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2163B1 -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163B1
KR100272163B1 KR1019970077786A KR19970077786A KR100272163B1 KR 100272163 B1 KR100272163 B1 KR 100272163B1 KR 1019970077786 A KR1019970077786 A KR 1019970077786A KR 19970077786 A KR19970077786 A KR 19970077786A KR 100272163 B1 KR100272163 B1 KR 10027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rray
memory array
standby
b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7714A (ko
Inventor
윤세승
배용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163B1/ko
Priority to TW087108708A priority patent/TW397987B/zh
Priority to JP26358598A priority patent/JP3851000B2/ja
Priority to US09/222,853 priority patent/US6079023A/en
Publication of KR1999005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1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와 기준 전압에 응답하며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액티브 전압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 상기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대기 전압을 발생하는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과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인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지 않는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들을 구비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Description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tandby array voltage generator}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수의 대기용 어레이 전원 장치들로부터 다수의 뱅크들로 대기용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어레이 뱅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전압을 공급하는 장치 중의 하나가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및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이다.
도 1은 종래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111∼114), 제1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21∼124) 및 제1 내지 제4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31∼13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111∼114)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21∼124)과 제1 내지 제4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31∼134)에 의해 구동된다. 즉, 각 메모리 어레이 뱅크에는 하나의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와 하나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가 연결되어있다.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111∼114)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전하가 필요하며 이들 큰 전하를 제공하는 것이 제1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21∼124)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31∼134)은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111∼114)이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소량의 대기 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111∼114)에 상기 대기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은 수, 예컨대 한 개 또는 두 개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의 수와 동일한 4개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131∼134)을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가 많아지고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소모가 적은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의 회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의 회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스위칭 수단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와 기준 전압에 응답하며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액티브 전압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 상기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대기 전압을 발생하는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과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인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지 않는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은 각각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하고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상기 액티브 전압을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는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액티브는 논리 'H'이고, 상기 인액티브는 논리 'L'이고, 상기 스위칭 수단들은 각각 CMOS 전송 게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는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 제1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221∼224), 제1 내지 제4 스위칭 수단들(241∼244) 및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221∼224)은 각각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enable) 신호들(BANK_0∼BANK_3)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이 활성화되는데 필요한 전압을 발생한다. 예컨대,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H'로 액티브(active)되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활성화되어 소정의 전압(VINTA_0)을 출력하여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211)로 공급한다. 제2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들(BANK_1∼BANK_3)이 액티브되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액티브될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222∼224)은 활성화되어 소정의 전압들(VINTA_1∼VINTA3)을 출력하여 상기 제2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2∼214)로 공급한다.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는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을 동작 대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대기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수단들(241∼244)은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과 상기 대기용 어레이 발생 전압기(231)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수단들(241∼244)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들(BANK_0∼BANK_3)이 'L'로서 인액티브(inactive)될 경우에는 턴온(turn-on)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을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에 전달하고,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들(BANK_0∼BANK_3)이 'H'로서 액티브될 경우에는 턴오프(turn-off)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이 상기 제1 내지 제4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L'로써 인액티브되면 상기 제1 스위칭 수단(241)이 턴온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을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211)로 전달하고,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H'로써 액티브되면 제1 스위칭 수단(241)은 턴오프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2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와 같이 하나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에 4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211∼214)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4개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도 1의 131∼134)을 사용할 때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전력 소모가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는 기준 전압(VREFA)을 입력하는 차동 증폭기로 구성한다.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는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313)과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323)을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311)는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도록 해주는 전류원의 역할을 한다. NMOS 트랜지스터(312)는 기준 전압(VREFA)에 의해 게이팅(gating)되고, NMOS 트랜지스터(313)는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에 의해 게이팅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은 NMOS 트랜지스터(3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게이팅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3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H'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은 턴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3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L'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은 턴온된다. PMOS 트랜지스터(323)는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게이팅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H'이면 PMOS 트랜지스터(323)는 턴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L'이면 PMOS 트랜지스터(323)는 턴온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323)의 소오스들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311)의 소오스는 접지단(GND)에 연결된다.