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316B1 -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4316B1 KR100354316B1 KR1020000010772A KR20000010772A KR100354316B1 KR 100354316 B1 KR100354316 B1 KR 100354316B1 KR 1020000010772 A KR1020000010772 A KR 1020000010772A KR 20000010772 A KR20000010772 A KR 20000010772A KR 100354316 B1 KR100354316 B1 KR 100354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chapter
- block
- recorded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11B19/047—Recovery from power failur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공개한다. 그 장치는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페이지 수, 및 각 챕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의 챕터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엔트리 번호를 기록하는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 챕터의 다음 블록 번지를 나타내는 체인 블록 번호 및 챕터의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 및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 메모리, 및 녹음중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기록 챕터 수를 1증가하고,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내에 1증가된 챕터의 챕터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엔트리 번호가 기록되고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1증가된 챕터의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저장된 1증가된 챕터의 체인 블록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 영역의 블록을 탐색하여 해당 블록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1증가된 챕터에 대한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의 기록 챕터 수 및 총 사용 페이지 수를 업데이트하고,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원이 재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녹음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apparatus. The device indicates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recording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and the entry number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specifying the chapter start position in the data area of each chapter, the next block address of the chapter.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for storing data indicating chain block number and the last block of chapters, and a memory having a data area for recording digital data, and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when power is supplied again after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Is increased by 1, the entry number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specifying the chapter start position of the chapter 1 increas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is recorded, and the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of the chapter 1 increased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is recorded. If not written,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Search for the block in the data area that corresponds to the chain block number of the incremented chapter stored in reverse, and if no data is recorded in that block, enter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otal number of pages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the incremented chapter. And a control unit for updating and recording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Therefore, even if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if the power is supplied again, the recorded data can be restored until the power is cut off.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원이 재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기록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storing recorded data until power is cut off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data recording. It relates to a data recovery method.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녹음시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메모리에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encodes data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recording and records the data in a memory, and during reproduction, decodes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and outputs the data to the outside.
플래쉬 메모리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독출하기 위해서 메모리 관리가 필요하다.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in a flash memory requires memory management in order to record and read digital data continuously input into the memory.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메모리 내부에 메모리 관리영역을 두고 제어 수단인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서 메모리를 관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has a memory management area inside the memory and manages the memory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ich is a control means.
그런데,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데이터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녹음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 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data using a flash memory has a problem in that the recorded data cannot be recovered until the power is cut off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data recording.
그리고, 플래쉬 메모리는 메모리 자체의 특성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록하고자 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소거한 후에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여야 한다.In the flash memory, when data is to be record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ory itself, new data must be written after erasing data in the memory area to be written.
그런데, 디지털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전원이 차단되고, 이 후 전원이 재공급되면, 새롭게 녹음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영역에 덮어 쓰여지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녹음되는 디지털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게 된다.However, if the power is cut off while the digital data is being recorded, and then the power is supplied again, the newly recorded digital data is overwritten in the data recording area of the memory where the data is recorded before the power is cut off. Therefore, newly recorded digital data is not recorded properly.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녹음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digital data recorded before power is cut off when power is supplied again when power is cut off while digital data is being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covery method of an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수단, 상기 신호 입/출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입/출력수단으로 출력하는 부호화/복호화 수단,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페이지 수, 및 각 챕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의 챕터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엔트리 번호를 기록하는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 챕터의 다음 블록 번지를 나타내는 체인 블록 번호 및 챕터의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 및 상기 부호화/복호화 수단에 의해서 부호화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 데이터 저장수단, 및 녹음중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상기 기록 챕터 수를 1증가하고, 상기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내에 상기 1증가된 챕터의 챕터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엔트리 번호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상기 1증가된 챕터의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저장된 상기 1증가된 챕터의 체인 블록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블록을 탐색하여 상기 해당 블록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1증가된 챕터에 대한 상기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의 상기 기록 챕터 수 및 총 사용 페이지 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gnal input / output means for inputting / outputting an analog signal, the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 output means is encoded and converted into digital data, Encoding / decoding means for decoding digital data,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input / output means, a data block for designating a chapter start position, a total number of pages used, and a chapter start position in the data area of each chapter.