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8877B1 -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877B1
KR100378877B1 KR10-2001-0005829A KR20010005829A KR100378877B1 KR 100378877 B1 KR100378877 B1 KR 100378877B1 KR 20010005829 A KR20010005829 A KR 20010005829A KR 100378877 B1 KR100378877 B1 KR 10037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vending machine
stopper
carrier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5682A (en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찬 filed Critical 김병찬
Priority to KR10-2001-000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877B1/en
Priority to JP2001148699A priority patent/JP2002245530A/en
Publication of KR2002006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87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raising the stack of articles to permit delivery of the topm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기구 특히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피이송체를 상부로 이송하여 피이송체를 상부에서 인출하기 위한 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전동기구(傳動機構)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이송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상방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에 축지(軸支)되고 피이송체를 싣는 피이송체 받침대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항상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피이송체 받침대가 회전하려고 할 때에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스톱퍼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수평 이송대를 거쳐 받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전동기구에 의하여 상승하다가 자동 판매기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출 스톱퍼에 닿아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피이송체를 인출구로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mechanism for transporting a transported object to an upper portion and withdrawing the transported object from an upper portion in a transport mechanism, particularly a vending machine. In the vending machine installed in the vending machine to transfer the conveyed object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containing the conveyed object upwards an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vending machine is stored and conveyed An object stopper for carrying the sieve, an urging means for always applying upward pressure to the object carrier, and an upper stopper for preventing the object carrier from rot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object carrier tries to rotate. And a conveyed body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The object carrier received through the horizontal feeder is lifted by the electric machine and touches the withdrawal stopper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nding machine so that the object carrie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means. It is inclined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dropping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to the outlet.

Description

이송기구 및 이를 사용하는 자동 판매기{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Transfer mechanism and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본 발명은 이송기구 특히 자동 판매기의 캔 등을 이송하는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mechanism, in particular a transfer mechanism for transporting cans and the like of vending machines.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복수의 카트리지(혹은 매그넘)를 설치하고 여기에 각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캔 등을 다수 수용한다. 구매자는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panel)에 형성되어 있는 동전 혹은 지폐 투입구에 해당하는 요금을 넣고, 역시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상품 선택 버튼을 눌러 원하는 상품을 선택한다. 구매자에 의하여 선택된 캔을 수용하고 있는 카트리지는 그 최하부에 수용되어 있던 캔을 그 카트리지에서 배출시킨다. 캔은 자중(自重, 즉 자연낙하)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로 떨어지고, 구매자는 배출구를 통하여 캔을 외부로 반출한다.In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a plurality of cartridges (or magnums) are provid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and a large number of cans corresponding to each cartridge are accommodated therein. The purchaser inputs a fee corresponding to a coin or banknote slot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nding machine and selects a desired product by pressing a product selection button form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nding machine. The cartridge containing the can selected by the purchaser discharges the can from the cartridge. The can falls to an out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of the vending machine by its own weight (ie, a natural fall), and the buyer takes the can out through the outle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 판매기는 배출구가 자동 판매기의 하단에 위치함으로써 구매자가 허리를 굽혀야만 캔을 반출할 수 있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 배출구를 막대 등을 넣어 카트리지의 하단을 파괴하면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캔이 모두 배출구로 배출되어 도난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무인 자동 판매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은 심각하다.Conventional vending machin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as inconvenient,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vending machine, the buyer can bend out the can only bend the waist. In addition, when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to destroy the lower end of the cartridge, all the cans housed inside the cartridge are discharged to the outlet and are exposed to theft.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serious in the growing trend of unmanned vending machin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캔을 강제적으로 상부로 이송하여 카트리지의 상부에서 배출되도록 하여 자동 판매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캔을 반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has been proposed to forcibly transport the can to the top to be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tridge so that the can is taken out through the outle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nding machine.

