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256B1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Google Patents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17256B1 KR100317256B1 KR1019990015722A KR19990015722A KR100317256B1 KR 100317256 B1 KR100317256 B1 KR 100317256B1 KR 1019990015722 A KR1019990015722 A KR 1019990015722A KR 19990015722 A KR19990015722 A KR 19990015722A KR 100317256 B1 KR100317256 B1 KR 1003172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ot
- symbol
- sequence
- frame synchronization
-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04B1/70755—Setting of lock conditions, e.g. thres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Correlato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W-CDMA)을 이용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Downlink)에서 시공 전송 다이버시티(STTD :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를 고려한 최적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이루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이진 시퀀스들을 가지는 파일럿 심볼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 링크상의 무선 프레임에 대한 동기를 확인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때의 상기 파일럿 심볼 패턴의 시퀀스 쌍 가운데 어느 하나를 보수로 치환하여 적용하는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Optimal Pilot Symbol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dering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STTD) in Downlink of Especially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chieving frame synchronization using a pattern.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confirming synchronization of a radio frame on a communication link using a pilot symbol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paired binary sequences, a transmission antenna diversity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n optimal pilot symbol in which any one of the sequence pairs of the pilot symbol pattern when transmitting a signal is replaced by a complement without applying transmit antenna divers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하, W-CDMA 라 약칭함)을 이용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Downlink)에서 스페이스 타임 전송 다이버시티(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 이하, STTD 라 약칭함)를 고려한 최적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이루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space time transmission diversity in downlink of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hereinafter, abbreviated as W-CDMA). Diversity (hereinafter, abbreviated as STTD) relates to a method of achieving frame synchronization using an optimal pilot symbol pattern.
최근 일본의 ARIB, 유럽의 ETSI, 미국의 T1, 한국의 TTA 및 일본의 TTC는 음성, 영상 및 데이터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서비스하는 기존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 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코어 네트워크와 무선 접속 기술을 기본으로 한 보다 진화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상하였다.Recently, ARIB in Japan, ETSI in Europe, T1 in the US, TTA in Korea, and TTC in Japan are the core networks of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s (GSMs) that provid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ice, video and data.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access technology was envisioned.
진화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인 명세를 제시하기 위하여 이들은 공동 연구에 동의하였으며, 이를 위한 프로젝트를 3세대 공동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이하, 3GPP 라 약칭함)라 하였다.In order to present technical specifications for the next generation evolv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y agreed to joint research, and the project for this was called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ereinafter abbreviated as 3GPP).
3GPP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 기술 연구 영역을 포함한다.3GPP includes three major technical research areas.
첫 째, 3GPP 시스템 및 서비스 부문이다, 이는 3GPP 명세를 근거로 한 시스템의 구조 및 서비스 능력에 대한 연구를 하는 부문이다.The first is the 3GPP system and service sector, which is a study of the structure and service capabilities of the system based on the 3GPP specification.
둘 째, 범지구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 :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대한 연구 부문이다, 여기서 범지구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에 따르는 W-CDMA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 Time Division Duplex) 모드에 따르는 TD-CDMA를 적용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 Radio Access Network)이다.Second, it is a research area for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where the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is based on W-CDMA according to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mode. Radio Access Network (RAN) using TD-CDMA according to Time Division Duplex (TDD) mode.
세 째, 2세대의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에서 진화되어 이동성 관리 및 전세계적 로밍(Global roaming)과 같은 3세대 네트워킹 능력을 갖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대한 연구 부문이다.Third, it is a research section for core network that has evolved from the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 (GSM) and has third generation networking capability such as mobility management and global roaming.
상기한 3GPP의 기술 연구 부문들 중에서 범지구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에 대한 연구 부문에서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과 물리 채널(Physicalchannel)에 대한 정의 및 이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research divisions of 3GPP, a research section for a glob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describes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of a transport channel and a physical channel.
물리 채널에는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에 전용 물리 채널(DPCH : 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사용하며, 이 전용 물리 채널(DPCH)은 일반적으로 슈퍼 프레임(Superframes), 무선 프레임(Radio frames) 및 타임 슬롯(Timeslots)의 3개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다.Dedicated Physical Channels (DPCHs) are used for uplinks and downlinks for physical channels, which are typically Superframes, Radio frames, and Timeslots. ) Consists of three hierarchical structures.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서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을 720ms 주기를 갖는 최대 프레임 단위로 규정하고 있으며, 시스템 프레임수에서 볼 때 하나의 슈퍼 프레임은 72개의 무선 프레임으로 구성된다.I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a superframe is defined in a maximum frame unit having a 720ms period, and one superframe consists of 72 radio frames in terms of the number of system frames.
무선 프레임은 16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되며, 각 타임 슬롯은 전용 물리 채널(DPCH)에 따른 해당 정보 비트들을 갖는 필드들로 구성된다.A radio frame consists of 16 time slots, each time slot consisting of fields with corresponding information bits according to a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도 1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ccording to a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여기서 주목할 점은 상향 링크의 전용 물리 채널(DPCH)에서는 16Ksps의 고정 레이트(Fixed Rate)이므로, 파일럿 비트(또는 심볼)수가 6비트 혹은 8비트이다.Note that the up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has a fixed rate of 16 Ksps, so the number of pilot bits (or symbols) is 6 bits or 8 bits.
그러나, 하향 링크의 전용 물리 채널(DPCH)에서는 가변 레이트(Variable Rate)이므로, 다음에 설명할 표 1과 같은 파일럿 심볼 패턴을 갖는다.However,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since it is a variable rate, it has a pilot symbol pattern as shown in Table 1 below.
도 1에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은 상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과 같이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두 가지 타입을 갖는다.In FIG. 1,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has two types, such as an up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and a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이들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 중에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전용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Of thes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s (DPCH), a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is for carrying dedicated data, and the other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is for carrying control information.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필드(TFCI)(10), 전송 전력 제어 필드(TPC)(12) 및 파일럿 필드(Pilot)(14)와 같은 여러 개의 필드로 구성된다.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s (DPCCHs) that carry control information include several fields, such as transport format combining indicator field (TFCI) 10, transmit power control field (TPC) 12, and pilot field (Pilot) 14. It consists of.
이들 중에서 파일럿 필드(Pilot)(14)에는 코히어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지원하는 파일럿 심볼이 포함되어 있다.Among these, the pilot field 14 includes pilot symbols that support channel estimation for coherent detection.
