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7447B1 - 코로나방전오염물파기장치의NOx감소방법 - Google Patents

코로나방전오염물파기장치의NOx감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447B1
KR100277447B1 KR1019970039287A KR19970039287A KR100277447B1 KR 100277447 B1 KR100277447 B1 KR 100277447B1 KR 1019970039287 A KR1019970039287 A KR 1019970039287A KR 19970039287 A KR19970039287 A KR 19970039287A KR 100277447 B1 KR100277447 B1 KR 10027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es
corona discharge
relaxation
energy
rea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761A (ko
Inventor
존 에이치. 에스. 왕
넬소 윌리엄 소르보
웰던 에스. 윌리암슨
에드워드 제이. 팔렌
Original Assignee
글렌 에이치. 렌젠, 주니어
레이티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렌 에이치. 렌젠, 주니어, 레이티언 캄파니 filed Critical 글렌 에이치. 렌젠, 주니어
Publication of KR1998001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4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2Dinitrogen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1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nitrous oxide (N2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질소 산화 합성물(NOx)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에 완화 종으로서 3원자 질소(N3)를 제공함으로써 코로나 방전 장치에서 NOx의 감소률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코로나 방전 오염물 파기 장치의 NOx 감소 방법{NOx REDUCTION METHOD IN CORONA DISCHARGE POLLUTANT DE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 오염물 파기 장치의 질소 산화물(NOx) 합성물의 파기에 관한 것이다.
기체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오염물 함유 기체를 코로나 방전 사이트 (corona discharge site)에 통과시키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기법의 일반적인 고찰이 Puchkarev 등의 "표면 방전에 의한 유독성 가스 분해", 플라즈마 과학에 관한 1994 국제 학술회의 논문집, 6-8 June, 1994, Santa Fe, New Mexico, 논문번호 1E6, 88 페이지에 개재되어 있다. "코로나 방전을 생성하기 위한 코로나원과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액체 폐기물 처리"로 표제되어, 1994년 8월 25일에 출원되고, 현재는 휴즈 전자로 영업하고 있는 휴즈 에어크래프트 캄파니 (Hughes Aircraft Company)에 양도된 미합중국 출원 번호 제08/295,95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에 대해서도 코로나 오염물 제거가 제안되었다.
야마모토 등의 "팩드 베드 (packed bed) 반응기와 펄스형 코로나 플라즈마 반응기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 오염물 제어를 위한 비열 플라즈마 기법, NATO ASI Series Vol. G34 Part B, Ed. by B. M. Penetrante and S. E. Schulthei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93, 87-89 페이지에 개재된 일 시스템에서는, 지속 시간이 120-130 나노세컨드인 짧은 고전압 펄스를 동축 코로나 반응기 -이를 통해 기체가 흐르고 있음-의 중심 전도체에 인가한다. 각 펄스는 여기 전자 (energetic electron)가 5-10keV이고, 중심 와이어로부터 발산하여 반응기 내부에 가득 흐르는 코로나 방전을 생성한다. 유사한 시스템이 미합중국 특허 제4,695,358호에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포지티브 (positive) DC 전압 펄스가 DC 바이어스 전압에 중첩되어 기체 흐름으로부터 SOx, NOx를 제거하기 위한 스트리머 (streamer) 코로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의 에너지 효율은 비교적 낮다. 선택된 반응기 형태에 따라, 전극간의 아크 분해와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짧은 펄스를 전달하여야 한다. 펄스 형성 회로는 고전압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반 정도를 충전용 저항기에서 소실하고, 에너지가 이중 스파크 간극(double spark gap)에서 더 소모된다. 더욱이, 동축 코로나 반응기의 용량성 부하가 충전되어야 하고, 이 충전 에너지는 전형적으로 코로나 반응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에너지보다 훨씬 크고, 오염물 제거에 기여하는 바 없이 각 펄스 발생후에 열로 소실된다.
