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3389B1 -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 Google Patents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389B1
KR100273389B1 KR1019960700815A KR19960700815A KR100273389B1 KR 100273389 B1 KR100273389 B1 KR 100273389B1 KR 1019960700815 A KR1019960700815 A KR 1019960700815A KR 19960700815 A KR19960700815 A KR 19960700815A KR 100273389 B1 KR100273389 B1 KR 100273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saccharide
composition
aging
group
cosm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뜨 라디슬라스
로베르뜨 알렉산드르
모짜르 엘레메
Original Assignee
가리노아 죠지아
알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리노아 죠지아, 알오씨 filed Critical 가리노아 죠지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3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비환원위치에 갈락토즈가 위치하며,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올리고당 포함하거나, 또는 소수성 잔기를 포함하는 상기 올리고당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노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노화 발현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비환원 말단 위치에 D-갈락토즈를 가지는 올리고당류, 및 섬유아세포(fibloblast)의 에라스타제에 합성 및/또는 분비의 조절자로서 작용하는 상기 올리고당류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결합조직은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을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의 생합성적 활성으로부터 초래되는 결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Labat-Robert, J.,등 Elsevier Science Publisher B.V.,248: 386-393, 1990).
상기 세포외간질은 4종류의 거대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피부의 섬유성 물질을 구성하는 콜라겐 및 에라스틴, 세포 및 세포외 간질간의 접합을 제공하고 탄성조직의 미세섬유(microfibrillary) 물질을 제공하는 당단백질(glyco-protein), 및 조직의 수화 및 분자유동 그리고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단백질당(proteoglycan)이다.
에라스틴은 섬유아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복합 수용체로서 탄수화물의 결합 장소를 포함하는 67 kD의 소단위체(subunit)를 가진다. Hinek 등(Science 239, 1539-1541, 1988)은 리간드가 엘리스틴 또는 에라스틴의 펩타이드로 구성되는 친화 컬럼상에서 상기 에라스틴 수용체의 67 kD의 소단위체가 부동화되었을 때, 락토즈(lmM)는 상기 67kD 단백질을 용출할수 있다는 것과, 갈락토즈는 67kD 단백질이 에라스틴에 결합하는 것을 대체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갈락토즈를 포함하지 않는 올리고당류는 상기 에라스틴 친화 칼럼에 결합된 67kD 단백질을 용출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그 저자는 에라스틴 수용체가 갈락토즈에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는 단백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상기 에라스틴은 용해 상태 또는 불용 상태에서, 엔도프로테아제(endoproteases), 특히 에라스타제에 의한 가수분해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종류의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엔도프로테아제가 세분화되어 있고, 이러한 상이한 엔도펩타이드 가수분해 및 특성에 대해서는 1977년에 Barrett등에 의해 고찰되었다(Barrett, A.J. Eds., North Holland, Amsterdam).
이러한 에라스타제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엔도펩티다제로서, 이들의 성질들이 철저하게 연구되고 있는 중이다. 하기 논문은 이러한 특성들을 서술하고 있는 바, 그의 내용은 본 발명에서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고 있다:
- Bieth J. (1978) "에라스타제: 구조, 기능 및 병리학적 역할". Front, of Matrix Biol. Cis.:1-82; 및
- Homy R등 (1988)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 에라스타제 활성의 특성". Journ. Invest. Dermatol. 91:472-477.
에라스타제 형태의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조직의 탄성섬유는 물론, 콜라겐 섬유나 당단백질, 예를 들어, 피브로넥틴과 같은 다른 구성성분을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류의 현상은 세포노화의 현상 가운데 나타난다; 많은 연구 결과 이러한 류의 효소의 합성 및 축적이 노화 과정중에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하기와 같은 연구가 있었다.
-Labat-Robert, J. 등, Ann. New York Acad. Sci. (1992), 673: 16-22
-Robert, J. sang Thrombose Vaisseaux (1991), 3:267-330,
-Robert, L. Pathol. Biol. (1988), 36:1101-1107.
이러한 동일한 단백질 분해효소 및 내펩타이트분해효소는 또한 다른 기관의 간질 구성성분, 예를 들어, 폐의 에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고 따라서 농흉을 야기하거나, 또는 동맥의 엘라스틱 라미나 및 정맥의 에라스틴 및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어서 따라서 혈관 질병: 동맥 및 정맥류성 정맥 경화증으로 발전을 촉진하게 된다. 모든 이러한 병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빈도 및 그 정도에 있어서 심각해진다.
