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3816B1 -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816B1
KR100353816B1 KR1019990062213A KR19990062213A KR100353816B1 KR 100353816 B1 KR100353816 B1 KR 100353816B1 KR 1019990062213 A KR1019990062213 A KR 1019990062213A KR 19990062213 A KR19990062213 A KR 19990062213A KR 100353816 B1 KR100353816 B1 KR 10035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read
write
clock
gen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64092A (en
Inventor
류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6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816B1/en
Publication of KR2001006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816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메모리만으로도 통신용 반도체인 4상 위상변조(QPSK) 수신 소자가 외부 소자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형화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용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 메모리와 단순 구조의 제어부만을 이용하여 FIFO 메모리 구조의 구현함으로써, 칩 면적을 줄이면서도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용 수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클럭의 평균 주기를 가지는 제2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클럭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와, 어드레스 증가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의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어드레스가 읽기용인지 또는 쓰기용인지가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부; 및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램에 소정 비율 이상 데이터가 기록된 이후에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가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용 수신장치가 제공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receiver capable of outputting standardized data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by a four-phase phase modulation (QPSK) receiving device, which is a communication semiconductor, with a single memory. By implementing the FIFO memory structure using only the control unit of the, to provide a communication receiver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the chip area,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to provide a second clock having an average period of the first clock A generating clock generator; An addres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and an address incre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cks; An address generator which increas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add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 of the address controller is read or write; And a RAM for storing input data according to an address signal of the address generator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wherein the address controller controls the address generator to generate a write address after data is written to the RAM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ere is provided a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comprising the.

Description

통신용 수신 장치{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용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메모리만으로도 통신용 반도체인 QPSK 수신 소자가 외부 소자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형화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통신용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receiver capable of outputting standardized data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by a QPSK receiving device, which is a communication semiconductor, with only one memory.

종래의 모든 통신용 반도체 소자도 현재 방송되는 채널에 다라 데이터 클럭이 적응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FIFO(First In First Out) 모두 FIFO 메모리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이는 통신용 소자 내에서는 비정형적인 데이터가 계속 입력되고, 반대로 통신 소자 외부로는 정형화된 데이터를 내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FIFO 메모리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2개의 단일 포트(single port)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을 병렬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즉, 하나의 SRAM은 읽기 및 쓰기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SRAM에서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다른 SRAM에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하게 구현 가능하다는 이유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메모리를 이용해야 하고, 전송 속도에 따른 적응부 등의 제어부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게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 크기를 임의적으로 줄일 수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중 포트(dual port) SRAM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결국 하나의 프레임을 다 받기 전까지는 전송을 시작할 수 없기 때문에 메모리 크기를 줄일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l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s for communication are also implemented to adapt the data clock according to the channel currently being broadcast. In general, all FIFOs (First In First Out) use a FIFO memory structure. This is because atypical data is continuously input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on the contrary, the formatted data must be sent outside the communication device.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IFO memory structure, a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two single-port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in parallel is used. That is, since one SRAM cannot simultaneously perform read and write operations, data is continuously written from one SRAM and output data from another SRAM. This approach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the most common and simple to implement. However, two memories must be used, and many gates are required to implement a control unit such as an adaptation unit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peed. At this time, the memory size cannot be arbitrarily reduced. In order to improve this, dual port SRAM may be used. However, since the transmission cannot be started until one frame is received, the memory size cannot be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메모리와 단순 구조의 제어부만을 이용하여 FIFO 메모리 구조의 구현함으로써, 칩 면적을 줄이면서도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용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receiver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while reducing chip area by implementing a FIFO memory structure using only a single memory and a simple structure controll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수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상세 구성도.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드레스 발생부의 상세 구성도.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ddress generator shown in FIG. 1.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입력 및 출력 클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 and output clock of the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도 5A 내지 도 5D는 도 1에 도시된 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A to 5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M shown in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어드레스 제어부의 상태 머신도.6 is a state machine diagram of the address control un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클럭 발생부 20 : 어드레스 제어부10: clock generator 20: address controller

