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969B1 -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 Google Patents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2969B1 KR100352969B1 KR1019990030896A KR19990030896A KR100352969B1 KR 100352969 B1 KR100352969 B1 KR 100352969B1 KR 1019990030896 A KR1019990030896 A KR 1019990030896A KR 19990030896 A KR19990030896 A KR 19990030896A KR 100352969 B1 KR100352969 B1 KR 100352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
- user
- door
- visitor
-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발명은 주택관리 시스템 및 주택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a housing management method.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킨다.By integrating various house management devices into one system, users can easily operate various house management devices to improve convenience in us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다양한 주택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주택관리장치와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택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이 제공되면, 그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주택관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house management devices and a user interface unit providing various house management functions, and searching for whether a user provides a control comman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use management devic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If provided with a control comm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hous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주택관리장치에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housing management apparatus.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주택관리 장치를 구비하여 주택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house having a plurality of housing management devices.
최근들어 안전하고 편리한 신주거 문화공간을 지향하기 위하여 주택에 다양한 주택관리장치가 설치되었다. 예를들어 방범을 위한 방범장치나, 전등 및 냉난방장치 등의 자동제어를 위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나, 방문자 확인 및 도어개폐를 위한 현관장치 등이 주택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좀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recent years, various housing management devices have been installed in homes to pursue a safe and convenient new residential cultural space. For example, security devices for crime prevention, home automation devices for automatic control such as electric lights and heating and heating systems, and entrance doors for checking the visitors and opening / closing the doors are installed in the house, allowing users to manage the house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I could do it.
그러나 종전의 주택관리장치들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치의 제어도 각기 다른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게끔 되어 있었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할 단말기의 수가 많아 그 조작이 번거로왔다. 더욱이 단말기의 조작방법은 단말기마다 상이하므로 주택에 구비되는 주택관리장치의 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가 조작방법을 익혀야 할 단말기의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를 주택에 다수 설치하여야 하므로, 미관을 해칠 수도 있었다.However, the former house management devices wer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and control of each device was made through different terminals. Accordingly, the number of terminals to be operated by the user has been cumbersome.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is different for each terminal, the number of terminals to be learned by the user increases as the number of the housing management apparatus provided in the house increases. In addition, many terminals should be installed in a house, which could hurt the aesthetics.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택을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주택관리장치가 주택에 설치되었으나, 이 주택관리장치가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조작하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afely and conveniently manage a house, various housing management devices are conventionally installed in a house. However, as these house management devices ar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they are not only troublesome to operate, but also may damage aesthetics.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택관리 시스템 및 주택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a hous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integrating various housing management devices into one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various housing management devices. ha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택관리 시스템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ou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세대장치의 블럭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generation device of FIG.
도 3은 세대장치의 현관장치의 블럭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apparatus of a generation apparatus;
도 4는 도 1의 관리실장치의 블럭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the management room apparatus of FIG.
도 5는 도 1의 공동현관장치의 블럭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the cavity door apparatus of FIG.
도 6a 및 도 6b(이하 도 6이라 칭함) 및 도 8, 도 11, 도 13, 도 18, 도 20, 도 22, 도 24, 도 26은 도 2의 마이컴의 처리 흐름도,6A and 6B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G. 6) and FIGS. 8, 11, 13, 18, 20, 22, 24, and 26 are processing flowcharts of the microcomputer of FIG. 2;
도 7 및 도 9, 도 10, 도 12, 도 14, 도 19, 도 21, 도 23, 도 25, 도 27은 도 2의 TFT LCD의 표시예,7 and 9, 10, 12, 14, 19, 21, 23, 25, and 27 are display examples of the TFT LCD of FIG.
도 15, 도 16, 도 17은 도 4의 주장치의 처리 흐름도.15, 16, and 17 are processing flowcharts of the main apparatus of FI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주택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주택관리장치와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주택관리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명령이 제공되면, 그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주택관리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using management devices and one user interface to provide a variety of housing management functions, the user control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using management devic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Searching whether a command is provided; and if the control command is provided, controlling the hom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many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se specific details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are not meant to limit the invention there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택관리 시스템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주택관리 시스템은 크게 세대장치부(100)와 공동현관장치(104)와 관리실장치(106)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hous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 generation unit 100, a common entrance device 104 and a management room device 106 It is composed.
상기 세대장치부(100)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각각은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관리실장치(106)와 연결되어 해당 세대의 사용자에게 전화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각각은 주장치 경로를 통해 관리실장치(106)와 연결되어, 해당 세대의 상태정보 또는 오디오 신호를 관리실장치(106)에 제공하거나, 상기 관리실장치(106)로부터 각종 정보 또는 공동현관장치(10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는다. 상기 주장치 경로는 6라인의 음성경로와 2라인의 데이타경로로 이루어진다.The generation device unit 100 includes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installed in each generation. Each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through the first to Nth paths to provide a telephone service to a user of the household and to provide various data services. .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through a main device path, and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r an audio signal of the household to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or Various information or audio signals input from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ar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The main path consists of six lines of audio and two lines of data.
공동현관장치(104)는 공동현관에 설치되어 공동현관의 방문자에 대한 비디오 신호를 공동현관장치 경로를 통해 각 세대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공동현관장치(104)는 관리실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방문자가 입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해당 세대장치에 제공함과 아울러, 어느 한 세대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제공받아 방문자에게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공동현관장치(104)는 관리실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공동현관도어를 개폐시킨다.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is installed in the common entrance to provide a video signal for visitors of the common entrance to each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common entrance path. In addition,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provides the audio signal inputted by the visitor to the corresponding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and also provides the audio signal from one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Receive and output to visitors. In addition, the cavity entrance apparatus 104 opens and closes the cavity entrance door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room apparatus 106.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와 각각 연결되어 각 세대장치에 제1 내지 제M전화라인을 통한 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실장치(106)는 상기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다양한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웹카메라(108)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타를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중 비디오 데이타를 요구하는 세대장치로 제공하거나, 인터넷과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중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요구하는 세대장치로 제공하는 데이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관리자가 미리 구축해둔 데이타 베이스의 각종 정보를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중 데이타 베이스의 다양한 정보를 요구하는 세대장치로 제공한다.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through the first to Nth paths, respectively, to provide telephone service through the first to Mth phone lines to each generation device. do. In addition,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provides a variety of data services through the first through the N-th path, the video data from a plurality of web cameras 108 installed at various places through the first through the N-th path through the first to Nth path. the N-generation device (102 1 to 102 N) of the service to the generation device that requires the video data, or connected to the Internet first to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to the N-th path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 provides a data service provided to a generation device that requires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requests a variety of information of the database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 through the first to the N-th path to the various information of the database previously built by the administrator Provided as a generation device.