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recording the entry number of the positioning table, the chain block number indicating the next block address of the chapter and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for storing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of the chapter, and the encoding / decoding means Day for recording the encoded digital data Data storage means having a recording area, and data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the recorded chapters by one when power is supplied again after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and designates a chapter start position of the increased chapter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If the entry number of the block positioning table is recorded and data indicating that the last block of the one increased chapter is not recorded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the data of the one increased chapter stored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is not recorded. Search for a block of the data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in block number and update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the one increased chapter if no data is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block; Indicate the last block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recording data.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페이지 수, 및 각 챕터의 시작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번호를 기록하는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과 상기 각 챕터의 체인 블록 번호, 및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 및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구비한 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디지털 데이터 복구 방법에 있어서, 녹음중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상기 기록 챕터 수를 1증가하고, 상기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내에 상기 1증가된 챕터의 챕터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엔트리 번호가 기록되고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상기 1증가된 챕터의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만일 상기 판단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저장된 상기 1증가된 챕터의 체인 블록 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영역의 블록을 탐색하여 상기 해당 블록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1증가된 챕터에 대한 상기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의 상기 기록 챕터 수 및 총 사용 페이지 수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영역에 마지막 블록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이터 복구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comprises a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recording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and the starting data block position designation number of each chapter, and Digital data of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data block means having a chain block number of a chapter,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for recording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and a data area for recording digital data. In the recovery method, when the power is supplied again after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the number of the recorded chapters is increased by one, and the chapter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which designates the chapter start position of the increased chapter is specifi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The entry number is recorded and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zero A judgmen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of the one increased chapter is recorded; and if the determination step is not satisfied, a chain block number of the one increased chapter stored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area; Search for a block of the data area corresponding to and update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for the increased chapter if data is not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block; And a data recovery step of restoring the data of the data area by recording data indicating the last block in the positioning table area.
도1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도2는 도1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의 실시예의 메모리 영역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2 shows a memory area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flash memory shown in FIG.
도3은 도2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의 실시예의 리드-인 데이터 영역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3 shows a lead-in data area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flash memory shown in FIG.
도4는 도2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의 실시예의 챕터 속성 테이블(CAT)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chapter attribute table CAT of the embodiment of the flash memory shown in FIG.
도5는 도2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의 실시예의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of the embodiment of the flash memory shown in FIG.
도6은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figuring data of a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도7은 도6의 방법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FIG. 7 shows a change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by the method of FIG.
도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8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의해서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figuring data of a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by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도9의 방법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FIG. 10 shows a change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by the method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마이크(10), 증폭기들(12, 20), 엔코더 및 디코더(14), 중앙 처리 장치(16), 플래쉬 메모리(18), 및 스피커(22)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which includes a microphone 10, amplifiers 12 and 20, an encoder and decoder 14, a central processing unit 16, and a flash memory 18. , And a speaker 22.
도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each of the block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below.
마이크(10)는 데이터 입력수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한다. 증폭기(12)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엔코더 및 디코더(14)는 아날로그 신호를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한다. 중앙 처리 장치(16)는 엔코더 및 디코더(1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18)에 기록하고, 플래쉬 메모리(18)로부터 독출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엔코더 및 디코더(14)로 출력하기 위하여 플래쉬 메모리(18)를 제어 및 관리한다.The microphone 10 inputs an analog signal as data input means. The amplifier 12 amplifies the analog signal. The encoder and decoder 14 encode an analog signal, convert it into digital data, and decode the digital data into an analog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6 writes the digital data input from the encoder and the decoder 14 to the flash memory 18, and outputs the digital data read from the flash memory 18 to the encoder and the decoder 14. The memory 18 is controlled and managed.