즉,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143206호에는 카트리지 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다수의 캔을 수용하여 그 캔을 위로 밀어 올리며 맨 위의 캔은,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푸셔(pusher)로 카트리지의 외부로 배출되어 자동 판매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구로 떨어진다. 구매자는, 역시 자동 판매기의 전면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허리를 굽히지 않고 캔을 반출할 수 있다.That i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43206 installs a spring in a cartridge,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ans and pushes the can up, and the top can is a pusher composed of a rack and pinio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falls into the outle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nding machine. The purchaser can take out the can without bending at the outlet, which is also located at the top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이송기구를 각 카트리지에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도 크게 되었다.However, in such a vending machine, the transfer mechanism must be installed in each cartridge,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pparatus and also increases the space occupied by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을 자동 판매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고 도난 방지에 유용하면서도 그 이송기구를 간단하게 하여 컴팩트한 이송기구 따라서 컴팩트한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a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located at the top of the vending machine, and useful for preventing theft, while simplifying the transfer mechanism, compact transfer mechanism and thus a compact vending machine It is to provid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기구를 자동 판매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nding machine,

도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캔지지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n support in the above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벨트(전동기구(傳動機構))10: belt (motor mechanism)

11 : 구동풀리(驅動 pulley)(구동기구) 12 : 케이싱(casing)11: drive pulley (drive mechanism) 12: casing

13 : 수평 이송대 14 : 캔(피이송체)13: horizontal feeder 14: can (feeding body)

15 : 인출 스톱퍼 16 : 인출구15: withdraw stopper 16: withdraw outlet

17 : 카트리지 18 : 캔지지대(피이송체 지지대)17 cartridge 18 can support (carrier support)

21 : 상부 스톱퍼 22 : 캔받침대(피이송체 받침대)21: upper stopper 22: can support (carrier support)

23 : 가압수단 24 : 캔센서(피이송체 센서)23: pressurization means 24: can sensor (feed object sensor)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전동기구(傳動機構)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하여 피이송체 지지대를 이동시킴으로써 피이송체를 이송하는 이송기구로서, 상기 피이송체 지지대는, 상기 전동기구에 축지(軸支)되고 피이송체를 싣는 피이송체 받침대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항상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피이송체 받침대가 회전하려고 할 때에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어, 피이송체를 실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이동하다가 외부의 인출 스톱퍼에 닿아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됨으로써 피이송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fer mechanism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mov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by mov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drive source and moving the support body by the movement. The sieve support includes: a conveying body pedestal which is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and loads the conveyed body, pressurizing means which always applies pressure to the conveying body pedestal, and the conveying body pedestal rotates by the pressurizing means. It consists of a stopper that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object to be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hen attempting to move, and the conveyance support on which the conveyed body is loaded moves and touches an external take-off stopper so that the conveyance support is opposite to the pressure of the pressurizing means. Rotating to be inclined to separate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To provide a transfer mechanism.

특히,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있어서 피이송체가 실리는 부분에는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body is install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it is pref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source only when the object to be detected by the object to be conveyed object.

한편, 상기 이송기구를 자동 판매기에 적용한 경우로서,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전동기구(傳動機構)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이송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상방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에 축지(軸支)되고 피이송체를 싣는 피이송체 받침대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항상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피이송체 받침대가 회전하려고 할 때에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스톱퍼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수평 이송대를 거쳐 받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전동기구에 의하여 상승하다가 자동 판매기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출 스톱퍼에 닿아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피이송체를 인출구로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fer mechanism is applied to a vending machine, it is connected to a drive source and rotates to move the electric mechanism, and by the movement, the transfer mechanism is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to accommodate the transfer object. A vending machine for conveying an object to be conveyed upwards and withdrawing it to the outside, comprising: a carrier pedestal which is axially loaded on the power mechanism and loads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the pressure is always upwardly applied to the carrier pedestal; And an upper stopper for preventing the object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rotated by the pressure means, and receiving the object to be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through a horizontal conveyer.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s lifted by the power mechanism Providing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by dropping the conveyed object to the outlet by contacting the take-off stoppe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nding machine to be inclined downward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means. do.