또한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및 공동현관장치(104)와 연결된다.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상기 주장치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의 상태를 감시하여 이상이 발생될시 이를 관리자에게 안내함과 더불어 관제소(110)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공동현관장치(104)에 제공하거나, 공동현관장치(104)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 중 해당 세대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실장치(106)는 상기 주장치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의 공동현관도어 개폐명령에 따라 공동현관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공동현관장치(104)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 and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monitors the state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notifies the manager 110 of the occurrence of an error, and notifies the control station 110. do.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also provides audio signals from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to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or from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via the main device path. and it provides an audio signal to the generation unit of the first through the N-generation device (102 1 to 102 N). In addition,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on entranc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to open and close the common door of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 provided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Provided to the cavity entrance device 104 through.
이제 도 1의 각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는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 제1세대장치(1021)의 구성 및 동작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세대장치(1021)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대장치(1021)의 제어부(200)는 제1세대장치(102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부(202)는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정보를 저장하는데, 특히 일자별 메모정보나, 방문자 파일, 긴급호출할 전화번호들, 전화번호 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터치스크린 구동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206)을 구동하여, 터치스크린(206)을 통해 입력되는 각종 입력정보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206)은 TFT LCD(Thin Film Transistor Color Liquid Crystal Display)(210)상에 설치된다. TFT LCD 구동부(208)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TFT LCD(210)를 구동한다. 주장치 인터페이스부(212)는 제어부(200)와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간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관리실장치와 세대장치간에 연결된 하나의 경로를 통해 전화서비스와 데이타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오버넷(OVERNET)에서 제공하는 전화신호와 랜신호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기술을 채용한다. 이에따라 제1경로에는 전화신호와 랜신호가 합성된 신호가 송수신된다. 결합기/분리기(216)로는 전화신호와 랜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전화신호와 랜신호가 합성되어 있는 신호를 전화신호와 랜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웰잭(wall jack)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기/분리기(216)는 제1경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화신호와 랜신호로 분리하여, 전화신호는 통화회로(218)에 제공하고 랜신호는 랜인터페이스부(214)에 제공한다. 또한 결합기/분리기(216)는 랜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랜신호와 통화회로(218)로부터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합성하여 제1경로를 통해 관리실장치(106)에 제공한다. 랜 인터페이스부(214)는 결합기/분리기(216)를 통해 관리실장치(106)와 제어부(200)간의 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화회로(218)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전화단말기(220)와 연결되어 전화서비스를 위해 결합기/분리기(216)로 전화신호를 제공하거나, 결합기/분리기(216)로부터의 전화신호를 다수의 전화단말기(22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화회로(218)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전화단말기(220)간 내선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감지기 접속부(222)는 방범을 위해 주택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기(224)로부터의 신호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조명장치 제어부(226)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주택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장치(228)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커튼개폐장치 제어부(23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주택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커튼개폐장치(2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커튼개폐장치(232)는 상기 커튼개폐장치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커튼의 개폐를 수행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234)는 현관장치의 카메라(236) 또는 공동현관장치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공동현관장치(104)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38)는 현관장치의 마이크(240) 또는 내장된 마이크(24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00)에 제공하거나, 제어부(2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현관장치 스피커(242), 내장된 스피커(246)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황에 따라 현관장치의 마이크(24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내장된 스피커(246)로 출력함과 동시에 내장된 마이크(24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현관장치의 스피커(24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주장치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공동현관장치(104)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238)를 통해 내장된 스피커(246)로 출력함과 동시에 내장된 마이크(24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238)를 통해 제공받아 주장치경로를 통해 공동현관장치(104)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주장치 경로를 통해 관리실장치(106)와의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세대장치(1021)의 사용자와 관리실장치(106)의 관리자간의 인터폰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현관장치의 조작부(252)의 버튼입력이나, 주장치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공동현관장치의 버튼입력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면 스피커(246)를 통해 벨을 출력한다. 도어개폐장치 제어부(248)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현관장치의 도어개폐장치(2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도어개폐장치(250)는 방문자에 의한 벨발생을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장치(250)는 숫자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디지트들을 입력하면 현관도어를 여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장치(250)는 지문인식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지문을 입력하면 현관도어를 여는 기능도 구비한다.Now, the parts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because the first to N-th generation of the same device (102 1 to 102 N) is a structure and operation,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l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generation device (102 1). When the first generation unit (102 1), see Figure 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200 of the first-generation device (102 1) has a high level of control over a first-generation device (102 1) . The memory unit 202 stores processing programs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200. In particular, the memory unit 202 stores memo information, visitor files, telephone numbers to be called, and telephone number lists. The touch screen driver 204 drives the touch screen 20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and provides the controller 200 with various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206. The touch screen 206 is installed on a thin film transistor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210. The TFT LCD driver 208 drives the TFT LCD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main device interface unit 212 interfaces the main device of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imultaneously provide a telephone service and a data service through a single path connected between the management room device and the generation device, a technique of synthesizing and transmitting a telephone signal and a LAN signal provided by the OVERNET is adopted. do. Accordingly, a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a telephone signal and a LAN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on the first path. As the combiner / separator 216, a well jack (wall jack) for synthesizing and outputting a telephone signal and a LAN signal or dividing a signal in which the telephone signal and the LAN signal are synthesized into a telephone signal and a LAN signal may be used. The combiner / separator 216 separates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path into a telephone signal and a LAN signal, and provides the telephone signal to the call circuit 218 and the LAN signal to the LAN interface unit 214. In addition, the combiner / separator 216 synthesizes the LAN signal input from the LAN interface and the telephone signal input from the call circuit 218 and provides it to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through the first path. The LAN interface unit 214 provides a LAN interface between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and the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combiner / separator 216. The call circuit 218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lephone terminals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o provide a telephone signal to the combiner / separator 216 for telephone service, or a telephone call from the combiner / separator 216. Provide a signal to a plurality of telephone terminals 220. In addition, the call circuit 218 may provide an extension call service between a plurality of telephone terminals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sensor connection unit 222 provides the control unit 200 with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224 installed throughout the house for security purposes. The lighting device controller 226 controls on / off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228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f the hou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driving of a plurality of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s 232 installed throughout the hous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232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f the curtain under the control of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30. The video signal processor 234 processes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of the cavity door 104 that is input through the camera 236 or the cavity door path of the door device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200. The audio signal processor 238 processe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0 of the door apparatus or the built-in microphone 244 and provides the audio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or provides an audio signal from the controller 200 to the speaker of the door apparatus ( 242) and outputs to the built-in speaker 246. The controller 200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0 of the door apparatus to the built-in speaker 246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simultaneously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built-in microphone 244. 24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of the cavity door 104, which is input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to the built-in speaker 246 through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238 and at the same time the built-in microphone ( The audio signal input from 244 is received through the audio signal processor 238 and output to the speaker of the cavity door 104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May also provide an intercom function between the manager of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 first generation unit (102 1) user and control room equipment 106 by using the audio signal interface with the management office device 106 via host device path.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bell through the speaker 246 whe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utton input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or a button input of the cavity door apparatus input through the main apparatus path is inpu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ler 24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of the do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generating a bell by the visitor.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is provided with a numeric key and has a function of opening the front door when the user inputs the digits register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has a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and also has a function of opening the entrance door when the user inputs a fingerprint registered in advance.