동일한 종류의 다른 엔도펩티다제(Zn 메탈로엔도펩티다제)는 심각한 동맥 고혈압을 개시하는 불활성 앙기오텐신(angiotensin) Ⅰ 및 Ⅱ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엔케프탈리나제, 즉 동일한 종류의 다른 Zn 엔도펩티다제는 엔케프탈린의 기능작용을 방해하며, 과량으로 존재하는 정도에 따라서, 뇌기능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상이한 기질에 작용하며 매우 다양한 병인을 유발하는 모든 엔도펩티다제의 공통점은 그들이 Zn-함유 활성 장소를 가지며 모두 세포막에 결합된다는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에라스타제 경우가 논의될 것이나, 주어질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 및 치료 원리는 다른 엔도펩티다제 및 다른 병리에 대하여도 유효하며 상기에 대하여 제한됨이 없다.
본 발명은 결합조직의 노화 발현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비환원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함유하며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진 올리고당 또는 그러한 올리고당의 유도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당 또는 그 유도체가 화장품 및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성분과 양립할 수 있는 담체화 결합되어 피부 노화 발현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결합조직의 섬유성 스트로마에 대하여 특정 병리, 특히 심장병을 수반하는 가속화된 노화의 발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환원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가지는 올리고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피부노화 또는 결합조직의 섬유성 스트로마에 있어서 가속화된 노화의 발현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참가하는 올리고당류는 바람직하게는 락토즈, 멜리비노즈, 스타치오즈 또는 이러한 당 또는 이의 혼합물의 유도체이다; 올리고글리코시드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갈락토즈-n(α 또는 β)-(X)m'
상기식에서 n은 1,2,3,4 또는 6의 위치를 나타내고, X는 상기 α 또는 β 형상과 관련된 5탄당 또는 6탄당을 나타내며 n'는 1 과 5 사이의 수 이고; 상기 올리고당류는 하기의 범주내에 있다; a)-상기 식에 상응하는 글리코시드: (Ⅰ) 올리고글리코시드 1-O-R, 여기서 R은 1 내지 18개 탄소수를 가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잔기이며, (Ⅱ) 올리고글리코시드 1-O-R-O-1-올리고글리코시드, 여기서 R=(CH2)n'n은 2내지 10이고, b)-올리고글리코시드가 바람직하게는 락토즈, 멜리비노즈 또는 스타치오즈인 하기식의 하나에 따르는 아실화된 글리코실아민;-하기 식의 하나에 상응하는 아실화된 글리코사민류; (Ⅲ) 올리고글리코시드 1-NH-CO-R 여기서 R은 2내지 18개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 잔기로서 0, 1 또는 2 개의 이중결합을 가지며, (Ⅳ) 올리고글리코시드 1-NH-CO-R-NH-1-올리고글리코시드, 여기서 R=(CHn)n'이고 n은 2내지 8이고 c)-올리고글리코시드의 산화에 의해 수득한 알돈 산으로 아실화된 알킬아민, (Ⅴ) 올리고글리코시드 -CO-NH-R, 여기서 R은 식(Ⅲ)에서와 같고, (Ⅵ)올리고글리코시드 CO-NH-R-NH-CO-올리고글리코시드, 여기서 R은 식 (Ⅲ)에서와 같고, d)-또는 하기 식의 하나에 상응하며, 지방족 모노 또는 디아민을 가진 올리고글리코시드에 의해 생성된, 쉬프(Schiff) 염기의 환원 생성물: (Ⅶ) Gal-(X)n-X-HN-R, (Ⅷ) Gal-(X)n-X-HN-R-HN-X-(X)n-Gal, 여기서 X는 6탄당 또는 5탄당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x는 1-NH2-hexitol 이고 및 R은 (Ⅲ)에서와 같다.
이러한 올리고당류 또는 상술한 이들의 유도체 모두는 적어도 섬유아세포 배양중에 에라스타제의 적어도 20%의 합성 및/또는 분비 감소를 나타내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이러한 세포의 자체는 물론 이러한 세포의 배양액에서의 측정 가능한 효소적 활성의 감소에 있어 명백히 나타난다.
사용된 방법은 표준 조건하에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고, 합성 기질(N-석시닐트리알라닐-파라-니트고아닐라이드)을 이용하여 비색법으로써 배양물의 에라스타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합성 기질을 사용하여, 에라스타제의 엔도펩티다제의 생합성이 섬유아세포가 연속적으로 통과할 동안 증가한다는 것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헤이플릭(Hayflick)의 모델에 따른 시험관내 노화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1980, Cell Adding In.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Springer, New York 1:26-67); Labat-Robert J. 등 (1988, Expert Gerontol. 23:5-18).
