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4187B1 -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187B1
KR100404187B1 KR10-2000-0039122A KR20000039122A KR100404187B1 KR 100404187 B1 KR100404187 B1 KR 100404187B1 KR 20000039122 A KR20000039122 A KR 20000039122A KR 100404187 B1 KR100404187 B1 KR 100404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inductor
carbon nano
synthesized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5137A (ko
Inventor
신진국
김규태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187B1/ko
Priority to US09/888,559 priority patent/US6784779B2/en
Priority to JP2001207388A priority patent/JP2002134325A/ja
Publication of KR2002000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18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법, 촉매열분해법, 플라즈마기상증착법, 핫-필라멘트법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카본 나노 코일을 그 자체로, 카본 나노 코일 집합체 형상으로 하여, 또는 절연체와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인덕터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inductor using carbon nano tube or carbon nano fiber}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나노 크기의 합성공정에 의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미세 회로상의 필수 수동 소자인 인덕터 소자로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용 전화기, 마이크로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에 있어서 고집적도, 소형화 추세에 따라서 소자의 소형화가 큰 과제가 되고 있다.
전자 회로의 3대 수동 소자는 코일(inductor), 저항, 커패시터(capacitor)가 있는데 저항과 커패시터의 경우는 소형화가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코일의 경우는 그 복잡한 형상으로 인하여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덕터의 일예인 칩인덕터(1)를 도시한 것이다. 칩인덕터(2)는 도 1에 도시한 바과 같이 패턴닝을 이용하여 코일 형상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인덕턴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높은 인덕턴스를 구현하기에는 그 성능상의 한계가 뚜렷하여 높은 인덕턴스 값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 이외에도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나 멀티-층(multi-layer)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있으나 성능상,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덕터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인덕턴스는 일정한 투자율을 가지는 매질을 둘러싼 전도체의 역기전력에 의해서 유도되는 현상으로, 권선의 저항이 높으면 저항에 의한 주울 열이 발생되어 인덕턴스(L)성분 보다는 리지스턴스(R)성분이 증가하게 되므로 권선은 높은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저항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높은 인덕턴스를 가지기 위해서 좁은 소자 내에서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코일의 형상을 이루는자기 에너지 보존이 용이한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카본 나노 크기의 코일 형상으로 열분해법, 플라즈마기상증착법, 핫-필라멘트 기상증착법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합성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이하 '카본 나노 코일'로 총칭함)를 인덕터로 사용함으로써 소형화된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본 나노 테크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카본 코일을 인덕터로 사용하여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저비용의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본 코일을 집합체로 형성하여 높은 인덕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패턴닝을 이용하여 코일 형상을 만든 종래의 인덕터의 구조이다.
도 2는 카본 나노 튜브 또는 나노 화이바로 이루어진 인덕터의 구조이다.
도 3은 특정 위치의 촉매 사이에 성장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로 이루어진 인덕터의 구조이다.
도 4는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가 집합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개괄도이다.
도 5는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가 매트릭스와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개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
12 : 촉매
32 : 매트릭스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크기의 합성공정을 이용하여 1)카본 나노 코일을 합성하거나, 2)기판상의 특정 위치 양측에 촉매를 고정하여 그 사이에 카본 나노 코일을 합성하거나, 3)합성된 카본 나노 코일을 집합체로 형성하거나, 4)카본 나노 코일을 매트릭스 재료와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인덕터로 이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카본 나노 튜브 및 카본 나노 화이바 합성공정은 필수적으로 촉매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촉매의 크기와 형상을 적절히 제어하면 촉매의 각각 다른 결정면에서 성장하는 카본 튜브 또는 카본 화이바들이 서로 얽혀 코일의 형상을 가진다. 이는 노출된 촉매 결정면의 면지수와 관련된 현상으로 촉매에 물리적, 화학적으로 흡착된 탄소와 수소의 석출 및 성장 조건이 결정면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촉매가 다면체 형태로 존재하고 각각의 면의 물성이 다르므로, 각각 다른 결정면은 흡착성질이 다르고 이로 인하여 카본의 증착과 나노 튜브의 성장도 달라져 결과적으로 성장 속도가 다른 세 방향의 나노 튜브는 꼬여져 코일이 된다. 또한 사용하는 가스의 조성, 배합비, 유량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촉매로는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이 이용된다. 상기 촉매는 전이 금속으로 강자성을 가지므로 오히려 투자율 상승에 기여하게 되므로, 나노튜브를 정제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매우 단순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카본 나노 코일 그 자체를 하나의 인덕터(10)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카본 나노 코일의 굵기와 길이당 감긴 횟수는 합성 조건 조절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므로, 카본 나노 코일 단독으로 인덕터로 사용될 경우에도 같은 길이의 다양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본 나노 코일의 제조방법으로 아세틸렌의 열분해 공정을 이용하였다. 촉매로는 니켈과 코발트 분말을 사용하였고 필요에 따라 아세틸렌 가스에 약간의 씨오핀(thiophene)을 첨가하였다. 온도는 700-1000도씨 사이에서 수행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 나노 미터 니켈 파우더를 준비하고 이를 석영 보트에 담갔다. 상기 보트를 수평 관상포(전기로)의 튜브(리엑터) 중앙에 두고 수소를 680-1500 도씨 사이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흘렸다. 그 후 수소를 분당 40cc, 아세틸렌(C2H2)을 분당 10 cc를 섞어서 넣어주었으며, 이때 수소 및 아세틸렌의 분압은 각각 48000 파스칼(0.47기압) 및 6650 파스칼(0.07기압)있었다. 상기 공정으로 코일 형상의 나노 튜브를 얻었다.
상기 열분해법 이외에, 촉매열분해법, 플라즈마기상증착법, 핫-필라멘트 기상증착법등을 이용할 수 있고, 메탄,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벤젠, 에틸렌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기판상의 원하는 위치에 적당한 촉매(12)를 고정시켜 그 사이에서 카본 나노 코일(10)을 합성하여 인덕터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카본 나노 코일의 합성법은 상기 열분해법, 촉매열분해법, 플라즈마기상증착법, 핫-필라멘트 기상증착법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카본 나노 코일을 다량으로 함유한 하나의 코일 집합체(20)를 형성하여 인덕터로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단일 코일에서 보다 높은 인덕턴스 값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합성법으로 카본 나노 코일을 합성하고 합성된 코일을 압축하여 집합체를 형성하였다.
도 5는 카본 나노 코일(10)과 절연체, 세라믹, 반도체 등의 매트릭스(32)와의 복합체(30)를 형성하여 인덕터로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합성법으로 카본 나노 코일을 합성하고 합성된 코일을 매트릭스에 넣어 압축하여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전기전도는 코일이 담당하며 매트릭스부는 단순히 부피당 코일의 수만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코일과 매트릭스의 배합비에 따라 원하는 대역의 인덕턴스 부가가 가능하므로,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복합체의 경우는 분산된 코일 상호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보장되어야 하는 데 퍼콜레이션(percolation) 이론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그 계산에 따르면 수십분의 일 내지 수 무게 % 범위에서 3차원적 상호연결이 이루어진다. 나노 코일은 높은 애스팩트 비율(aspect ratio)를 가지므로 극소량 첨가로도 코일간의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매트릭스는 매트릭스 재료로서 페라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복합체 표면에 페라이트 층을 입힐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제조된 카본 나노 코일의 전기적 특성은 각 나노 코일의 전기적 특성에 의존하며, 각 나노 코일의 전기적 특성은 코일의 지름, 카이랄리티(chirality)조절에 의해 달라지므로 결국 나노 코일의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전기적 특성 제어가 가능하다. 이는 합성조건의 변경으로 가능하다.
또한, 탄소로 이루어진 코일은 B, Si, N 등의 원소에 의해 도핑이 가능하며 그 도핑 원소의 종류와 양에 따라 전기적 특성은 달라진다.
본 발명은 열분해법 등의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카본 나노 코일을 인덕터 소자로 사용함으로써 인덕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대량 생산으로 저비용의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 코일을 집합체 형상으로 하여 높은 인덕턴스 값을 얻을 수있고, 절연체와의 집합체로 형성하여 인덕턴스 값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6)