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에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은 턴오프 되어있다. 그러다가 기준 전압(VREFA)이 인가되어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지는 순간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은 턴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준 전압(VREFA)은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의 문턱 전압보다 높게 설정된다. NMOS 트랜지스터들(311,312)이 턴온되면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은 'L'로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323)가 턴온되어 상기 PMOS 트랜지스터(323)의 드레인에는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이 발생한다. 그러다가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A)보다 높게되면 NMOS 트랜지스터(313)는 NMOS 트랜지스터(312)보다 더 많이 턴온된다. 그러면 NMOS 트랜지스터(3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은 'L'로 낮아진다. 그로 인하여 PMOS 트랜지스터들(321,322)은 턴온되어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 전압은 'L'에서 'H'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323)는 턴오프된다. PMOS 트랜지스터(323)가 턴오프되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NMOS 트랜지스터(313)는 NMOS 트랜지스터(312)보다 적게 턴온된다. 그러면 다시 NMOS 트랜지스터(312)의 드레인 전압이 낮아져서 PMOS 트랜지스터(323)는 턴온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31)의 출력 전압(VINTA)은 상기 기준 전압(VREFA)이 계속 인가되는 한 상기 기준 전압(VREFA)과 동일한 레벨로 유지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기준 전압(VREFA)과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를 입력하는 차동 증폭기로 구성한다.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NMOS 트랜지스터들(411,412,413)과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423)을 구비한다.
NMOS 트랜지스터(411)는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에 의해 게이팅된다. 즉,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H'로 액티브되면 NMOS 트랜지스터(411)는 턴온되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41)를 통해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한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L'로 인액티브되면 NMOS 트랜지스터(411)는 턴오프되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동작하지 않는다.
NMOS 트랜지스터(412)는 기준 전압에 의해 게이팅(gating)되고, NMOS(413)는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에 의해 게이팅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은 NMOS 트랜지스터(4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게이팅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4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H'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은 턴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4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L'이면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은 턴온된다. PMOS 트랜지스터(423)는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게이팅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H'이면 PMOS 트랜지스터(423)는 턴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이 'L'이면 PMOS 트랜지스터(423)는 턴온된다.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423)의 소오스들에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411)의 소오스는 접지단(GND)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2의 211)를 활성화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는 'L'로써 인액티브 되어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인액티브 되어있으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은 'L'이다.
상기 기준 전압(VREFA)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에 관계없이 항상 인가되어있는 상태이다. 상기 기준 전압(VREFA)이 인가되어있고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0)가 인액티브 되어있으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는 동작이 중단된 상태이다. 그러다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액티브되어 NMOS 트랜지스터(411)의 문턱 전압보다 높아지는 순간 NMOS 트랜지스터(411)는 턴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준 전압(VREFA)은 NMOS 트랜지스터들(411,412)의 문턱 전압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411)가 턴온되면 NMOS 트랜지스터(412)도 턴온되어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은 'L'로 되므로 PMOS 트랜지스터(423)가 턴온되어 상기 PMOS 트랜지스터(423)의 드레인에는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이 발생한다. 그러다가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이 점점 증가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A)보다 높게되면 NMOS 트랜지스터(413)는 NMOS 트랜지스터(412)보다 더 많이 턴온된다. 그러면 NMOS 트랜지스터(413)의 드레인에 발생하는 전압은 'L'로 낮아진다. 그로 인하여 PMOS 트랜지스터들(421,422)이 턴온되어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 전압은 'L'에서 'H'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423)는 턴오프된다. PMOS 트랜지스터(423)가 턴오프되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NMOS 트랜지스터(413)는 NMOS 트랜지스터(412)보다 적게 턴온된다. 그러면 다시 NMOS 트랜지스터(412)의 드레인 전압이 낮아져서 PMOS 트랜지스터(423)는 턴온되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의 출력 전압(VINTA_0)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액티브 되어있는 한 상기 기준 전압(VREFA)과 동일한 레벨로 유지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2 내지 제4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222∼224)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221)와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스위칭 수단(241)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 수단(241)은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에 소오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에 드레인이 연결되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에 의해 게이팅되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수단(241)은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L'로써 인액티브되면 턴온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을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하고,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H'로써 액티브되면 턴오프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칭 수단(241)은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에 출력단이 연결되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에 의해 게이팅되는 전송 게이트로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수단(241)은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L'로써 인액티브되면 턴온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을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하고,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_0)가 'H'로써 액티브되면 턴오프되어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21)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되고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가 비활성화되면 즉, 대기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되지 않지만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의 출력 전압(VINTA)은 상기 제1 메모리 어레이 뱅크(도 2의 211)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도 2의 231)에 4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도 2의 211∼214)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4개의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도 1의 131∼134)을 사용할 때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전력 소모가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크기도 감소된다.