효소학적 활성은 근본적으로 세포막과 연관되어 있으며 섬유아세포의 트립신화 후에 용해 분획물로서 수거될 수 있다.
총 활성의2 내지 10%는 배양액으로 회수될 수 있고 나머지는 세포 잔기에 연합되어 있고 청정제(detergent)를 사용하여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올리고당 또는 상술한 이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인체 섬유아세포 특히 피부 섬유아세포 상에 존재하는 에라스틴 수용체를 통하여 섬유아세포로부터 에라스타제 유형의 단백질 분해요소의 합성 및 분비를 조절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절은 피부 노화의 발현, 또는 엔도펩티다제의 과량존재로 인한 병리와 연관된 가속화된 노화의 발현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가진다.
사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라스틴 수용체의 67 kD 소단위체는 락토즈 또는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포함하는 올리고 또는 다당류 구조를 가진다(Labat-Robert, J. 등, 상기 문헌 및 Mecham, R.P. 등 1989, Biochem. 28:3716-3722).
본 발명의 조성물에 참가하는 올리고당 유도체는 후에 설명될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생물학적 배지, 특히 우유, 혈액 또는 태반 또는 교호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 보조적인 칼락토시드를 함유하는 벌꿀과 같은 천연 생성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R. Siddiqui, in Advance in Carbohydrate Chemistry and Biochemistry, Ed: D. Horton, Vol. 49, pp.285-309). 상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는 따라서 통상적인 방법(Frontiers of Matrix Biology(1985), vol. 10, S. Kargar 편집)으로 추출되어 효소적 분해 또는 화학적 가수분해를 거쳐 마지막으로 연관 화합물이 염분 침전 또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라피 또는 세파로즈 겔 상에서의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거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환원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포함하는 2 내지 5개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는 올리고당 또는 이의 유도체를 상기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0.5 내지 6 중량%으로 허용 담체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학적으로 및/또는 화장학적으로 피부노화의 예방과 치료에 유리하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에라스타제의 비정상적인 합성과 연관된 특정 병리, 특히 중흉, 동맥 및 정맥류 정맥의 경화증을 수반하는 결합조직의 섬유성 스트로마에 대하여 가속화된 노화 발현의 치료 또는 예방용 그리고 결국 에라스타제 유형의 엔도펩티다제가 앙지오텐신 Ⅰ 및 앙지오텐신 Ⅱ의 활성화에 관여할 때 동맥 고혈압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도는 올리고당 또는 비환원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가지는 올리고당 유도체를 약학적 허용 담체에 조합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올리고당 유도체가 소수성 잔기를 가질 때, 유리한 담체는 리포좀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는 유도체의 글리코시드 부분이 표면으로 향하게 한다.
하기 상세한 실시예에서,15 내지 25 번 통과된 인체 섬유아세포로부터 에라스타제의 합성 및 분비에 대한 락토즈, 멜리비노즈, 스타치오즈 및 이의 유도체의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처리된 세포는 Hayflick의 모델(상기 참조)에 따라서 노화 상으로 진입하는 세포이고 따라서 시험관내 노화 모델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당 유도체의 투여를 통하여 그러한 시스템에서의 에라스타제의 합성 및 분비 감소가 관찰되는 것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에라스타제의 합성 및 분비의 증가는 이러한 섬유아세포의 노화와 연관된 현상이기 때문에 항 노화 화합물의 효과의 지표이다.
이러한 예는 피부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섬유아세포 및 갈락코시드에 대한 친화력를 가지는 67 kD 소단위체을 포함하는 에라스틴 수용체를 그들의 세포막에 가지는 다른 내피 세포, 평활근 세포 및 백혈구로 일반화될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16 내지 24세 여성의 유방 성형수술에 취한 피부 생검사로부터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를 얻었다.
90/10% 산소/질소 대기하, 35x10 mm 크기의 NUNCLON-DELTA 플라스틱 병에 담긴 10%의 송아지 혈청, 200 ㎍./ml의 페니실린 및 200 units/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가지는 Dulbecco 변성 Eagle 배지(DMEM)에서 상기 세포를 배양하였다.