도2는 도1에 나타낸 플래쉬 메모리(18)의 실시예의 메모리 영역 구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16M의 용량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가 보이스 레코더가 적용되는 경우의 메모리 영역 구분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것이다.Fig. 2 shows the memory area division of the embodiment of the flash memory 18 shown in Fig. 1, and shows a memory area division when the flash memory having a capacity of 16M is applied to the voice recorder as an example.
플래쉬 메모리는 크게 메모리 관리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모리 관리 영역은 리드-인(Lead-in) 데이터 영역, 챕터 속성 테이블(CAT; chapter attribute table) 영역, 및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 data block index table)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메모리 관리 영역은 동일 내용의 복사본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Flash memory consists of a memory management area and a data area. The memory management area includes a lead-in data area, a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rea, and a data block index table (DBIT) area. The memory management area further comprises an area for recording a copy of the same contents.
이는 메모리 관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업데이트가 되어야 하는데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동일 내용의 복사본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This means that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must be upd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 order to update, the data must be provided with an area for recording a copy of the same contents.
즉, 중앙 처리 장치가 메모리 관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가져와 업데이트를 하고, 메모리 관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소거한다. 업데이트한 데이터와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메모리 관리 영역에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의 데이터를 소거하고, 메모리 관리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에 기록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btains and updates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and erases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The data recorded in the updated data and the area in which a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is recorded are recorded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Then, the data in the area where the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is recorded is erased, and the data recorded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is recorded in the area where the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is recorded.
실시예의 플래쉬 메모리는 데이터 소거시에 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소거되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 영역과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이 블록 단위로 존재한다.In the flash memory of the embodiment, since data is erased in units of blocks when data is erased, there is an area in which blocks of a memory management area and a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are recorded.
이제, 도2에 나타낸 16M의 용량의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의 영역 구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area classification of the flash memory having the capacity of 16M shown in Fig. 2 is explained as follows.
16M의 용량을 가지는 플래쉬 메모리는 1024개의 블록들로 이루어지며, 1블록은 32페이지로, 1페이지는 512바이트로 이루어진다.Flash memory with a capacity of 16M consists of 1024 blocks, one block is 32 pages and one page is 512 bytes.
1024개의 블록중 첫 번째 1블록은 메모리 관리 영역, 다음 1블록은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이고, 나머지 1022블록은 데이터 영역이 된다.The first one of the 1024 blocks is a memory management area, the next one is an area where a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is written, and the remaining 1022 blocks are data areas.
그리고, 메모리 관리 영역과 메모리 관리 영역의 복사본이 기록되는 영역 각각의 1페이지는 리드-인 데이터 영역이 되고, 다음 4페이지는 챕터 속성 테이블 데이터 영역이 되고, 나머지 페이지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One page of each of the areas where the memory management area and the copy of the memory management area are recorded is a lead-in data area, the next four pages are chapter attribute table data areas, and the remaining pages ar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ata areas. Used as
도3은 도2에 나타낸 리드-인 데이터 영역의 실시예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리드-인 데이터 영역은 총 256바이트로 구성되며, 그중 44바이트는 포맷 버젼 정보가 기록되고, 1바이트는 불량 블록 총 수가 기록되고, 128바이트는 불량 블록의 번지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나머지 영역은 사용되는 않는 영역이다.FIG. 3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the lead-in data area shown in FIG. 2, wherein the lead-in data area is composed of 256 bytes in total, 44 bytes of which format version information is recorded, and one byte is a bad block. The total number is recorded, and 128 bytes is an area in which the address of a bad block is recorded. The remaining area is an unused area.
포맷 버전 정보는 향후 개선에 대비한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불량 블록 총 수는 플래쉬 메모리 내부의 불량 블록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불량 블록이 나타날 때마다 그 수를 증가시킨다. 불량 블록 번지는 플래쉬 메모리 내부의 불량 블록의 시작 번지를 나타낸다.The format version information is data indicating version information for future improvement. The total number of bad blocks represents the number of bad blocks in the flash memory, and increases each time a bad block appears. The bad block address indicates the start address of the bad block in the flash memory.