특히,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있어서 피이송체가 실리는 부분에는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body is install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it is preferable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source only when the object to be detected by the object to be conveyed object.

또 상기 수평 이송대에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conveyer, and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sour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bject is detected by the object to be conveyed.

또한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와 인출 스톱퍼 중의 적어도 하나는 그 끝에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object carrier and the take-off stopper has an inclined surface at its end.

또,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와 인출 스톱퍼는 각각 그 끝에 경사면을 갖고, 양 경사면이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bject to be conveyed and the take-off stopper have inclined surfaces at their ends, and both inclined surfaces face each other.

또한 상기 수평 이동대는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를 향하여 갈 수록 낮아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ovable table is preferably lowered toward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또, 상기 수평 이동대는 구동풀리와 벨트를 구비하여 피이송체를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ovable tabl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rive pulley and a belt to convey the object to be conveyed to the object carrier.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이송기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캔을 이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1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transfer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ase of transferring a can in a vend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도면에서 17은 다수의 캔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카트리지이다. 이 카트리지(17)는 대략 직사각형의 통으로서 하부는 개구(開口)하고 있고, 하부의 개구에는 평상시에는 캔이 내려오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가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캔을 하나씩 떨어뜨리기 위한 스톱퍼(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관한 것은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17 in the figure is a number of cartridges that can accommodate a number of cans. The cartridge 17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ylinder, the lower part of which is opened, and the lower part of the cartridge prevents the can from coming down normally, and the cans housed therein are controlled one by one based on external control signals. A stopper (not shown) for dropping is provided. Since this is a well-known technique in the vending machin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면에서 13은 수평 이송대로서 상기 카트리지(17)에서 배출된 캔을 도면 좌측의 이송기구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평 이동대(13)는 대약 띠 모양의 받침판으로 형성된다. 또 이 받침판 위를 구르는 캔이 다른 방향으로 굴러가지 않도록 그 양측에 벽을 설치하여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캔 등의 이송체가 자중(自重) 즉 중력(重力)에 의하여 잘 구를 수 있도록 카트리지(17)에서 이송기구로 갈 수록 밑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horizontal conveyer for conveying the can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17 to the conveying mechanism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is horizontal moving table 13 is formed of a roughly strip-shaped support plate.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may be formed in a c-shape by installing walls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an rolling on the support plate does not roll in the other direction. Further, the conveying bodies such as cans are slight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cartridge 17 to the conveying mechanism so that they can be rolled by self weight, or gravity.

다음에 도면의 좌측의 이송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transfer mechanism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will be described.

이 이송기구는 크게 구동풀리, 벨트(10), 캔지지대(18)로 구성되어 있다.This conveyance mechanism is largely comprised by the drive pulley, the belt 10, and the can support 18. As shown in FIG.

구동풀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는 적어도 하나가 모터 등에 연결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벨트(10)을 돌린다. 상기 구동풀리에서 2개 모두 모터 등에 연결할 수 있으나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구동풀리에만 모터 등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구동풀리는 모터 등의 동력원에 연결되지 않고 벨트(10)의 회전 시에 벨트(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회전된다.Two driving pulley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least one of the driving pulleys is connected to a motor or the like to rotate the bel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rotating. Both of the drive pulleys can be connected to a motor or the like, but in order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 motor is connected to only one drive pulley and the other drive pulley is not connected to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and the belt is rotated when the belt 10 is rotated. Rotated for smooth rotation of 10.

