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2613B1 -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613B1
KR100332613B1 KR1019990055806A KR19990055806A KR100332613B1 KR 100332613 B1 KR100332613 B1 KR 100332613B1 KR 1019990055806 A KR1019990055806 A KR 1019990055806A KR 19990055806 A KR19990055806 A KR 19990055806A KR 100332613 B1 KR100332613 B1 KR 100332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manufacturing
deflection yoke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140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6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6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편향코일을 바디부인 유효편향자계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유효편향자계 영역과 별도로 무효편향자계 영역인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미세조정을 해 주기 위해 한 턴을 여러 가닥으로 다른 위치에 둘 수 있게 됨에 따라 초 고정세용 편향 요크 제작시 인덕턴스를 줄이고 저항을 크게 줄이는 형태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경우의 코일의 한 턴에 의한 영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코일의 배열에 의한 금형을 활용하는 제작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코일의 형상을 완전한 대칭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코일의 제작에 의한 미스 콘버젼스 비대칭현상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인라인 형태의 제작 공정을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제조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Manufacture Method of DY Coil for broun tube}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코일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향 요크 코일의 권선방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코일의 플랜지부 형상을 자유롭게 하고 코일의 위치별 권선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특성조정을 용이하게 하므로서 고정세, 평면 스크린 특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편향요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 은 종래의 새들-새들 형 및 새들-토로이달 형 편향요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도 4a와 도 4b는 종래의 권선된 코일의 일 예시도로서, 각각 플랜지부(31a)와 바디부(31b) 및 수평편향코일(31)로 이루어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다음으로 도 6a와 도 6b 는 종래 권형의 간이 단면도 및 정면도의 일 예시도로서, 권형을 A-A'의 축을 중심으로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브라운관용 편향요크(20)는 수평 및 수직 편향을 위한 전기 수평 편향요크(31)와 전기 수직 편향요크(32),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요크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을 보완해 주면서 편향효율을 향상시켜주는 페라이트 재질의 코아(50), 상기 전기 수직 및 수평 편향요크(31, 32)와 페라이트 코아(50) 등의 기구적인 상대위치를 결정해주면서 기구적으로 고정, 결합시켜주는 역할과 동시에 적용할 브라운관(100)과의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기 홀더(Holder)(60), 전기 홀더의 넥크부(Neck)(70) 평면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 베럴형 자계에 의해서 발생하는 콤마 수차를 개선해 주는 콤마프리(Convergence York) 코일(71), 상기 홀더(60)의 넥크부(70) 끝에 설치되어 브라운관(100)과 전기 편향요크(20)를 기구적으로 결합시켜주는 링 밴드(Ring Band)(72), 전기 편향요크(20)의 개구부 및 스크린부 끝단에 주로 설치되어 화면의 상, 하단에 나타나는 라스터 디스토션을 보정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마그네트(Magnet)(90) 등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브라운관(100)의 코일을 제작하는 데는 기본적으로 코일의 형상을 하고 있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권형(30)이라는 틀을 이용하여 제작해 주는데 코일(3-1)을 고정해주는 경우 권형(11)을 회전시키고, 권형(30)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코일(331, 32)을 권선해 주고 있으며, 권선이 완료된 경우에는 코일(331, 32)의 양끝을 기준으로 적정수준의 전류를 흘려서 자체적으로 발열을 일으키고 코일의 외면에 코팅해 준 도 5의 본딩층(33)을 녹여 형상을 고정시켜 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권선 방식으로 코일을 제작해 주는 경우에는 상기 권형(30)에 코일(31, 32)을 권선해줄 때 코일(31, 32)이 권형(30)의 정해진 위치까지 잘 인입이 되도록 해주기 위하여 코일 권선 가이드를 설치해 주고 있다.
그러나 설계된 코일의 형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코일의 넥크 부분과 스크린 부분의 기구적 차이로 인해 권선 밀도 분포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5a와 도 5d를 기준으로 이를 설명하면, 길이 방향으로 보면 Z 위치에 따른 X-Y 중심점으로부터 단면 형상이 만들어 주는 두 개의 원형이 있는데 이들 원은 스크린측으로 진행되면 될수록 원의 반경이 커지게 되어 결국 편향 각도에 따라 다르지만 넥크측의 반경과 스크린측의 반경에 큰 차이가 나게 되고, 이에 따라 만들어진 권형의 형상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권선을 해주기 위해서 권형 혹은 코일의 어느 한 쪽을 돌려서 권선을 해주는 경우 이 반경의 차이(Rs-Rn) 만큼의 권선 저항(텐션으로 작용함)으로 작용함에 따라 권선된 코일의 좌우측의 권선 밀도는 Z축 위치에 따라 차이를 가지게 된다. 즉 권선방향에 따라 넥크측으로부터 스크린측으로 권선되는 부분과 스크린측으로부터 넥크측으로 권선되는 부분은 상기 텐션의 변화에 따라 코일의 인입이 잘 이루어지는 부분과 비교해서 잘 인입이 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이 되고, 이에 따라 밀도의 차이를 가지고 이는 화면상의 비대칭성 미스콤버젼스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일의 플랜지부 형상을 자유롭게 해 줌과 동시에 코일의 위치별 권선 및 특성조정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고정세, 평면 스크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브라운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새들-새들 형 편향요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새들-토로이달 형 편향요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 에서 도 4b 는 종래의 권선된 코일의 일 예시도.
