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603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37B1
KR100356037B1 KR1019990050736A KR19990050736A KR100356037B1 KR 100356037 B1 KR100356037 B1 KR 100356037B1 KR 1019990050736 A KR1019990050736 A KR 1019990050736A KR 19990050736 A KR19990050736 A KR 19990050736A KR 100356037 B1 KR100356037 B1 KR 10035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ndow
output
recognition
charac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6822A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1999005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37B1/en
Publication of KR2001004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3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multiple characters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2.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수기 입력의 경우 하나의 필기 입력창에 여러 종류의 문자를 여러 글자씩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분된 필기 입력 영역을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메모리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ndwriting inpu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write several types of characters in a single handwriting input window several letters,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can reduce the memory while moving the separated handwriting input area flexib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multiple characters.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다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 수단; 입력된 상기 다문자의 인식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실시간 인식 출력 수단; 입력된 상기 다문자에 대응하는 후보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후보리스트 출력 수단; 및 입력된 상기 다문자를 인식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writing input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ultiple characters, comprising: first input means for inputting multiple characters by strok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means for show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input multi-character; Candidate list output means for showing a candidate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ulticharacter; And output means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he input multicharacter.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수기 입력 장치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handwriting input devices and the like.

Description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하게는 다양한 문자에 대해 고도로 정확한 인식능력을 갖고 오인된 문자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는 수기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multiple charac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easily correcting a mistaken character with a highly accurate recognition ability for various characters. .

여기서 다문자라함은 한글, 영어, 일어, 중국어, 숫자 등 여러 종류의 문자를 말하는 동시에, '단말기', '한글', 'handwriting', '단말기026' 과 같이 단어 또는 단어와 숫자가 조합된 문자를 말한다.Here, multi-letter refers to various kinds of characters such as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numbers, and at the same time, a word or a combination of words and numbers such as 'terminal', 'Korean', 'handwriting', and 'terminal 026' Say.

현재 정보통신분야에서 수기 입력 방식(Handwriting Recognition)은 한 글자씩 입력하는 방식 내지 미리 정해진 필기 입력 영역을 구분하여 쓰는 셀 방식이 있다.Handwriting Recognition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urrently includes a method of inputting letters one by one or a cell method of dividing a predetermined writing input area.

첫 번째로, 한 글자씩 입력하는 방식은 입력자가 구획이 없는 단일의 입력창의 어느 곳에든 제한 없이 스트로크를 입력하면, 인식수단이 입력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창에 입력순으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무구획방식"이라고 칭하기로 한다.이러한 무구획방식은 영어 등과 같이 자소를 조합하지 아니 하고 풀어진 채로 일방향으로 배열하는 언어에서는 별다른 문제를 유발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그러나, 한글 등과 같이 자소를 음절마다 조합하여 표기해야 하는 언어에서는 입력자가 의도하는 대로 음절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표기하기 위한 인식방법 및 출력방법이 복잡해진다.이러한 무구획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시 두 가지로 분류된다.그 중에 하나는 입력자가 입력한 스트로크를 자음 또는 모음 등과 같은 자소로만 인식하고, 인식된 자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한글 완성형 글자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스트로크로부터 인식해야 할 문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문자인식의 정확도는 높지만, 한글 완성형 글자로의 조합과정에서 입력자의 의도와 다르게 조합될 수 있고, 그러한 조합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다른 하나는 입력자가 입력한 스트로크를 자소단위가 아닌 한글 완성형 글자로 인식하여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스트로크로부터 인식해야 할 문자의 수가 많아지므로, 인식단계에서의 인식오류가 많고 입력방식도 매우 복잡하고 예민해진다는 단점이 있다.이러한 무구획방식은 일어나 중국어의 입력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한글에서의 완성형 글자로 인식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완성된 한 글자씩 인식하며 스트로크로부터 인식해야 할 문자의 수가 한글에서보다 더 많으므로, 인식단계에서의 인식오류 및 입력방식의 복잡함이나 예민함도 더욱 극심해진다.First, the method of inputting one letter at a time is a method in which the input means display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troke in the input window when the inputter inputs an unlimited stroke anywhere in a single input window without a partition. to be. Hereinafter, this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a " no-compartment method. &Quot; This non-compartment method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causing any problem in a language arranged in one direction without combining the phonemes, such as English. However, in a language that requires a combination of phonemes for each syllable, such as Hangul, the recognition method and output method for distinguishing and marking the syllables as the inputter intends are complicated. One of the methods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of which recognizes the strokes input by the inputter as consonants such as consonants or vowels. In this method, the accuracy of character recognition is high because the number of characters to be recognized from the stroke is small, but it can be combined differently from the inputter's inten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Korean characters, and the method for overcoming such a combination error is complicated. The other method is to recognize the input strokes input by the input user and display them as Hangul complete letters rather than by phoneme.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characters to be recognized from the stroke, which leads to a large number of recognition errors in the recognition stage and the input method is very complicated and sensitive. Similar to the method of recognizing complete letters in Esau, the number of characters to be recognized one by one and recognized from the stroke is higher than in Hangeul, so the recognition errors and the complexity and sensitivity of the input method become more severe. .