Claims (5)

  1.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와 기준 전압에 응답하며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액티브 전압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
    상기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대기 전압을 발생하는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및
    상기 다수개의 메모리 어레이 뱅크들과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며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인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상기 대기 전압을 대응되는 메모리 어레이 뱅크로 공급하지 않는 다수개의 스위칭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들은 각각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하고 각각 상기 메모리 어레이 뱅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될 때 상기 액티브 전압을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어레이 전압 발생기는 상기 기준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는 논리 'H'이고, 상기 인액티브는 논리 '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들은 각각 CMOS 전송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9970077786A 1997-12-30 1997-12-30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7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786A KR100272163B1 (ko) 1997-12-30 1997-12-30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TW087108708A TW397987B (en) 1997-12-30 1998-06-03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tandby array voltage generator
JP26358598A JP3851000B2 (ja) 1997-12-30 1998-09-17 半導体メモリ装置
US09/222,853 US6079023A (en) 1997-12-30 1998-12-30 Multi-bank memory devices having common standby voltage generator for powering a plurality of memory array banks in response to memory array bank enable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786A KR100272163B1 (ko) 1997-12-30 1997-12-30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714A KR19990057714A (ko) 1999-07-15
KR100272163B1 true KR100272163B1 (ko) 2000-11-15

Family

ID=1952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7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2163B1 (ko) 1997-12-30 1997-12-30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79023A (ko)
JP (1) JP3851000B2 (ko)
KR (1) KR100272163B1 (ko)
TW (1) TW3979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6262B2 (en) 2009-09-25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channel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for controlling direct current generators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1608218B1 (ko) * 2009-05-29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5850B2 (ja) * 2000-01-17 2009-05-2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交換機、ホームメモリ・ノード装置および関門交換機
US6434044B1 (en) * 2001-02-16 2002-08-13 Sandisk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supply voltages in memory systems
JP2003100075A (ja) * 2001-09-25 2003-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20030173828A1 (en) * 2002-02-27 2003-09-18 Bachinski Thomas J. Standby power generation system, unit, and method
US6862238B1 (en) * 2003-09-25 2005-03-01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system with reduced refresh current
KR100665408B1 (ko) * 2004-11-08 2007-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차동 증폭기 제어회로
KR100616199B1 (ko) * 2004-12-06 2006-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발생 제어회로 및 방법
US7158434B2 (en) * 2005-04-29 2007-01-02 Infineon Technologies, Ag Self-refresh circuit with optimized power consumption
KR100733420B1 (ko) * 2005-06-30 2007-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06830B1 (ko) * 2005-10-19 2007-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액티브 구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95014B1 (ko) 2006-09-13 2008-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전압 발생기
KR100816729B1 (ko) 2006-09-28 2008-03-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어전압 생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95026B1 (ko) 2006-12-22 2008-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8159145A (ja) * 2006-12-22 2008-07-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
JP2008159128A (ja) * 2006-12-22 2008-07-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
TWI326456B (en) * 2007-03-30 2010-06-21 Nanya Technology Corp Memor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885491B1 (ko) 2007-03-31 2009-0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위전압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8117398B2 (en) * 2008-01-18 2012-02-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fetch termination at powered down memory bank boundary in shared memory controller
JP2012146377A (ja) 2011-01-14 2012-08-0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US9026808B2 (en) * 2012-04-26 2015-05-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with word level power gating
US9317087B2 (en) 2012-04-26 2016-04-19 Ravindraraj Ramaraju Memory column drowsy control
