 충분한 신호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펜에 올바른 '감촉'을 주기 위해 충분히 단단할 것. 어떻게든 부드럽게 느껴지지 않아야 하고, 그래서 미숙한 기록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아야 한다. 다음의 그래프는 빔/피에조의 검출된 하중/휘어짐(deflection)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합당한 한계내에서) 무거운 기록압력이나 돌발적인 충격을 견디도록 충분히 튼튼할 것.
힘이 첨필(42)에 가해짐에 따라, 빔(41)에서 벤딩 모멘트가 생성되고, 그 길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벤딩 모멘트는 빔과 압전 스트립에 스트레인을 발생시킨다. 피에조(43)는, 빔과 압전 스트립이 이런 형태의 스트레인을 받을 때, 그 표면을 가로질러 전기신호(전압)가 발생하도록 하는 특성을 갖도록 제조된다. 이들 두 표면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제어 전자부품에 대해 전기적인 접속을 허용하는 전극을 갖추고 있다.
강빔(41)은 펜내의 실장, 전기적인 접속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더 큰 강판(44)의 통합부이다. 판(44)은 사용시에 잉크젯이 노즐로부터 통과하는 직사각형의 개구(aperture)(45)를 갖는다. 센서구조와 전기적인 접속의 상세는 이하에 더 설명한다.
첨필이나 팁은(42)은 종이기록 표면과 접촉을 이루며 다음의 특성을 제시해야 할 펜의 부분이다:
사용자에게 전기신호(강도와 주파수범위)와 감촉의 질의 최상의 결합을 제공하는 형상과 표면구조(즉, 센서가 과도하게 소리를 내거나 종이에 걸리기 쉽다면 이롭지 못하다).
과도한 마멸없이 그 수명을 통해 이동해야 하는 매우 긴 거리에 견디는 지속성(durability).
첨필(42)에 대한 재료의 선택은 높은 부품비용을 초래하지 않고 좋은 마멸특성을 갖는 재료인지를 식별함으로써 결정된다. 비용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첨필을 제공하기 위해 산화알루미늄이 선택된다.
이것은, 사람의 손이 1000Hz 이하의 진동에 민감함을 시험함으로써 절정되고, 그래서 첨필 설계작업의 한가지 목표는 가능한 한 부드럽게 펜 감촉의 기록이동을 만들기 위해 1000㎐이상으로 에너지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세라믹 팁의 이득은 강 첨필이 말할 수 있는 것보다 1000㎐ 이상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 위에 센서가 위치하고 있는 센서 어셈블리판(44)은 케이스작업(case work)의 주 반쪽 사이에 위치한 작은 직사각형 판이다(케이스작업에 대해서는 다음 장을 보라). 압전 변환기는 양쪽 면에 전극을 갖춘 간단한 구성의 것이다. 압전 스트립의 한쪽 면은, 판과 압전재의 표면 거칠기의 꺼칠꺼칠함에 의해 접착제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식으로 하여 낮은 점성의 에폭시로 빔에 접합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판은 압전 스트립에 대해 전기회로부분을 형성한다.
첨필이나 팁(42)은, 빔의 단부에 리벳으로 고정되는 황동 몸체(brass body; 42")에 접합된 산화알루미늄 팁(42')으로 구성된다(제6도(a) 및 제6도(b) 참조).
압전 스트립은 앞서 제4도에 나타낸 치수와 구성의 것이고, PZT5A와 유사한 리드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lead zirconate titanate) 등급으로 제작된다. 센서 빔은 니켈판 스프링강(400∼450VPN) 등의 시트 금속으로부터 블랭킹(blanking)에 의해 제작된다. 첨필이나 센서 팁은 작은 구부러진 부품인 주요 몸체를 가지고,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황동은 저비용, 규격화의 용이 및 리벳고정에 대한 적합성에 알맞다. 첨필이나 센서 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필수적인 마멸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산화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단부를 갖추고 있다. 그 형상과 표면 거칠기를 요구에 따르도록 하는 식으로 하여 압착 및 소성(firing)에 의해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제7도는 (상술한 본 발명자들의 심사계류중에 있는 출원 명세서에 더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은) 마커 펜용의 전자 제어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ASIC을 나타낸 것이다. 이 ASIC은 입력버퍼(71), 외부 구성부품을 지닌 증폭기(72), 비교기(74) 및 단안정 블록(monostable block; 75)으로 이루어진 신호조절회로(70)를 갖추고 있다.