도4는 도2에 나타낸 챕터 속성 테이블 영역의 실시예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블록 수, 각 챕터의 시작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DBIT) 번호, 및 각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가 기록되는 영역이다.Fig. 4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the chapter attribute table area shown in Fig. 2, which records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the start data block position designation (DBIT) number of each chapter, and the number of used pages of each chapter. It is an area.
이들 데이터들 각각은 2바이트로 기록되게 된다.Each of these data is recorded in two bytes.
도4에서, 첫 번째 2바이트는 총 기록된 챕터의 수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두 번째 2바이트는 총 사용 블록 수가 기록되는 영역으로, 1022개의 블록중에 몇 개의 블록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낸다. 각 챕터의 시작 DBIT 번호는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챕터의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DBIT 엔트리 번호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각 챕터의 사용된 페이지 수는 챕터의 생성에 사용된 총 페이지 수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각 챕터의 시작 DBIT번호와 각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는 2바이트로 이루어지며 이들 데이터가 순서대로 기록된다.In Fig. 4, the first two bytes are an area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chapters is recorded. The second 2 bytes is an area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is recorded, indicating how many of the 1022 blocks are used. The start DBIT number of each chapter is an area in which a DBIT entry number specifying the start position of the chapter of the data recording area of the flash memory is recorded. The number of pages used in each chapter is an area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for generation of chapters is recorded. The starting DBIT number of each chapter and the number of pages used in each chapter are made up of 2 bytes, and these data are recorded in order.
도5는 도2에 나타낸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괄호안의 숫자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엔트리(entry)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2바이트로 이루어진 체인 번지가 각각의 엔트리 번호에 기록된다.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shown in Fig. 2, and the numbers in parentheses indicate the entry numbers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A chain address consisting of two bytes is recorded in each entry number.
도5에서, DBIT내에 기록되는 엔트리 번호 및 체인 번지는 플래쉬 메모리의 블록 번지를 의미한다.In Fig. 5, the entry number and chain address written in the DBIT mean a block address of the flash memory.
도6은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데이터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ata configuration method of a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도6(a), (b)는 챕터 속성 테이블(CAT)의 변화를, 도6(c), (d)는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각각의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는 상술한 도4와 5의 데이터 기록 형식에 따라서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는 0과 1의 형태로 기록된다. 도면에서, 데이터는 16진수로 표시하였으며, "FFFF"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6 (a) and 6 (b) show changes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FIGS. 6 (c) and 6d show changes in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The data recorded in each table represents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recording formats of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and data is recorded in the forms of 0 and 1. In the figure, data is expressed in hexadecimal notation, and " FFFF " means an area in which data is not recorded.
도7(a), (b)는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7 (a) and 7 (b) show changes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에 도6(a),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suming that data has been record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as shown in Figs. 6A and 6C,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전원이 재공급되면 도6(a)의 CAT내의 두 번째 챕터의 시작 DBIT 번호 기록영역이 "FFFF"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두 번째 챕터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도6(c)의 DBIT의 "FFFF"로 표시된 엔트리 번호(1)를 탐색한다.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T내의 두 번째 챕터 시작 DBIT 번호 기록 영역에 "0001"을 기록한다.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빗금친 블록 번지 "0001"에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한다. 도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IT내의 사용되지 않은 엔트리 번호(3)를 탐색한다. 도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IT내의 엔트리 번호(1)에 체인 번지 "0003"을 기록하고,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다음 빗금친 블록 번지 "0003"에 다음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한다. DBIT내의 사용되지 않은 엔트리 번호(5)를 탐색한다. 도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IT내의 엔트리 번호(3)에 체인 번지 "0005"를 기록하고,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블록 번지 "0005"에 다음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한다. DBIT내의 사용되지 않은 엔트리 번호(127)를 탐색한다. 도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IT내의 엔트리 번호(5)에 체인 번지 "007F"를 기록하고,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블록 번지 "007F"에 다음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한다. 