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7522B1 - 전기배선용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전기배선용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522B1
KR100297522B1 KR1019960702719A KR19960702719A KR100297522B1 KR 100297522 B1 KR100297522 B1 KR 100297522B1 KR 1019960702719 A KR1019960702719 A KR 1019960702719A KR 19960702719 A KR19960702719 A KR 19960702719A KR 100297522 B1 KR100297522 B1 KR 10029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ontact
leaf spring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205A (ko
Inventor
라이너 링케
Original Assignee
오트롬케 헤너
알베르트 악케르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트롬케 헤너, 알베르트 악케르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오트롬케 헤너
Publication of KR96070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5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52Means for improving the contact with the conductor, e.g.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3Sliding arrangements, e.g. sliding butt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Gas Or Oil Filled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작동 버튼 및 스프링의 힘에 대해 운동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접속단자들은 비교적 크고 복잡하다.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로서 활모양으로 만곡된 판스프링의 일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재는 어퍼쳐의 가장자리 (16a)가 접촉부재의 역할을 하는 도체 가이드 (8)위에 고정된 적어도 한 개의 어퍼쳐가 구비된다. 이런 구조는 또한 보다 가는 도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기 배선용 접속단자
본 발명은 전기 배선용 접속단자, 특히, 케이스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기술을 위한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촉부재는 개방되며 스프링의 힘에 대해 도체 안내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된 판스프링의 일부로서, 상기 판스프링은 가장자리가 접촉부재의 역할을 하며 도체에 부착되어 도체를 안내하도록 배열된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작동 버튼을 구비한 접촉단자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보통 U형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구성은 도체를 위한 가이드관을 둘러싸고 버튼으로부터 떨어진 다리에 의해 접촉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스프링의 힘을 받으며 접촉을 위한 도체의 가이드관 속으로 밀려들어간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에 상당히 힘이 든다. 상기 구조는 특히 정보 및 코뮤니케이션 기술의 경우와 같이 도체의 직경이 매우 작을 때는, 확실한 접촉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구조에서는 더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뮤니케이션기술에서와 같이 다수의 접속이 요구되면, 그런 접속단자를 위해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처음에 언급한 류의 접속단자 또한 공지되어 있다(US-A-50 69 638). 거기에는 한편 케이스 개구부내에 판스프링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상부 가장자리가 접촉부재로서 도체에 접착되어 있는 개구부(또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도체는 케이스 내의 안내관 벽에 있다. 이러한 구조에는 도체의 통과를 위한 개구부만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구부가 구비되지 않은 판스프링의 단부를 케이스 내부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한 작은 공간에서 확실한 접촉을 할 수 있는 가는 도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판스프링은 사각의, 상하로 나란히 배열된 어퍼쳐를 구비하며, 만곡된 형태로 도체의 가이드위에 위치되어, 상기 어퍼쳐중 하나는 단자부(Klemmglied)로서 도체의 가이드를 위한 역할을 하고 가장자리를 가진 다른 하나는 접촉부재를 형성하며, 만곡된 판스프링은 케이스내의 축의 바닥면과 작동버튼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극히 간단하나, 판스프링의 사용으로 높은 탄성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접촉부재는 작은 접촉면적만으로써 비교적 높은 접촉압을 실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에 있어서 특히 가는 도체를 접촉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체가이드는 대략 V형의 횡단면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사선단면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선단면은 접속접촉부와 결합된다. 이런 사선단면에 어퍼쳐를 구비한 판스프링은 간단히 접착될 수 있다. 제2어퍼쳐의 상기 접촉부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에 의해 상기 도체가이드에 삽입된 도체는 한편으로는 분명히 접촉되나, 다른 한편으로는 단단히 사선단면의 V형의 오목한 부분속으로 밀어넣어져 거기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버튼은 사선단면의 종방향으로 상하로 배열하는, 접속할 도체를 위한 삽입 개구부가 구비되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버튼의 작동 방향에 횡으로 요구된 부가적인 공간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스프링은 한편 제2판스프링으로 상기 사선단면 사이의 분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부 판스프링만의 배열에도 불구하고 여러 직경을 가진 도체의 접촉 또한 가능하며, 이는 물론 도체가이드를 형성하는 양 사선단면을 위한 두 개의 판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제조 및 조립에 힘이 들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발전시키면, 상기 접속접촉은 일부가 사선단면들로 형성되며 폐쇄하기 위한 고정 장치 돌출부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비교적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접촉부는 케이스에서 돌출된 리드(lead)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속접촉부는 도체판의 직접적 삽입을 위해 두개의 접점부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접점부는 도체가이드의 종방향, 즉, 사선단면의 종방향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체판은 또한 상기 도체의 삽입방향에 대한 각도로 삽입 가능하다. 작동 버튼의 반대편 상에 있는 케이스는 도체가이드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도체들쪽으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은 실시예를 토대로 하기와 같이 설명된다. 즉,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 도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접속단자중 하나의 내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 및 2도의 접속단자를 제5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접속단자를 Ⅳ-Ⅳ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접속도체를 위에서 본 평면도로서, 작동 버튼 없는 제1 접속단자가 도시된다.