30 : 어드레스 발생부 40 : 램(RAM)30: address generator 40: RA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클럭의 평균 주기를 가지는 제2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클럭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와, 어드레스 증가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의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어드레스가 읽기용인지 또는 쓰기용인지가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부; 및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램에 소정 비율 이상 데이터가 기록된 이후에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가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용 수신장치가 제공된다.또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따르면, 제1클럭의 평균 주기를 가지는 제2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 상기 제1 및 제2클럭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와, 어드레스 증가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의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어드레스가 읽기용인지 또는 쓰기용인지가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부; 및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램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램에서 데이터 출력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어드레스 발생을 쓰기 어드레스 발생보다 우선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용 수신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cond clock having an average period of the first clock; An addres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and an address incre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cks; An address generator which increas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add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 of the address controller is read or write; And a RAM for storing input data according to an address signal of the address generator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wherein the address controller controls the address generator to generate a write address after data is written to the RAM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cond clock having an average period of a first clock; An addres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and an address incre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cks; An address generator which increas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add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 of the address controller is read or write; And a RAM configured to store input data according to an address signal of the address generator and to output the read data, wherein the address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ad a read address rather than a write address so that the RAM can read dat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en the data is output.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controlling the address generator so as to occur preferenti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수신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 부호 10은 클럭 발생부를, 20은 어드레스 제어부를, 30은 어드레스 발생부를, 그리고 40은 램(RAM)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clock generator, 20 denotes an address controller, 30 denotes an address generator, and 40 denotes a RAM. .

먼저, 클럭 발생부(10)는 입력 클럭(CLK1)의 평균 주기를 계산하고, 이에 해당하는 출력 클럭(CLK2)을 발생한다. 이때, 출력 클럭(CLK2)은 항상 입력 클럭(CLK1)보다 빠르다. 어드레스 제어부(20)는 입출력 클럭(CLK1, CLK2)을 입력으로 하여 어드레스를 제어하기 위한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Read/Write)와, 읽기 및 쓰기 어드레스 증가신호(Rinc, Winc)를 각각 발생한다. 어드레스 발생부(30)는 어드레스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즉,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Read/Write)에 따라 읽기용 어드레스 또는 쓰기용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며, 어드레스 증가신호(Rinc, Winc)에 따라 해당 어드레스를 1 증가시킨다. 램(RAM)은 어드레스 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Addr)에 따라 입력 데이터(Din)를 저장하고, 또한 이를 출력 데이터(Dout)로서 출력한다.First, the clock generator 10 calculates an average period of the input clock CLK1 and generates an output clock CLK2 corresponding thereto. At this time, the output clock CLK2 is always faster than the input clock CLK1. The address controller 20 receives the input / output clocks CLK1 and CLK2 as inputs, and generates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Read / Write and read and write address increment signals Rinc and Winc, respectively, for controlling the address. The address generator 30 generates a corresponding address under the control of the address controller 20. That is, a read address or a write address is selective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Read / Write), and the corresponding address is incremented by one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s (Rinc and Winc). The RAM stores the input data Din according to the address Addr generated by the address generator 30 and outputs the same as the output data Dou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1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 11은 엣지 검출기, 12 및 14는 카운터를, 15는 논리곱 게이트를, 16은 비교기를, 그리고 18은 데이터 클럭 발생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lock generator 10 shown in FIG. 1, with reference numeral 11 designating an edge detector, 12 and 14 a counter, 15 an AND gate, 16 a comparator, and 18 shows each data clock generator.