도 5a 에서 도 5d 는 종래의 코일 측면도와 넥크부, 스크린부의 단면형상 및 동선단면 일 예시도.
도 6a 에서 도 6b 는 종래 권형의 간이 단면도 및 정면도의 일 예시도.
도 7 은 종래의 권형에 코일이 권선되는 모양 구조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를 가지는 코일을 평면상에 배열한 상태 구조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보드 구조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된 코일을 금형으로 3차원 형상화 한 코일 구조도.
도 1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랜지 보드와 코일의 결합된 형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단자 220 : 코일
230 : 코일 고정용 핀 240 : 플랜지 보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수직 편향코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 수직 각 편향코일을 바디부인 유효편향자계 영역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유효편향자계 영역과 별도로 무효편향자계 영역인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제 1 단계는 개개 코일의 양 끝단을 납접이 가능한 단자로 형성하며, 제 2 단계는 프린트 기판으로 만든 플랜지 보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선가닥의 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각 영역을 서로 다른 재료로 분리해서 연결한 형태로 구성한 후,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을 금형으로 눌러 형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은 코일의 형상을 완전한 대칭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코일 제작으로 인한 미스 콘버젼스 비대칭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편향코일은 미세조정을 위해 한 턴을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를 가지는 코일을 평면상에 배열한 상태 구조도로서, 단자(210)와 코일(220) 및 코일 고정용 핀(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보드 구조도로서, 단자 납접부로 코일을 고정한 플랜지 보드(24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된 코일을 금형으로 3차원 형상화 한 코일 구조도로서, 상기 코일을 금형으로 형상화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리고 도 1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랜지 보드와 코일의 결합된 형상 사시도로서, 상기 플랜지 보드(240)와 코일(220)을 결합시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조를 보면, 본 발명이 편향요크의 코일(220)은 상기 종래 방식의 편향 코일(31, 32)이 정해진 형태의 틀에 감아서 만들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코일(220)의 플랜지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플랜지 형상이나 다른 형태의 플랜지 보드(240)로 이루어진 프린트 기판 혹은 도전성 연결소자로 별도로 대치하고 이곳에 정해진 형상의 코일(220)을 납접시켜준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구조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편향 요크 코일(220)을 제작하는 데는 먼저 상기 플랜지 보드(240)를 준비하고, 그 다음으로 정해진 길이의 코일을 배열해서 성형 혹은 형상제작을 하고 이 제작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성형코일을 플랜지 보드(240)를 이용해서 연결해 줌으로써 코일 제작을 끝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일(220) 및 플랜지 보드(240)를 이용하여 편향 요크를 제작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미세조정을 해 주기 위해 한턴을 여러 가닥으로 다른 위치에 둘 수 있게 됨에 따라 초 고정세용 편향 요크 제작시 인덕턴스를 줄이고 저항을 크게 줄이는 형태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경우의 코일의 한 턴에 의한 영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코일의 배열에 의한 금형을 활용하는 제작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코일의 형상을 완전한 대칭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코일의 제작에 의한 미스 콘버젼스 비대칭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셋째, 인라인 형태의 제작 공정을 만들어 주는 경우 코일제조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에 사용하는 수평, 수직 편향코일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평, 수직 각 편향코일을 바디부인 유효편향자계 영역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유효편향자계 영역과 별도로 무효편향자계 영역인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개개 코일의 양 끝단을 납접이 가능한 단자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프린트 기판으로 만든 플랜지 보드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선가닥의 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영역을 서로 다른 재료로 분리해서 연결한 형태로 구성한 후, 상기 수평수직 편향코일을 금형으로 눌러 형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은
    코일의 형상을 완전한 대칭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코일 제작으로 인한 미스 콘버젼스 비대칭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코일은
    미세조정을 위해 한 턴을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KR1019990055806A 1999-12-08 1999-12-08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06A KR100332613B1 (ko) 1999-12-08 1999-12-08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806A KR100332613B1 (ko) 1999-12-08 1999-12-08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140A KR20010081140A (ko) 2001-08-29
KR100332613B1 true KR100332613B1 (ko) 2002-04-17

Family

ID=1962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8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613B1 (ko) 1999-12-08 1999-12-08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6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140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93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KR100481259B1 (ko) 권선 공간을 구비한 새들형 편향 권선
KR100332613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코일제작 방법
US4763848A (en) Winding support for use in manufacturing saddle-type coils
US3310763A (en) Deflection yoke coil
CN114078625B (zh) 变压器
KR017911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US4368445A (en) Television deflection yoke
JPS6119032A (ja) 偏向ヨ−ク
KR014420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코아
US4383233A (en) Television deflection yoke
US5841226A (en) Deflection yoke
JPH0865691A (ja)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JP2672104B2 (ja) 偏向ヨーク
KR100484556B1 (ko) 편향 요크
KR100242172B1 (ko) 음극선관용 필름형 새들타입 편향부재 및 이를 이용한 새들형 편향코일 제조방법
JP3432846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装置
JP2000011918A (ja) 偏向ヨー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6348B2 (ja) 偏向ヨーク
JPH11307011A (ja) 偏向ヨーク
JPH09180650A (ja) 偏向ヨーク
JPH0572694B2 (ko)
JPS6132335A (ja) 偏向ヨ−ク
JPH09293466A (ja) 偏向ヨーク
JP2001250479A (ja) 偏向コイルの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並びに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4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4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