블록 번지 "007F"에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됨으로써 데이터 기록이 종료되었으면, DBIT내의 사용되지 않은 엔트리 번호(127)를 탐색하여, 마지막 블록임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When the power is supplied again, since the recording area of the start DBIT number of the second chapter in the CAT of Fig. 6 (a) is indicated as "FFFF", the "FFFF of DBIT of Fig. 6 (c) is used to record data in the second chapter. The entry number 1 indicated by " As shown in Fig. 6B, " 0001 " is recorded in the second chapter start DBIT number recording area in the CAT. As shown in Fig. 7B, digital data is recorded in the hatched block address " 0001 " in the data area. As shown in Fig. 6C, an unused entry number 3 in the DBIT is searched. As shown in Fig. 6D, the chain address " 0003 " is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1 in the DBIT, and the next digital data is recorded in the next hatched block address " 0003 " in the data area as shown in Fig. 7B. Record it. Search for an unused entry number 5 in the DBIT. As shown in Fig. 6D, the chain address " 0005 " is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3 in the DBIT, and the next digital data is recorded in the block address " 0005 " Search for an unused entry number 127 in the DBIT. As shown in Fig. 6D, the chain address " 007F " is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5 in the DBIT, and the next digital data is recorded in the block address " 007F " of the data area as shown in Fig. 7B. . If data recording is terminated by recording digital data at the block address " 007F ", the unused entry number 127 in the DBIT is searched to record data indicating that it is the last block.
그리고,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T내의 두 번째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 기록 영역에 총 사용 페이지 수 "0070"을 기록한다.Then, as shown in Fig. 6B, the total used page number " 0070 " is recorded in the used page number recording area of the second chapter in the CAT.
다음으로, CAT내의 총 기록 챕터 수 기록 영역의 데이터가 도6(a)의 "0001"에서 도6(b)의 "0002"으로 업데이트되고, 총 사용 블록 수가 도6(a)의 "0300"에서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0304"로 업데이트된다.Next, the data of the total recording chapter number recording area in the CAT is updated from "0001" in FIG. 6 (a) to "0002" in FIG. 6 (b),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is "0300" in FIG. 6 (a). Is updated to " 0304 " as shown in Fig. 6B.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챕터가 생성되게 된다.One chapter is generated b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챕터가 생성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CAT내의 총 기록 챕터 수와 총 사용 블록 수가 증가되고, 반대로, 챕터가 지워지게 되면 총 기록 챕터 수와 총 사용 블록 수가 감소되고, CAT내의 데이터가 앞당겨서 기록되고 챕터 번호는 재할당된다.When the chapters ar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in the CAT in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chapters are erased,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decrease, and the data in the CAT is prematurely recorded and the chapter number Is reassigned.
반면에, 재생시에는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내에 지정된 블록 번지를 탬색하면서 디지털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reproduction, the digital data is read while searching for the block address specified in the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디지털 데이터를 녹음시에 CAT내의 녹음이 이루어지는 해당 챕터의 시작 DBIT번호 기록 영역에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엔트리 번호가 기록되고, DBIT내의 체인 번호 기록 영역에는 사용되지 않은 다음 엔트리 번호가 기록된다. DBIT내의 엔트리 번호는 블록 번호를 의미한다. 녹음이 종료되면, CAT내에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블록 수, 및 해당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가 업데이트됨으로써 챕터가 생성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entry number of the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is recorded in the start DBIT number record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chapter where recording in CAT is performed when digital data is recorded, and the chain number recording area in the DBIT is recorded. The next entry number not used is recorded. The entry number in the DBIT means the block number. When the recording is finished, the chapter is generated by updating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and the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hapter.
그런데,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게 되면 CAT내의 기록 챕터 수, 총 사용 블록 수, 및 해당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에 대한 기록이 없게 되고, 또한, DBIT내에 마지막 챕터에 대한 기록이 없게 된다.However, if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there will be no recording of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in the CAT,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and the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hapter, and there will be no record of the last chapter in the DBIT.
그래서, 다음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녹음중이던 챕터가 다시 지정이 되어 녹음이 되게 된다.Thus, the next time the power is reapplied, the chapters being recorded are reassigned and recorded.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는 녹음을 하는 도중에 전원이차단되면 차단시까지 녹음되어 있던 디지털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f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the digital data recorded until the interruption cannot be recovered.