표 1은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각각 다른 심볼 레이트에 따라 나눈 것이다.Table 1 shows the patterns of pilot symbols included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which are divided according to different symbol rates of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상기 표 1에서 하향 링크의 프레임 동기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각 심볼 레이트의 전체 파일럿 심볼 중 음영 부분만이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파일럿 심볼은 '1'의 값을 갖는다.In Table 1, a pilot symbol used for downlink frame synchronization is a shaded portion of all pilot symbols at each symbol rate, and is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
즉, 심볼 레이트가 16,32,64,128Ksps인 경우의 예를 들면, 심볼#1과 심볼#3이 프레임 동기에 사용된다는 것이며, 따라서 한 슬롯당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4개이므로, 결국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64개의 파일럿 심볼을 사용하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symbol rate is 16, 32, 64, 128 Ksps, symbol # 1 and symbol # 3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Therefore, four pilot symbols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per slot. As a result, one pilot radio frame uses 64 pilot symbols for frame synchronization.
도 2 는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에 대한 확산 및 스크램블을 위한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for spreading and scramble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ccording to a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2 의 장치 구성은 하향 링크의 전용 물리 채널(DPCH)과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 :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에 대한 확산 및 스크램블을 위한 장치 구성이다.The device configuration of FIG. 2 is a device configuration for spreading and scrambling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nd a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여기서는 직교 위상 편이 변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이하, QPSK 라 약칭함)가 수행되며, 두 채널의 심볼쌍은 직병렬(Serial to Parallel) 변환된 후 각각 I채널 지류와 Q채널 지류로 맵핑된다.Here,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hereinafter, abbreviated as QPSK) is performed, and symbol pairs of two channels are serially and parallelly converted and mapped to I channel feeder and Q channel feeder, respectively.
확산(spreading)은 각 채너 지류를 통하는 모든 심볼을 다수의 칩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으로, I채널 지류와 Q채널 지류는 각각 두 개의 동일한 채널화코드(CCh)에 따른 칩율(Chip Rate)로 확산되며, 확산된 이들 두 채널 지류는 합산되어 다시 특정한 복소 스크램블 코드(Complex Scrambling Code)인 CScramb에 의해 복소 스크램블 된다.Spreading is the process of converting all symbols through each channel feeder into multiple chips. I-channel and Q-channel feeders are spread at chip rates according to two identical channelization codes (C Ch ), respectively. These two channel feeders are then summed and complex scrambled by C Scramb , which is a specific complex scrambling code.
이후 실수부분(Real)과 허수부분(Imag)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반송파에 실려 전송되는데, 서로 다른 물리 채널들은 서로 다른 채널화 코드를 사용하는데 반해 스크램블 코드는 한 셀의 모든 물리 채널에 대해 동일한 코드를 사용한다.Thereafter,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are separated and transmitted on respective carriers. The different physical channels use different channelization codes, whereas the scramble code is the same code for all physical channels of one cell. Use
지금까지 설명한 확산과 스크램블을 거친 하향 링크의 전용 물리 채널(DPCH)은 수신측에 전달되어, 데이터 및 여러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which has been spread and scrambled so far, is delivered to the receiving side to provide data and various control information.
특히 수신측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수신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파일럿 필드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다.In particular, the receiver uses a pilot symbol included in a pilot field of a receiv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for frame synchronization.
프레임 동기를 위해서는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여 상관 처리를 수행해야 하는데,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하향 링크의 파일럿 심볼을 사용하여 상관 처리를 수행할 경우에는 최적의 프레임 동기를 실현할 수 없다.For frame synchronization, correlation processing must be performed using pilot symbols. When performing correlation processing using downlink pilot symbols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shown in Table 1, an optimal frame is performed. Motivation can not be realiz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파일럿 심볼을 사용하여 상관 처리를 수행할 경우, 한 번의 상관 주기에서 'N' 파일럿 심볼을 갖는 무선 프레임에 대한 상관 처리 결과가 'τ=0'인 지점에서 최대값을 갖고, 'τ=N/2'인 지점에서 극성이 다른 최대값을 갖기 때문에 비교적 양호하기는 하다. 하지만 'τ=0'과 'τ=N/2'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연 지점에서, 즉 사이드로브(Sidelobe)에서 상관처리 결과값이 '0'이 되는 경우는 없었다.In more detail, when correl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pilot symbols shown in Table 1,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for a radio frame having an 'N' pilot symbol in one correlation period is 'τ = 0'. It is relatively good because it has a maximum at the point and a different polarity at the point where τ = N / 2. However, there was no case where the correlation resulted in '0' at delay points other than 'τ = 0' and 'τ = N / 2', that is, in sidelobe (Sidelobe).
따라서, 'τ=0'과 'τ=N/2' 지점에서 서로 다른 극성이면서 서로 크기가 같은 상관 처리 결과를 얻어 낼 수 있으며, 사이드로브(Sidelobe)에서 최소의 상관 결과값을 갖는 최적의 파일럿 심볼이 요구되고, 이러한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보다 빠르고 정확한 프레임 동기화가 요구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s with the same polarity and the same size at the points 'τ = 0' and 'τ = N / 2', and an optimal pilot having a minimum correlation result value in sidelobe (Sidelobe). Symbols are required, and faster and more accurate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se optimal pilot symbols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에서 최적의 프레임 동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STTD를 고려한 새로운 파일럿 심볼 패턴을 제공하며, 이 새로운 파일럿 심볼 패턴을 이용한 상관 처리 결과에 따라 보다 빠르고 정확한 프레임 동기를 이루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provides a new pilot symbol pattern considering STTD to perform optimal frame synchronization in downlink of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to provide a faster and more accurate frame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방법의 특징은, 복수개의 쌍을 이루는 이진 시퀀스들을 가지는 파일럿 심볼 패턴을 이용하여 통신 링크상의 무선 프레임에 대한 동기를 확인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때에는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지 않고 신호를 전송할 때의 상기 파일럿 심볼 패턴의 시퀀스 쌍 가운데 어느 하나를 보수로 치환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바람직하게, 상기 전송 다이버시티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블록 코딩(STTD)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eature of the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n optimal pilot symb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dentify the synchronization for the radio frame on the communication link using a pilot symbol pattern having a plurality of paired binary sequen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when transmitting a signal using transmit antenna diversity, any one of the sequence pairs of the pilot symbol pattern when transmitting the signal without using transmit antenna diversity is replaced by a complement. Preferably, the transmit diversity is characterized in that spatial or temporal block coding (STTD) is applied.