도 2에 있어서, 입력 클럭(CLK1)은 통신용 소자(미도시)로부터 유효한 데이터가 전송됨을 알리는 Lock 신호가 발생하기 전부터 입력된다. 이때, Lock 신호가 가 발생되면 엣지 검출기(11)는 엣지를 검출하여 이를 리셋신호(reset)신호로서 카운터(12, 14)에 각각 출력하여 초기화시킨다. 카운터(12)는 입력 클럭(CLK1)을 카운팅하고 그 값을 비교기(16)에 전달한다. 이때, 비교기(16)는 카운팅값이 '7'인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7'로 판단되면 '1'을 출력한다. 그러면 논리곱 게이트(15)에 의해 시스템 클럭(system_CLK)을 디스에이블시키게 되므로 카운터(14)는 카운팅 동작을 멈추게 된다. 즉, 클럭 발생부(10)는 입력 클럭(CLK1)을 카운터(12)를 통해 카운트하여 그 동안의 시간을 계산한다. 이는 입력 클럭(CLK1)을 8개 카운팅 하는 동안 시스템 클럭(system_CLK)을 인에이블시켜서 카운터(14)를 통해 카운트함으로서 가능하다. 이때, 데이터 클럭 발생기(18)는 카운터(14)의 카운팅값에 비례하여 클럭 주기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Fig. 2, the input clock CLK1 is inputted before the lock signal indicating that valid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element (not shown) is generated. At this time, when the lock signal is generated, the edge detector 11 detects an edge and outputs it as a reset signal to the counters 12 and 14 to initialize it. The counter 12 counts the input clock CLK1 and passes the value to the comparator 16. In this case, the comparator 16 compares whether the counting value is '7' and outputs '1' when it is determined as '7'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is case, since the system clock system_CLK is disabled by the AND gate 15, the counter 14 stops the counting operation. That is, the clock generator 10 counts the input clock CLK1 through the counter 12 and calculates the time. This is possible by counting through the counter 14 by enabling the system clock system_CLK while counting the eight input clocks CLK1. At this time, the data clock generator 18 changes the clock period in proportion to the counting value of the counter 14.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드레스 발생부(3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ddress generator 30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어드레스 발생부(30)는 리셋신호(reset)에 의해 리셋되고, 읽기 어드레스 증가신호(Rinc)에 따라 읽기 어드레스를 '1' 증가시키는 읽기 어드레스 발생부(32)와, 리셋신호(reset)에 의해 리셋되고, 쓰기 어드레스 증가신호(Winc)에 따라 읽기 어드레스를 '1' 증가시키는 쓰기 어드레스 발생부(34), 그리고 두 어드레스 발생부(32, 34)에 의해 발생되는 어드레스를 읽기/쓰기 선택신호(Read/Write)에 의해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6)로 구성된다.The address generator 30 shown in FIG. 3 is reset by a reset signal, and the read address generator 32 increases the read address by '1' according to the read address increase signal Rinc, and the reset signal. The reset address is reset by (reset), and the write address generator 34 which increases the read address by '1' according to the write address increase signal Winc, and the addresses generated by the two address generators 32 and 34 are read. The multiplexer 36 selects and outputs the data by the / write selection signal Read / Write.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도 4,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5A to 5D, and FIG. 6.