두 번째로, 미리 필기 입력 영역을 고정한 후 셀을 나누어 쓰는 방식은 입력창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획해 두고 입력자가 정해진 방식에 따라 알맞은 셀에 스트로크를 입력하게 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셀구획방식"이라고 칭하기로 한다.영어에서는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별하여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창을 두 개의 셀로 구획하며, 한글에서는 음절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입력창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획해 두고, 각각의 셀 내에 한 음절의 글자로 조합될 자소단위의 글자를 모두 입력하게 하며, 중국어 및 일본어에서도 한글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창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획해 두고, 각각의 셀에 하나의 완성형 문자를 입력하게 하고 있다.이러한 셀구획방식을 영어입력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다지 큰 불편함이 없지만, 한글과 중국어 및 일어의 입력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구획 없이 한 글자씩 입력하는 방식에 비해 인식오류는 줄일 수 있지만, 사용자가 하나의 셀 내에 하나의 완성형 문자만을 입력해야 한다는 제한은 기존의 필기습관과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쉽게 적응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입력속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무구획방식과 셀구획방식은 모두 일장일단이 있으며, 특히 그러한 장점 및 단점은 모든 언어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즉, 각각의 언어는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인식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화된 입력방식이 서로 다르다.Second, the method of dividing cells after fixing the handwriting input area in advance is to divide the input window into two or more cells, and input the stroke into the appropriate cel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Hereinafter, this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a "cell partitioning method." In English, 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two cells to distinguish between lowercase and uppercase letters, and in Korean, two or more input windows are used to clarify syllables. The cell is divided into cells, and all characters of the phoneme unit to be combined into one syllable letter are entered in each cell.In Chinese and Japanese, 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two or more cells, one in each cell. This type of cell partitioning method is not much inconvenient when applying English input to English input. However, when applying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nput, it is possible to input single letters without division. Recognition errors can be reduced, but the user must enter only one complete character in a cell Due to the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writing habits, the user cannot easily adapt, and thus the input speed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Both the no-compartment method and the cell-compartment method are all in one piece, and suc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re particularly true for all languages. It does not apply equally. In other words, each language has an optimized input method that can facilitate input and increase recognition rate.