각 세대의 현관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현관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문자를 찍기 위한 카메라(236)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40), 사용자의 음성을 방문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42), 현관도어를 열거나 잠그기 위한 도어개폐장치(250), 상기 도어개폐장치(250)의 제어를 위한 도어개폐장치 제어부(248), 방문자에 의한 벨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및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는 조작부(252)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폐장치(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등록해둔 디지트들을 입력하거나, 미리 등록해둔 지문을 입력하면 현관도어를 여는 기능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door apparatus 300 installed outside the front door of each generation includes a camera 236 for taking a visitor, a microphone 240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a user's voice to the visitor. Speaker 242 for outpu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for opening or locking the do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48 for the contro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to enable the bell generation by the visitor It consists of an operation unit 252 having a button and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has a function of opening a front door when inputting digits registered in advance or a fingerprint registered in advance.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장치(25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개폐장치(250)는 도어개폐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2)와, 상기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각종 음성데이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42)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304)와, 지문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302)에 제공하는 지문인식부(306)와, 상기 제어부(302)의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정보를 구비하며, 특히 미리 등록된 지문이 입력될 경우에 현관도어가 열렸음을 안내하는 음성메시지 및 도어를 열기 위해 등록해둔 디지트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08)와, 상기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현관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부(310)를 구비한다.He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includes a control unit 302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304 for converting various voice dat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speaker 24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2. ),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306 for receiving and recognizing a fingerprint and providing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302, a processing program and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302, and in particular, a pre-registered fingerprint is input. Memory 308 for storing a voice message guiding that the door is opened and information about a digit registered to open the door, and a door opening / clos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2. 310).
이러한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302)는 도어개폐장치 제어부(248)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부(200)의 도어개폐명령에 따라 도어개폐부(310)를 제어하여 현관도어를 개폐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302)는 조작부(252)의 숫자키를 통해 미리 등록된 디지트들이 입력되면 상기 도어개폐부(310)를 제어하여 현관도어를 연다. 또한 상기 제어부(302)는 지문인식부(306)를 통해 미리 등록된 지문이 입력되면 도어개폐부(310)를 제어하여 현관도어를 열며, 이와동시에 메모리(308)에 저장된 음성메시지, 즉 도어를 열었음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리드하여 오디오 처리부(304)를 통해 스피커(242)로 출력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control unit 302 control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art 310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00 provided throug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48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2 opens the front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310 when the digits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the numeric keys of the operation unit 252 is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2 opens the front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310 when a pre-registered fingerprint is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306, and at the same time, the voice message stored in the memory 308, that is, the door is opened. The voice message informing the sound is read and output to the speaker 242 through the audio processor 304.
이제 관리실장치(106)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관리실장치(106)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관리실장치(106)의 결합기/분리기(400)는 전화신호와 랜신호가 합성된 신호를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각각 제공받아, 각 경로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전화신호와 랜신호로서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공된 신호들로부터 분리해낸 전화신호들은 각각 제1 내지 제N전화라인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공된 신호들로부터 분리해낸 랜신호들은 각각 제1 내지 제N랜 경로를 통해 네트워크부(402)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결합기/분리기(400)는 네트워크부(402)로부터 입력되는 제1 내지 제N랜경로로 입력되는 랜신호들과 제1 내지 제N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전화신호들을 각각 합성하여 제1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에 제공한다. 네트워크부(402)는 허브(404)와 라우터(406)와 CSU(channel sevice unit)/DSU(digital service unit)(408)와 서버(410)로 구성된다. 상기 허브(404)는 서버(410) 및 라우터(406), CSU/DSU(408)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제1 내지 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간을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상기 허브(404)는 다수의 웹 카메라(108)와 연결되어 다수의 웹카메라(108)와 제1 내지제N세대장치(1021내지 102N)간을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상기 서버(410)에 단지내 정보인 단지내 공지사항이나, 광고, 부동산 정보, 단지 정보, 단지 인근 식당 및 상가 정보, 영화정보, 음악정보 등을 데이타 베이스로서 구축해둔 후에 각 세대장치의 사용자가 그 단지내 정보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과의 인터페이스는 세대장치의 사용자가 단지내 정보가 아닌 정보, 예를들어 뉴스, 증권, 날씨 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8)와의 인터페이스는 각 웹카메라(108)가 설치된 장소, 예를들어 유아원이나 놀이터, 골프연습실, 헬스클럽, 수영장 등을 세대장치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now to FIG. 4, which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mbiner / separator 400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receives the combined signal of the telephone signal and the LAN signal through the first through Nth paths, respectively, and separates the signals from the respective paths as the telephone signal and the LAN signal. Output Telephone signals separated from the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first to Nth paths are provided to the first to Nth phone lines, respectively, and LAN signals separated from the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first to Nth paths are respectively defined. It is provided to the network unit 402 via the first through the N-th LAN path. In addition, the combiner / separator 400 synthesizes LAN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to Nth LAN paths input from the network unit 402 and telephone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to Nth telephone lines,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N th generation devices 102 1 through 102 N are provided through the N th path. The network unit 402 includes a hub 404, a router 406, a channel sevice unit (CSU) / digital service unit (DSU) 408, and a server 410. The hub 404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the server 410, the router 406, and the CSU / DSU 408 to interface between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In addition, the hub 404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eb cameras 108 to inte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web cameras 108 and the first to Nth generation devices 102 1 to 102 N. Then, the administrator establishes the information in the complex, the advertisement, the real estate information, the complex information, the nearby restaurant and mall information, the movie information, the music information, and the like as a database on the server 410, and then the user of each household device. Freely use the information in the complex. In addition, the interface with the Internet is to enable the user of the generation device to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for example, news, stocks, weather, etc., not just information in the complex. And the interface with the plurality of web cameras 108 to allow the user of the generation device to monitor the place where each web camera 108 is installed, for example, nursery school or playground, golf practice room, health club, swimming pool, etc. For sake.
주장치(412)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각 세대장치 및 공동현관장치(104)에 연결되어, 각 세대장치로부터 이상감지에 따른 정보가 제공되는지, 각 세대장치와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되는지를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를 경비실기(414)에 제공하여 관리자가 그 감시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장치(412)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각 세대장치와의 인터폰기능을 제공하여, 각 세대의 사용자와 관리자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주장치(412)는 공동현관장치(104)로부터 방문자에 의한 버튼입력에 따른 정보를 해당 세대장치에 제공하여, 그 세대장치가 그 버튼입력에 따라 벨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한 세대장치의 요구에 따라 공동현관장치(104)의 현관도어를 열도록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한다.The main device 412 is connected to each generation device and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and monitors whether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normal detection is provided from each generation device, and whether a failure occurs in the line with each generation device, The monitoring result is provided to the guard room 414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nitor the monitoring result. In addition, the main device 412 provides an interphone function with each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thereby enabling a call between the user and the manager of each generation. In addition, the main device 412 provides the generation device wi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by the visitor from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so that the generation device generates a bell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ntrolled to open the front door of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according to the demand of any one generation device.