실험을 18 번째와 21번째 통과 사이에서 실시하였다. 이는 이러한 수준에서 에라스타제 활성이 증가하고 세포의 노화상태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실험 24시간 전에, 배지를 회수하고 락토즈를 10 mM의 최종농도를 가지는 새로운 DMEM 배지를 첨가하였다.
특정한 시간 간격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층을 배지에 첨가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로 2번 세정하였다.
다음 세포층을 트립신(Worthington)을 20 ㎍ 농도로 포함하는 새로운 PBS 1㎖로 37℃에서 5분간 처리한 후, 4℃에서 100 g로 원심분리하였다.
PBS 1ml로 세정한후 세포 잔기를 Triton x-100 0.1% 를 포함하는 0.1M Tris-HCl 완충액 pH 7.4, 1ml에 현탁하고 Potter 분쇄기에서 분쇄하였다.
상기 현탄액의 상청액을 세포와 관련된 효소활성을 결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에라스타제 유형의 효소 활성에 대한 결정은 디메틸포름아미드에 125 mM로 용해된 N-숙시닐-트리알리닐-파라-니트로아닐리드(N-suc-ala3p-Na)를 Bieth, J 1978 (상기 참조)에 설명된 기술에 의한 세포 추출 분취물(aliquot)에 첨가함으로써 실행되었다.
배양액에 대하여는, 56μl 를 0.1 M Tris-HCl 완충액 pH 7.8, 890μl및 기질 용액 10㎕에 첨가하였다.
트립신 처리물 또는 세포잔기 50㎕를 트리스 완충액 940㎕ 및 기질 10 ㎕에 첨가하였다.
배양액에 대해서는 37℃에서 3시간 동안, 트립신 처리물 및 세포 잔기에 대해서는 1 시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기질에 대한 효소의 작용을 통하여 띠게된 노란색의 광학 밀도를 분광분석기 로 450nm에서 측정된다.
모든 실험은 4내지 6개의 배양물에 대하여 병행적으로 실시되고 지원자에 대한 t-시험에 의해 평균값을 통계적으로 비교한다.
효소 활성(EA)은 단위시간당 106세포수에서의 가수분해된 기질의 nM로 나타내며,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상기식에서, OD는 광학밀도이고, N은 반응 부피에서의 세포수이고, T는 항온처리 시간이고, 8.8은 두께 1cm의 세포에서 기질의 몰용액의 OD에 상응하는 몰소멸 계수이다.
하기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섬유아세포의 에라스타제 활성의 변경에 대한 갈락토즈 및 그 유도체의 효과가 에라스틴 펩타이드: 카파-에라스틴 (KE)에 의한 이러한 활성의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연구되었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황소의 목 인대로부터 취한 에라스틴을 수성 에탄올에서의 알카리 가수분해, 즉 Robert L. 및 Poullain N.(Etudes sur la structure de l'elastine et le mode d'action de l'elastase. I. Nouvelle methode de preparation de derives solubles de l'elastine[에라스틴의 구조 및 에라스타제 I에 활동 유형에 관한 연구, 엘리스틴의 용해성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Bull. Soc. Chim. Biol. 45:1317-1326(1963))에 의해 준비되었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펩타이드는 에라스틴 수용체에 대한 적용제의 특성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이것이 존재함으로써 배양액에서 섬유아세포의 에라스타제 활성 증가를 야기한다.
하기 표 1은 20번째 통과시 인체 섬유아세포의 에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κ-에라스틴 1mg/라멜라의 작용기전을 시간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표 1]
24시간 잠복기후에 배양액(분비)에서 에라스타제 활성의 큰 증가가 감지된다. 동일 시간에 트립신 처리물의 막 활성은 떨어진다. 따라서 배양액에서의 활성 증가는 막 효소의 배양액으로의 방출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실시예 1]
[락토즈 작용 연구]
사용된 락토즈의 농도는 10mM 또는 3.6 mg/ml이다. 하기 표 2는 21번째 통과시 인체 섬유아세포의 에라스타제 활성 및 유리 형태, 막 형태 (트립신 처리물) 및 세포와 결합된 형태(Triton 효과 이후) 간의 분배에 대한 10 mM 락토즈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활성은 106세포에 대하여 103/hr을 곱한, 가수분해된 기질의 광학 밀도로서 나타낸다.
4개의 동일한 측정을 상이한 배양물 상에 실시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3개의 분리물 사이의 활성 분배는 총량의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이와 유사하게, 락토즈에의한 저해 정도도 락토즈 부재시의 동일 활성의 백분율로서 나타낸다.