KR102192481B1 (ko) * 2012-10-12 2020-12-17 에버스핀 테크놀러지스, 인크. 감소된 칩-상 노이즈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KR20150037055A (ko) * 2013-09-30 2015-04-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6461422B2 (ja) * 2015-09-09 2019-01-30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20210111565A (ko) 2020-03-03 2021-09-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907A (en) * 1987-12-03 1990-06-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5212797A (en) * 1988-02-24 1993-05-18 Fuji Photo Film Co., Ltd. Multiple CPU system including automatic power supply restoration following instantaneous shutdown
JPH03290895A (ja) * 1990-04-06 1991-12-20 Sony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20013458A (ko) * 1990-12-12 1992-07-29 김광호 차동감지 증폭회로
US5404543A (en) * 1992-05-29 1995-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n amount of power utilized by selecting a lowest power mode from a plurality of power modes
JPH0620471A (ja) * 1992-06-30 1994-01-28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型ram
JPH06282985A (ja) * 1993-03-30 1994-10-07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型ram
JP2838967B2 (ja) * 1993-12-17 1998-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型半導体装置用パワーカット回路
US5737566A (en) * 1993-12-20 1998-04-07 Motorola, Inc.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 memory with both a high speed operating mode and a low power operating mode and method therefor
JPH07220472A (ja) * 1994-01-31 1995-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部電源回路
KR100299254B1 (ko) * 1994-10-19 2001-09-03 피터 엔. 데트킨 플래시메모리용전압공급기
KR0152905B1 (ko) * 1994-11-15 1998-12-01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전압 발생회로
US5615162A (en) * 1995-01-04 1997-03-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ive power to memory
US5765002A (en) * 1995-03-13 1998-06-0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 microprocessor controlled storage device
KR0142963B1 (ko) * 1995-05-17 1998-08-17 김광호 외부제어신호에 적응 동작하는 승압회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213208B2 (ja) * 1995-06-22 2001-10-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69300A (ja) * 1995-06-23 1997-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604709A (en) * 1995-08-07 1997-02-18 Apple Computer, Inc. Persistent data storage which utilizes a shared power supply
JPH09167488A (ja) * 1995-12-18 1997-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591107B2 (ja) * 1996-01-19 2004-11-17 富士通株式会社 電源降圧回路及び半導体装置
US5663919A (en) * 1996-02-28 1997-09-0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with regulated power supply control
US5901103A (en) * 1997-04-07 1999-05-04 Motorola, Inc. Integrated circuit having standby control for memory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218B1 (ko) * 2009-05-29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8526262B2 (en) 2009-09-25 2013-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channel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for controlling direct current generators and memory system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714A (ko) 1999-07-15
JP3851000B2 (ja) 2006-11-29
US6079023A (en) 2000-06-20
TW397987B (en) 2000-07-11
JPH11203876A (ja) 199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163B1 (ko) 대기용어레이전압발생기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US5399920A (en) CMOS driver which uses a higher voltage to compensate for threshold loss of the pull-up NFET
US6058063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requirements during standby mode operation
US6031778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133752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tri-state logic gate circuit
KR0155078B1 (ko) 강전계용의 mos 회로를 갖춘 반도체 회로
KR940007003B1 (ko) 프로그래머블형 논리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되는 기억회로
KR940018864A (ko) 반도체 장치
KR940012398A (ko) 집적회로 메모리용 감지 증폭기, 집적회로 메모리 및 집적회로 메모리 감지 증폭기 작동 방법
US6222384B1 (en) Level shifter circuit
KR950006850A (ko) 선택기 회로
KR100471737B1 (ko) 출력회로,누설전류를감소시키기위한회로,트랜지스터를선택적으로스위치하기위한방법및반도체메모리
US7359277B2 (en) High speed power-gat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orporating a sleep mode of operation
US6087891A (en) Integrated power supply voltage generators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parasitic latch-up during set-up mode operation
KR950001772A (ko) 반도체 기억장치
US10103732B1 (en) Low power voltage level shifter circuit
KR950010063A (ko) 바이폴라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되고 안정된 감지 증폭기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소자
KR10085027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발생회로 및 사용 전압공급방법
KR930011433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EP046446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268748B1 (en) Module with low leakage driver circuits and method of operation
US6570811B1 (en) Writing operation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using the same
KR100301807B1 (ko) 전류센스앰프
KR19980037415A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전압 발생회로
KR100486200B1 (ko) 반도체장치의비트라인전압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8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