10은 벨트로서 통상 고무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벨트(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캔지지대(18)이 부착되어 있다.10 is normally manufactured using rubber or the like as a belt. A plurality of can holders 18 are attached to the belt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 캔지지대(18)는 캔을 지지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스톱퍼(21), 캔받침대(22), 가압수단(23) 그리고 필요에 따라 캔센서(24)를 구비한다. 캔받침대(22)는 캔 등의 피이송체를 물리적으로 받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벨트(10)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이 캔받침대(22)는 가압수단(23)에 의하여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도면에 있어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을 받고 동시에 상부 스톱퍼(21)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The can support 18 is for carrying and transporting a can, and includes an upper stopper 21, a can support 22, a pressurizing means 23, and a can sensor 24 as necessary. The can holder 22 is for receiving physical objects such as cans physically and is supported on the belt 10. The can stand 22 is always forced by the pressing means 23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topper 21 restricts th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또 캔받침대(22)는 실려지는 캔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부 스톱퍼(21)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여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n holder 22 is slightly upward by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upper stopper 21 so that the loaded can does not fall.

또한 캔받침재(22)는 후술하는 인출 스톱퍼(15)에 의하여 가압수단(23)의 탄성력에 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인출 스톱퍼(15)와 부드러운 슬라이딩 접촉을 위하여 인출 스톱퍼(15)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캔받침대(22)는 그 끝에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n receiving material 2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means 23 by the withdrawal stopper 15 to be described later. The can support 22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at its end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ithdrawal stopper 15 for smooth sliding contact with the takeout stopper 15.

캔이 실리는 캔받침대(22)의 대략 중앙부에는 캔센서(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캔센서(24)는 접촉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캔이 실리면 그 캔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여 예를 들면 구동풀리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등의 구동원(驅動源)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The can sensor 24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can holder 22 in which cans are loaded. The can sensor 24 is composed of a contact sensor. When the can is loaded, the can sensor 24 is op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can, for example, to supply power to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connected to a drive pulley. .

이 캔센서(24)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이송하여야 할 캔이 없는 경우에도 이송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기구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Although the can sensor 24 may not be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other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transfer mechanism from operating even when there is no can to be transported when it is not installed.

15는 인출 스톱퍼로서 인출구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 인출 스톱퍼(15)는 상기한 캔받침대(22)와 접촉하여 캔받침대(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캔받침대(22)에 실린 캔 등의 피이송체를 캔받침대(22)에서 떨어뜨린다. 이 인출 스톱퍼(15)는 캔받침대(22)와의 부드러운 슬라이딩 운동을 하기 위하여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15 is a fixing stopper and fixed to the outlet or the like. The take-out stopper 15 contacts the can holder 22 to rotate the can holder 22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a transported object such as a can loaded on the can holder 22 is separated from the can holder 22. Drop. This take-off stopper 15 preferably has an inclined surface for smooth sliding movement with the can stand 22.

부호 16은 인출구로서 캔받침대(22)에서부터 떨어진 캔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discharge port for accommodating a can or the like separated from the can stand 22.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chanis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음료 등의 구매자가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동전 투입구나 지폐 투입구에 돈을 넣고, 역시 자동 판매기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상품 선택 버튼에서 자기가 원하는 상품에 해당하는 버튼을 누른다.First, a buyer of a drink or the like puts money into a coin slot or bill slot, which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n presse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product from the product selection button on the front panel of the vending machine. .

이렇게 버튼이 눌려지면 이것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자동 판매기의 제어기구에 통지된다. 제어기구는 선택된 상품에 해당되는 카트리지(17)에 지령을 내려 카트리지(17)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톱퍼를 작동시켜 캔을 하는 떨어뜨린다.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is way,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notified to the control mechanism of the vending machine. The control mechanism instructs the cartridge 17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duct to operate the stopper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17 to drop the can.

카트리지(17)로부터 떨어진 캔은 수평 이동대(13) 상을 굴러 이송기구의 캔받침대(22)에 실리게 된다. 캔받침대(22)에 실린 캔은 캔받침대(22)가 약간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캔받침대(22)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캔받침대(22)에 실린 캔은 캔받침대(22)의 설치되어 있는 캔센서(24)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캔센서(24)가 작동하여 구동풀리 등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등에 전기를 공급하여 구동풀리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구동풀리가 회전되면 벨트(10)도 회전하여 캔을 실은 캔받침대(22) 등은 캔과 일체가 되어 상방으로 이동한다.The can away from the cartridge 17 rolls on the horizontal movable table 13 and is loaded onto the can holder 22 of the transfer mechanism. The can loaded on the can holder 22 does not fall easily from the can holder 22 because the can holder 22 is slightly upward. In this way, the can loaded on the can holder 22 presses the can sensor 24 installed in the can holder 22. Then, the can sensor 24 is operated to supply electricity to a motor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or the like and the driving pulley starts to rotate. When the driving pulley is rotated, the belt 10 also rotates, and the can holder 22 carrying the can is integrated with the can and moves upward.