제6도는 제1 내지 5도의 실시예에 사용된 판스프링의 정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판스프링이 접속단자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제8도는 제1 및 5도의 접속단자에 사용되며 리드형태의 접속접촉부를 가진 도체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접속접촉부는 포크형의 수납 구조를 형성하는 두 개로 배열된, 도체판의 직접적 삽입역할을 하는 접속부 형태로 형성된다.
제10도는 제9도의 접점부를 구비한 도체가이드를 도시한다.
제11도는 그 사이에 배열된 리드를 구비한 도체가이드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제12도는 상기 도체가이드의 종방향에 대해 90도로 포크형의 삽입부를 구비한 도체가이드의 변형예이다.
제13도는 제12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로써, 상기 삽입부가 도체가이드의 종방향에 대해 약 180도로 변위, 즉, 상기 삽입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제14도는 반대 접촉이 리드 또는 접점부를 통해서가 아니라, 다른 도체의 직접적인 반대삽입을 통해 이뤄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다른 변형예이다.
제1 내지 8도에는, 다수의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도체 (2)의 일부인, 단자도체 (2)내에서 모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접속단자 (1)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는 접속단자 (1)과 (3)만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접속단자들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상기 접속단자 (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5도로부터, 각 접속단자와 또한 축의 중공부(4)내에 있는 접속단자 (1)는 단자 도체 (2)의 케이스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작동 버튼 (5)은 화살표 (6)의 방향으로 축가이드 (4)내에서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히 알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 (5)은 두 개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형의, 상부쪽으로 약간 넓어지는 원추형으로 되어 있는 개구부 (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 (7)들은 전도성의 물질로 된 두 개의 사선단면 (8)쪽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양쪽 사선단면(제8도 참조)들은 리드로서 형성된 접속 접촉부 (9)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런 접속 접촉부 (9)는 양 사선단면 (8)에 대한 통로(10)의 영역내에 고정 장치 돌출부 (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장치 돌출부로 제8도에 도시된 부분의 화살표 (12) 방향의 축 (4)내에 삽입할 때 축 (4)의 개구부(미도시) 및 케이스 (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 버튼 (5)은 또한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 (1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돌출부 (13)는 작동 버튼(5)이 축 (4)으로 삽입된 후에 위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 버튼 (5)과 축 (4)의 바닥면 (4a) 사이에는 판스프링 (14)이 끼워져 있고 (제6도 및 7도 참조), 상기 판스프링이 축 (4)에 삽입될 때에는 인장이전의 상태이며 따라서 축의 하단부가 바닥면 (4a)을 그리고 상단부는 상기 작동 버튼 (5)의 돌출부 (30)를 지지한다. 상기 판스프링 (14)은 이때 분리면 (15)을 통해 그 기능에 있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부분 판스프링들 (14a 및 14b)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들은 각각 두 개의 어퍼쳐(16, 17)를 구비하고 그 하부영역에서는 일부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어퍼쳐 (16, 17)들은 사각으로 형성되며, 어퍼쳐 (16)은 다른 어퍼쳐 (17)보다 실제로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어퍼쳐들 (16, 17)의 측면모서리는 일직선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상기 어퍼쳐들 (16, 17)이 또한 서로 상하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쳐 (17)는, 제2 및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어퍼쳐 (16, 17)를 가진 판스프링 (14)이 활모양으로 사선단면 (8)상에 위치하면, 상부 및 하부 모서리가 사선단면 (8)에 기울어지도록 단단히 위치되며, 상기 어퍼쳐 (16)의 상부모서리 (16a) 및 모서리 (16a)에 평행하는 어퍼쳐 (17)의 양 모서리가 사선단면 (8)에 위치되도록 그 크기를 정한다.