공동현관도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동현관장치(10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문자를 찍기 위한 카메라(500)와, 방문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마이크(502), 사용자의 음성을 방문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504), 현관도어를 열거나 잠그기 위한 도어개폐장치(506), 상기 도어개폐장치(506)의 제어를 위한 도어개폐장치 제어부(508), 방문자에 의한 벨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510)로 구성된다. 상기 공동현관장치(104)의 카메라(500)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공동현관장치 경로를 통해 각 세대장치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동현관장치(104)의 도어개폐장치(506)는 도어개폐장치 제어부(508)의 제어에 따라 공동현관에 설치된 도어를 열거나 닫는다. 상기 도어개폐장치 제어부(508)는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04)의 제어에 따라 도어개폐장치(506)의 구동을 제어한다. 조작부(510)로부터의 버튼입력에 따른 정보는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04)로 제공된다. 또한 공동현관장치(104)의 마이크(50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해당 세대장치에 제공되며, 어느 한 세대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주장치경로를 통해 스피커(504)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installed outside the common entrance door includes a camera 500 for taking a visitor, a microphone 502 for receiving a visitor's voice, and a user's voice to the visitor. Speaker 504 for outpu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6 for opening or locking the do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508 for the contro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6, to enable the bell generation by the visitor It consists of an operation part 510 provided with a button.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camera 500 of the cavity door 104 is provided to each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cavity door path.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6 of the cavity entrance device 104 opens or closes the door installed in the cavity entr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508.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508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6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device 404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utton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510 is provided to the main unit 404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n addition,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502 of the cavity door device 104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generation device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and the audio signal from one generation device is provided to the speaker 504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주택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세대장치의 제어부(200)의 메인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전원이 입력되어 초기화가 완료되면 (600)단계로 진행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정보창과 버튼창으로 구성되는 기본창을 TFT LCD(210)에 표시한다. 상기 정보창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버튼창에는 주택관리 시스템의 각종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버튼들이 표시된다. 상기 버튼들은 우리집 관리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우리집 버튼(A)과, 홈오토메이션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홈오토 버튼(B)과, 인터폰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인터폰버튼(C)과, 모니터링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모니터링 버튼(D)과,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범버튼(E)과, 생활정보안내기능 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생활정보버튼(F)과, 긴급호출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긴급호출버튼(G)과, 전화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전화버튼(H)과, 각종 정보입력 기능수행을 명령하기 위한 키보드버튼(I)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기본창의 표시후에 제어부(200)는 상기 다수의 버튼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때마다 이전의 기능수행을 중단하고 해당 버튼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0)는 이전에 어떤 기능이 수행되고 있었더라도 우리집버튼(A)이 입력되면 우리집 관리기능을 수행하고, 홈오토버튼(B)이 입력되면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폰버튼(C)이 입력되면 인터폰 기능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버튼(D)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고, 방범버튼(E)이 입력되면 방범기능을 수행하고, 생활정보버튼(F)이 입력되면 생활정보안내기능을 수행하고, 긴급호출버튼(G)이 입력되면 긴급호출기능을 수행하고, 전화버튼(H)이 입력되면 전화기능을 수행하고, 키보드버튼(I)이 입력되면 각종정보입력기능을 수행한다.First, referring to FIG. 6, which illustrates a main process flow diagram of the controller 200 of the first generation device, when the power is input and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600 and as shown in FIG. 7. A basic window composed of the same information window and button window is displayed on the TFT LCD 210. Variou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window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buttons for displaying various functions of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are displayed in the button window. The buttons include a home button (A) for instructing a home management function, a home auto button (B) for instructing a home automation function, an interphone button (C) for instructing an interphone function, and a monitoring function. Monitoring button (D) for commanding the performance, security button (E) for performing the security function, life information button (F) for commanding the performance of the life information guide function, for commanding the execution of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t is composed of an emergency call button G, a telephone button H for instructing a telephone function performance, and a keyboard button I for instructing performance of various information input functions. After the display of such a basic window, the controller 200 stops performing the previous function whenever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input and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input. That is,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 home management function when the home button A is input even if any function has been previously performed, and performs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when the home auto button B is input, and the interphone button C. ) Is input to perform the interphone function, if the monitoring button (D) is input to perform the monitoring function, if the security button (E) is to perform the crime prevention function, if the life information button (F) is input to the living information guide Performs a function, if an emergency call button (G) is input, performs an emergency call function, if a phone button (H) is input, performs a phone function, if a keyboard button (I) is input, performs various information input functions. .
상기 도 6의 (602)단계에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06)을 통해 우리집버튼(A)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우리집버튼(A)을 입력하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우리집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우리집버튼(A)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상기 우리집 기능을 수행하던 중에 제어부(200)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홈오토버튼(B)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홈오토버튼(B)을 입력하면 (608)단계로 진행하여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하고,그렇지 않으면 (6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홈오토버튼(B)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상기 홈오토메이션기능을 수행하던 중에 (610)단계로 진행하여 벨이 발생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벨은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버튼조작 또는 공동현관장치(104)의 조작부(510)의 버튼조작에 따른 정보가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로부터 제공될 때에 발생된다. 상기 벨이 발생되면 제어부(200)는 (61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614)∼(616)단계를 수행하여 일정시간내에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06)을 통해 인터폰 버튼(C)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하여, 일정시간내에 인터폰 버튼(C)이 입력되면 (618)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폰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벨이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버튼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이면 현관장치(300)의 카메라(236) 및 마이크(240)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비디오 신호 처리부(234)와 오디오 신호 처리부(238)를 통해 제공받아 메모리부(202)에 방문자 파일로서 저장한다. 이와달리 상기 벨이 공동현관장치(104)의 조작부(510)의 버튼조작에 의해 발생된 것이면 공동현관장치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공동현관장치(104)의 카메라(500)의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신호처리부(234)를 통해 제공받고, 공동현관장치(104)의 마이크(502)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제공받아 그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방문자 파일로서 메모리부(202)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방문자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02)의 저장영역은 미리 정해지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02)의 저장영역에 방문자 파일이 모두 저장되면 최초에 저장된 방문자파일에 새로운 방문자 파일을 덮어쓴다. 이와같이 방문자 파일의 저장후에 제어부(200)는 (6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벨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제어부(200)는 (612)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폰 버튼(C)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인터폰 버튼(C)이 입력되지 않으면 (62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18)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폰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12)단계에서 사용자가 인터폰 버튼(C)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 제어부(200)는 (622)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버튼(D)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하여, 모니터링버튼(D)이 입력되면 (624)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22)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니터링버튼(D)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 제어부(200)는 (626)단계로 진행하여 방범버튼(E)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방범버튼(E)이 입력되면 (628)단계로 진행하여 방범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방범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26)단계에서 방범버튼(E)이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에 제어부(2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생활정보버튼(F)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상기 생활정보버튼(F)이 입력되면 (632)단계로 진행하여 생활정보 안내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생활정보 안내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30)단계에서 사용자가 생활정보버튼(F)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 제어부(200)는 (63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06)을 통해 긴급호출버튼(G)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긴급호출버튼(G)이입력되면 (636)단계로 진행하여 긴급호출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3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긴급호출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34)단계에서 긴급호출버튼(G)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00)는 (638)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버튼(H)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전화버튼(H)이 입력되면 (64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기능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4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전화기능을 수행하던 중이거나, 상기 (638)단계에서 전화버튼(H)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00)는 (642)단계로 진행하여 방범기능 세트상태에서 이상이 감지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방범기능이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그 감지정보를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이상감지에 따른 방범기능, 즉 알람을 울리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달리 이상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 제어부(200)는 (646)단계로 진행하여 일정시간동안 버튼조작이 없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일정시간동안 버튼조작이 없으면 제어부(200)는 (648)단계로 진행하여 관리실장치(106)의 서버(41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정보창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제1세대장치(1021)의 화면보호기 기능으로서 사용된다.In step 602 of FIG. 6,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home button A through the touch screen 206.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home button A,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04 to perform the home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06.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home button A or while performing the home functi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06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home auto button B.