이렇게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캔받침대(22)는 인출 스톱퍼(15)가 설치된 곳까지 상승하게 되어 캔받침대(22)의 경사면이 인출 스톱퍼(15)의 경사면과 닿게 된다. 인출 스톱퍼(15)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승하는 캔받침대(22)는 인출 스톱퍼(15)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면서 가압수단(23)의 탄성력에 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캔받침대(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캔받침대(22)의 끝 즉 경사면이 있는 끝이 하방을 향하므로 캔(14)은 자중에 의하여 캔받침대(22) 상을 굴러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캔(14)은 인출구(16)에 안착하게 된다.The can support 22 which is moved upward is raised to the place where the take-off stopper 15 is installed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an support 22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ake-off stopper 15. Since the withdrawal stopper 15 is fixed, the rising can support 22 rotates clockwis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means 23 while slidi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ithdrawal stopper 15. When the can holder 22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end of the can holder 22, that is, the end having the inclined surface faces downward, and the can 14 rolls down on the can holder 22 by its own weight. The dropped can 14 is seated in the outlet 16.

한편, 캔에 의하여 동작되었던 캔센서(24)는 캔이 없어짐으로써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즉 접촉 센서 등이 캔에 의하여 더 이상 접촉되지 않아 모터 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모터 등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구동풀리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이송기구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않아 이송기구는 더 이상 캔을 수송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n sensor 24 that was operated by the can no longer operates because the can disappears. That is, the contact sensor or the like is no longer in contact with the can such that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or the like, the driving pulley no longer rotates, and thus the transfer mechanism no longer rotates and the transfer mechanism no longer carries the can.

만약 벨트(10)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캔지지대(18)에 캔이 여러 개 실려 있다면, 앞의 캔이 캔받침대(22)를 벗어나서 그에 해당하는 캔센서(24)가 작동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뒤의 캔이 캔센서(24)를 여전히 작동시키므로 구동풀리는 회전을 계속한다. 그리고 맨 뒤의 캔이 캔받침대(22)를 벗어나는 순간 비로서 구동풀리는 그 동작을 멈추게 된다.If a number of cans are loaded on a plurality of can holders 18 installed on the belt 10, even if the cans are out of the can holder 22 and the corresponding can sensors 24 are not operated, The can still drive the can sensor 24 so the drive pulley continues to rotate. And as soon as the last can out of the can stand 22, the driving pulley stops its operation.

상기 실시예에서는 캔센서를 캔받침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수평 이송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수평 이송대에 설치된 캔센서가 수평 이송대를 구르는 캔을 감지하고 이로 일정 시간 동안만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즉 이송하여야 할 캔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전력을 공급하게 하는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n sensor is installed in the can hol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an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horizontal conveyer. The can sensor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eeder detects the can rolling the horizontal feeder, thereb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sour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power is supplied only when there are cans to be transported.