종래의 통신용 수신장치가 두 개의 메모리를 병렬 연결하여 구현하던 FIFO 메모리 구조를 본 발명은 단일 메모리만으로 구현하였다. 이는 입력 데이터가 비정형적이지만 채널과 소자의 상태 레지스터(미도시)의 값에 따라 평균적인 전송속도가 결정되는 통신 소자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서 가능하다. 즉, 입력 클럭(CLK1)은 정해진 시간만큼 읽어 평균을 내어 출력 클럭(CLK2)을 발생하고, 프레임이 대부분 기록되는 시점(대략 90%)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형화된 클럭에 따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출력과 입력을 램(40)의 동일 어드레스를 통해 접근해야 하므로 이러한 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제어부(20)가 이용된다. 또한, 출력 데이터는 정형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출력되어야 하므로, 읽기 동작이 쓰기 동작보다 우선 순위가 높아야 한다. 즉, 램(40)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어드레스는 읽기 동작이 모두 완료된 후, 남는 시간을 이용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 제어부(20) 및 어드레스 발생부(30)에 이용되는 클럭신호는 입출력 클럭(CLK1, CLK2)보다 적어도 8배 이상 빠른 경우에 가능하다. 이는 한번의 클럭 주기 동안 읽기 및 쓰기 동작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수신장치는 4상 위상변조(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수신장치로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받아 동영상전문가그룹(MPEG: Moving Picture Expert Group) 프레임 처리 보드로 MPEG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MPEG 프레임 처리 보드외의 다른 외부 장치로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공통 인터페이스(CI: Common Interface) 모듈에 적합하도록 출력단 신호를 정형화시켜야 한다. 즉, 데이터 클럭이 일정해야 하고, 데이터 출력과 유효한 데이터가 출력됨을 알리는 신호(strobe)가 발생하여야 한다. 하지만, QPSK와 같은 통신용 소자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방송 채널마다 달라지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데이터 클럭을 정형화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데이터 클럭이 정형화되지 못하면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서의 위상동기루프(PLL)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다. 따라서, 최종 출력단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FIFO 구조를 연결하여 정형화된 데이터 클럭으로 전송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클럭 발생부(10)는 입력 클럭(CLK1)의 평균 주기를 계산하고, 이에 해당하는 정형화된 출력 클럭(CLK2)을 발생한다. 이때, 램(40)에 쓰기 가능한 시점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IFO memory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receiver is connected to two memories in parallel. This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here the input data is atypical but the average transfer rate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channel and the device's status register (not shown). That is, the input clock CLK1 reads the average amount of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an output clock CLK2, and outputs data recorded at the time when the frame is mostly recorded (approximately 90%)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clock.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and the input should be accessed through the same address of the RAM 40, the address control unit 20 is used to determine the timing. In addition, since the output data must be output formally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read operation should have a higher priority than the write operation. That is, the address for writing data to the RAM 40 is stored using the remaining time after the read opera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clock signal used for the address controller 20 and the address generator 30 may be at least eight times faster than the input / output clocks CLK1 and CLK2. This is because the read and writ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one clock cycle. The communicat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receiver and receives signals transmitted wirelessly and transmits them in MPEG frame units to a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frame processing board. It will play a role. In this case, in order to transmit a frame to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MPEG frame processing board, the output terminal signal should be shaped to be suitable for a common interface (CI) module. That is, the data clock must be constant,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output and valid data are output should be generated. However,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QPSK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cannot fundamentally format the data clock becaus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different for each broadcast channel. If the data clock is not formatted, the phase-lock loop (PLL) in the common interface module cannot operate normally. Therefore, the final output stage must be connected to the FIFO structure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be transmitted to the standardized data clock. Accordingly, the clock generator 10 calculates an average period of the input clock CLK1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output clock CLK2. In this case, a time point that can be written to the RAM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있어서, 출력 클럭(CLK2)은 입력 클럭(CLK1)의 평균 주기를 가지므로 입력 클럭(CLK1)보다 앞선다. 어드레스 제어부(20)는 어드레스의 종류(읽기, 쓰기)를 선택하기 위한 읽기/쓰기 선택신호(Read/Write)를 발생하고, 해당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읽기 및 쓰기 어드레스 증가신호(Rinc, Winc)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어드레스 제어부(20)는 어드레스 발생부(30)를 제어하여 출력 클럭(CLK2)의 상승 모서리에서 1/4 주기만큼 읽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도록 하고, 그 동안 쓰기 어드레스 발생을 중지하고, 이후 입력 클럭(CLK1)의 하이레벨에서 쓰기 어드레스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클럭의 한 주기동안 읽기 및 쓰기 동작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때, 어드레싱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Fig. 4, the output clock CLK2 has an average period of the input clock CLK1 and thus precedes the input clock CLK1. The address controller 20 generates a read / write selection signal (Read / Write) for selecting an address type (read / write), and generates read and write address increase signals (Rinc, Winc) for increasing the corresponding address. Will occur. At this time, the address controller 20 controls the address generator 30 to generate a read address for a quarter period at the rising edge of the output clock CLK2, stops the write address during that time, and then inputs the input clock. The write address is controlled to occur at the high level of CLK1. Thus, read and write operation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one period of the clock. In this case, the address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먼저, 도 5A에 있어서, 동작 수행전에 읽기 어드레스(Read address) 및 쓰기 어드레스(Write address)는 둘 다 동일한 최하위값을 가진다. 이후, 입력 데이터(Din)가 램(40)에 기록되기 시작하면서 쓰기 어드레스는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때 읽기 어드레스는 증가되지 않는다. 이어서, 쓰기 어드레스가 소정 값에 도달되면, 즉 램(40)의 메모리 크기의 90%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기록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어드레스가 점차 증가된다. 이때, 쓰기 어드레스가 최상위값을 가지게 되면 다시 최하위값부터 다시 증가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램(40)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가 읽혀지면 읽기 어드레스는 다시 최하위값을 가지게 되고, 데이터의 기록이 90% 정도 수행될 때까지 최하위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클럭(CLK2)이 입력 클럭(CLK1)보다 빠르기 때문에 언더플로우(underflow)나 오버플로우(overflow)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단일 메모리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단순 구조의 제어부만으로도 기존의 FIFO 메모리 구조를구현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Fig. 5A, both read address and write address have the same lowest value before performing an operation. Thereafter, as the input data Din starts to be written to the RAM 40, the write address gradually increases, and the read address does not increase. Then, when the write address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when data corresponding to 90% of the memory size of the RAM 40 is written, the read address is gradually increased as shown in Fig. 5C. At this time, if the write address has the highest value, it starts to increase again from the lowest value. Subsequently, when all data written to the RAM 40 is read, the read address has the lowest value again, and the lowest value is maintained until the data is written about 90%.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clock CLK2 is faster than the input clock CLK1 as described above, no underflow or overflow occurs. Therefore, the existing FIFO memory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only with a single memory and a simple structur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어드레스 제어부(20)의 상태 머신도를 도시한 것으로, READ는 읽기 상태를, WRITE는 쓰기 상태를, WAIT WRITE는 쓰기 대기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6 shows a state machine diagram of the address control unit 20 shown in FIG. 1, where READ indicates a read state, WRITE indicates a write state, and WAIT WRITE indicates a write wait state.