상기 사선단면 (8)은 도체가이드로서 V형의 횡단면을 가진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도체(미도시)의 단부는 작동 버튼 (5)의 개구부 (7)를 통해 접촉하기 위해 내장될 수 있다. 도체단부 (Leiterend)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16a)가 직접적으로 사선단면 (8)이 아니라 삽입된 해당 도체의 외면에 밀착하면, 사선단면 (8)의 홈안내 내부에 밀착해서 모서리 (16a; 제5도 참조)를 통해 사선단면 (8)쪽으로 확실히 가압된다. 그밖에 또한 제5도에서 분명한 것은, 분리면 (15)의 배열을 통해 또한 여러 종류의 직경을 가진, 관련된 판스프링 (14a 또는 14b)의 각 모서리 (16a)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도체는 개구부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는 다음과 같이 자동으로 간단히 제조된다. 즉, 먼저 만곡된 상태의 판스프링이 해당 사선단면 (8) 상에 위치된 다음, 판스프링을 구비한 상기 사선단면 (8)이, 고정 장치 돌출부 (11)가 채워질 때까지 축 (4)의 해당 개구부 (17; 제4도)를 통해 접속 접촉부 (9)에 의해 삽입되며, 그다음 작동 버튼 (5)이 축 (4)의 해당 돌출부 뒤에 위치 확보를 위해 돌출부 (13)로 지지하는 작동 버튼이 위에 놓인다. 상기 판스프링은 이런 상태로 축 (4)의 응력하에 있다. 상기 버튼(5)의 작동에 있어 상기 판스프링은 그 상부가 아래로 만곡되어 있으며, (어퍼쳐 (17)를 구비한 하부는 사선단면 (8)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재를 형성하는 모서리 (16a)는 사선단면 (8)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체단부의 유입을 허용한다.
제9도는 어떠한 리드 (9)도 개별적으로가 아니라 포크형의 삽입장치를 형성하는 두 개의 접속 접촉부의 역할을 접점부가 양 사선단면 (8)과 결합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접점부 (18)는 이런 변형예에 있어서 접속단자도체 (2)의 케이스로부터 자유롭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접속단자를 위해 대체된, 또한 상기 케이스 (2')의 해당 홈 (19)내로 유도되는 접점부 (18)의 단부를 에워싸는 단자 도체의 케이스 (2')내에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 (2')는 그밖에도 유입홈 (20)을 구비하여, 삽입된 도체판의 직접적인 접촉이 접점부 (18)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작동 버튼 (5) 및 축 (4)내에 배열되어 도체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사선단면 (8)의 나머지 구조는 제1도 내지 8도의 실시예에서와 같다.
제11도 내지 13도에서는 제8도 내지 10도와 유사한 접속접촉부의 실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1도는 이때 또한 삽입핀이 될 수도 있는 리드가 양 사선단면 (8) 사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사선단면과 일부가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삽입핀 (21)은 여기서 직접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장치 돌출부 (11)를 가진다. 축은 이에 따라 적절히 형성되어야 한다.
제12도는 상기 삽입부 (22)가 사선단면 (8)의 종방향에 대해 90도로 돌출될 때, 제10도의 접점부의 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도체판은 도체판의 유입을 통해 접속될 도체단부의 공급장치에 대해 수직으로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13도는 상기 접점부 (23)가 도체의 삽입 방향에 대해 180도로 변위되는, 즉, 사선단면 (8)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때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때 동일면으로부터 도체판은 직접 접촉할 수 있고 또한 도체가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스형태는 제12도 및 13도의 해당 접점부에 적합해야 한다.