다른 반응기 형태이지만 유사한 접근 방법으로는, Roscha 등의 "정적-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위험한 유기 폐기물의 처리", 제어를 위한 비-열적 플라즈마 기법, NATO ASI Series Vol. G34 Part B, Ed. by B. M Penetrante and S. E Schulthei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1993, 79-80 페이지에 기재된 것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평행 플레이트간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펄스 형성이 비효율적이고 반응기 충전 에너지가 회수되지 않기 때문에 유효 에너지가 적다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인 단일 단계 코로나 방전 오염물 제거 장치의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코로나 방전 반응기(2)는 엔진(6)으로부터 유입 도관(8)을 거쳐 오염물 함유 배기가스(12)를 취하여, 배기 가스를 처리하고 처리된 배기 가스(14)를 유출 도관(10)을 거쳐 방출한다. 엔진(6)으로부터의 배기 가스(12)에 포함된 주 오염물은 전형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산화질소(NOx)와 탄화수소(HC), 및 일산화탄소(CO)를 포함한다. HC와 CO는 고에너지 레벨 오염물로서, 산화되어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를 생성한다. NOx화합물은 저에너지 오염물로서, 무해한 2원자 질소(N2)와 산소(O2)로 분해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흡수하여야 한다. 전원(4)이 고전압 펄스를 코로나 방전 반응기(2)에 공급하면, HC는 산화되어 H2O와 CO2가 되고 CO는 산화되어 CO2가 된다. 각 전압 최대치에서 코로나 방전이 반응기 내에서 방사되어, HC를 산화시켜 H2O와 CO2를 생성하고 CO를 산화시켜 CO2를 생성하는 자유 라디칼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펄스는 HC 및 CO를 분해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반면, NOx를 N2와 O2로 분해하는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고전압(12 kV 이상)을 이용한 코로나 생성은 부가적으로 약간의 NOx를 생성시킬 수도 있음을 실험은 보여주었다. 반면에, 저전압 펄스는 NOx를 분해하는데 효과적이지만, HC를 산화시키는데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코로나 방전 공정은 산소와 물의 존재시에, NO 및 NO2를 포함하는 NOx의 파기를 제한하여 성취하고 있다. 코로나 방전에 있어서의 문제는 오존(O3)과 O 및 OH와 같은 라디칼을 발생하여 강한 산화 분위기를 발생한다는 데에 있다. 자유 라디칼과 O3는 고 반응성 산화제로서 NO 및 N2와 반응하여 NO2를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서 NOx합성물의 실질적인 감소를 위한 공지된 방법으로는 하이드로카본 첨가제 또는 암모니아(NH3)의 주입이 있다. NH3또는 하이드로카본 첨가제의 주입에 대한 일반적인 개관이 G. E. Vogtlin과 B. M. Penetrante의 "연료 가스로부터 NOx의 제거를 위한 펄스형 코로나 방전", 오염 조절을 위한 비-열적 플라즈마 기술, NATO ASI Series Vol. G34, Part B, 187페이지, 1993에 개시되어 있다. NH3가 주입되면, 이것은 반응기에서 형성된 산과 반응하여 암모니아 염을 생성하고, 이것은 여과 시스템이나 그 외 입자 제거 시스템에 의해 모아지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축적된 고형 암모니아 염이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자동화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 NH3를 첨가함으로써 NOx를 감소시키는 것은 정지 소오스 (stationary source) 연소 사이트에서만 성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제작 및 동작 비용 때문에 자동차 내연 기관 배기의 처리시에는 NH3가 NOx감소에 이용되지 않는다. 하이드로카본 첨가제의 주입은 산화와 NO의 감소 동안 히드록실 라디칼(OH)을 리사이클링함으로써 유효한 것으로 나타난다. OH 라디칼 리사이클링의 효율은 하이드로카본 첨가제와 OH 라디칼과의 반응률에 따라 다른데, 이것은 G. E. Vogtlin 등에 기술되어 있다.
디젤 엔진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플라즈마 반응기에서의 엔진 오일의 주입은, M. Higashi 등의 "방전 플라즈마와 오일 동력학의 조합에 의해 디젤 엔진 배기시의 매연 제거 및 NOx와 SOx의 감소", 플라즈마에 대한 IEEE 회보, Vol. 20, No. 1 , 1992에 개시되어 있다. 이 논문은 엔진 오일 방울이 주입된 반응기 내의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디젤 엔진 배기 가스로부터의 NOx제거를 기록하고 있다. 엔진 오일이 일단 챔버 내에 있으면, 플라즈마는 NOx와 SOx합성물 뿐만 아니라 매연의 감소를 촉진하는 미세한 오일 연막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가 가스를 가지고 있는 또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선택적 주파수 광자 방전 및/또는 선택적 포텐셜 코로나 방전을 연소 배기 가스 혼합물에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서 생성될 수 있는, 완화 종을 이용하여 NOx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 완화 종(relaxation species)은 N, NO, NO*, NO2, N2O, NO3, N2O5, HNO2, HNO3, HO2NO2, RONO 및 RONO2를 포함하는 질소 종 내의 반응성 여기 에너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별표(*)는 여기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질소종은 연소중에 그리고 코로나 방전 중에 생성되고, 이들중 다수는 여기 상태에 있으며 대부분은 단명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완화 종의 부가는 이들 질소 종을 감소시키는 바람직한 반응 경로(pathway)를 제공하여,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 상태를 "완화"함으로써 NOx대신에 2원자 질소(N2)가 형성되도록 보장한다. 이 완화 종의 완화 에너지는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원자 질소(N3)가 완화 종으로 이용된다. 완화시 N2를 주로 형성함에 있어서의 고반응률은, 완화와 여기 에너지를 일치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완화 종과 여기된 질소 종 사이의 높은 빈도의 분자 충돌로 성취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그 외 특성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공진 코로나 방전 오염물 파기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서 완화 종에 의해 NOx를 감소시키는 반응도.