여기에서 일정 시간은 캔이 수평 이송대를로부터 캔받침대에 실리고 상부의 인출구로 올라가는 시간을 감안하여 약간 여유를 두고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캔이 인출구로 떨어지기 전에 다음의 캔이 수평 이송대를 통과하여 다시 캔센서를 동작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을 다시 설정하여 뒤의 캔이 이송되어 인출구로 떨어지기까지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preferably set with a slight margin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when the can is loaded from the horizontal tray to the can tray and ascended to the upper outlet. Also, there is a case that the next can passes the horizontal feeder and operates the can sensor again before one can falls to the outlet.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again so as to secure the time until the back can is transferred to the outlet.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평 이송대를 동력이 없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풀리와 벨트를 구비하는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하는 상품이 캔이 아니라 잘 굴루지 않는 경우라면 구동풀리와 벨트를 갖추는 수평 이송대로 형성하여 카트리지에서 떨어진 상품을 이송기구로 이송하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rizontal feed table is configured to have no pow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and a belt. Particularly, if the product sold in the vending machine does not roll well, it is preferable to form a horizontal transfer tray equipped with a driving pulley and a belt to transfer the product away from the cartridge to the transfer mechanis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이송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자동 판매기 등에 있어서 캔 등을 상부로 이동시켜 구매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캔을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an is taken out without the user bending the waist by moving the can to the upper part in a vending machine or the like by employing a transfer mechanism having a simple structure.

또한 각 카트리지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이송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카트리지에 대하여 하나의 이송기구 만을 설치하여도 되므로 자동 판매기의 가격이 저렴하게 되면 또한 설치 용적도 작게 되는 우수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one transport mechanism may be installed for a plurality of cartridges rather than one transport mechanism for each cartridge, there is an excellent technical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volume is also reduced when the price of the vending machine is low.

또한 캔지지대와, 이와 접촉하여 캔지지대를 경사지게 하는 인출 스톱퍼의 접촉면을 경사지게 하여 양 부재의 접촉 슬라이딩을 부드럽게 하여 내구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an support and the withdrawal stopper which inclines the can support in contact with the can support is inclined to smooth the contact sliding of both members,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또한 캔받침대 또는 수평 이송대에 접촉 센서 등의 캔센서를 설치하여 이송하여야 할 캔이 있는 경우에만 이송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운전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ing cost can be reduced by operating the transport mechanism only when there is a can to be transported by installing a can sensor such as a contact sensor on the can support or horizontal conveyer.

Claims (9)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전동기구(傳動機構)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하여 피이송체 지지대를 이동시킴으로써 피이송체를 이송하는 이송기구로서,A transfer mechanism connected to a drive source to mov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ransfer the object to be conveyed by moving the support body by the movement, 상기 피이송체 지지대는,The carrier support, 상기 전동기구에 축지(軸支)되고 피이송체를 싣는 피이송체 받침대와,A to-be-contained body pedestal, which is carried by the electric mechanism and loads the object to be conveyed;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항상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과,Pressing means for always applying pressure to the carrier plate,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피이송체 받침대가 회전하려고 할 때에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어,And a stopper which prevents the object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n the object to be conveyed is rotated by the pressing means. 피이송체를 실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이동하다가 외부의 인출 스톱퍼에 닿아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됨으로써 피이송체를 분리시키는The object carrier carry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moves and touches an external take-off stopper so that the object carrier is inclined by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means to separate the objec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구.Transfer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있어서 피이송체가 실리는 부분에는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The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is installed,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Supplying power to the drive source only when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detects the object to be convey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기구.Transfer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전동기구(傳動機構)를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하여,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이송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상방으로 이송시켜 외부로 인출되게 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ource and rotates to move the electric mechanism, and by the movement, the conveyed object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install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to receive the conveyed object is moved upward to be drawn out. In the vending machine, 상기 전동기구에 축지(軸支)되고 피이송체를 싣는 피이송체 받침대와,A to-be-contained body pedestal, which is carried by the electric mechanism and loads the object to be conveyed;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항상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수단과,Pressing means for always applying a pressure upwards to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피이송체 받침대가 회전하려고 할 때에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 스톱퍼를 구비하고,And an upper stopper which prevents the object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rom being rotated by the pressing means. 상기 카트리지에서 배출되는 피이송체를 수평 이송대를 거쳐 받은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전동기구에 의하여 상승하다가 자동 판매기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인출 스톱퍼에 닿아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가 상기 가압수단의 압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로 경사지게 됨으로써피이송체를 인출구로 떨어뜨리는The object carrier receiving the object to be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through a horizontal conveyer is lifted by the electric mechanism and touches a take-off stopper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nding machine.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ssure of the inclined downwards to drop the object to the outlet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에 있어서 피이송체가 실리는 부분에는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The object to be conveyed in the object to be conveyed,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is installed,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Supplying power to the drive source only when the object to be conveyed sensor detects the object to be convey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평 이송대에 피이송체 센서가 설치되어,The object sens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eeder, 상기 피이송체 센서가 피이송체를 감지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만 상기 구동원에 전력을 공급하는The sensor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source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bject to be detected by the object to be convey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와 인출 스톱퍼 중의 적어도 하나는 그 끝에 경사면을 갖는At least one of the carrier pedestal and the take-off stopper has an inclined surface at its en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와 인출 스톱퍼는 각각 그 끝에 경사면을 갖고, 양 경사면이 마주보는The carrier pedestal and the withdrawal stopper each have an inclined surface at its end, and both inclined surfaces face each oth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평 이동대는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를 향하여 갈 수록 낮아 지는The horizontal movable table is lowered toward the object carri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평 이동대는 구동풀리와 벨트를 구비하여 피이송체를 상기 피이송체 받침대로 이송하는The horizontal moving table includes a drive pulley and a belt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conveyed to the object carri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1-0005829A 2001-02-07 2001-02-07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Expired - Fee Related KR100378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29A KR100378877B1 (en) 2001-02-07 2001-02-07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JP2001148699A JP2002245530A (en) 2001-02-07 2001-05-18 Transfer mechanism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829A KR100378877B1 (en) 2001-02-07 2001-02-07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943U Division KR200228171Y1 (en) 2001-02-07 2001-02-07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82A KR20020065682A (en) 2002-08-14
KR100378877B1 true KR100378877B1 (en) 2003-04-10