제14도는 접속단자 도체의 케이스 (2)가, 사선단면 (8)의 종방향에 대해 축 (4)의 바닥면에 재차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개구부 (27)를 구비하면, 상기 설명된 방법으로 작동 버튼 (5)의 개구부 (7)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양 도체 (24, 25)와 함께, 도체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사선단면 (8)이, 도체 (26)를 통해 접촉될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사선단면의 위치 확보는 특별한 방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또한 판스프링 (14) 내지 그 일부 (14a, 14b)의 위치는 상기 어퍼쳐 (17)로 상기 사선단면 (8)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제1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어퍼쳐 (17)의 모서리는 또한 도체를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체 (26)의 단부는 어퍼쳐 (17)의 하부 모서리와 사선단면 사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형예에 있어, 상기 도체 (26)가 유입되기 전에 상기 어퍼쳐 (17)에 단단히 밀착된 모서리를 적합한 설비 (28)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장점은, 최종 조립에 앞서, 가령, 정밀하고 까다로운 데이타 처리 장치들이 훨씬 더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이때, 해당 접속단자 (가령, 26)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단자에 위치될 수 있어서, 최종 조립때에 접지된 도체 (24, 25)들은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히 접속 단자에 위치될 수 있다.

Claims (10)

  1. 도체가 가이드될 때 스프링의 힘으로 가압될 수 있는 개방된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된 판스프링의 일부이며, 도체의 가이드를 위해 배열되어 가장자리가 접촉부재의 역할을 하며 도체에 부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전기 배선용 접속단자, 특히, 케이스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 기술을 위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판스프링 (14)은 사각의, 상하로 나란히 배열된 어퍼쳐를 구비하며, 만곡된 형태로 도체의 가이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어퍼쳐중 하나는 단자부로 도체의 가이드를 위한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가장자리에 의해 접촉부재를 형성하며, 만곡된 판스프링은 케이스내의 축의 바닥면과 작동 버튼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작동 버튼으로부터 이격된 한 단부를 케이스 축 (4)의 바닥면 (4a)에, 다른 단부를 상기 작동 버튼 (5)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가이드는 각각 두 개의 서로 평행 배열되며, V형의 횡단면을 구비하고, 접속 접촉부 (9) 및 접점부(18, 22, 23)와 결합된 사선단면 (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 (5)은 사선단면 (8)의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접속할 도체 (24, 25)를 위한 삽입 개구부 (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14a)은 한편 제2의 판스프링 (14b)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선단면 (8) 사이 및 평행해서 상하로 위치할 어퍼쳐들 (16, 17) 사이에 분리면 (15)을 구비한 접속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접촉부 (9) 및 접점부 (18, 22, 23)는 일부가 사선 단면들 (8)로 형성되며 폐쇄하기 위한 고정 장치 돌출부 (11)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접촉부 (9)는 리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접촉부 (9)는 두 개의 접점부 (18, 22 또는 23)가 도체판의 직접적 삽입을 위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접촉부의 접점부 (22, 23)는 도체가이드를 형성하는 사선단면 (8)의 종방향에 대해 90도 내지 180도로 회전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 (5)의 맞은편 면위에 있는 케이스 (2)는 도체 (26)의 삽입을 위한, 도체의 역할을 하는 사선 단면 (8)에 나란히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삽입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KR1019960702719A 1994-09-23 1995-08-25 전기배선용접속단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297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33983.6 1994-09-23
DE4433983A DE4433983A1 (de) 1994-09-23 1994-09-23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Installationen
PCT/EP1995/003362 WO1996009664A1 (de) 1994-09-23 1995-08-25 Anschlussklemme für elektrische installatio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205A KR960706205A (ko) 1996-11-08
KR100297522B1 true KR100297522B1 (ko) 2001-10-24

Family

ID=652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7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7522B1 (ko) 1994-09-23 1995-08-25 전기배선용접속단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95286A (ko)
EP (1) EP0730785B1 (ko)
JP (1) JPH09505938A (ko)
KR (1) KR100297522B1 (ko)
CN (1) CN1057407C (ko)
AT (1) ATE165189T1 (ko)
CA (1) CA2176831A1 (ko)
DE (2) DE4433983A1 (ko)
ES (1) ES2116765T3 (ko)
TW (1) TW281816B (ko)
WO (1) WO1996009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27C (zh) * 1996-11-05 2003-03-12 西门子公司 用于笼形夹连接技术的连接件
GB2322483B (en) * 1997-02-24 1999-01-06 Itt Mf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6254422B1 (en) * 1997-08-25 2001-07-03 Phoenix Contact Gmbh & Co. Electronic terminal for use on circuit boards