본 발명은 완화 종을 이용하여 NOx를 감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완화 종은 별개의 소오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오염물 처리에 바람직한 코로나 방전은 통상 약 5-20kV 범위의 고 전압 레벨과 약 5-15MHz 범위의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유효한 NOx의 감소에 바람직한 전압은 HC와 CO의 산화에 바람직한 전압보다 더 작다. NOx감소를 위한 코로나 방전 전압은 10k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코로나 방전 오염물 파기 시스템에서의 NOx의 파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는 복수의 코로나 방전 반응기들이 설치될 수 있고, 이 방전기들 각각은 HC와 CO와 같은 고 에너지 레벨 오염물을 산화하거나 NOx와 같은 저 에너지 레벨의 오염물을 감소시키는 전용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NOx를 감소시키는 전용 반응기에 완화 종을 제공한다.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통상 특성이 고 산화성이고, 하이드록실 라디칼(OH)과 부분 산화된 하이드로카본 라디칼과 같은 고 산화성 자유 라디칼 뿐만 아니라, 오존(O3)과 같은 고 반응성 산화제를 포함한다. 이들 산화 라디칼은 엔진에서 연료가 산소와 연소하여 생성된다. 배기 가스가 코로나 방전 반응기를 통과하면, H와 OH 라디칼과 O3가 또한 발생되어, 배기 가스의 강한 산화 분위기를 생성한다. 내연 기관의 연소 동안과 코로나 방전 반응기 내의 고 전압 코로나 방전 동안에, 가스 분자에 부여된 에너지에 의해 질소 종이 형성된다. 이들 질소 종은 N, NO, NO*, NO2, N2O, NO3, N2O5, HNO2, HNO3, HO2NO2, RONO 및 RONO2를 포함한다. 별표(*)는 여기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중 몇개는 각각 여기된 고 에너지 상태에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다른 종과 신속히 반응하며 단명한다. 각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는 또한 아레니우스 (Arrhenius) 에너지로 불린다. O3와 같은 고 반응성 산화제 및 H, OH와 같은 라디칼과 부분 산화된 하이드로카본 라디칼은 여기된 질소 종과 상당한 반응을 발생시키며, NOx를 발생하는데, 이것은 다른 종들중에서도 NO와 NO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를 감소시킴으로써 NOx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완화 종은 이들 질소 종 내의 반응 에너지를 감소시키며 NOx가 2원자 질소(N2)와 2원자 산소(O2)로 분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데에 바람직한 반응 경로를 제공한다. N2의 형성 이후, N2와 산화 라디칼 사이의 충돌로 NOx를 생성하지 않게 된다. 완화 에너지, 즉 NOx를 감소시키기 위해 완화 종에 의해 제공된 에너지는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와 바람직하게 일치하므로, NOx를 발생하는 산화 라디칼과의 반응에 필요한 여기 에너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완화 종은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싱크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3원자 질소(N3)가 완화 종으로 사용된다. N3은 개별적으로 또는 코로나 방전 반응기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는 약 80% 2원자 질소(N2)를 포함하는데, 이는 주변 공기에서와 거의 동일한 비율이다. 여기된 질소 종의 완화시에 N2를 주로 형성하는 반응률은 완화 및 여기 에너지의 일치 뿐만 아니라 완화 종과 여기된 질소 종 사이의 분자 충돌 빈도에 따라 다르다. 완화 에너지가 방출되면, N3은 N2와 N 라디칼로 분해되고, 이들은 NO를 분해하여 N과 O 라디칼을 형성한다. NO로부터의 N 라디칼과 N3로부터의 N 라디칼이 결합되어 N2를 형성하는 한편, O 라디칼들이 결합되어 O2를 형성한다. N2와 O2는 둘 다 일단 형성되면 반응기에서의 온도에서 안정적이어서,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서 다시 서로 반응하지 않는다.