도 1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ccording to a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2 는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에 대한 확산 및 스크램블을 위한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configuration for spreading and scrambling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according to a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FIG.
도 3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STTD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STTD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4 는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STTD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STTD 엔코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TD encoding principle of the STTD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rrel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frame synchronization using pilot symbols of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동기를 위한 하향 링크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이용한 상관 결과를 나타낸 도면.6 illustrates a correlation result using a downlink pilot symbol pattern for frame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rimary CC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 7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rimary CCPCH)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FIG.
도 8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econdary CC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econdary CCPCH)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럿 심볼 패턴의 상관 처리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9 is a graph comparing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s of pilot symbol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함에 따른 성능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a performance comparison by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채널 엔코더(channel encoder) 21 : 레이트 정합부(rate matching)20: channel encoder 21: rate matching
22 : 인터리버(interleaver) 23 : 제1 다중화부22: interleaver 23: first multiplexer
24 : STTD 엔코더 25 : 제2 다중화부24: STTD encoder 25: second multiplexer
26 : 제1 전송 안테나(TXAntenna1) 27 : 제2 전송 안테나(TXAntenna2)26: first transmission antenna (T X Antenna 1) 27: second transmission antenna (T X Antenna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an optimal pilot symb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서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를 언급하고 있는데, 서로 다른 하향 링크 물리 채널상에서 개방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와 폐쇄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가 응용된다는 것이다.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pecification refers to transmit diversity of downlink physical channels.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and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are applied on different downlink physical channels.
여기서 개방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에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블록 코딩을 기본으로 하는 STTD를 사용한다.In this case, STTD based on spatial or temporal block coding is used for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STTD를 고려하여 하향 링크의 새로운 파일럿 패턴을 제안하며, 제안된 새로운 파일럿 패턴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pilot pattern for downlink i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STTD, and a frame synchronization procedure using the proposed new pilot pattern will be describ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ownlink DPCH) 및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에서 본 발명의 파일럿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이루는 절차를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frame synchronization procedure using the pilo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ownlink DPCH) and a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도 3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STTD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STTD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STTD 트랜스미터는 개방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STTD transmitter shown is for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이 STTD 트랜스미터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일단 넌-다이버시티 모드(non-diversity mode)에서 다음과 같은 블록을 거치게 되는데, 채널 엔코더(20)에 의한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레이트 정합부(21)에 의한 레이트 정합(rate matching) 및 인터리버(Interleaver)(22)에 의한 인터리빙(interleaving)이 수행된 후 제1 다중화부(23)에 입력된다.The data input to the STTD transmitter is first subjected to the following blocks in the non-diversity mode. The channel coding and the rate matching unit 21 by the channel encoder 20 are performed. Rate matching and interleaving by the interleaver 22 are performed and then input to the first multiplexer 23.
제1 다중화부(23)는 최종 인터리빙된 데이터,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비트(TFCI) 및 전송 전력 제어 비트(TPC)를 다중화한다.The first multiplexer 23 multiplexes the final interleaved data, transmission format combining indicator bits (TFCI)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bits (TPC).
STTD 엔코더(24)는 다음의 도 4에 도시된 원리를 이용하여 제1 전송 안테나(26) 및 제2 전송 안테나(27)를 통해 각각 전송될 데이터 패턴을 제2 다중화부(25)로 출력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2 다중화부(25)로는 QPSK에 의한 심볼(S1,S2)이 입력되며 또한 이들 심볼(S1,S2)과 직교성을 갖도록 생성된 심볼(-S2*,S1*)이 입력된다는 것이다.The STTD encoder 24 outputs data patterns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26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27 to the second multiplexer 25 using the principle illustrated in FIG. 4 below. . Again, the second multiplexer (25) includes a symbol (S1, S2) by the QPSK is input also generated to have their symbols (S1, S2) and the orthogonality symbol (-S2 *, S1 *) is that this type.
도 4 는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STTD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STTD 엔코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TD encoding principle of an STTD transmitter according to a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도 4를 참조하여 STTD 엔코딩 원리의 일 예를 들면, 먼저 STTD 엔코더(24)에 입력되는 QPSK 심볼이 첫 번째 심볼 구간(0∼T)에서 'S1 = 1 1', 두 번째 심볼 구간(T∼2T)에서 'S2 = 1 0' 이라 하자.As an example of the STTD encoding principle with reference to FIG. 4, first, the QPSK symbol input to the STTD encoder 24 is 'S1 = 1 1' in the first symbol interval (0 to T), and the second symbol interval (T to Let's say 'S2 = 1 0' in 2T).
이 때 STTD 엔코더(24)에서 이들 QPSK 심볼과 각각 직교성을 갖도록 생성되는 심볼은 각각 첫 번째 심볼 구간(0∼T)에서 '0 0', 두 번째 심볼 구간(T∼2T)에서 '1 0' 이 된다.At this time, the symbols generat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se QPSK symbols in the STTD encoder 24 are respectively '0 0' in the first symbol interval (0 to T) and '1 0' in the second symbol interval (T to 2T). Becomes
이렇게 STTD 엔코딩 원리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The symbols generated by the STTD encoding principle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첫 번째 심볼 구간(0∼T)에서 생성된 심볼 '0 0'은 STTD 엔코더(24)에 입력된 두 번째 심볼 구간(T∼2T)의 QPSK 심볼(S2)을 변환한 것이며, 두 번째 심볼 구간(T∼2T)에서 생성된 심볼 '1 0'은 STTD 엔코더(24)에 입력된 첫 번째 심볼구간(0∼T)의 QPSK 심볼(S1)을 변환한 것이다.The symbol '0 0' generated in the first symbol interval (0 to T) is a conversion of the QPSK symbol S2 of the second symbol interval (T to 2T) input to the STTD encoder 24, and the second symbol interval The symbol '1 0' generated at (T-2T) converts the QPSK symbol S1 of the first symbol section 0-T input to the STTD encoder 24.
간단히 말하자면, STTD 엔코딩 원리에 의해 쉬프팅, 보수 및 변환 처리를 거쳐 심볼 '-S2*,S1*'가 각 심볼 구간에서 생성된다는 것이다.In short, the symbol '-S2 * , S1 * ' is generated in each symbol period through the shifting, maintenance, and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TTD encoding principle.