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home auto button B,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08 to perform a home automation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10. The controller 200 does not input the home auto button B, or proceeds to step 610 while performing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and searches whether a bell is generated. The bell is generated whe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or the butt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10 of the common entrance apparatus 104 is provided from the main unit 412 of the management room apparatus 106. do. If the bell is generat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614, otherwise proceeds to step 612. The controller 200 performs steps 614 to 616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intercom button C through the touch screen 206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enters the interphone button C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8 to perform the interphone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20. In step 620, the control unit 200 is inputted to the camera 236 and the microphone 240 of the door apparatus 300 when the bell is generated by the button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received through the video signal processor 234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238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202 as a visitor file. On the other hand, if the bell is generated by a butt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10 of the cavity door 104,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500 of the cavity door 104 is input through the cavity door path 234 and an audio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502 of the cavity door device 104 are received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and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202 as a visitor file. Here, the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02 for storing the visitor file is predetermined, and the control unit 200 stores the new visitor file when the visitor files are all stored in the storage area of the memory unit 202. Overwrite the visitor file. After storing the visitor file in this mann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22. If the bell does not occur in step 61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12 to search whether the interphone button C is input. At this time, if the interphone button C is not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22, otherwise proceeds to step 618 to perform the interphone function. When the interphone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the user does not input the interphone button C in step 612,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622 to search whether the monitoring button D is input. If the monitoring button (D) is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24 to perform the monitoring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26. If the monitoring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monitoring button D in step 622,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26 to search whether the security button E is input. do. At this time, if the security button E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28 to perform a security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30.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the security button E is not input in step 626,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0 to search whether the life information button F is input. . In this case, when the living information button F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2 to perform a living information guide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34. When the living information guide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the user does not input the living information button F in step 63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4 and the user moves the touch screen 206. Search whether to enter the emergency call button (G) through. At this time, if the emergency call button G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6 to perform an emergency call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38. If the emergency call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if the emergency call button G is not input in step 634,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38 to search whether the phone button H is input. do. At this time, if the telephone button H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40 to perform a phone function, otherwise proceeds to step 642. When the phone function is being performed or the telephone button H is not input in step 638,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642 to search whether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security function set state. . At this time, if an abnormality is detected while the security function is set, the control unit 200 provides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ain device 41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may perform 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an abnormality detection, that is, a function of ringing an alarm. On the contrary, when no abnormality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46 to search for no button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re is no button operation for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648 to sequentiall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410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in the information window. This is used as a screen saver function of the first-generation device (102 1).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택관리 시스템은 우리집기능, 홈오토메이션 기능, 인터폰 기능, 모니터링 기능, 방범기능, 생활정보 안내기능, 긴급호출기능, 전화기능 등을 통합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한 주택관리 시스템의 조작을 각 세대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the home function,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the interphone function, the monitoring function, the security function, the living information guide function, the emergency call function, the telephone function, and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touch screen provided in each generation device.
이제 상기 각 기능 수행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우리집 기능 수행에 따른 흐름도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면, (7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현재일시를 나타내는 일시안내창과 현재 일시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해둔 메모정보를 나타내는 메모안내창을 표시한다. 상기 일시안내창에는 현재시각과 현재일시, 달력 등이 표시된다. 이후 제어부(200)는 (7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일시안내창의 달력에 표시된 일자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7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안내창에 선택된 일자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해둔 메모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7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버튼(I)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키보드버튼(I)을 입력하면 (7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다음 일자의 메모정보를 보기 위해 일시안내창의 일자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708)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키보드의 자판으로 이루어지는 자판창과 입력된 자판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입력창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710)단계에서 사용자가 자판창의 자판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자판창의 자판을 입력하면 (7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2)단게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자판에 대응되는 문자를 문자입력창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71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버튼(I)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사용자가 키보드버튼(I)을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71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710)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자판에 따른 문자를 문자입력창에 표시한다. 상기 (71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일자가 선택된 경우에는 문자입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그 선택된 일자에 대응되는 메모정보로서 저장하고, 일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입력창에 표시된 문자를 현재일자에 대응되는 메모정보로서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718)단계로 진행하여 일자가 선택된 경우에는 현재일시와 그 선택된 일자를 나타내는 일시안내창과 선택된 일자에 대응되게 저장된 메모정보를 나타내는 메모안내창을 정보창에 표시하고, 일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일시를 나타내는 일시안내창과 현재일자에 대응되게 저장된 메모정보를 나타내는 메모안내창을 정보창에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7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다음 일자의 메모정보를 보기 위해 일시안내창의 일자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Now,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 8, which shows a flowchart of performing a home function, in step 700, the control unit 200 previously stores a time guide window indicating a current date and time in an information window and corresponds to the current date and time, as shown in FIG. 9. Displays memo information window showing memo information. The date and time guide window displays the current time, current date and time, calendar, and the lik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702, and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dates displayed on the calendar of the date and time window,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704, otherwise proceeds to step 706. In step 704,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memo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in the memo guide window.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706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button I.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708 when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button I, otherwise proceeds to step 702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date of the temporary guide window to view the memo information of the next date. Search. In step 708,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keyboard window consisting of a keyboard keyboard and a text input window displaying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board, as shown in FIG. In step 710,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window,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712, otherwise proceeds to step 714. In step 712,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input by the user in a character input window.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714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button I. If the user inputs the keyboard button I,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716, otherwise proceeds to step 710 to continue display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keyboard input by the user in the text input window. . If the date is selected, the controller 200 stores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input window a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If the date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text displayed in the text input window. Stored a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e. After that, if the date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date and time guide window indicat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a memo guide window indicating the memo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e in the information window. If not selected, a date and time guide window indicat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a memo guide window indicating memo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ar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window.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702 and searches whether the user selects a date of the temporary guide window to view memo information of the next date.