또한, 녹음중이던 챕터의 데이터 영역에 새롭게 녹음되는 데이터가 재기록되게 됨으로써, 새롭게 녹음되는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newly recorded data is re-recorded in the data area of the chapter being recorded, there is a problem that newly recorded data cannot be properly recorded.
도8은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1에 나타낸 중앙 처리 장치가 플래쉬 메모리의 메모리 관리 영역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8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method by whic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1 processes data in the memory management area of the flash memory.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면 도8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복구된다.If the power is supplied again after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data is recovered according to the method shown in FIG.
먼저, 챕터 번호를 1증가하여 지정한다(제100단계). 이때,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녹음이 완료되지 않은 챕터가 있었다면, 그 챕터가 다시 지정되게 된다. 이는 CAT내의 기록 챕터 수가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First, a chapter number is increased by one and specified (step 100). At this time, if there were chapters in which recording was not completed before the power was cut off, the chapters are assigned again.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recorded chapters in the CAT has not been updated.
다음, CAT내에 해당 챕터의 시작 DBIT번호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110단계). 제110단계 수행 결과 해당 챕터의 시작 DBIT번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rt DBIT number of the chapter is recorded in the CAT (step 110). If the start DBIT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hapter is not recorded as a result of step 110, the operation ends.
만일 해당 챕터의 시작 DBIT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DBIT내에 마지막 블록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120단계). 제120단계를 만족하면 동작을 종료한다.If the start DBIT number of the chapter is record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st block is recorded in the DBIT (step 120). If step 120 is satisfied, the operation ends.
해당 챕터의 시작 DBIT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DBIT내에 마지막 블록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10단계를 만족하고, 제120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데이터 복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f the start DBIT number of the chapter is recorded and the last block is not recorded in the DBIT, it means that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Accordingly, if the operation 110 is satisfied and the operation 120 is not satisfied, the data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만일 제120단계의 수행결과를 만족하지 않으면, CAT내에서 해당 챕터의 DBIT 엔트리 번호를 독출한다(제130단계).If the result of the step 120 is not satisfied, the DBIT entry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hapter is read in the CAT (step 130).
DBIT내의 엔트리 번호에 해당하는 블록의 첫 번째 페이지를 지정한다(제140단계).The first page of the block corresponding to the entry number in the DBIT is designated (step 140).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 영역의 엔트리 번호에 기록된 블록의 첫 번째 페이지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제150단계).In step 150, it is determined whether data is recorded in the first page of the block written in the entry number of the data recording area of the flash memory.
제150단계를 만족하면 CAT내의 해당 챕터의 사용 페이지 수를 증가한다(제160단계).If step 150 is satisfied, the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orresponding chapter in the CAT is increased (step 160).
그리고, 다음 페이지를 지정한다(제170단계).Then, the next page is specified (step 170).
지정된 페이지가 해당 블록의 마지막 페이지인지를 판단한다(제180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pecified page is the last page of the block (step 180).
만일, 해당 블록의 마지막 페이지가 아니면 제150단계로 진행하고, 해당 블록의 마지막 페이지이면 DBIT에서 다음 블록 번호를 찾고, 제140단계로 진행한다(제190단계).If it is not the last page of the bloc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50. If the block is the last page, the DBIT finds the next block number and proceeds to step 140 (step 190).
그리고, 제150단계의 수행 결과를 만족하지 않으면 CAT내에 총 기록 챕터 수를 기록한다(제200단계).If the result of performing step 150 is not satisfied,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chapters is recorded in the CAT (step 200).
CAT내에 총 사용 페이지 수를 기록한다(제210단계).The total number of pages used in the CAT is recorded (step 210).