결국 이들 심볼 '-S2*,S1*= 0 0, 1 0'과 STTD 엔코더(24)에 입력된 QPSK 심볼(S1,S2 = 1 1, 1 0)의 상관값은 '0'이 되므로, 서로 직교성을 갖는다.As a result, the correlation value of these symbols '-S2 * , S1 * = 0 0, 1 0' and the QPSK symbol (S1, S2 = 1 1, 1 0) input to the STTD encoder 24 becomes '0', Has orthogonality.
또한 제2 다중화부(25)에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낸 파일럿 심볼 패턴 및 표 2에 나타낸 파일럿 심볼 채널과 직교성을 갖는 파일럿 심볼 패턴(표 4)이 입력된다.In addition, the pilot multiplexer 25 receives a pilot symbol pattern shown in Table 2 below and a pilot symbol pattern (Table 4) having orthogonality to the pilot symbol channel shown in Table 2 below.
이는 STTD 엔코더(24)로부터 제2 다중화부(25)에 입력되는 데이터 패턴이 STTD를 고려한 것이므로, 표 4에 나타낸 파일럿 심볼 패턴도 또한 표 2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STTD 엔코딩 원리에 적용시켜 생성한 것이다.Since the data pattern inputted from the STTD encoder 24 to the second multiplexer 25 takes into account STTD, the pilot symbol patterns shown in Table 4 are also generated by applying the pilot symbol patterns of Table 2 to the STTD encoding principle. .
우선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과 하향 링크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에 대한 여러 채널 정보를 표 2에 나타내었다.First, Table 2 shows various channel information about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nd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DPDCH).
표 3은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각각 다른 심볼 레이트에 따라 나눈 것이다.Table 3 shows a pattern of pilot symbols included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nd is divided according to different symbol rates of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상기한 표 3에서 하향 링크의 프레임 동기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각 심볼 레이트의 전체 파일럿 심볼 중 음영 부분만이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파일럿 심볼은 '1'의 값을 갖는다.In the above-mentioned Table 3, the pilot symbols used for downlink frame synchronization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only in the shaded part of all pilot symbols at each symbol rate, and pilot symbols in other parts except this have a value of '1'. Have
즉, 심볼 레이트가 16,32,64,128Ksps(NPilot=8)인 경우의 예를 들면, 심볼#1과 심볼#3이 프레임 동기에 사용된다는 것이며, 따라서 한 슬롯당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4개이므로 결국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64개(4×16)의 파일럿 심볼이 사용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symbol rate is 16, 32, 64, 128 Ksps (N Pilot = 8), for example, symbol # 1 and symbol # 3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and therefore, pilot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per slot. Since there are four symbols, 64 pilot symbols (4x16)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in one radio frame.
다음의 표 4은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의 패턴을 각각 다른 심볼 레이트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심볼 레이트가 8ksps일 때 첫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1)의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1,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2라 하고, 심볼 레이트가 16,32,64,128ksps(NPilot=8)일 때 첫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1)의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1,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2, 세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3)의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3,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C4라 한다.Table 4 below shows patterns of pilot symbols included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ccording to different symbol rates. When the symbol rate is 8ksps, the I channel of the first pilot symbol (symbol # 1) is shown. The column sequence mapped to the tributary is C1, the column sequence mapped to the Q-channel tributary is C2, and the I of the first pilot symbol (symbol # 1) when the symbol rate is 16,32,64,128ksps (N Pilot = 8) Column sequence mapped with channel feeder C1, column sequence mapped with channel feeder C2, column sequence mapped with channel I tributary of the third pilot symbol (symbol # 3) Column sequence mapped with channel feeder C3 and Q channel Is called C4.
마지막으로 심볼 레이트가 256,512,1024ksps일 때는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및 일곱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1,심볼#3,심볼#5,심볼#7)의 각 I채널 지류 또는 각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를 순서대로 C1,C2,C3,C4,C5,C6,C7,C8 라 한다.Finally, when the symbol rate is 256,512,1024ksps, each I-channel feeder or each Q-channel feeder of the first, third, fifth, and seventh pilot symbols (symbol # 1, symbol # 3, symbol # 5, symbol # 7) The vertical sequence mapped to is called C1, C2, C3, C4, C5, C6, C7, and C8.
다음은 심볼 레이트가 256,512,1024Ksps(NPilot=8)인 경우, 하향 링크의 프레임 동기화를 위한 시퀀스들을 나열하였다.The following lists the sequences for downlink frame synchronization when the symbol rate is 256,512,1024 Ksps (N Pilot = 8).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시퀀스들은 (,)의 원리로 만든 것이다.Such sequences of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for frame synchronization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 , It is made on the principle of).
즉, 전측 8비트()를 먼저 만들고, 후측 8비트()는 전측 8비트에 보수를 취한 값으로 만든 것이다.That is, 8 bits on all sides ( ) First, then the rear 8 bits ( ) Is the complement of 8 bits of the front side.
이들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를 수행한 최종 결과는 ' 128 0 0 0 0 0 0 0 -128 0 0 0 0 0 0 0 ' 이다.The final result of performing correlation processing for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se sequences is '128 0 0 0 0 0 0 0 -128 0 0 0 0 0 0 0'.
상기한 표 5는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 STTD를 고려하여 표 3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변환한 것이다.Table 5 shows the pilot symbol patterns included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nd converts the pilot symbol patterns of Table 3 in consideration of STTD.
표 6은 STTD를 고려한 파일럿 심볼 패턴을 각각 다른 심볼 레이트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표 4에서 정의된 종렬 시퀀스를 기준으로 할 때 다음과 같은 종렬 시퀀스가 된다.In Table 6, pilot symbol patterns considering STT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symbol rates, and the following sequence sequences are obtained based on the column sequence defined in Table 4.
심볼 레이트가 8ksps(NPilot=4)일 때 첫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0)에서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1에 대한 1의 보수인,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2이다.When the symbol rate is 8ksps (N Pilot = 4), the parallel sequence mapped to the I-channel tributary in the first pilot symbol (symbol # 0) is 1's complement to C1. The column sequence mapped to the Q channel tributary is C2.