Family

ID=1970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8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8877B1 (en) 2001-02-07 2001-02-07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245530A (en)
KR (1) KR1003788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04A (en) * 2002-04-19 2003-10-30 서지현 Lif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898390B1 (en) 2017-07-04 2018-09-12 이중재 Vending mach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167B1 (en) * 2001-08-18 2004-02-05 고흥곤 A Device for Charge and Discharge to Goods in Vending Machine
KR101398040B1 (en) * 2013-04-11 2014-05-27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ocessing apparatus for stuff case and drawing method for stuff using the same
CN109979091A (en) * 2019-04-25 2019-07-05 东莞嘉丰机电设备有限公司 A kind of lollipop vend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04A (en) * 2002-04-19 2003-10-30 서지현 Lift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898390B1 (en) 2017-07-04 2018-09-12 이중재 Vend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45530A (en) 2002-08-30
KR20020065682A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0317A1 (en) Vending machine
US4469245A (en) Bulk loaded change dispensing apparatus
WO2007132663A1 (en) Vial supply device
KR100378877B1 (en)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US6938896B2 (en) Automatic card dispensing unit with display capability
EP1337983B1 (en) Automatic dispenser
KR200228171Y1 (en)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KR102165719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paper money thereof
KR890003573Y1 (en) Product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100378876B1 (en)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US6302294B1 (en) Rolled coin dispenser
KR20030060379A (en) Vending machine
JPH01253093A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mechanism
JP2680028B2 (en) Product placement table lift control device for vending machines
KR100304006B1 (en) Book Vending Machine
KR200228169Y1 (en) Transferring apparatus and vending machine using it
JP2557504B2 (en) vending machine
JP2815550B2 (en) Transfer device
JPH0311639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0129542Y1 (en) Cup delivery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6318286A (en) High speed automatic vending machine
KR950000098Y1 (en) Product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100216217B1 (en) Prepaid card ejector
KR930003382Y1 (en) Cigarette Vending Machine of Tobacco Vending Machine
KR20040088412A (en) Card dispenser with stacker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3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3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