[표 2]
상기 표에서는 총 활성의 55% 감소 및 상기 3개 분획물에서 효소활성 분배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배양액에서 측정된 유리 효소는 대조물과 비교할 때 66% 감소하고 있고, 트립신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막에 붙은 효소는 74% 감소한 반면 잔여(세포상) 활성은 대조물과 심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막과 연합된 및 배지로 방출된 활성의 이러한 선택적 저해로 인하여 총 활성이 분배되는 것이 변경된다.
대조물 배양에 있어서, 총 활성의 대부분은 세포 막과 연합하여 있고(61%),트립신에 의해 방출될 수 있으며; 락토즈로 처리된 배양물에 있어서는 총 활성의 35% 만이 트립신에 의해 방출되고 58%가 세포 잔기와 연합하고 있다.
따라서, 락토즈는 효소의 합성과 방출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2]
[엘라스토즈의 합성에 대한 멜리비오즈 작용 연구]
멜리비오즈를 락토즈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10 mM의 농도 즉 3.4 mg/m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한다.
상기 배지에서 멜라비오즈는 효소 활성에 있어서 대조물과 비교하여 약 60% 감소를 가져오며, 트립신 처리물에서는 80% 감소를 야기시키며 세포 펠렛에서는 약 간의 감소를 가져온다. 총 효소활성은 50% 감소된다.
[실시예 3]
[스타치오스의 작용]
스타치오스는 Methods of Carbohydrate Chemistry I p. 368-369, Academic Press, 1962에 설명된 M.L. Wolfrom 및 A.Thompson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4탄 당이다. 스타치오스를 10mM 즉 6.6 mg/ml의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이것은 대조물에 비하여 트립신 처리물에서 효소 활성을 30% 감소시켰으나 배양액에서는 약간 증가시켰다.
카파 에라스틴이 1mg/ml 농도로 존재시 스타치오스는 카파 에라스틴 단독의 효과에 비하여 배양액에서 현저하게 효소 활성을 감소시킨다(52%). 트립신 처리물에서는 카파-에라스틴 단독의 효과에 비해서 32%의 증가가 관찰된다. 펠렛에서의 효소 활성은 현저히 변화하지 않는다.
[실시예 4]
[올레오일락토실아민의 작용]
올레오일락토실 아민은 식 X의 화합물이며 그 합성은 새로운 것이다.
a)올레오일락토실아민의 합성:
1-아미노락토즈는 올레오일 클로라이드와 반응하여 하기 식의 락토비오닐-올레오일아민을 생성한다:
락토실아민 3.3 g을 메탄올 30ml에 80℃에서 용해시키고 디에틸아민 1.2g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4g을 교반하면서 30℃가 넘지않는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HCI로 혼합물의 pH를 3으로 조절한다. 헵탄으로 추출하여 올레산을 제거한다. 수성 메탄올 상을 산성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칼럼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서 제거하였다.
수득한 생성물은 아직 약 20%의 락토즈를 가지고 있다. 올레오일락토실아민은 옥틸-세파로즈 칼럼상에서 정제될 수 있다.
Rf=실리카상 (MeOH 박막), 0.8 (클로로포롬/메탄올 1:1, v/v).
b) 섬유아세포의 숙성 배양물에 대한 효과
올레오일락토실아민을 0.5 mM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 농도에서, 올레오일락토실아민은 트립신 처리물에서 약간의 활성증가를 나타내며 세포 펠렛에서는 약20%의 감소를 보인다.
[실시예 5]
[디멜리비오니틸디아미노헥산의 작용]
a) 디멜리비오니틸디아미노헥산의 제조
상기 생성물은 하기 설명된 새로운 기술로 합성되었다. 멜리비노즈 374 mg(1.1 mM 및 디아미노헥산 116 mg(0.5 mM)을 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8,5 ml에 용해하고 이것에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270 mg (4.4 mM )를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1일 동안 정치한 후 37℃에서 2일 동안 가열한다. 이 용액을 산성 이온 교환기(H+)에 통과시키고 물고 세척한다.