심볼 레이트가 16,32,64,128ksps(NPilot=8)일 때 첫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1)에서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3에 대한 1의 보수인,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4이고, 세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3)에서 I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1,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는 C2에 대한 1의 보수인이다.When the symbol rate is 16,32,64,128ksps (N Pilot = 8), the column sequence mapped to the I-channel tributary in the first pilot symbol (symbol # 1) is 1's complement to C3. , The sequence sequence mapped to the Q-channel tributary is C4, the column sequence mapped to the I-channel tributary in the third pilot symbol (symbol # 3) is C1, and the serial sequence mapped to the Q-channel tributary is 1's complement to C2. to be.
마지막으로 심볼 레이트가 256,512,1024ksps(NPilot=16)일 때는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및 일곱 번째 파일럿 심볼(심볼#1,심볼#3,심볼#5,심볼#7)의 각 I채널 지류 또는 각 Q채널 지류와 맵핑되는 종렬 시퀀스가 순서대로, C4, C1,,, C8, C5,이다.Finally, when the symbol rate is 256,512,1024ksps (N Pilot = 16), each I channel of the first, third, fifth, and seventh pilot symbols (symbol # 1, symbol # 3, symbol # 5, symbol # 7) A triangular sequence that maps to a tributary or each Q-channel tributary in order , C4, C1, , , C8, C5, to be.
표 5에서 심볼 레이트가 256,512,1024Ksps(NPilot=16)인 경우, 하향 링크의 프레임 동기화를 위한 시퀀스들을 나열하면,In Table 5, when the symbol rate is 256,512,1024 Ksps (N Pilot = 16), the sequences for downlink frame synchronization are listed.
이며, 이 또한 표 3의 종렬 시퀀스와 동일한 (,)의 원리로 만든 것이다. 즉 전측 8비트()를 먼저 만들고 후측 8비트()는 전측 8비트에 보수를 취한 값으로 만든 것이다.This is also the same as the column sequence in Table 3 ( , It is made on the principle of). 8-bit front side ) First, and the trailing 8 bits ( ) Is the complement of 8 bits of the front side.
이들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를 수행한 최종 결과는 표 3의 종렬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관 처리한 최종 결과와 동일한 ' 128 0 0 0 0 0 0 0 -128 0 0 0 0 0 0 0 ' 이다.The final result of performing correlation processing for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se sequences is the same as the final result correlated using the column sequence shown in Table 3 '128 0 0 0 0 0 0 0 -128 0 0 0 0 0 0 0 ' to be.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하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rrel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frame synchronization using pilot symbols of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에 도시된 하향 링크의 상관 처리 장치는 다음의 표 3 및 표 5에 나타낸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된 파일럿 심볼 패턴에서 16,32,64,128Ksps(NPilot=8)의 심볼 레이트의 파일럿 시퀀스를 사용할 경우를 예로써 나타낸 것이다.The apparatus for processing downlink correlation shown in FIG. 5 includes 16,32,64,128 Ksps (N Pilot = 8) in the pilot symbol pattern included in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shown in Tables 3 and 5 below. An example of using a symbol rate pilot sequence is shown.
여기서, 심볼 레이트의 단위는 'Ksps = (심볼×103)/초' 이다.Here, the unit of the symbol rate is 'Ksps = (symbol × 10 3 ) / second'.
본 발명에서도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서와 마찬가지로 하향 링크의 프레임 동기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각 심볼 레이트의 전체 파일럿 심볼 중 음영 부분만이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파일럿 심볼은 '1'의 값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the pilot symbol used for the frame synchronization of the downlink is that only the shaded portion of all pilot symbols of each symbol rate is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The pilot symbol has a value of '1'.
즉, 심볼 레이트가 16,32,64,128Ksps(NPilot=8)인 경우의 예를 들면, 심볼#1과 심볼#3이 프레임 동기에 사용된다는 것이며, 따라서 한 슬롯당 프레임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은 4개이므로, 결국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64개(4×16)의 파일럿 심볼을 사용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symbol rate is 16, 32, 64, 128 Ksps (N Pilot = 8), for example, symbol # 1 and symbol # 3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and therefore, pilot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per slot. Since there are four symbols, 64 radio symbols (4x16) are used for frame synchronization in one radio fram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하여 상관 처리한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며,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rrelation process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그 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에 사용할 새로운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추가적으로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a pilot symbol pattern of a new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to be used for correlation processing for frame synchronization.
도 7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 : primary CC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according to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 Broadcast Channel)을 나르는데 사용하는 하향 링크 물리 채널로써, 32Ksps의 고정 레이트(Fixed Rate)이며 256 확산 인자(SF : Spreading Factor)를 사용한다.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is a downlink physical channel used to carry a broadcast channel (BCH). It is a fixed rate of 32 Ksps and uses a 256 spreading factor (SF). do.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은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과 달리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비트(TFCI)나 전송 전력 제어 비트(TPC)를 전송하지 않으며, 단지 제어 정보는 상관 검출을 위해 요구되는 8비트의 공통 파일럿 비트(common pilot bits)만을 전송한다.As shown in FIG. 7,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does not transmit a transmission format combining indicator bit (TFCI) or a transmission power control bit (TPC), unlike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Only control information transmits only 8 bits of common pilot bits required for correlation detection.
또한,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은 매 슬롯의 초기 시점 256칩 구간 동안 전송이 없으며, 대신에 이 구간 동안에는 1차 동기 채널(primary SCH)과 2차 동기 채널(secondary SCH)가 전송된다.In addition,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has no transmission during the initial 256-chip period of each slot, and instead, the primary SCH and the secondary SCH are transmitted during this period. .
다음의 표 7은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에 대해 프레임 동기를 위한 파일럿 심볼의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Table 7 below shows a pattern of pilot symbols for frame synchronization on a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다음의 표 8은 개방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경우 STTD를 고려한 파일럿 패턴으로, 표 7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STTD 엔코딩 원리에 적용시켜 생성한 것이다.Table 8 below is a pilot pattern considering STTD when using open loop transmission diversity, and is generated by applying the pilot symbol pattern of Table 7 to the STTD encoding principle.
특히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에서는 데이터 심볼만이 STTD 엔코딩되며, 이에 따라 STTD를 고려한 파일럿 심볼 패턴이 표 8에 나타낸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only data symbols are STTD encoded, and accordingly, a pilot symbol pattern considering STTD is shown in Table 8.