도 6에 있어서, 어드레스 제어부(20)는 출력 클럭(CLK2)마다 읽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어드레스 발생부(30)를 제어하고, 반대로 입력 클럭(CLK1)마다 쓰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쓰기 동작은 쓰기 동작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조건부로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쓰기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면(①), 읽기 동작후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 쓰기 동작을 완료후(③) 다시 읽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현재 쓰기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이면(②) 쓰기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 다시 쓰기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④) 비로소 쓰기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FIG. 6, the address controller 20 controls the address generator 30 to perform a read operation for each output clock CLK2, and conversely, performs a write operation for each input clock CLK1. At this time, the write operation is conditionally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write operation is possible. For example, if the current write operation is possible (①),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read operation, and the read operation is performed again after the write operation is completed (③). On the contrary, if the current write operation is impossible (②),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write standby state, and when the write operation becomes possible again (④),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램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빠른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램에서 지원 가능한 엑세스 타임을 최대한 활용하여 데이터 클럭이 한번 입력될 때, 여러번 어드레스를 변화시켜가면서 읽고 쓰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램의 접근 시간보다 훨씬 느린 입력 클럭에 의해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등을 만들어 냄으로써, 기존 SRAM의 단점인 동시에 읽고 쓸 수 없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램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부도 많은 로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FIFO 메모리 구조를 구현하는데 칩 면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ads and write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RAM by changing the address several times when the data clock is input once by utilizing the access time supported by the RAM by using a fast system clock. By repeating, address and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by the input clock much slower than the RAM access time, there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RAM and the inability to read and write. The controller to perform the RAM operation does not require much logic, so the chip area can be optimized to implement the FIFO memory structure.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수신장치는 기존의 두 개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구현하던 FIFO 메모리 구조를 단일 메모리만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레임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메모리를 병렬 연결하여 이용하는 방식보다 메모리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The communication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may implement a FIFO memory structure implemented using two conventional memories using only a single memory. Therefore, the memory size can be reduced by half, compared to a method in which two memories having a frame size are connected in parallel.