상기 물질은 0.5 M 암모니아 용액으로 용출시키고 이 용액을 동결건조시킨다. 수율은 디멜리비노니틸디아미노헥산 200 mg이다. 실리카상 Rf=0.2(부탄올/아세트산/물, h=1.1).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도는 이멜리비오니틸디아미노헥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반응의 개요이다.
b) 인체 섬유아세포의 배양물의 효소 활성에 대한 디멜리비오니틸디아미노헥산의 작용
배양액에서 효소활성 증가가 관찰되며 트립신처리물에서는 대조물에 대하여 40% 감소된다. 카파 에라스틴 존재하에, 활성은 배양액에서 71% 감소하며, 트립신 처리물에서는 증가가 없다. 이와 반대로, 세포 펠렛에서 회복된 활성은 카파 에라스틴 단독의 작용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며 대조물의 값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c)다양한 효과의 비교
표 3은 인체 섬유세포의 에라스타제 활성에 재한 다양한 갈락토시트 유도체로 얻은 전체적인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표 5]
LO아민=락토비오닐올레닐 아민
ML아민=미리스토일락토실 아민
MBA=멜리비온 산
DMDAH=디멜리비오니토일디아미노헥산
MDH=디멜리비이틸이아미노헥산
상기 밑줄친 유도체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것 들이다.
[실시예 6]
[누드(nude) 쥐에 있어서 락토즈 및 멜리비오 효과]
두 그룹의 쥐를 하나는 락토즈 또는 멜리비오즈로 처리하고 다른 하나는 위 약으로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쥐에 3 MED(최소 홍반성 투여량)의 양을 조사했다.
에라스타제 활성의 분석은 조사된 래트로부터 취한 생검사에서 재료 및 방법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Claims (12)

  1.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고 갈락토오스가 포함된 락토오스, 멜리비오즈 및 스타키오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상기 올리고당이 소수성 잔기로 치환된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도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결합조직의 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고 갈락토오스가 포함된 락토오스, 멜리비오즈 및 스타키오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상기 올리고당이 소수성 잔기로 치환된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도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결합조직의 섬유성 스트로마의 분해에 포함되는 에라스틴용 세포막 수용체를 저해할 수 있는 조성물의 제조용 활성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의 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3.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고 갈락토오스가 포함된 락토오스, 멜리비오즈 및 스타키오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상기 올리고당이 소수성 잔기로 치환된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도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결합조직의 노화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화장학적 또는 미용학적 노화억제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노화 발현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화장학적 피부미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활성 성분으로서의 상기 올리고당 또는 그 유도체를 국소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담체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의 화장학적 또는 미용학적 노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이 멜리비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의 화장학적 또는 미용학적 노화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6.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는 멜리비오즈 및 스타키오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상기 올리고당에 소수성 잔기가 포함된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도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0.5 내지 6%(w/v) 포함하고 생물학적으로 혼화성이 있는 부형제와 혼합되어 있는 국소투여용 피부미용 조성물.
  7. 제7항에 있어서, 멜리비노즈, 스타키오즈 및 이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리고당을 활성물질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투여용 피부미용 조성물.
  8.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고 비환원성 말단에 갈락토오스가 포함된 락토오스, 멜리비오즈 및 스타키오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상기 올리고당이 소수성 잔기로 치환된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도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결합조직의 노화방지 및 치료용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9. 멜리비오즈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10. 올리고당 유도체를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7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비환원 말단 위치에 갈락토즈를 포함하는 2 내지 5개의 글리코시드 잔기를 가지는 락토오스, 멜리비오즈, 스타키오즈, 올레오일락토스아민 및 디멜리비오티닐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올리고당 또는 그 유도체를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 내지 6 %(w/v)의 양으로 국소 투여용 담체에 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당 또는 이것의 유도체를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4 %(w/v)의 양으로 국소 투여용 담체에 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노화 에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60700815A 1993-08-17 1994-08-16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Expired - Lifetime KR100273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10054 1993-08-17
FR9310054A FR2709061B1 (fr) 1993-08-17 1993-08-17 Utilisation d'oligosaccharides dans la prévention et le traitement du vieillissement des tissus.