도 8 은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 : secondary CCPCH)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secondary CCPCH) according to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은 순방향 액세스 채널(FACH : Forward Access Channel) 및 호출 채널(PCH : Paging Channel)을 나르는데 사용하는 채널로써,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비트(TFCI)를 포함하는 형태와 이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 두 가지가 존재한다.The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is a channel used to carry a forward access channel (FACH) and a calling channel (PCH), and includes a transport format combining indicator bit (TFCI). And two forms that do not include it.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필드(TFCI)는 다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필드로써, 이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비트(TFCI)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고정 레이트 서비스(Fixed-rate service)임을 의미하게 된다.The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field (TFCI) is a field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at the same time. If the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bit (TFCI) is not included, it means that it is a fixed-rate service. do.
도 8에 도시된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은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 비트(TFCI)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미 설명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와 같은 가변 레이트(Variable Rate)나 고정 레이트(Fixed Rate) 모두 가능하다.Since the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shown in FIG. 8 may or may not include a transport format combining indicator bit (TFCI), a variable rate such as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described above is variable. Rate or Fixed Rate are available.
다음의 표 9는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에 대한 여러 채널 정보를 나타내었다.Table 9 below shows various channel information for the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다음의 표 10은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에 대해 프레임 동기를 위한 파일럿 심볼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0 below shows pilot symbol patterns for frame synchronization on a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표 11에는 길이가 16인 4가지 종렬 시퀀스(Column Sequence)를 각 파일럿 심볼 위치 번호(심볼#)의 I채널 지류 및 Q채널 지류와 맵핑시킬 때 이들 종렬 시퀀스를 C1,C2,C3,C4라 하였다.In Table 11, when four column sequences of length 16 are mapped to the I-channel and Q-channel branches of each pilot symbol position number (symbol #), these column sequences are referred to as C1, C2, C3, and C4. .
다음의 표 12은 STTD를 고려한 것으로, 표 10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STTD 엔코딩 원리에 적용시켜 생성한 것이다.Table 12 below considers STTD, and is generated by applying the pilot symbol patterns of Table 10 to the STTD encoding principle.
이는 개방 루프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할 경우 STTD를 고려한 파일럿 패턴이다.This is a pilot pattern considering STTD when using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이와 같이 STTD가 고려된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를 수행한 최종 결과는 앞에서 기술된 하향 링크의 전용 물리 채널(DPCH)에서의 상관 결과와 동일한 특성을 보인다.As such, the final result of performing correlation processing for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of the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considering STTD is the same as the correlation result in the 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of the downlink described above. Show characteristics.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That i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ownlink DPCH) 및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의 각 파일럿 심볼 패턴에 대해 종합하고, 본 발명의 파일럿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이루는 절차를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ilot symbol pattern of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ownlink DPCH) and the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described so far will be synthesized, and a procedure for achieving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 pilot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표 13은 앞에서 설명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ownlink DPCH) 및 공통 제어 물리 채널(CCPCH)의 각 파일럿 심볼 패턴에 있어 기본이 되는 종렬 시퀀스들(C1∼C8)을 종합한 것이며, 각 종렬 시퀀스를 이용한 1차 상관 처리 결과도 동시에 나타내었다.Table 13 summarizes the column sequences C1 to C8 that are the basis for the pilot symbol patterns of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Downlink DPCH) and the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CCPCH) described above. The primary correlation treatment results are also shown simultaneously.
표 13을 살펴보면 1차 상관 처리 결과(도 5의 A1,A2,A3,A4지점에서)가 서로 동일한 종렬 시퀀스별로 아래의 4개(E,F,G,H)의 클래스(Class)로 나눌 수 있다.Table 13 shows the following four classes (E, F, G, and H) for each column sequence where the first order correlation result (at points A 1 , A 2 , A 3 , and A 4 of FIG. 5) is the same. Can be divided into
E={C1,C5}, F={C2,C6}, G={C3,C7}, H={C4,C8)E = {C1, C5}, F = {C2, C6}, G = {C3, C7}, H = {C4, C8)
표 14는 상기한 각 클래스별로 상관 결과값 'R(τ)'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4 shows the correlation result value 'R (τ)' for each class described above.
표 14에 나타낸 값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각 클래스별 상관 결과값들의 몇 가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Based on the values shown in Table 14, some of the following correlation results can be derived.
상기한 식 1, 식 2 및 식 3으로부터 다음의 식 4를 얻어낼 수 있다.The following formula 4 can be obtained from the above formulas 1, 2 and 3 above.
표 14와 식 4에서 각각및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무선 프레임에 대한 2차 상관 처리 결과(도 5의 A지점에서)는 'τ=0'인 지점에서 최대값 'R(τ)=32'을 갖고, 'τ=N/2'인 지점에서는 극성이 반대이고 동일한 크기의 최대값 'R(τ)= -32'을 갖는다. 또한 'τ=0'과 'τ=N/2'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연 지점, 즉 사이드로브(Sidelobe)에서 상관 처리 결과값은 '0'이다.In Table 14 and Equation 4, respectively And As can be seen, the result of the second order correlation processing (at point A in FIG. 5) for the radio frame has the maximum value 'R (τ) = 32' at the point 'τ = 0' and 'τ = N / At the point 2 ', the polarities are reversed and have the same maximum value' R (τ) = -32 '. In addition,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is '0' at the delay points other than the 'τ = 0' and 'τ = N / 2' points, that is, the side lobe (Sidelob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동기를 위해 제안된 파일럿 패턴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파생된 결과식을 얻어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rived express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proposed pilot pattern for frame synchronization.
여기서,는 종렬 시퀀스(C1∼C8)를 사용한 상관 결과값이다.here, Is a correlation result value using the column sequences C1 to C8.
추가로 상기에서 나열된 식들로부터 다음의 결과식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ollowing resultant express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equations listed above.