한편, 영어, 한글, 중국어, 일어, 숫자 및 기호 등과 같은 다양한 부호 및 언어들은 각각의 문자로 인식하기 위한 입력스트로크의 세트 및 인식알고리즘을 마련하고 있으며, 각각의 언어별 인식알고리즘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트로크를 해당 언어에서 마련된 세트의 스트로크들의 각각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문자로 인식한다.그런데, 각각의 언어를 위한 스트로크세트를 이루는 스트로크의 일부는 다른 언어에서 이용하는 스트로크세트를 이루는 스트로크와 유사하다. 이로 인해, 단일의 입력창을 다수의 언어의 입력을 위해 혼용하는 경우에는, 입력된 스트로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언어의 문자로 오인될 수 있다.그러므로, 다수의 언어를 입력하지 못하고 단일의 언어만을 입력하게 구성되거나, 별도의 언어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입력언어를 교체하면서 입력하게 구성되어 있다.언어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입력언어를 교체하면서 동일한 입력창에 이종의 언어를 입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언어선택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창을 각각의 언어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codes and languages such as English, Korean, Chinese, Japanese, numbers, and symbols provide a set of input strokes and recognition algorithms for recognizing each character, and each recognition algorithm is input by a user. The stroke is compared with each of the set of strokes provided in the language and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most similar stroke. However, a part of the strokes forming the stroke set for each language is the stroke forming the stroke set used in the other language. Similar to As a result, when a single input window is mixed for input of multiple languages, input strokes may be mistaken for characters of a language different from the user's intention. Therefore, a single language cannot be input without inputting multiple languages. It is configured to input only, or to input while switching the input language by operating a separate language selection button. When the input language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input language by operating the language selection button, Not only is it troublesome to operate the language selection button,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nfigure the input window in a manner suitable for each languag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기입력장치의 입력창을 다양한 문자 및 부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으면서도 입력된 문자를 고도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려는 것이다.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문자 및 부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된 입력창의 한정된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입력된 문자열의 일부에 오류가 있을 때에 문자열의 전체를 재입력함이 없이 오류의 수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intended to configure the input window of the handwriting inpu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input various characters and symbols quickly and easily, and to recognize the input characters with high accuracy. Another object is to efficiently utilize a limited area of an input window configured to input various characters and symbol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enter the entirety of a string when there is an error in a portion of the input string. It is intended to make it easy to correct errors.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창의 일예시도.1A and 1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handwriting input /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창에 단어를 입력한 경우의 일예시도.2A and 2B are exemplary views when a word is input to a handwri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입력시 단어를 잘못 인식한 경우의 일예시도.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when a word is incorrectly recognized when a word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창 크기 변화의 일예시도.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hanges in the input window siz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이상의 문자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창의 일예시도.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of an input window when two or more characters a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 : 제 1 캐릭터 입력창 102 : 제 2 캐릭터 입력창101: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2: second character input window

103 : 제 3 캐릭터 입력창 104 : 실시간 인식 출력창103: third character input window 104: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5 : 후보 리스트 출력창 106 : 출력창105: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6: output window

107 : 입력창 제어 포인트 108 : 후보리스트 선택 버튼107: input window control point 108: candidate list selection butt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다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입력 수단; 입력된 상기 다문자의 인식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실시간 인식 출력 수단; 입력된 상기 다문자에 대응하는 후보 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후보리스트 출력 수단; 및 입력된 상기 다문자를 인식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writing input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multiple characters, comprising: first input means for inputting multiple characters by a strok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means for showing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input multi-character; Candidate list output means for showing a candidate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multicharacter; And output means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he input multicharacter.

또한, 본 발명은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수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스트로크(stroke)에 의한 입력이 있는 경우 스트로크된 곳의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좌표에 따라 인식할 문자의 종류를 결정하는 제 1 단계; 입력되는 문자에 대하여 그 인식 결과를 보여주는 제 2 단계; 및 지연 시간을 경과 한 후 상기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writing input method applied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multi-character, in the case of input by a stroke (stroke) to check the coordinates of the place where the character to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recognition result of the input character; And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recognition result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평소 필기하는 습관대로 여러 글자를 써도 인식하는 런-온(Run-on) 필기 입력 인식으로써 기존의 고정된 필기 입력 영역이 한 종류의 문자를 많이 쓰는 경우에는 입력창이 부족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un-on handwriting input recognition that recognizes even if a user writes a number of letters as a habit of writing in a usual manner. I want to improve.

또한, 필기 입력의 궤적을 보여줌과 동시에 실시간 인식된 결과를 보여줘 인식기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후보리스트를 보여줘 올바른 글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shows the trajectory of the handwriting input and shows the recognized result in real time, so that the recognizer can recognize in real time how to recognize it, and shows the candidate list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so that the correct letter can be selected.

즉, 본 발명은 수기 입력 인식(Handwriting Recognition)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국가의 문자 내지 다양한 종류의 글자를 입력했을 때 입력 장치 내 고정된, 구분된 박스에 쓰는 방법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특정 글자의 입력 영역을 유동적으로 움직여 많은 글자를 입력하는 수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fic character to secure a disadvantage of a method of writing in a fixed, separated box in the input device when a character of various countries or various kinds of characters are inputted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handwriting recogn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by moving the input area in a flexible manner.

기본적인 수기 입력 방식(Handwriting Recognition)의 하드웨어적인 과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hardware process of basic handwriting recogni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a well-known technique.