PCT/FR1994/001008 WO1995005155A1 (fr) 1993-08-17 1994-08-16 Utilisation d'oligosaccharides dans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u vieillissement des tiss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389B1 true KR100273389B1 (ko) 2001-02-01

Family

ID=945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815A Expired - Lifetime KR100273389B1 (ko) 1993-08-17 1994-08-16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910490A (ko)
EP (1) EP0714284B1 (ko)
JP (1) JPH09501672A (ko)
KR (1) KR100273389B1 (ko)
CN (1) CN1131389A (ko)
AT (1) ATE199827T1 (ko)
AU (1) AU699585B2 (ko)
BR (1) BR9407305A (ko)
CA (1) CA2169621C (ko)
CZ (1) CZ292029B6 (ko)
DE (1) DE69426932T2 (ko)
DK (1) DK0714284T3 (ko)
ES (1) ES2155478T3 (ko)
FI (1) FI960585L (ko)
FR (1) FR2709061B1 (ko)
GR (1) GR3035907T3 (ko)
HU (1) HUT75337A (ko)
NZ (1) NZ271685A (ko)
PL (1) PL179432B1 (ko)
PT (1) PT714284E (ko)
SK (1) SK18296A3 (ko)
WO (1) WO1995005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9556B1 (fr) * 1995-10-04 1998-01-09 Oreal Utilisation de carbohydrates pour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FR2762783B1 (fr) * 1997-05-02 2002-09-13 Roc Sa Utilisation d'oligosaccharides pour le traitement du tissu conjonctif et methode de traitement cosmetique mettant en oeuvre ces oligosaccharides
US7452545B2 (en) * 2001-11-13 2008-11-18 Yu Ruey J Oligosaccharide aldonic acids and their topical use
FR2795956B1 (fr) * 1999-07-06 2006-07-14 Inst Evaluation Dermatophysiqu Composition cosmetique pour ameliorer l'elasticite de la peau et lutter contre son vieillissement
FR2811228B1 (fr) 2000-07-07 2002-10-25 Lvmh Rech Utilisation d'oligosaccharides ou d'extraits de plantes en contenant comme agent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notamment pour stimuler la production de beta-endorphine dans la peau
EP1399553A2 (en) 2000-12-12 2004-03-24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Polynucleotides encoding cellular transporters and methods of use therof
US20030082647A1 (en) * 2000-12-12 2003-05-01 Reenan Robert A. Transporter protein
WO2003082203A2 (en) * 2002-03-27 2003-10-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Elastin prevents occlusion of body vessels by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DE10214507A1 (de) * 2002-04-02 2003-10-16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Acarbose und deren Derivaten zur Behandlung und Prophylaxe degenerativer Hautzustände
JP3664401B2 (ja) * 2003-01-22 2005-06-2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N−グリコシド型糖脂質及びこれから成る中空繊維状有機ナノチューブ
EP1720605A4 (en) * 2003-06-23 2007-10-24 Transpharma Medical Ltd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COSMETIC AGENTS
HUP0500582A1 (hu) * 2005-06-13 2007-08-28 Csaba Jozsef Dr Jaszberenyi Szinergetikus élettani hatású élelmiszerek, élelmiszer-adalékok és táplálék-kiegészítõk vagy takarmányadalékok
JP5290562B2 (ja) * 2007-10-25 2013-09-18 株式会社コーセー 抗シワ剤およびシワ形成防止用皮膚外用剤
GB2500585A (en) * 2012-03-23 2013-10-02 Univ Manchester Use of oligosaccharides to reduce skin pigmentation
EP3067040B1 (en) * 2015-03-13 2017-09-27 Kialab S.r.l. Mixture of active ingredients for compositions for cosmetic us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81A (en) * 1860-06-19 Improved apparatus for broiling or roasting by gas
USRE28781E (en) * 1966-08-19 1976-04-20 Byk Gulden Lomberg Chemische Fabrik Gmbh Carbohydrate agent of high water retention power, process of making sam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DE3213650A1 (de) * 1982-04-14 1983-10-27 Bayer Ag, 5090 Leverkusen N-glycosylierte carbonsaeure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beeinflussung der koerpereigenen abwehr
JPS59176203A (ja) * 1983-03-28 1984-10-05 Kanebo Ltd 皮膚化粧料
SE8304006D0 (sv) * 1983-07-15 1983-07-15 Karlsson Karl Anders Forening och komposition for terapeutisk eller diagnostisk anvendning samt forfarande for terapeutisk behandling
JPS62412A (ja) * 1985-06-25 1987-01-06 Shiseido Co Ltd 化粧料
JPS62267238A (ja) * 1986-05-15 1987-11-19 R P Shiila- Kk インシユリン坐剤の製法
JPS6323808A (ja) * 1986-07-16 1988-02-01 Noebia:Kk 皮膚外用剤
FR2609397B1 (fr) * 1988-02-23 1991-12-13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une substance ou composition de nature glucidique comme principe actif d'une composition dermatologique et/ou cosmetologique et/ou pharmaceutique et/ou stimulante cellulaire, et composition contenant une telle substance ou composition de nature glucidique
US4895838A (en) * 1988-03-09 1990-01-2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Method for provoking angiogenesis by administration of angiogenically active oligosaccharides
US5003057A (en) * 1988-12-23 1991-03-26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Process for production of glycosides
JPH02265458A (ja) * 1989-04-04 1990-10-30 Nikken Food Kk 老化制御食品
CA2061370A1 (en) * 1991-03-13 1992-09-14 Markus Hosang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PH05213982A (ja) * 1991-03-26 1993-08-24 Dainippon Ink & Chem Inc オリゴ糖トコフェロール配糖体及び硫酸化オリゴ糖トコフェロール配糖体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ウイルス剤
JPH04332795A (ja) * 1991-05-07 1992-11-19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FR2678166B1 (fr) * 1991-06-27 1993-10-22 Bioeurope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s glucooligosaccharides.