따라서 식 6에 따른 무선 프레임에 대한 최종 상관 처리 결과(도 5의 B지점에서)는 'τ=0'인 지점에서 최대값 'R(τ)=64'을 갖고, 'τ=N/2'인 지점에서는 극성이 반대이고 동일한 크기의 최대값 'R(τ)= -64'을 갖는다. 또한 'τ=0'과 'τ=N/2'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연 지점, 즉 사이드로브(Sidelobe)에서 상관 처리 결과값은 '0'이 된다.Therefore, the final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at point B of FIG. 5) for the radio frame according to Equation 6 has the maximum value 'R (τ) = 64' at the point 'τ = 0' and 'τ = N / 2' At the point at, the polarities are reversed and have the same maximum value 'R (τ) = -64'. In addition,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is '0' at delay points other than 'τ = 0' and 'τ = N / 2', that is, sidelobe (Sidelobe).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한 파일럿 패턴을 이용하여 프레임 동기를 위한 상관 처리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프레임 동기시 한 프레임에 대한 상관 주기마다 두 번의 프레임 동기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를 빠른 시간에 성공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correlation processing procedure for frame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using the pilot patter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frame synchronizations can be checked at every correlation period for one frame during frame synchronization. Will be.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럿 심볼 패턴의 상관 처리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9 is a graph comparing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s of pilot symbol patte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는 8Ksps(NPilot=4)의 심볼 레이트를 갖는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대한 2차 상관 처리 결과(도 5의 A지점에서)를 현재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상관 처리 결과와 성능 비교한 것이다.FIG. 9A shows the results of secondary correlation processing (at point A in FIG. 5)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with a symbol rate of 8 Ksps (N Pilot = 4) in the current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pecification. This is a comparison of performance and correlation results.
도 9a에서 알 수 있듯이 지연이 '0'인 지점과 '8'인 지점에서 상관 결과가 양(+)의 최대값 및 음(-)의 최대값을 갖게 되며, 그 밖의 사이드로브에서는 상관결과가 '0'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9A, the correlation result has a positive maximum value and a negative maximum value at a point where delay is '0' and '8', and in other side lobes, a correlation result is obtained. You can see that it is '0'.
도 9b는 16,32,64,128Ksps(NPilot=8)의 심볼 레이트를 갖는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및 2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SCCPCH)에 대한 최종 상관 처리 결과(도 5의 B지점에서)를 현재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상관 처리 결과와 성능 비교한 것이며, 도 9c는 256,512,1024Ksps(NPilot=16)의 심볼 레이트를 갖는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대한 최종 상관 처리 결과를 현재 3GPP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 규격에 따른 상관 처리 결과와 성능 비교한 것이다.FIG. 9B shows the final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for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and the second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SCCPCH) with a symbol rate of 16, 32, 64, 128 Ksps (N Pilot = 8) (B of FIG. 5). Point) is a performance comparison with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current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pecification, and FIG. 9C shows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with a symbol rate of 256,512,1024 Ksps (N Pilot = 16). The final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is compared with the correlation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current 3GPP Radio Access Network (RAN) standard.
결국 도 9를 살펴보면, 지연이 '0'인 지점과 '8'인 지점에서 상관 결과가 서로 다른 극성의 최대값을 나타내며, 그 밖의 사이드로브에서는 상관 결과가 '0'을 나타낸다.9, the correlation result shows the maximum value of the polarit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point where the delay is '0' and '8', and the correlation result is '0' in the other side lobes.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링크에서의 프레임 동기 절차이다.The following is a frame synchronization procedure in down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측(UE : User Equipment)에서는 네트워크측에서 알려준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의 동기화 타이밍, 프레임 옵셋 그룹 및 슬롯 옵셋 그룹을 근거로 하여 하향 링크 채널의 칩 동기 및 프레임 동기를 획득한다.On the UE side, the UE acquires chip synchroniza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of the downlink channe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timing, the frame offset group and the slot offset group of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이 때 동기 획득을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하여 프레임 동기 확인을 거치게 된다.In this case, for synchronization acquisition, frame synchronization is checked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하향 링크 채널의 프레임 동기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측(UE)은 칩 동기 실패를 확인하여 일단 초기 칩 동기에 의한 프레임 동기를 획득한다.The frame synchronization procedure of the downlink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the UE (UE) first confirms chip failure and acquires frame synchronization by initial chip synchronization.
이 때 사용자측(UE)은 1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CCPCH)의 타이밍을 이용하며, 또한 네트워크측에서 알려준 프레임 옵셋 정보 및 슬롯 옵셋 정보를 이용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측(UE)은 네트워크측으로부터 프레임 옵셋 그룹(frame offset group)과 슬롯 옵셋 그룹(slot offset group)을 수신한다.At this time, the UE uses the timing of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and also uses the frame offset information and the slot offset information informed by the network. The frame offset group and the slot offset group are received.
사용자측(UE)은 칩 동기에 의한 프레임 동기가 초기 획득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한 파일럿 심볼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프레임 동기를 확인하게 된다.When the frame synchronization based on chip synchronization is initially acquired, the UE (UE) checks the obtained frame synchronization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즉, 사용자측(UE)은 파일럿 심볼 패턴의 상관 결과값에 따라 프레임 동기가 어긋났는지의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That is, the user side UE continuously checks whether or not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shifted in accordance with the correlation result value of the pilot symbol pattern.
이 때 만약 칩 동기는 획득했지만 프레임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동기가 어긋났을 경우에 다시 칩 동기 실패를 확인하여 최종 칩 동기 및 프레임 동기를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if the chip synchronization is acquired but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misal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ame synchronization is misaligned, the chip synchronization failure is confirmed again to achieve the final chip synchronization and the frame synchronization.
도 10에는 본 발명의 파일럿 심볼 패턴을 사용함에 따른 성능 비교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10 is a graph illustrating a performance comparison by using the pilot symbol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AWGN 채널을 통하는 8Ksps(NPilot=4) 심볼 레이트의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대해, 프레임 동기 검출 확률을 나타내었다.10A illustrates frame synchronization detection probability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of 8 Ksps (N Pilot = 4) symbol rate over the AWGN channel.
도 10b는 AWGN 채널을 통하는 8Ksps(NPilot=4) 심볼 레이트의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대해, 프레임 동기 검출시 오동작 확률을 나타내었다.FIG. 10B illustrates a probability of malfunction in frame synchronization detection for a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of 8 Ksps (N Pilot = 4) symbol rate over the AWGN channel.
도 10c는 AWGN 채널을 통하는 8Ksps(NPilot=4) 심볼 레이트의 하향 링크 전용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대해, 프레임 동기 확정(frame synchronization confirmation) 확률을 나타내었다.FIG. 10C illustrates the frame synchronization confirmation probability for the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DPCCH) of 8 Ksps (N Pilot = 4) symbol rate over the AWGN chann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어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 째,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한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 동기화를 이루는데 있어 동기를 두 번 확인할 수 있는 이중 체크가 가능하여 정확한 프레임 동기를 실현할 수 있으며, 특히 프레임 동기를 빠른 시간에 성공시킬 수 있으므로 동기화를 위한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다.First, by using the optimal pilot symbol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check the synchronization in order to achieve frame synchronization, thereby realizing accurate frame synchronization. This can reduce the seek time for synchronization.