상기와 같은 우리집 기능 수행중에 사용자가 상기 버튼창의 다른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상기 우리집 기능의 수행은 중단되고, 입력된 버튼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If the user inputs another button of the button window during the execution of the hous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stops performing the house function and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오토메이션 기능은 조명 온/오프, 커튼 개폐 등을 제공하는데, 이하 홈오토메이션 기능중 커튼 개폐기능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커튼개폐 기능수행을 위한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면, (8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주택구조를 안내하는 주택구조 안내창과 커튼개폐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들, 즉 커튼열기버튼(J), 커튼정지버튼(K), 커튼닫기버튼(L)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8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커튼열기버튼(J)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커튼열기버튼(J)이 입력되면 (804)단계로 진행하여 커튼이 열리도록 커튼개폐장치(232)가 구동하도록 커튼개폐장치 제어부(230)를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8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커튼닫기버튼(L)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커튼닫기버튼(L)이 입력되면 (808)단계로 진행하여 커튼이 닫히도록 커튼개폐장치(232)가 구동하도록 커튼개폐장치 제어부(23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8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커튼정지버튼(K)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커튼정지버튼(K)을 입력하면 (812)단계로 진행하여 커튼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커튼개폐장치(232)가 구동하도록 커튼개폐장치 제어부(230)를 제어한다. 이와같이 사용자는 세대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주택의 곳곳에 설치된 커튼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provides lighting on / off, curtain opening and closing. Hereinafter, only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1, which shows a process flow for performing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in step 800, the control unit 200 issues a housing structure guide window and a curtain opening and closing command to guide the housing structure to the information window as shown in FIG. 12. Displays buttons for input, that is, curtain opening button (J), curtain stop button (K), and curtain closing button (L).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802 and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curtain open button J. At this time, when the curtain opening button J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804 and controls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30 to drive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232 to open the curtain.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806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curtain close button L. FIG. In this case, when the curtain close button L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808 to control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30 to drive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232 so that the curtain is closed.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810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curtain stop button K. FIG.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the curtain stop button K,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812 and controls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30 to drive the curtain opening and closing device 232 to stop the driving of the curtain. In this way, the user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curtain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f the house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generation device.
상기와같은 홈오토메이션 기능 수행중에도 제어부(200)는 버튼창의 다른 버튼이 입력되면 그 홈오토메이션 기능수행을 중단하고 그 입력된 버튼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한다.Even while performing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f another button of the button window is input, the controller 200 stops performing the home automation func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그리고 인터폰 기능의 수행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9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인터폰버튼(C)을 입력하기 전에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조작에 의한 벨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조작에 의한 벨이 발생하였으면 (90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9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현관장치(300)의 카메라(236)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창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문자파일을 엑세스하기 위한 방문자 보기버튼(M)과 방문자에 응답하기 위한 방문자 통화버튼(N)과 현관도어를 열기위한 도어열기버튼(O)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9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방문자의 벨울림에 응답하기 위하여 방문자 통화버튼(N)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방문자 통화버튼(N)을 입력하면 (906)단계로 진행하여 현관장치(300)의 마이크(24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내장된 스피커(246)로 출력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내장된 마이크(244)로 입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현관장치(300)의 스피커(242)로 출력한다. 이로서 방문자와 사용자간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후 제어부(200)는 (90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관도어를 열어주기 위해 도어열기버튼(O)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열기버튼(O)을 입력하면 제어부(200)는 (910)단계로 진행하여 도어개폐장치 제어부(248)를 통해 현관장치(300)의 도어개폐장치(250)를 구동하여 현관도어를 연다.A process of performing the interphon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In operation 900,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a bell is generated by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before the user inputs the intercom button C.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02 if the bell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front door device 300, otherwise proceeds to step 912. In step 902, the control unit 200 accesses a video window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236 of the door apparatus 300 to the information window and a visitor file stored in advance, as shown in FIG. A visitor view button (M) for the visitor and a visitor call button (N) for responding to the visitor and a door open button (O) for opening the door.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04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visitor call button N to respond to the visitor's ringing.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visitor call button (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06 and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0 of the door device 300 to the built-in speaker 246. In addition, the user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244 to the speaker 242 of the door apparatus 300. This makes a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user.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08 to search whether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button O to open the door.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button O,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10 to dri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50 of the door device 300 throug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248 to enter the door. Open
상기 (91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방문자가 공동현관장치(104)의 조작부(510)의 버튼조작에 따른 정보를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가 벨발생신호로서 제어부(200)에 제공하여, 그 벨발생신호에 따라 벨이 발생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주장치(412)가 제공하는 벨발생신호에 따라 벨을 발생하였으면 (91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9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정보창에 공동현관장치(104)의 카메라(50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문자창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문자 파일을 엑세스하기 위한 방문자 보기버튼(M)과, 방문자에 응답하기 위한 방문자 통화버튼(N)과 공동현관도어를 열기위한 도어열기버튼(O)을 표시한다. 이후 (91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방문자에 응답하기 위해 방문자 통화버튼(N)을 입력하면 (918)단계로 진행하여 공동현관장치(104)의 마이크(50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제공받아 내장된 스피커(244)로 출력함과 아울러, 내장된 마이크(24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주장치경로를 통해 공동현관장치(104)의 스피커(504)로 출력한다. 이로서 공동현관에 위치하는 방문자와 사용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후 제어부(200)는 (9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공동현관도어를 열어주기 위해 도어열기버튼(O)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도어열기버튼(O)을 입력하였으면 (922)단계로 진행하여 공동현관도어를 열도록 하는 공동현관도어 열기신호를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에 제공한다. 상기 공동현관도어 열기신호에 응답하여 주장치(412)는 공동현관도어를 연다.In step 912,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visitor's information as the bell signal is generated by the main device 41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by the visitor f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10 of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Search for whether a be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bell signal. At this time, if the bel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bell generation signal provided by the main device 412,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914, otherwise proceeds to step 924. In step 914,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visitor window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500 of the common entrance apparatus 104 and a visitor view button M for accessing a previously stored visitor file. And, a visitor call button (N) for responding to the visitor and a door open button (O) for opening the common entrance door. Thereafter, in step 916, when the user inputs the visitor call button N to respond to the visito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18, and the audio signal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502 of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It is provided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and output to the built-in speaker 244,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built-in microphone 242 to the speaker 504 of the cavity door 104 through the main device path. This makes a call between the visitor and the user located in the common hall.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20 and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button O to open the common entrance door.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door open button O,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22 to provide the main door 41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with the door opening signal for opening the hallway door. . In response to the cavity door open signal, the host device 412 opens the cavity door.
상기 (92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이전에 벨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디폴트(default) 상태의 방문자창과 방문자보기버튼(M), 방문자 통화버튼(N), 도어열기버튼(O)을 정보창에 표시한 후에 사용자가 부재중에 방문하였던 방문자에 대한 방문자파일을 엑세스하기 위하여 방문자 보기버튼(M)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방문자 파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이 발생된 후 일정시간내에 사용자가 인터폰 버튼을 입력하지 않았을 때에 방문자에 대한 영상과 음성을 저장해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방문자 보기버튼(M)을 입력하면 (926)단계로 진행하여 저장된 방문자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In step 924,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visitor window, a visitor view button (M), a visitor call button (N), and a door open button (O) in a default state if a bell does not occur before. After displaying, it is searched whether the user inputs a visitor view button M to access a visitor file for the visitor who has visited while away. As shown in FIG. 6, the visitor file stores video and audio of the visitor when the user does not input the intercom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bell is generated. When the user inputs the visitor view button M,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926 to sequentially play the stored visitor file.