이하,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특히, 이하의 설명에서 스트로크(stroke)라는 것은 펜이나 펜과 유사한 도구를 사용하여 타격 또는 치기 등에 의해 입력을 하는 방법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하나의 획, 즉 '단'에 있어서 'ㄷ', 'ㅏ', 'ㄴ'각각을 가리키는 이중 의미를 갖고있으며,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전자 또는 후자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troke refers to a method of inputting by hitting or hitting using a pen or a pen-like tool, as well as a stroke or a stroke. 이중 'and' b 'have double meanings, and it is used as the former or the latt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출력 창의 일예시도이다.1A and 1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handwriting input / out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창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캐릭터(문자, character) 입력창(101),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캐릭터(문자, character) 입력창(102) 및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 3 캐릭터(문자, character) 입력창(103), 입력되고 있는 문자의 실시간 인식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입력되고 있는 문자에 대한 후보리스트를 보여주기 위한 후보리스트 출력창(105), 후보리스트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후보 리스트 선택 버튼(108), 최종적으로 입력된 문자를 보여주기 위한 출력창(106) 및 상기 입력창의 크기를 입의로 조정하기 위한 입력창 제어 포인트(107)로 구성되어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wri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racter (character) input window 101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a second character (character) input window for inputting numbers ( 102) and a third character (character) input window 103 for inputting an English letter, a real 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for showing a real time recognition result of the input character, a character being input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A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for showing a candidate list for the candidate list, a candidate list selection button 108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candidate lists, an output window 106 for showing a finally inputted character, and the input It consists of an input window control point 107 for resizing the window by mouth.

즉, 도 1a 및 도 1b 는 터치 스크린 위에 펜으로 스트로크(stroke) 표현할 수 있는 입력 장치부(101,102,103,107) 및 출력 장치부(104,105,106,108)를 도시하고 있다.That is, FIGS. 1A and 1B illustrate input device units 101, 102, 103, and 107 and output device units 104, 105, 106, and 108 capable of representing strokes with a pen on a touch screen.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창에 단어를 입력한 경우의 일예시도이다.2A and 2B are exemplary views when a word is input to a handwri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터치 스크린상의 제 1 캐릭터 입력창(101)에 펜이나 펜과 유사한 도구로 '단말기'라는 전체 단어를 쓰는 과정에 있어서 '단말ㄱ'이라는 궤적(201)이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실시간으로 그 인식 결과(202)를 보여주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단말'까지 쓴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ㄱ '을 쓰면 'ㄱ'을 실시간적으로 인식해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단말ㄱ'를 표시한다. 이후 'l'를 쓰면 '단말기'로 인식한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entire word 'terminal' with a pen or a tool similar to a pen in the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1 on the touch screen, a trace 201 of 'terminal a' is displayed o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It shows the recognition result 202 in real time. In other words, if the 'a' is written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erminal' is written, the 'a' is recognized in real time and the 'terminal a' is displayed o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After that, using 'l' will output the result recognized as 'terminal'.

이때, 정확히 말하자면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출력된 결과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문자 '단말기'에 대한 0순위 후보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ult output to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can be said to show the zero rank candidate for the character 'terminal' currently input by the user.

즉, '단말기'(211)라는 단어가 다 입력된 후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올바른 단어 '단말기'(212)가 인식되었다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ime Delay, 0.4∼0.5초) 동안 아무 입력 동작이나 변화를 주지 않을 경우 '단말기'라는 단어가 출력(215)된다.That is, if the correct word 'terminal' 212 is recogniz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after the word 'terminal' 211 has been input, a predetermined delay time (Time Delay, 0.4 to 0.5 seconds) If no input operation or change is made, the word 'terminal' is output (215).

이때, 출력창(106)에 '단말기'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후보 리스트 출력창(105)에는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출력된 0순위 후보외에 제 1 순위 후보 '단만기'(213)를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is output to the output window 106 and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has the first rank candidate 'short term' 213 in addition to the 0 rank candidate output to the real 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Will print.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입력시 단어를 잘못 인식한 경우의 일예시도이다.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when a word is incorrectly recognized when a word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01)라는 단어를 입력했는데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단만기(302)'라는 오인식된 단어가 나왔을 때 후보 리스트 출력창(105)에 제 1 순위 후보 리스트 '단말기(303)'라는 올바르게 인식된 결과가 리스트에 올라있다면, 지연시간 경과 후에 '단말기'(303)를 펜이나 그 유사한 도구로 클릭해 출력창(106)에 '단말기'(305)를 출력한다.If the word 'terminal' 301 is inputted as shown in FIG. 3A, but the word misrecognized as 'terminal 302' appears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appears in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If a correctly recognized result of the first rank candidate list 'terminal 303' is on the list,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click 'terminal' 303 with a pen or a similar tool to display the 'terminal' in the output window 106. Output 305.