도 2는 이 경우 특히 N과 NO 라디칼인 질소 종을 2원자 질소(N2)로 변형하기 위해서, 산소의 존재시에 전자 방전과 결합되는 완화 종의 사용을 설명하는 화학 반응도이다. N 라디칼은 산소(O2)와 반응하여 NO 라디칼이 된다. NO를 N으로 변형시키는 역반응은 NO가 전자 방전시에 발생하고, 이것은 바람직하게 원하는 전압과 주파수에서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된다. NO 라디칼 또는 완화 종이 N 라디칼과 반응하도록 인가될 때, 또는 N 라디칼 또는 완화 종이 NO 라디칼과 반응하도록 인가되면, N2가 형성된다. N2은 N과 NO 라디칼과 같이 반응성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의 연소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매우 안정적이다.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서 예상되는 것과 같은 고온의 존재시에만 N2가 반응성이 되어 NOx를 형성한다. 코로나 방전 반응실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N2를 반응성으로 만들 만큼 충분히 높지 않다. 따라서, 일단 N2분자가 형성되면 이들은 다시 분해되지 않아서, 다른 종과 반응하여 NOx를 형성하는 라디칼들을 형성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더욱 엄격한 공기 품질 표준에 만족하기 위해서 코로나 방전 오염물 파기 반응기를 채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미래의 자동차 전자 촉매 변환기에 적당할 것이다. 자동차에는 개별적으로 어떠한 완화 종도 제공될 필요가 없고 이 종을 저장하여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 응용에서 추가의 하드웨어 제작 및 동작 비용의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여러 변형 및 대체적인 실시예가 본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가능하다. 이러한 각종 대체 실시예는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방전 반응기에서 생성될 수 있는 완화 종을 이용하여 NOx를 감소할 수 있다.

Claims (5)

  1. 관련 여기 에너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여기된 질소 종 및 적어도 몇개의 산화 라디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에서 NOx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완화 에너지에 의해 특성화된 완화 종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여기된 질소 종과 상기 완화 종을 반응시켜 상기 여기된 질소 종의 여기 에너지를 NOx분자를 분해할 만큼 충분히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NOx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종의 완화 에너지는 상기 여기된 질소 종의 상기 여기 에너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x감소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종은 코로나 방전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x감소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은 상기 완화 종과 상기 여기된 질소 종 사이의 반응률을 증진시키는 전압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x감소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 종은 3원자 질소(N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x감소 방법.
KR1019970039287A 1996-08-19 1997-08-19 코로나방전오염물파기장치의NOx감소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77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97,043 1996-08-19
US08/697,043 US6136158A (en) 1996-08-19 1996-08-19 NOx reduction method in corona discharge pollutant destru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761A KR19980018761A (ko) 1998-06-05
KR100277447B1 true KR100277447B1 (ko) 2001-01-15

Family

ID=247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287A Expired - Lifetime KR100277447B1 (ko) 1996-08-19 1997-08-19 코로나방전오염물파기장치의NOx감소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36158A (ko)
EP (1) EP0824952B1 (ko)
JP (1) JP3086433B2 (ko)
KR (1) KR100277447B1 (ko)
DE (1) DE697235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3413A (en) 1996-06-28 1999-01-26 Litex, Inc. Method for using hydroxyl radical to reduce pollutants in the exhaust gases from the combustion of a fuel
US6321531B1 (en) 1996-12-18 2001-11-27 Lit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free radicals to reduce pollutants in the exhaust gases from the combustion of a fuel
US6047543A (en) 1996-12-18 2000-04-11 Lit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rate and efficiency of gas phase reactions
US6029442A (en) 1996-12-18 2000-02-29 Lit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free radicals to reduce pollutants in the exhaust gases from the combustion of fuel
US6461870B2 (en) * 1998-05-06 2002-10-08 Isotechnika Inc. 13C glucose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diabetic indications and monitoring glycemic control
WO2002004791A1 (en) * 2000-07-12 2002-01-17 Yarc-Design S.R.L. Procedure and device to reduce engine exhaust emissions
US6432280B1 (en) 2000-10-23 2002-08-13 Pioneer Industrial Technologies, Inc. Pollution control device