DBIT내에 마지막 블록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동작을 종료한다(제220단계).Data representing the last block is recorded in the DBIT and the operation ends (step 220).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고 전원이 재공급되면, 해당 챕터가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된 챕터인가를 먼저 판단한다. 만일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된 챕터이면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까지를 탐색하여 CAT와 DBIT에 챕터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한다.In other words, in 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and the power is supplied again,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chapter is the cut-off power during recording. If the chapter is turned off during recording, the chapter is searched up to the area where data is recorded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and the chapter related information is updated in the CAT and DBIT.
즉, 비록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어 챕터 관련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못함으로써 완전한 챕터로 구성되지 못한 챕터를 전원이 재공급되는 경우에 도8에 나타낸 방법을 수행함에 의해서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하나의 완전한 챕터로 구성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and the chapter related data is not updated, the digital data recorded until the power is cut off by performing the method shown in Fig. 8 when the power is supplied again to the chapter which is not composed of the complete chapter. Can be organized into one complete chapter.
도9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에 의해서 챕터 속성 테이블(CAT)과 데이터 블록 위치 지정 테이블(DBIT)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figuring data of a chapter attribute table CAT and a data block positioning table DBIT by a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는 녹음중 전원 차단시의 CAT내의 데이터 변화를, (d), (e)는 DBIT내의 데이터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b), (c)는 전원 재공급시의 CAT내의 데이터 변화를, (e), (f)는 DBIT내의 데이터 변화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a) and (b) show data changes in CAT when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and (d) and (e) show data changes in DBIT. (B) and (c) show data changes in the CAT at the time of re-supply of power, and (e) and (f) show data changes in the DBIT.
도10(a), (b)는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10A and 10B show changes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도9, 10은 플래쉬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의 블록 번호 "0003"에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중에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b)에 나타낸 CAT내의 두 번째 챕터 시작 DBIT 번호 기록 영역에 "0001"이 기록되고, (e)에 나타낸 DBIT내의 엔트리 번호(1)에 "0003"이 기록되고, 도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의 블록 번호 "0001", 및 "0003"에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9 and 10 show that power is cut off while digital data is being written to block number " 0003 " in the data area of the flash memory, so that " 0001 " is recorded in the second chapter start DBIT number recording area in the CAT shown in (b). (e), " 0003 " is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1 in the DBIT, and as shown in Fig. 10 (b), the data is recorded in the block number " 0001 " and " 0003 " This is to explain how to recover the data until the power is supplied again and the power is cut off.
즉, 도10의 (b)의 두 번째 빗금친 블록 번지에 데이터가 녹음되는 중에 전원이 차단되고, 그 후에 전원이 재공급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ower is cut off while data is being recorded at the second hatched block address in FIG.
전원이 재공급되면, 챕터 번호를 1증가하여 두 번째 챕터를 지정한다. 그리고, CAT내에 두 번째 챕터의 시작 DBIT 번호 "0001"가 기록되어 있고, DBIT내에 두 번째 챕터의 마지막 블록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데이터 복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CAT내의 두 번째 챕터의 시작 DBIT 번호 "0001"를 독출하여 블록 번호 "0001"내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블록 번호 "0001"내의 모든 페이지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면, DBIT내의 엔트리 번호(1)에 기록된 블록 번호 "0003"을 독출하여 블록 번호 "0003"내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블록 번호 "0003"내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고, DBIT내의 엔트리 번호(3)에 기록된 블록 번호가 없으므로,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기록 챕터 수, 및 총 사용 블록 수가 "0002", "0302"로 업데이트된다. 그리고,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DBIT의 엔트리 번호(3)에 마지막 블록임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따라서, 두 번째 챕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완전한 챕터로 복구할 수 있다.When the power is reapplied, the chapter number is increased by one to designate the second chapter. Since the start DBIT number "0001" of the second chapter is recorded in the CAT, and the last block of the second chapter is not recorded in the DBIT, the data recovery operation is performed. The start DBIT number "0001" of the second chapter in the CAT is read out to determine whether data is recorded in the block number "0001". If data is recorded in all pages in the block number " 0001 ", the block number " 0003 "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1 in the DBIT is read to judge whether or not the data is recorded in the block number " 0003 ". Since the data in the block number "0003" is recorded and there is no block number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3 in the DBIT, as shown in (c),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chapters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blocks are "0002", "0302". Is updated to ". Then, as shown in (f), data representing the last block is recorded in the entry number 3 of the DBIT. Thus, the data recorded in the second chapter can be restored to the complete chapt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녹음/재생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은 녹음중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전원이 재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녹음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The digital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apparatus can recover the recorded data until the power is cut off even if the power is supplied again even if the power is cut off during recording.