그러나,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단만기'(302), 제 1 순위 후보 리스트 출력창(105)에 '단만지'(313)와 같이 계속 오인식된 리스트가 나올 경우 지연시간 경과 후에 후보 리스트 선택 버튼(108)을 누르면 4개의 추가 후보 리스트 '단말기'(318), '달만지'(319), '달마기'(320), '달마지'(321)가 나온다.However, as shown in FIG. 3B, the list is continuously misrecognized as 'short term' 302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and 'short term' 313 in the first rank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If the candidate list is selected after the delay time elapses, pressing the candidate list selection button 108, the four additional candidate list 'terminal' (318), 'dalmanji' (319), 'dalmagi' (320), 'dalmaji' (321) Comes out.

여기서 올바른 후보 리스트인 '단말기'(318)를 클릭하면 출력창(106)에 '단말기'(315)가 출력된다.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318 that is a valid candidate list is clicked, the terminal 315 is output to the output window 106.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창 크기 변화의 일예시도이다.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change in an input window siz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휴대폰026' 단어를 쓰고 싶을 때, 도면 4a 에서 '단말기'(401)를 쓰고 연속해서 '휴대폰'을 쓰고 싶은데 입력창(101)이 너무 작은 경우 입력창 제어 포인트(Writing area control point)(405)를 클릭해서 제 1 라인(403)을 아래로 잡아끌면 입력창(101)이 제 2 라인(404)으로 확대된다.When you want to write the word 'terminal mobile phone 026', in the drawing 4a, if you want to write 'terminal' 401 and write 'mobile phones' in succession, but the input window 101 is too small, the input area control point (Writing area control point) ( Clicking 405 and pulling down the first line 403 causes the input window 101 to expand to the second line 404.

즉, 도 1a 에서 입력창 제어 포인트(107)를 클릭해서 a만큼 아래로 이동시키면 제 1 캐릭터(character) 입력창(101)의 끝점이 (x1, y1)에서 (x1, y1+a)로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input window control point 107 in FIG. 1A is clicked and moved downward by a, the end point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1 moves from (x1, y1) to (x1, y1 + a). do.

반대로, 제 3 캐릭터(character) 입력창(103)은 제 1 캐릭터(character) 입력창(101)이 늘어난 만큼 영역이 줄어든다.On the contrary, the area of the third character input window 103 decreases as the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1 increases.

즉,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창(106)에 '단말기'(413)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늘어난 제 1 캐릭터 입력창(101)에 '휴대폰'(411)을 쓰면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도 4c 의 '단말기휴대폰'(423)이 출력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B, when the 'terminal' 413 is outputted to the output window 106, the 'cell phone' 411 is written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1 increased by the above proces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terminal mobile phone' 423 of FIG. 4C is output.

이후, '026'이라는 숫자를 쓰기 위해서는 도 4c 의 '026'(421)과 같이 제 2캐릭터(character) 입력창(424) 라인(line)에 걸쳐 쓰면 된다.Subsequently, in order to write the number '026', the second character input window 424 may be written over a line as shown in '026' 421 of FIG. 4C.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이상의 문자를 입력한 경우의 입력 창의 일예시도이다.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of an input window when two or more characters ar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휴대폰026'(504)을 쓰고 그 다음 라인(line)에 'Call'을 쓰고 싶을 때, 임의로 정한 엔터(Enter)라는 제스처 '┘'(501)를 쓰면 '[enter]'(502)라는 의미를 인식해서 커서(503)가 다음 라인(514)으로 이동한다.When you want to use 'terminal handset 026' (504) and 'Call' on the next line, you can use 'Enter' (501), 'Enter'. Recognizing the meaning, the cursor 503 moves to the next line 514.

그리고, 영문자 'Call'을 제 3 캐릭터(character) 입력창(103)에 쓰면 된다. 이 때, 영문자 'Call'의 인식은 상기와 과정을 통해 출력된다. 만약 제 3 캐릭터 입력창(103)의 크기가 작을 시에는 도 4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창 제어 포인트(writing area control point)(518)를 클릭해서 위로 이동(517)시키면 된다.The English letter 'Call' may be written in the third character input window 103. At this time, the recognition of the English letter 'Call' is output through the above process. If the size of the third character input window 103 is small,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the input area control point 518 is clicked and moved upward 517.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단말기휴대폰026'(521), 'Call'(522)을 인식해서 출력이 된다.After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output to recognize the 'terminal mobile phone 026' (521), 'Call' (522).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수기 입력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6A and 6B are flowcharts of an embodiment of a handwriting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스트로크(획, stroke) 궤적을 초기화 한다(601).First, the stroke (stroke) trajectory is initialized (601).