WO2002096591A1 (en) * 2001-05-30 2002-12-05 University Of Wyoming Postcombustion removal of n2o in a pulsed corona reactor
JP2003322330A (ja) 2002-04-30 2003-11-1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燃焼装置窓用材料
JP2009156063A (ja) * 2007-12-25 2009-07-16 Toyota Industries Corp 内燃機関の排ガス処理システム
CN102375865B (zh) * 2010-08-24 2016-08-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消息客户端的消息更新方法及消息客户端
DK2841183T3 (en) 2012-03-26 2018-08-27 Fluor Tech Corp EMISSION REDUCTION TO CO2 COLLECTION
US12128354B2 (en) * 2018-04-28 2024-10-29 M & R Consulting Service, Inc. Electrochemical nitrogen generator system and method
CN110261527B (zh) * 2019-06-25 2021-05-14 中国科学院青藏高原研究所 一种用于矫正雪冰中生物质燃烧指示物浓度的反应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9763A1 (de) * 1986-03-22 1987-09-24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inderung von stickoxiden in abgasen
US5020457A (en) * 1990-06-22 1991-06-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Destruction of acid gas emissions
JPH04305226A (ja) * 1991-01-25 1992-10-28 Senichi Masuda ガス中窒素酸化物の低減方法
US5526641A (en) * 1993-02-18 1996-06-18 The University Of Chicago NOx red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36158A (en) 2000-10-24
DE69723512D1 (de) 2003-08-21
DE69723512T2 (de) 2004-06-09
EP0824952A3 (en) 1999-06-09
EP0824952A2 (en) 1998-02-25
JPH10146515A (ja) 1998-06-02
KR19980018761A (ko) 1998-06-05
JP3086433B2 (ja) 2000-09-11
EP0824952B1 (en)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993B1 (ko) 코로나 방전 오염 물질 분해 장치에서의 NOx의 처리를 위한 연료 주입 시스템 및 방법
KR100277447B1 (ko) 코로나방전오염물파기장치의NOx감소방법
EP11174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exhaust gases
Chae Non-thermal plasma for diesel exhaust treatment
US6775972B2 (en)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KR100239598B1 (ko) 다단계 가스 오염물 제거 장치 및 방법
Anaghizi et al. The configuration effects of electrode on the performance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reactor for NO x removal
Vinh et al. Fundamental study of NOx removal from diesel exhaust gas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reactor
DE60304585T2 (de) System zur abgasbehandlung mit einem gasionisiersystem mit einspritzung von ionisierter luft
JPH06106025A (ja) 窒素酸化物分解装置のプラズマ反応容器
Nishanth et al. Plasma catalysis of diesel exhaust for NO X abatement: A feasibility study with red mud industrial waste
Penetrante et al. Fundamental limits on NOx reduction by plasma
KR100467800B1 (ko) 펄스형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동시제거방법
KR20020004396A (ko) 오존을 이용한 NOx 제거장치
Rajanikanth et al. Injection of N-radicals into diesel engine exhaust treated by plasma
Rosocha et al. Reactions of oxides of nitrogen (NO {sub x}) leading to the formation of nitric acid (HNO {sub 3}) in non-thermal plasmas (NTPs). White paper for the Strateg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SERDP)(Compliance Project CP-1038: Development of non-thermal plasma reactor technology for control of atmospheric emissions)
Penetrante et al. Application of non-thermal plasmas to pollution control
Yamamot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thermal plasma reactors for NO oxidation in diesel engine exhaust gas treatment
Nusca Reactions of Oxides of Nitrogen (NOx) Leading to the Formation of Nitric Acid (HNO3) in Non-Thermal Plasmas (NTPs): White Paper for the Strateg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SERDP) Compliance Project CP-1038," Development of Non-Thermal Plasma Reactor Technology for Control of Atmospheric Emissions"
Rosocha et al. LLGGLG LLLLLLGGG GGGGGGGG GGLL yTTTT
Yan Applications of Plasmas
JPH10249136A (ja) 燃焼排ガスのガス処理装置
Penetrante et al. Fundamental Limits on Chemical Reduction of NO
Yan 11.1 Overview of Nonthermal Plasma for Pollution Control
Rezaei et al. NON-THERMAL PLASMA TREATMENT OF AUTOMOTIVE EXHAUST G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02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