DE19736739A1 (de) * 1997-08-25 1999-03-04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ische Anschlußklemme,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auf Leiterplatten
DE19753076C1 (de) * 1997-11-29 1999-08-19 Lumberg Karl Gmbh & Co Elektrische Anschlußklemme, insbesondere Anreihklemme
DE19753078C2 (de) * 1997-11-29 1999-09-30 Lumberg Karl Gmbh & Co Elektrische Anschlußklemme, insbesondere Anreihklemme
US6132245A (en) * 1998-05-04 2000-10-17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 speaker cabinet
US6080008A (en) * 1998-05-28 2000-06-27 The Whitaker Corporation Push-wire contact
DE19924334C1 (de) * 1999-05-27 2000-11-23 Modelec Sa Elektrischer Stecker mit schraubenlosen Anschlußklemmen
ES2157819B1 (es) * 1999-08-13 2002-03-01 Tecnica De Conexiones S A Borne de conexion para luminarias.
KR20050066493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조작 패널의 버튼 구조
FR2875944B1 (fr) * 2004-09-27 2006-12-15 Legrand Sa Appareil comportant un bloc de raccordement
CA2550527A1 (en) * 2005-06-21 2006-12-21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US7527509B1 (en) * 2005-06-21 2009-05-05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push-in connectors
DE102005049798A1 (de) * 2005-10-14 2007-04-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für Leiterplatten
TWI449281B (zh) * 2006-04-25 2014-08-11 Wago Verwaltungs Gmbh Electronic connector
US7727002B2 (en) * 2006-06-21 2010-06-01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disconnect with adjacent wire receptacle boxes
US7354296B1 (en) * 2006-09-21 2008-04-08 Hubbell Incorporated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JP4809204B2 (ja) * 2006-12-14 2011-11-09 富士通株式会社 クランパ端子
US7491098B1 (en) * 2007-10-10 2009-02-17 General Electric Company Screwless terminal for electrical leads
US20110207372A1 (en) * 2010-02-22 2011-08-25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ush-In Termination
DE102010009807A1 (de) * 2010-03-01 2011-09-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menanordnung
US9948048B2 (en) * 2015-05-15 2018-04-17 Yazaki North America, Inc. Splitter terminal and connector
DE102015216632A1 (de) * 2015-08-31 2017-03-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Anordn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lachkontakt und einem Hochstromleiter
CN105870649B (zh) * 2016-05-25 2019-02-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一种安全型针状快速连接头
CN106099417B (zh) * 2016-08-02 2019-02-22 马晓明 导电线接线夹
BE1026109B1 (de) * 2018-03-14 2019-10-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eitungsverbinder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Elektroleitern
JP6638759B2 (ja) * 2018-05-09 2020-01-2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構造
DE102019122317A1 (de) * 2019-02-21 2020-08-27 Unger Kabel-Konfektionstechnik GmbH Leiterplattendirektkontaktierungs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elektrischen Kontakts sowie Leiterplatte und elektrisches Gerät
JP7221804B2 (ja) * 2019-06-10 2023-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DE202019103649U1 (de) * 2019-07-03 2020-10-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9129817A1 (de) * 2019-11-05 2021-05-06 Ingun Prüfmittelbau Gmbh Hochfrequenz-Steckervorrichtung und Steckverbindungs-System
US11699878B2 (en) * 2020-11-06 2023-07-1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Power connector having a wire release mechanism
DE102021132063A1 (de) * 2021-12-06 2023-06-07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Kabelanschlusseinrichtung mit verrastbarem Betätiger
USD1075458S1 (en) * 2022-02-14 2025-05-20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02628U (de) * 1974-05-16 Grote & Hartmann Kontaktfeder für Direktsteckungen von Leiterplatten
DE7336669U (de) * 1974-01-31 Grote & Hartmann Elektrotechnische Gabelfeder für Direkt steckungen von Leiterplatten
BE658116A (ko) * 1965-01-11 1965-04-30
DE6610780U (de) * 1967-07-12 1976-05-13 Berker Geb Elektrisches installationsgeraet, wie schalter, steckdose oder dgl. mit in dessen sockel angeordneter anschlusskleme fuer elektrische leiter.