여기서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는 공동현관장치(104)의 조작부(510)의 조작에 의해 벨발생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를 도 15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동현관장치(104)의 조작부(510)에는 각 세대에 대응되는 키가 구비되는데, (928)단계에서 주장치(412)는 각 세대에 대응되는 키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주장치(412)는 어느 한 세대에 대응되는 키가 입력되면 (93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세대장치에 벨발생신호를 제공한다.Here, the main device 41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generates a bell generation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510 of the cavity door device 104,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The operation unit 510 of the common door apparatus 104 is provided with a key corresponding to each generation. In operation 928, the main apparatus 412 searches for which one of the keys corresponding to each generation is input. In this case, when a key corresponding to any one generation is input, the main device 412 proceeds to step 930 to provide a bell generation signal to the corresponding generation device.
또한 세대장치의 제어부(200)는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조작이나 상기 벨발생신호에 응답하여 벨을 발생하는데, 이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93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버튼조작이 발생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버튼조작이 발생되면 (936)단계로 진행하여 내장된 스피커(246)를 통해 벨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현관장치(300)의 조작부(252)의 조작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934)단계로 진행하여 주장치(412)가 벨발생신호를 제공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주장치(412)가 벨발생신호를 제공하면 제어부(200)는 (936)단계로 진행하여 내장된 스피커(246)를 통해 벨을 발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of the generation device generates a bell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or the bell generation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In operation 932,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button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occurs.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apparatus 300 occurs,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36 to generate a bell through the built-in speaker 246. If no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252 of the door device 300 occur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34 and searches whether the main device 412 provides a bell generation signal. At this time, if the main device 412 provides a bell gener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936 to generate a bell through the built-in speaker 246.
또한 상기 관리실장치(106)의 주장치(412)는 상기 제어부(200)가 제공하는 공동현관 도어열기신호에 응답하여 공동현관도어를 여는데, 이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000)단계에서 주장치(412)는 어느 한 세대장치로부터 공동현관도어 열기신호가 제공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주장치(412)는 어느 한 세대장치로부터 공공동현관도어 열기신호가 제공되면 (1002)단계로 진행하여 공동현관장치(104)의 도어개폐장치 제어부(508)를 통해 도어개폐장치(506)를 구동하여 공동현관도어를 연다.In addition, the main device 41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opens the vestibule door in response to the vestibule door opening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l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In operation 1000, the host device 412 searches for which generation door opening signal is provided from one generation device. At this time, if the main unit 412 is provided with a public vestibule door opening signal from any one generation device proceeds to step (1002) proceeds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506 throug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trol unit 508 of the common entrance device 104 Drive to open the hallway door.
상기한 인터폰기능수행중에도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버튼창의 다른 버튼을 입력하면, 수행중이던 인터폰기능을 중단하고 그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ven when the interphone function is being performed, when the user inputs another button of the button window, the controller 200 stops the interphone function being performed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그리고 모니터링 기능수행과정을 도 18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1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다수의 웹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 즉 골프연습장 버튼(P), 헬스클럽 버튼(Q), 유아원 버튼(R), 수영장 버튼(S) 등을 표시함과 아울러, 선택된 장소의 비디오 데이타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창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11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버튼중 어느 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어느 한 장소의 모니터링을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장소를 선택하면 (110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장소에 설치된 웹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타를 모니터링 창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200)는 웹 카메라(108)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타를 네트워크부(402)의 허브(404)를 통해 제공받아 모니터링 창에 표시한다.The monitoring function performanc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operation 1100,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buttons for selecting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web cameras are installed in an information window, that is, a golf driving range button P, a gym button Q, and a preschool button. (R), a pool button (S), etc. are displayed, and a monitoring window for outputting video data of the selected place is displayed.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102 to search for which place the user selects monitoring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plac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104 and displays video data input from the web camera installed in the place in the monitoring window. That is, the controller 200 receives the video data input from the web camera 108 through the hub 404 of the network unit 402 and displays the video data in the monitoring window.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기능수행중에도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버튼창의 다른 버튼을 입력하면, 수행중이던 모니터링기능을 중단하고 그 입력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While performing the monitor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inputs another button of the button window,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monitoring function being performed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그리고 방범기능 수행과정을 도 20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2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주택구조를 나타내는 주택구조 안내창과 각종 방범기능 설정을 위한 버튼들, 즉 세트버튼(T), 해제버튼(U), 재택버튼(V), 이상확인버튼(W)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12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세트버튼(T)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세트버튼(T0)이 입력되면 (12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0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방범기능을 세트함과 아울러 이상발생시 그 정보를 관리실장치(106)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120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해제버튼(U)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해제버튼(U)이 입력되면 (12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08)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방범기능을 해제한다. 상기 (121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재택버튼(V)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재택버튼(V)을 입력하면 (12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1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재택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12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이상확인버튼(W)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이상확인버튼(W)을 입력하면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주택구조 안내창에 표시한다. 즉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이 발생된 지점에 이상발생사실을 표시한다.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curity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In operation 1200,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a housing structure guide window indicating a housing structure in the information window and buttons for setting various security functions, that is, a set button T, a release button U, and a home at step 1200. The button V and the abnormality confirmation button W are displayed.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set button T is input in step 1202. At this time, if the set button T0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204, and otherwise proceeds to step 1206. In step 1204, the control unit 200 sets a security function and provides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with the informa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operation 1206,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release button U is input. At this time, if the release button U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208, otherwise proceeds to step 1210. In step 1208, the control unit 200 releases the security function. In operation 1210,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at-home button V. FIG.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at-home button V,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212, otherwise proceeds to step 1214. In step 1212, the controller 200 sets a home mode. In operation 1214,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abnormality confirmation button W. FIG.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when the user inputs the abnormality confirmation button W, and displays the result in the housing structure guide window. That is, as shown in Fig. 21,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is displayed at the point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그리고 생활정보 안내기능수행과정을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3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다양한 정보메뉴를 나타내는 버튼들, 즉 쇼핑버튼(a), 부동산버튼(b), 단지정보버튼(c), 뉴스버튼(d), 증권버튼(e), 날씨버튼(f), 광고버튼(g), 음악버튼(h), 영화버튼(i) 등을 표시함과아울러 선택된 버튼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생활정보창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1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정보메뉴를 나타내는 버튼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정보메뉴를 나타내는 버튼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1304)단계로 진행하여 그 선택된 정보가 단지내정보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선택된 정보가 단지내 정보이면 제어부(200)는 (1306)단계로 진행하여 관리실장치(106)의 서버(410)에 구축된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정보를 생활정보창에 표시한다. 이와달리 상기 선택된 정보가 단지내 정보가 아니면 제어부(200)는 (1308)단계로 진행하여 관리실장치(106)의 네트워크부(402)를 통해 인터넷의 지정된 서버와 연결하여, 그 서버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정보를 생활정보창에 표시한다.And the life information guide function performanc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operation 1300,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buttons indicating various information menus on the information window, that is, a shopping button (a), a real estate button (b), an information button (c), and a news button (shown in FIG. 23). d), a securities button (e), weather button (f), advertising button (g), music button (h), movie button (i) and the like, as well as a living information window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tton Display.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1302 to search for which one of the buttons indicating the information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buttons indicating the information menu,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304 and searches whether the selec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the complex. If the selec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the complex,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306 and receives the selected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established in the server 410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in the living information window. 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ed information is not information in the complex,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308 and connects to the designated server of the Internet through the network unit 402 of the management room device 106, and provides the selec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Receive the information and display it in the information window.