터치 스크린 위에 펜으로 획(스트로크, stroke)이 입력되면(602), 획이 입력된 곳의 좌표를 확인하여(603) 제 1 캐릭터 입력창(101)인지, 제 2 캐릭터 입력창(102)인지, 아니면 제 3 캐릭터 입력창(103)인지에 따라 인식할 문자의 종류를 결정한다(604).When a stroke (stroke)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with a pen (602), the coordinates of the stroke input position are checked (603)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character input window 101 or the second character input window 102 is used. Alternatively, the type of character to be recogniz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third character input window 103 is used (604).

다음으로,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입력된 획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중 0순위 후보를 출력하며(605), 이미 정해진 지연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판단하여(606) 경과하지 않았으면 새로운 획(스트로크,stroke)의 입력을 기다린다.Next, a 0 rank candidate is output from the recognized result for the stroke input to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605).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606), and if it has not elapsed, a new stroke (stroke) wait for stroke).

즉, '단말기'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단', '말' ,'기'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That is, when the word 'terminal' is to be input,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while the term 'term', 'term', and 'group' are input.

이때, '단말기'라는 단어가 모두 입력된 상태에서 지연시간(Time Delay, 0.4∼0.5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606) 지연시간을 초과하였으면, 입력된 단어에 대하여 인식된 결과 중 0 순위 후보로서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표시된 결과를 출력창(106)에 출력한다(607).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lay time (0.4 to 0.5 seconds) has elapsed while all of the words 'terminal' have been input (606), and if the delay time is exceeded, the 0 rank candidate among the results recognized for the input word is candidate. As a result, the result displayed in the real 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is output to the output window 106 (607).

이때, 후보 리스트 출력창(105)에는 실시간 인식 출력창(104)에 표시된 0 순위 후보와 다른 제 1 순위 후보 리스트를 출력한다(607).At this time,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105 outputs a first rank candidate list different from the zero rank candidate displayed o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104 (607).

다음으로, 출력된 문자가 입력된 문자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608) 동일하면 작업이 종료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put character is the same as the input character (608), if the same, the operation is terminated.

만약, 출력된 문자가 입력된 문자와 동일하지 않다면(608), 후보 리스트에 원하는 리스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609) 있다면 후보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한다(610). 후보 리스트가 선택되면 이전 출력 결과는 삭제되고(611) 선택된 후보 리스트가 출력된 후(612) 작업이 종료된다.If the output character is not the same as the input character (6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esired list in the candidate list (609) and if one is selected from the candidate list (610). When the candidate list is selected, the previous output result is deleted (611), and after the selected candidate list is output (612), the operation ends.

이때 후보리스트에 원하는 리스트가 없으면(609) 출력결과를 삭제하고(613) 종료한다.If there is no desired list in the candidate list (609), the output result is deleted (613) and the process ends.

이때, 작업을 종료한 후 새로운 문자를 연결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창이 부족하다면 도 4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창 제어 포인트(107)를 조정한 후 새로운 문자를 입력한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connect and output a new character after the operation is finished, if the input window is insufficient, adjust the input window control point 107 as described in Figure 4 and input a new character.