진동 센서는 그 자체가 1nF의 단위의 고임피던스 용량성 소스이기 때문에, 고임피던스 입력버퍼(71)가 필요하다. 480㏀의 입력임피던스와 결합되었을 때, 센서는 330㎑의 3dB주파수를 갖는 고역통과(high pass) 필터를 준다. 진동 센서에 의해 생성된 관심대상의 신호는 대략 1.5V의 첨두-첨두 진폭(peak to peak amplitude)을 갖는 1㎑와 5㎑ 사이의 신호이다.
버퍼링되고 참조된 신호는, 그 후 대략 인수 3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기(72)는 관심대상의 주파수로 신호대역을 제한하기 위해 조금 더 낮은 통과 필터링과 고역통과 필터를 갖추고 있다. 낮은 3dB 주파수는 선 혹은 패턴의 처음과 끝부분에서 "바운스(bounce)" 현상을 억제하는 1㎑에 있다. 바운스는 사용자가 처음 종이에 접촉하고 최종적으로 끌어 올릴 때 생성되는 아주 큰 오프셋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고 믿어진다. 이 전압은 저주파수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고역통과 필터링에 의해 감쇠될 수 있다. 5㎑의 고주파수 차단(cut-off) 주파수는, 펜이 부주의하게 잉크를 내뿜게 할 수 있는 전기적인 잡음으로부터 어떤 가상신호 혹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존재한다. 증폭기(72)의 필터특성이 제8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증폭기(72)의 출력은 100mV의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비교기로 공급된다. 이 상당히 높은 히스테리시스는 오(誤) 트리거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지금 디지탈로 나타난 신호는 디지탈적으로 실현된 단안정 블록(75)에 공급된다. 단안정 블록(75)은 다시 트리거가 가능하고, 진동센서 신호가 짧은 기간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신호를 소실하는 것을 막는 각 트리거에서 10ms동안 활성출력(active output)을 유지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첨필이 기록표면을 가로질러 서서히 이동할 때 발생한다. 이 시간은 너무 길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첨필이 이동을 중지한 후나 표면과 더 이상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펜이 잉크를 계속 증착할 수도 있다. 단안정 시간지연을 너무 길게 설정하는 것은, 기록시에 단어의 말미에서 나타나는 "꼬리부분(tails)"에 의해 증명된다. 단안정의 출력은 사용 중에 잉크분사 처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57)에 직접 연결된다.

Claims (11)

  1. 센서팁(1)과, 상기 센서팁으로부터 이동이 발생한 때의 결과적인 진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변환기수단(3)으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2) 및, 1000㎐ 이하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고, 출력신호가 1000㎐ 이상일 때 이동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장치용의 이동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소정 주파수 이하 및 이상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고, 출력신호가 1000㎐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 사이에 있을 때 이동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수단이 압전 변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수단은 그 일단에 센서팁(42)이 탑재된 아암(41)과, 이 아암(41)상에서 스트레인의 변화 및 센서팁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 위에 탑재된 압전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변환기는 아암(41)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표면위에서 장치가 이동하기 전에 장치와 표면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표면위에서의 센서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동이 변환기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장치가 이동하는 것에 비례하여 프로세스장치를 표면과 접촉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 공기 진동을 이끌기 위해 음향 도파관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42')은 15∼40㎛의 평균 알갱이 크기의 입자를 갖는 표면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팁(42')은 약 250㎛의 반경의 굽은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센서.