DE6802185U (de) * 1968-10-14 1969-03-27 Wago Kontakttechnik Gmbh Schraubenlose anschluss- und verbindungsklemme
DE2027863A1 (de) * 1970-06-06 1971-12-16 Bbc Brown Boveri & Cie Losbare elektrische Verbindung zwi sehen einer Anschlußfahne und einer Leiter platte
DE7500274U (de) * 1975-01-08 1976-07-15 Fa. Herman Kleinhuis, 5880 Luedenscheid Schraubenlose Klemme
DE2514791C3 (de) * 1975-04-04 1978-10-26 Fa. Hermann Kleinhuis, 5880 Luedenscheid Schraubenlose Klemme
DE2553559A1 (de) * 1975-11-28 1977-06-02 Karl Fischer Federklemmanschluss zur verbindung zweier elektrischer anschlussteile
FR2524721A1 (fr) * 1982-03-30 1983-10-07 Itw De France Bornier de raccordement pour fils electriques
DE8801623U1 (de) * 1988-02-09 1988-04-07 Brökelmann, Jaeger & Busse GmbH & Co, 5760 Arnsberg Anschluß- bzw.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Geräte
NL8901467A (nl) * 1989-06-08 1991-01-02 Du Pont Nederland Connector.
US4978315A (en) * 1990-04-10 1990-12-18 Molex Incorporated Multiple-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and stamped and formed contacts for use therewith
DE4014048A1 (de) * 1990-04-28 1991-10-31 Wago Verwaltungs G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DE4233446C1 (de) * 1992-10-05 1993-10-21 Wieland Elektrische Industrie Schraubenlose Federklemme
EP0616386A3 (en) * 1993-03-18 1996-03-13 Tadao Tozuka Plug-in connector.
DE4319018C1 (de) * 1993-06-08 1994-06-30 Kostal Leopold Gmbh & Co Kg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nanordnung
US5484304A (en) * 1994-06-06 1996-01-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indicator and wire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09664A1 (de) 1996-03-28
KR960706205A (ko) 1996-11-08
EP0730785A1 (de) 1996-09-11
ES2116765T3 (es) 1998-07-16
CN1057407C (zh) 2000-10-11
US5895286A (en) 1999-04-20
EP0730785B1 (de) 1998-04-15
CA2176831A1 (en) 1996-03-28
JPH09505938A (ja) 1997-06-10
ATE165189T1 (de) 1998-05-15
DE59501910D1 (de) 1998-05-20
TW281816B (ko) 1996-07-21
DE4433983A1 (de) 1996-03-28
CN1135809A (zh) 199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522B1 (ko) 전기배선용접속단자
US6270384B2 (en) Connecting terminal assembly
US6254422B1 (en) Electronic terminal for use on circuit boards
US3763459A (en) Plug-in type sockets for testing semiconductors
CN1988263B (zh) 具有弹性夹的电气部件尤其是继电器插座及其制造方法
JP3302720B2 (ja) Icソケット
US4599597A (en) Circuit protection devices
KR940002996B1 (ko) 전류를 통하게 하는 요소
US5950812A (en) Rocker switch using a star spring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EP1378966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US4237435A (en) Ground fault receptacle re-set guide assembly
JPS635868B2 (ko)
KR960043354A (ko) 커넥터 모듈
KR100344050B1 (ko) Pga 패키지용의 낮은 형상 전기 커넥터 및 단자
KR20030096081A (ko) 연성 인쇄회로용 커넥터
US5449301A (en) Shunt connector
EP0122486B1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quasi-terminal pins
US4707765A (en)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control instrument
US4892492A (en) Device with openings for receiving pins of electrical components
JPS5919627B2 (ja) スイッチ接点を遮蔽または分離するプラグ
JP4026211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4236128A (en) Ground fault receptacle
JPH07245147A (ja) モジュラージャック
US6120325A (en) Device for mounting a shielded connector on a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5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