또한, 이미 입력된 문자와 다른 종류의 문자를 행을 바꾸어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 5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차를 거친 후 입력한다. 행을 바꿀 필요가 없을 때에는 도 5 에서와 같은 제스처는 필요하지 않으며, 입력창의 위치만 달리 선택하면 입력된 곳의 좌표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인식할 문자의 종류를 결정하게 된다(604).In addition, when a character line different from a character already input is to be input by changing a line, the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after the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line, the gesture as shown in FIG. 5 is not necessary. If only the position of the input window is selected, the type of the character to be automatically recognized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ordinates of the input position (604).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행을 바꾸는 것 뿐만 아니라 띄어쓰기, 잘못 입력된 문자의 삭제, 변경 등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changing the lin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pace, delete the wrong input characters, change, and the lik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한 글자씩 쓰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글자를 동시에 쓰므로써 평소 필기하는 습관대로 쓸 수가 있다는 점, 하나의 필기 입력창에 한 나라 문자만 쓰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나라 문자 내지 사용자 정의 문자 및 제스처(삭제, 복사, 스페이스, 엔터 등)를 동시에 쓸 수 있다는 점, 필기 입력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는 점, 하나의 문자 필기 입력창이 작음으로 인하여 많은 글자를 쓰지 못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입력창을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점,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글자의 궤적이 보임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인식한 결과를 볼 수 있다는 점, 잘못된 결과를 인식했다하더라도 여러 개의 인식 결과 후보 리스트를 보여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점,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지면서도 높은 필기 문자 인식율을 나타낸다는 점과 아주 적은 메모리를 차지하여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as usual writing habits by writing several letters at the same time instead of writing one by one, not only one country letter in one handwriting input window, but several country letters or custom letters and gestures (Delete, Copy, Space, Enter, etc.) can be written at the same time, can be edited by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the input window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not writing many characters due to the small size of a single text input window It can be moved flexibly, it shows the trajectory of the letters that the user is inputting, and it can see the result recognized in real time, and even if it recognizes the wrong result, it shows a list of candidates for the recognition resul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Dot, whil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above, it shows high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rate. And to take up very little memory has excellent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Claims (13)

수기로 스트로크를 입력하는 입력창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출력창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문자 또는 부호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인식 및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수기입출력장치에 있어서,Handwriting input and output includ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trokes by hand, a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trokes input to the input unit, and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he strokes inputted to the input unit as characters or symbols. In the apparatus, 상기 입력창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획되어 있고,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cells,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입력창의 각각의 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로 인식해서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And the recognizing and output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ognize strokes input to each cell of the input window as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and output them to the output window. 수기로 스트로크를 입력하는 입력창과,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스트로크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출력창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문자 또는 부호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인식 및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수기입출력장치에 있어서,Handwriting input and output includ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trokes by hand, a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trokes input to the input unit, and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he strokes inputted to the input unit as characters or symbols. In the apparatus,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스트로크로부터 인식된 문자를 실시간적으로 표시하는 실시간인식출력창 및,A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in real time the character recognized from the stroke entered in the input window;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와 유사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후보리스트출력창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And additionally including a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s similar to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so that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can be replaced when there is an error. 사용자가 상기 후보리스트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선택된 문자를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며,If the user selects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outputs the selected characters to the output window,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문자가 표시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후보리스트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지 아니 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display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in the output window. Handwriting input and output device capable of multi-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utput to.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입력창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획되어 있고,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cells,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입력창의 각각의 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로 인식해서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And the recognizing and outputt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ognize strokes input to each cell of the input window as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and output them to the output window.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스트로크로부터 인식된 문자를 실시간적으로 표시하는 실시간인식출력창 및,A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in real time the character recognized from the stroke entered in the input window;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와 유사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후보리스트출력창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And additionally including a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s similar to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so that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can be replaced when there is an error. 사용자가 상기 후보리스트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선택된 문자를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며,If the user selects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outputs the selected characters to the output window,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문자가 표시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후보리스트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지 아니 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실시간인식출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출력창에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display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in the output window. Handwriting input and output device capable of multi-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utput to.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창은 3개의 셀로 구획되어 있고,The output window is divided into three cells, 제1 셀은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스트로크로부터 인식된 문자를 실시간적으로 표시하는 실시간인식출력창으로 이용되며,The first cell is used as a real-time recognition output window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recognized from the stroke entered in the input window in real time, 제2 셀은 상기 제1셀에 표시된 문자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셀에 표시된 문자와 유사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후보리스트출력창으로 이용되고,The second cell is used as a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s similar to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cell so that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first cell can be replaced when there is an error. 사용자가 상기 제2셀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선택된 문자를 제3셀에 출력하며,When the user selects the text displayed in the second cell,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outputs the selected text to the third cell. 상기 제1셀에 문자가 표시된 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제2셀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지 아니 하면,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제1셀에 표시된 문자를 상기 제3셀에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If the user does not select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second cell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the first cell, 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outputs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first cell to the third cell. Handwriting I / O device capable of multi-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청구항 1과 3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and 5, 상기 입력창을 구획한 셀과 셀 사이의 경계가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A handwriting input / output device capable of multi-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ll partitioning the input window and the cell is configured to be movable.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입력창은 3개의 셀로 구획되어 있고,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three cells, 상기 인식 및 출력수단은 상기 입력창의 제1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한글로 인식하여 출력하며, 제2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숫자로 인식하여 출력하고, 제3셀에 입력된 스트로크를 영어와 일어 및 한자로 이루어진 다문자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종류의 문자로 인식하여 출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The recognition and output means recognizes and outputs the stroke input to the first cell of the input window in Korean, recognizes and outputs the stroke input to the second cell as a number, and translates the stroke input to the third cell into English and Japanese. And a multi-character recognition capable input /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cognize and output any one type of character selected from the multi-character group consisting of Chinese characters.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수기 입력 장치에 적용되는 수기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applied to a handwriting input device that can recognize multiple characters, 스트로크(stroke)에 의한 입력이 있는 경우 스트로크된 곳의 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좌표에 따라 인식할 문자의 종류를 결정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type of a character to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by checking the coordinates of the stroked place when there is an input by a stroke; 입력되는 문자에 대하여 그 인식 결과를 보여주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recognition result of the input character; And 지연 시간을 경과 한 후 상기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recognition result after the delay time has elapsed 를 포함하는 수기 입력 방법.Handwriting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입력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후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outputting a candidate li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를 더 포함하는 수기 입력 방법.Handwriting input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3 단계는,The third step, 지연시간 경과 후 출력된 상기 인식 결과가 입력 문자와 다른 경우 상기 후보 리스트를 검색하는 제 5 단계; 및A fifth step of searching for the candidate list if the recognition result output after the delay time is different from the input character; And 상기 검색결과 원하는 리스트가 있는 경우 상기 리스트를 출력하는 제 6 단A sixth step of outputting the list if the desired list is found as a result of the search; 를 포함하는 수기 입력 방법.Handwriting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좌표는,The coordinates of the first step,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그 범위가 수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기 입력 방법.Handwriting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user's adjustment.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입력창을 구획한 셀과 셀 사이의 경계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창제어포인트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And an input window control point used to move a boundary between the cell partitioning the input window and a cell. 상기 입력창의 제2셀은 상기 제1셀과 상기 제3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The second cell of the input window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third cell,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제어포인트를 잡아끌면 상기 제1셀과 제2셀 사이의 경계 및 상기 제2셀과 제3셀 사이의 경계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When the user pulls the input window control poin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cell and the third cell are configur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I / O device. 청구항 2와 4 및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4 and 5, 상기 후보리스트출력창이 수기펜이나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문자인식이 가능한 수기입출력장치.And the candidate list output window comprises a touch screen for selecting a character by touching it with a handwriting pen or a finger.
KR1019990050736A 1999-11-15 199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36A KR100356037B1 (en) 1999-11-15 199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36A KR100356037B1 (en) 1999-11-15 199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22A KR20010046822A (en) 2001-06-15
KR100356037B1 true KR100356037B1 (en) 2002-10-18