KR1019940702969A 1992-03-03 1993-03-03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Expired - Fee Related KR100266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04592.1 1992-03-03
GB929204592A GB9204592D0 (en) 1992-03-03 1992-03-03 Movement detect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PCT/GB1993/000439 WO1993017871A1 (en) 1992-03-03 1993-03-03 Movement detect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174A KR950700174A (ko) 1995-01-16
KR100266844B1 true KR100266844B1 (ko) 2000-09-15

Family

ID=1071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9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6844B1 (ko) 1992-03-03 1993-03-03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629155B1 (ko)
JP (1) JP3310978B2 (ko)
KR (1) KR100266844B1 (ko)
AT (1) ATE153599T1 (ko)
AU (1) AU685388B2 (ko)
CA (1) CA2131096C (ko)
DE (1) DE69311094T2 (ko)
GB (1) GB9204592D0 (ko)
RU (1) RU2102699C1 (ko)
WO (1) WO1993017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1691D0 (en) 1996-10-17 1996-12-11 De La Rue Systems Ltd Sheet counting apparatus
JP2005103937A (ja) * 2003-09-30 2005-04-21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7852210B2 (en) * 2007-12-31 2010-1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tion detector for detecting tampering and method for detecting tampering
JP5648151B2 (ja) * 2009-02-23 2015-01-07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危険度検出方法
WO2013018213A1 (ja) * 2011-08-03 2013-02-07 株式会社安川電機 位置ずれ検出器、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4626C3 (de) * 1973-07-19 1978-12-07 Sharp K.K., Osaka (Japan) Elektronischer Taschenrechner
AU8202275A (en) * 1975-06-11 1976-12-16 Price W R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nd controlling motion of a movable member
JPS57132005A (en) * 1981-02-09 198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tector for extent of movement
US4523235A (en) * 1982-01-11 1985-06-11 Jan Rajchman Electronic microcopier apparatus
FR2535060B1 (fr) * 1982-10-22 1985-05-31 Antivols Simplex Sa Detecteur piezo-electrique
JPS6156891A (ja) * 1984-08-24 1986-03-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すべり覚センサ
JPH0742111Y2 (ja) * 1990-01-26 1995-09-2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モーション・インパクト・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1094D1 (de) 1997-07-03
RU94040848A (ru) 1996-07-10
DE69311094T2 (de) 1997-09-18
EP0629155B1 (en) 1997-05-28
JPH07504270A (ja) 1995-05-11
KR950700174A (ko) 1995-01-16
JP3310978B2 (ja) 2002-08-05
CA2131096A1 (en) 1993-09-04
RU2102699C1 (ru) 1998-01-20
ATE153599T1 (de) 1997-06-15
WO1993017871A1 (en) 1993-09-16
GB9204592D0 (en) 1992-04-15
AU3640393A (en) 1993-10-05
AU685388B2 (en) 1998-01-22
CA2131096C (en) 2002-11-26
EP0629155A1 (en) 199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0316A (en) Stylus mouse
US8063322B2 (en) Position indicator and coordinate input device
EP2080597B1 (en) Razor system having razor sensors
JP3658382B2 (ja) 信号出力装置、シート材の判別方法、画像形成装置、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信号出力方法
US20060225505A1 (en) Contact-type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US4246795A (en) Contact sensing head
US20030231170A1 (en) Digitizing tablet
US5672929A (en) Moving sens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US4142175A (en)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ransducer arrangement
KR100266844B1 (ko) 기계진동을 이용한 이동센서
US4393268A (en) Marking system using elastic surface waves
GB2054148A (en) Ultrasonic fork height measuring apparatus
JP4378330B2 (ja) シート情報出力装置、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0656603A1 (en) Piezoelectric sensor and coordinate input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GB2034475A (en) Two coordinate position sensing systems
KR20050032575A (ko) 전자 장치에 대한 초음파 변환기
EP0387996B1 (en) A stress wave load cell
JP3239325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キーボード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1095254B1 (en) Surface testing equipment and method
WO2009103729A1 (de) Oszillatorischer drucksensor
Nakamura et al. Tactile sensing device instantaneously evaluating friction coefficients
JPS6321582A (ja) 超音波送受波器
JP2531804B2 (ja) 座標入力装置
WO2009130377A1 (en) Optical measurement sensor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physical magnitude
JPS59142638A (ja) 入力装置用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6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