JP3135293B2 (ja) * 1991-07-10 2001-02-13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5389279A (en) * 1991-12-31 1995-02-14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Compositions comprising nonionic glycolipid surfact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9585B2 (en) 1998-12-10
DE69426932T2 (de) 2001-07-19
PT714284E (pt) 2001-08-30
US5910490A (en) 1999-06-08
FI960585A0 (fi) 1996-02-08
FR2709061A1 (fr) 1995-02-24
FI960585A7 (fi) 1996-04-15
EP0714284B1 (fr) 2001-03-21
PL179432B1 (pl) 2000-09-29
SK18296A3 (en) 1997-03-05
GR3035907T3 (en) 2001-08-31
HUT75337A (en) 1997-05-28
WO1995005155A1 (fr) 1995-02-23
FR2709061B1 (fr) 1996-07-19
DK0714284T3 (da) 2001-06-18
AU7539394A (en) 1995-03-14
NZ271685A (en) 1997-03-24
JPH09501672A (ja) 1997-02-18
FI960585L (fi) 1996-04-15
CA2169621C (fr) 2008-05-20
BR9407305A (pt) 1996-10-08
EP0714284A1 (fr) 1996-06-05
CZ45196A3 (en) 1996-07-17
CZ292029B6 (cs) 2003-07-16
HU9600347D0 (en) 1996-04-29
ES2155478T3 (es) 2001-05-16
CN1131389A (zh) 1996-09-18
PL313036A1 (en) 1996-05-27
ATE199827T1 (de) 2001-04-15
DE69426932D1 (de) 2001-04-26
CA2169621A1 (fr) 199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3389B1 (ko) 조직노화의 예방과 치료에의 올리고당류의 사용
Meyer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dase
von Figura et al. The Sanfilippo B corrective factor: A N-acetyl-α-D-glucosaminidase
Thompson et al. Proteoglycan and glycosaminoglycan synthesis in embryonic mouse salivary glands: effects of beta-D-xyloside, an inhibitor of branching morphogenesis.
Pratt Jr et al. Acid mucopolysaccharide synthesis in the secondary palate of the developing rat at the time of rotation and fusion
US7732414B2 (en) C-glycoside compounds for stimulating the synthesis of glycosaminoglycans
US7638149B2 (en) Peptide extract of lupine and pharmaceutical or cosmetic or nutri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H08231370A (ja) 皮膚化粧料
EP0230023A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enhancement of wound healing
JPH0446112A (ja) 養毛剤
WO2017164609A2 (ko)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Tammi et al. Influence of retinoic acid on the ultrastructure and hyaluronic acid synthesis of adult human epidermis in whole skin organ culture
KR101848887B1 (ko) 피부 미백 활성을 가지는 트라넥삼산-펩타이드 및 그 용도
US5955624A (en) Growth stimulating factors
JP2002226380A (ja) 多硫酸化多糖類によるtimp産生の亢進
Bashey et al. Increased biosynthesis of glycosaminoglycans by scleroderma fibroblasts in culture
US5281582A (en) Serum growth factor
Nevo et al.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oglycans produced by cultured bovine corneal endothelial cells
Murase et al. Histochemical demonstration of lectinbinding sites and keratin in inflamed human gingiva
JPS603319B2 (ja) アミノ糖誘導体
KR20010012159A (ko) 연결 조직의 치료를 위한 올리고당의 용도
KR20140072419A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Laurent et al. Thickness and collagen metabolism of lens capsule from genetically prediabetic mice
Kariniemi et al. Surface glycoproteins of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from normal and uninvolved psoriatic epidermis
JPH08217656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2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