Family

ID=1962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7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037B1 (en) 1999-11-15 1999-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0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446B1 (en) * 2004-11-01 2012-11-21 노키아 코포레이션 Improved mobile phon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421B1 (en) * 2001-03-28 2006-03-22 주식회사 디오텍 Ink Data Processing Method of Ink Editor System Using Electronic Ink Method
KR100739175B1 (en) * 2005-04-22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of Information Equipment
WO2015080432A1 (en) * 2013-11-27 2015-06-04 ㈜클루소프트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446B1 (en) * 2004-11-01 2012-11-21 노키아 코포레이션 Improved mobile phon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22A (en)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993B1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EP0769175B9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7136047B2 (en) Software multi-tap input system and method
US101334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20080154576A1 (en) Processing of reduced-set user input text with selected one of multiple vocabularies and resolution modalities
US20080141125A1 (en) Combined data entry systems
KR1024023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Input Management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30008873A (en) Word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2109951A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by combination of input characters and background hidden characters
KR100356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KR100506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349887B1 (en)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Information Unit
KR2009003540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484128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unistroke korean language
KR20050043541A (en)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Seni Treadmill ink-Enabling continuous pen input on small devices
KR20040099937A (en) Device for inputting letter by using touch-screen and method therefor
CN106708286B (en) Intelligent watch input method
Bhatti et al.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KR1003560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esenting Hangul In Multiple Character Handwriting Recognition
KR20090053495A (en) Hangul input device using Korean consonant handwriting recognition and touch recognition and its method
WO2005088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9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92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