상기와 같은 생활정보 안내중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버튼창의 다른 버튼을 입력하면 수행중이던 생활정보 안내기능을 중단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life information guid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inputs another button of the button window,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life information guide function being performed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그리고 긴급호출기능 수행과정을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4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긴급호출할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긴급호출버튼들, 즉 병원응급실버튼(i), 보안실버튼(j), 이웃집버튼(k), 경찰서버튼(l) 등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14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표시된 긴급호출버튼들중 어느 한 버튼이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어느 한 버튼을 입력하면 (1404)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긴급호출버튼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서비스를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긴급호출시 해당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달리 긴급호출시 긴급상황을 알리는 음성메시지를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통화로가 연결되면, 그 음성메시지를 송출하게 할 수도 있다.The emergency call function execu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4. In operation 1400, the control unit 200 may display emergency call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to be urgently called in the information window, that is, the hospital emergency room button (i), the security room button (j), and the neighbor button ( k), the police station button l, etc. are displayed.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1402 to search for which one of the emergency call buttons displayed by the user is input.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any one butt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404 and dials a pre-stored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call button to perform a call service. He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dialing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when making an emergency call to provide a call service, on the other hand, if the emergency call is stored in advance to save the voice messag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the call is connected, You can also send voice messages.
그리고 전화기능 수행과정을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5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창에 전화번호 리스트로 구성되는 전화번호부창과, 각종 전화기능 수행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전화창과, 다수의 내선통화버튼들, 즉 휴대전화버튼(m), 가족실버튼(n), 주방버튼(o), 욕실버튼(p) 등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15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창의 전화번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창의 전화번호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15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5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50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1506)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직접걸기버튼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직접걸기버튼을 입력하면 (15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508)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직접걸기모드로 설정하여 디지트를 전화창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키를 통해 디지트를 입력받아 다이얼링하여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151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세대간 통화버튼을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세대간 통화버튼을 입력하면 (15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51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진행하여 세대간 통화모드를 설정하여 각 세대간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15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내선통화버튼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내선통화버튼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1516)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내선통화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단말기와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Next, a process of performing the telephon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In operation 1500, 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phone book window including a list of phone numbers in an information window, a phone window having buttons for performing various phone functions,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call buttons, that is, as shown in FIG. 27. Mobile phone button (m), family room button (n), kitchen button (o), bathroom button (p) and the like are displayed.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502 and searches whether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hone numbers in the phone book window.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hone numbers in the phone book window proceeds to step 1504, otherwise proceeds to step 1506. In step 1504, the controller 200 dials the selected phone number to provide a call service. In step 1506,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a direct dialing button. At this time, if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dial butt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508, otherwise proceeds to step 1510. In step 1508, the control unit 200 is set to the direct dialing mode to provide a call service by dialing the digits through a number of numeric keys provided in the telephone window. In step 1510, the controller 200 searches whether the user inputs an intergenerational call button. At this time, if the user inputs the intergenerational call butt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512, and otherwise proceeds to step 1514. In step 1512,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et the intergenerational call mode to enable inter-generational calls. In step 1514, the controller 200 searches for which one of the extension call buttons the user selects.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extension call buttons,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1516 and provides a call service with the telephon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tension call butt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택관리 시스템이 우리집 기능, 홈 오토메이션기능, 인터폰 기능, 모니터링 기능, 방범 기능, 생활정보 안내기능, 긴급호출 기능, 전화 기능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은 물론이고, 그 주택관리 시스템의 제어를 각 세대에 위치하는 세대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provides our home function, home automation function, interphone function, monitoring function, crime prevention function, living information guidance function, emergency call function, telephone function, as well as the housing management Control of the system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generation device located in each 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various house management devices into one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various house management device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주택관리장치를 하나의 주택관리 시스템으로 통합하고, 그 주택관리 시스템의 제어를 각 세대에 위치하는 하나의 세대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various housing management apparatuses into one housing management system, and enables the control of the housing management system to be performed through one household apparatus located in each househol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0896A KR100352969B1 (en) | 1999-07-28 | 1999-07-28 |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0896A KR100352969B1 (en) | 1999-07-28 | 1999-07-28 |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1500A KR20010011500A (en) | 2001-02-15 |
| KR100352969B1 true KR100352969B1 (en) | 2002-09-16 |
Family
ID=196054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308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2969B1 (en) | 1999-07-28 | 1999-07-28 |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35296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11261A (en) * | 2000-01-26 | 2001-08-03 | Sanwa Material:Kk | Interphone system for multiple dwelling houses |
| JP3757176B2 (en) * | 2002-03-15 | 2006-03-22 | 株式会社アミューズィングコーポレーション | Intercom collective entrance machine linkage information terminal system |
| KR20030086034A (en) * | 2002-05-03 | 2003-11-07 | 주식회사 에스원 | Digital Door-Lock System |
| KR20040045975A (en) * | 2002-11-26 | 2004-06-05 | 주식회사 코리아홈넷 |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method thereof |
| KR100685813B1 (en) * | 2004-09-16 | 2007-02-23 | 주식회사 캡스 | Access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server PC, camera and interphone |
| KR100867027B1 (en) * | 2007-03-15 | 2008-11-04 | 방일순 |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of the entrance door of the house and th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568109B1 (en) * | 2022-06-13 | 2023-08-18 |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installation system |
-
1999
- 1999-07-28 KR KR1019990030896A patent/KR1003529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11500A (en) | 2001-02-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81915B2 (en) |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 |
| US7193644B2 (en) | Automated audio video messaging and answering system | |
| US7123142B2 (en) | Integrated intercom and security system | |
| US8139098B2 (en) | 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 |
| US8144183B2 (en) | Two-way audio-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receiving person at entrance | |
| US20090284578A1 (en) | Real estate communications an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e by real estate agents | |
| KR100352969B1 (en) | Residence management system and residence management method | |
| CN111754672B (en) | Intelligent doorbell identification system | |
| KR100430774B1 (en) | Multi-functional interphone device | |
| KR100466832B1 (en) | Foreign language studying system and method equipped unconscious foreign language exposure way | |
| JP2024072183A (en) | Information terminal, intercom system, voice recogni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KR200244470Y1 (en) | Multi-functional interphone device | |
| JP2024072185A (en) | Information terminal, intercom system, voice recogni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KR20010077903A (en) | Interphone system for collective house | |
| KR20200109894A (en) | Door Locking system setting operation mo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0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