둘 째,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한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사용하게 되면, 프레임 동기를 위한 수신측의 상관 처리 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수신 장치의 전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Second, if the optimal pilot symbol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rrelation processing apparatus on the receiving side for frame synchronization can be configured more simply,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mplexity of the receiving apparatus.
세 째, 본 발명의 프레임 동기 절차에서 프레임 동기가 실패했을 경우 이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프레임 동기가 가능해진다.Third, when frame synchronization fails in the frame synchronization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tively cope with this, and thus more accurate frame synchronization is possibl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37)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08630A KR100294711B1 (en) | 1999-03-15 | 1999-03-15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 KR1019990015722A KR100317256B1 (en) | 1999-04-30 | 1999-04-30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 US09/373,703 US6791960B1 (en) | 1999-03-15 | 1999-08-13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09/376,373 US6721299B1 (en) | 1999-03-15 | 1999-08-18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DE2000112284 DE10012284B4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US09/525,447 US6987746B1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09/525,448 US6891815B1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09/525,444 US6804264B1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09/525,446 US7012906B1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DE2000112286 DE10012286B4 (en) | 1999-03-15 | 2000-03-1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BRPI0001674A BRPI0001674B1 (en) | 1999-03-15 | 2000-03-15 | method for generating pilot signal for communications system |
| ES00302094T ES2347129T3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YMBO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ESTIMATION OF CHANNELS. |
| CNB001031066A CN1161903C (en) | 1999-03-15 | 2000-03-15 |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synchronization |
| CNB2004100491090A CN100483972C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equence for frame synchroniza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GB0006262A GB2350037B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ES09154137T ES2415884T3 (en) | 1999-03-15 | 2000-03-15 | Transmitter with pilot signal synchronization |
| EP20070015144 EP1850511B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DE60043800T DE60043800D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AT00302093T ATE457554T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EP20000302094 EP1037407B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s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GB0006264A GB2350760B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frame synchronization |
| CN00103104A CN1124708C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 for synchronous and/or channel estimated |
| JP2000072966A JP3463015B2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 that can confirm synchroniz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EP20090154135 EP2099143B1 (en) | 1999-03-15 | 2000-03-15 | Emitter with pilot signal synchronisation |
| EP20000302093 EP1039654B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s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ES07015144.4T ES2502015T3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EP20090154137 EP2081306B1 (en) | 1999-03-15 | 2000-03-15 | Emitter with pilot signal synchronisation |
| AT00302094T ATE473562T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DE60044627T DE60044627D1 (en) | 1999-03-15 | 2000-03-1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JP2003161320A JP4318963B2 (en) | 1999-03-15 | 2003-06-05 | Pilot signal for synchronization and / or channel estimation |
| US10/719,057 US7317749B2 (en) | 1999-03-15 | 2003-11-24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11/100,594 US7496132B2 (en) | 1999-03-15 | 2005-04-07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HK05109014.8A HK1077134B (en) | 1999-03-15 | 2005-10-13 | Pilot sequences for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synchronization |
| US12/188,025 US7602841B2 (en) | 1999-03-15 | 2008-08-07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12/398,344 US7616681B2 (en) | 1999-03-15 | 2009-03-0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12/398,473 US7643540B2 (en) | 1999-03-15 | 2009-03-05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 US12/619,966 US7848393B2 (en) | 1999-03-15 | 2009-11-17 | Pilot signals for synchronization and/or channel esti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15722A KR100317256B1 (en) | 1999-04-30 | 1999-04-30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67709A KR20000067709A (en) | 2000-11-25 |
| KR100317256B1 true KR100317256B1 (en) | 2001-12-22 |
Family
ID=195833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157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7256B1 (en) | 1999-03-15 | 1999-04-30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3172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01954B1 (en) | 2001-11-01 | 2003-10-1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is used in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0913415B1 (en) * | 2002-11-19 | 2009-08-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ell informa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945859B1 (en) * | 2006-11-01 | 2010-03-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mon channel in downlink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31457A (en) * | 1995-11-29 | 1997-06-26 | 조나단 피. 메이어 | Method for Controll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in a Radio Subscriber Unit |
| KR970031455A (en) * | 1995-11-29 | 1997-06-26 | 조나단 피. 메이어 | Dual Mode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1999
- 1999-04-30 KR KR1019990015722A patent/KR1003172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31457A (en) * | 1995-11-29 | 1997-06-26 | 조나단 피. 메이어 | Method for Controll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in a Radio Subscriber Unit |
| KR970031455A (en) * | 1995-11-29 | 1997-06-26 | 조나단 피. 메이어 | Dual Mode Radio Subscriber Unit Hav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67709A (en) | 2000-11-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40120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nonuse an nb-tdd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EP0901722B1 (en) | Subscriber unit for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294711B1 (en)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
| AU752866B2 (en) | A subscriber unit and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CN101714894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high-speed packet data transmission with voice/data transmission | |
| ES2236811T3 (en) | SUBSCRIBER UNIT FOR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EP2186235B1 (en) |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book for e-utran | |
| AU779617B2 (en) | Diffusion code generator, CDMA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diffusion code generating method used therefor | |
| EP2356752B1 (en) | Time-division multiplexed pilot signal for integrated mobile broadcasts | |
| KR100317256B1 (en)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
| KR100331870B1 (en) | Optimal pilot pattern allocation and arrangement method | |
| KR100331874B1 (en)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pilot pattern of common pilot channel | |
| KR100320421B1 (en) | Frame Synchronization Confirmation Method using Optimal Pilot Symbol | |
| KR100331871B1 (en) | method of confirming a frame synchronization, which is used slot by slot correlation results | |
| KR100323767B1 (en) | Frame Synchronization Maintenance Method | |
| WO2002082705A1 (en) | A tdd framing method for a wireless system | |
| KR100311523B1 (en) | Frame Synchronization Establishment Method | |
| KR100710344B1 (en) | Radio Frame Structure and Pilot Pattern Transmiss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472692B1 (en) | Subscriber unit for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8271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between base station in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308151B1 (en) | method of confirming a frame synchronization, at that time correlation results being sampled is used | |
| KR100339337B1 (en) | Fram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mal pilot pattern | |
| KR100606673B1 (en) |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Pilot Pattern | |
| KR20010019994A (en) | Channel Transmiss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11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