Claims (5)

삭제delete 제1클럭의 평균 주기를 가지는 제2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A clock generator which generates a second clock having an average period of the first clock; 상기 제1 및 제2클럭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와, 어드레스 증가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제어부;An addres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and an address incre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cks;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의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어드레스가 읽기용인지 또는 쓰기용인지가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부; 및An address generator which increas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add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 of the address controller is read or write; And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램을 포함하며,A RAM for storing input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of the address generator;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램에 소정 비율 이상 데이터가 기록된 이후에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가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용 수신장치.And the address controller controls the address generator to generate a write address after data is written to the RAM by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제1클럭의 평균 주기를 가지는 제2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A clock generator which generates a second clock having an average period of the first clock; 상기 제1 및 제2클럭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와, 어드레스 증가신호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제어부;An address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s and an address incremen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clocks;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의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어드레스가 읽기용인지 또는 쓰기용인지가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부; 및An address generator which increases an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address generated according to a read and write selection signal of the address controller is read or write; And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의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램을 포함하며,A RAM for storing input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address signal of the address generator; 상기 어드레스 제어부는 상기 램에서 데이터 출력시 소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어드레스 발생을 쓰기 어드레스 발생보다 우선적으로 발생하도록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용 수신장치.And the address control unit controls the address generation unit to generate a read address generation in preference to a write address generation so that data can be rea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hen data is output from the RAM.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클럭 발생부는 상기 제1클럭을 카운팅 하는 제1카운터;The clock generator includes a first counter for counting the first clock; 상기 제1카운터의 카운팅값이 소정 값에 도달한지를 판단하는 비교기;A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 counting value of the first counter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비교기의 결과에 따라 제3클럭을 디스에이블시키는 논리곱 게이트;An AND gate for disabling a third cloc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or; 상기 논리곱 게이트의 출력을 카운팅 하는 제2카운터; 및A second counter counting an output of the AND gate; And 상기 제2카운터의 카운팅값에 따라 클럭 주기를 변화시키는 클럭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수신장치.And a clock generator for changing a clock period according to the counting value of the second count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는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읽기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읽기 어드레스 발생부;The address generator may include: a read address generator for increasing a read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상기 어드레스 증가신호에 따라 쓰기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는 쓰기 어드레스 발생부; 및A write address generator for increasing a write address according to the address increase signal; And 상기 읽기 및 쓰기 선택신호에 다라 상기 읽기 어드레스 발생부 및 상기 쓰기 어드레스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어드레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수신장치.And a multiplex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ddress generated from the read address generator and the write address generator in accordance with the read and write select signals.
KR1019990062213A 1999-12-24 1999-12-24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8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213A KR100353816B1 (en) 1999-12-24 1999-12-24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213A KR100353816B1 (en) 1999-12-24 1999-12-24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092A KR20010064092A (en) 2001-07-09
KR100353816B1 true KR100353816B1 (en) 2002-09-26

Family

ID=1962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2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816B1 (en) 1999-12-24 1999-12-24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81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092A (en)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35B1 (en) Serial access memory capable of reading data serially at s speed double the writing speed
KR100866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tion resistance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915554B1 (en) A semiconductor memory
US7725625B2 (en) Latency insensitive FIFO signaling protocol
IE55623B1 (en) Video graphic dynamic ram
US8743613B2 (en) Timing control in synchronous memory data transfer
US20070247933A1 (en) Method of High-Performance Flash Memory Data Transfer
JP4456687B2 (en)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 of writing to and reading from the memory
US696553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ntrol method
US778268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ircuitry for e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US7356624B1 (en) Interface between different clock rate components
KR100353816B1 (en) receiving device for communication
KR10059642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during operation
JPH11163864A (en) Cell buffer circuit
US6442103B1 (en) Synchronous SRAM device with late write function
KR100424850B1 (en) System of Transferring Data Transmission Velocity
US20040202040A1 (en) Virtual dual-port synchronous RAM architecture
EP1420409B1 (en) Data output circuit and method in ddr synchronous semiconductor device
JP40602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aying video line data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US6421351B1 (en) Cell phase control device applicable to data of size exceeding fixed length defin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cell length of write pulse signal or read pulse
JP2870468B2 (en) Data transfer rate difference absorption method
KR100326175B1 (en) Variable address designation circuit and method of synchronous transmission device
US6597628B1 (en) Auto-disable receive control for DDR receive strobes
US6489805B1 (en) Circuits,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periodic signal in a memory
KR20220106785A (en) clock circuit and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9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9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