또한, 전원이 차단되지 전까지 녹음된 데이터가 복구됨으로써, 전원이 차단되기 전까지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에 데이터가 재기록됨으로써 새롭게 기록되는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storing the recorded data until the power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newly recorded data is not properly recorded because the data is re-recorded in the area where the data is recorded until the power is cut off.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녹음/재생 장치의 데이터 복구 방법을 적용하는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to which 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igital recording / playba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improv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10772A KR100354316B1 (en) | 2000-03-03 | 2000-03-03 |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10772A KR100354316B1 (en) | 2000-03-03 | 2000-03-03 |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86849A KR20010086849A (en) | 2001-09-15 |
| KR100354316B1 true KR100354316B1 (en) | 2002-09-28 |
Family
ID=196521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000107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4316B1 (en) | 2000-03-03 | 2000-03-03 |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35431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51216A (en) * | 2001-11-12 | 2003-05-23 | Hitachi Ltd |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
| KR100502711B1 (en) * | 2003-03-14 | 2005-07-20 |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 Method for recovering a recorded data in a portable storage devic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35133A (en) * | 1993-12-28 | 1995-09-05 | Sony Corp | Optical disc apparatus |
| JPH10177769A (en) * | 1996-12-13 | 1998-06-30 | Sony Corp | Disk type recording medium and disk drive device |
| KR19990072945A (en) * | 1998-02-25 | 1999-09-27 | 가나이 쓰도무 |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
| JPH11288547A (en) * | 1998-04-01 | 1999-10-19 | Sharp Corp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2000
- 2000-03-03 KR KR1020000010772A patent/KR10035431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35133A (en) * | 1993-12-28 | 1995-09-05 | Sony Corp | Optical disc apparatus |
| JPH10177769A (en) * | 1996-12-13 | 1998-06-30 | Sony Corp | Disk type recording medium and disk drive device |
| KR19990072945A (en) * | 1998-02-25 | 1999-09-27 | 가나이 쓰도무 |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
| JPH11288547A (en) * | 1998-04-01 | 1999-10-19 | Sharp Corp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86849A (en) | 2001-09-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RU2242805C2 (en) | Record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device | |
| US8085632B2 (en) | Recording apparatus | |
| US5805544A (en) | Recorde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for fine detail management and editing of reproduced data irrespective of the data structure | |
| KR100465355B1 (en) | Informatio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 |
| JP2004311021A (en) | Recording and / or playback device to support special function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 |
| JP3615299B2 (en) | Rewriteable ROM storage method and storage device | |
| KR100354316B1 (en) |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
| JP3849241B2 (en) | Storage device | |
| CN100397362C (en) | Recording medium, data reproducing device, data recording device and data reproducing method | |
| CN100419896C (en) | Audio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 KR100354317B1 (en) | memory management data construction method of a digital data record/play apparatus | |
| JP3666043B2 (en) |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 |
| JP3247776B2 (en)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 JP4040001B2 (en) |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thod | |
| JP3085183B2 (en) | MD system | |
| JP3266715B2 (en)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 JP3923594B2 (en) | Audio recording / playback device | |
| JP3800234B2 (en) |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 |
| JP3616948B2 (en) | Information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using collective erasure type memory | |
| JP2001325135A (en) |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reproducing data | |
| KR0170146B1 (en) | Erase Data Recovery Method for Magneto-optical Disks | |
| JPH02299036A (en) |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 |
| JPH06150623A (en) |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 JPH0729356A (en) | Digital signal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 JP2001101056A (en) | Edi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9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91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