  1. 카본 나노 크기의 코일 형상으로 열분해법, 플라즈마기상증착법, 핫-필라멘트 기상증착법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방법에 의해 코일 형상으로 합성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포함하는 인덕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기판상의 목적하는 위치에 촉매를 고정하여 그 촉매 사이에서 합성된 카본 나노 크기의 코일 형상을 갖는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카본 나노 크기의 코일 형상으로 합성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압축하여 집합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카본 나노 크기의 코일 형상으로 합성된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절연체, 세라믹 또는 반도체와 혼합하여 복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B, Si, N등의 원소에 의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터.
KR10-2000-0039122A 2000-07-08 2000-07-08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40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22A KR100404187B1 (ko) 2000-07-08 2000-07-08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US09/888,559 US6784779B2 (en) 2000-07-08 2001-06-26 Inductor employing carbon nanotube and/or carbon nanofiber
JP2001207388A JP2002134325A (ja) 2000-07-08 2001-07-09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及び/または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を利用したインダク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22A KR100404187B1 (ko) 2000-07-08 2000-07-08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137A KR20020005137A (ko) 2002-01-17
KR100404187B1 true KR100404187B1 (ko) 2003-11-01

Family

ID=1967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4187B1 (ko) 2000-07-08 2000-07-08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84779B2 (ko)
JP (1) JP2002134325A (ko)
KR (1) KR100404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40B1 (ko) * 2001-03-15 2004-04-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미세구조를 이용한 rlc 회로
AU2003256872A1 (en) * 2002-08-07 2004-02-25 Pieder Beeli Electrical and electro-mechanical applications of superconducting phenomena in carbon nanotubes
JP4547852B2 (ja) * 2002-09-04 2010-09-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気部品の製造方法
KR100548244B1 (ko) * 2003-03-14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가형 능동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JP3878571B2 (ja) * 2003-04-15 2007-02-07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
WO2005095274A1 (ja) * 2004-03-31 2005-10-13 Stella Chemifa Corporation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集合体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生体適合性材料
JP2005291927A (ja) * 2004-03-31 2005-10-20 Seiji Motojima センサ
EP1777195B1 (en) 2004-04-19 2019-09-25 Taiyo Nippon Sanso Corporation Carbon-based fine structure group, aggregate of carbon based fine structures, use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2006041911A (ja) *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ms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4433B1 (ko) * 2004-08-1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P형 반도체 탄소 나노튜브 및 그 제조 방법
JP4822256B2 (ja) * 2004-11-26 2011-11-24 株式会社フジクラ ナノ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
US7524370B1 (en) 2004-11-26 2009-04-28 Fujikura Ltd. Nano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EP1943186A4 (en) * 2005-09-23 2012-06-06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 MICROSCOPIC ELECTRO-MECHANICAL SYSTEMS, NANOSCULES USING HIGH FREQUENCY DEVICES AND SPIRAL TERMINATION TECHNIQUES FOR PRODUCING THE SAME
CN100436312C (zh) * 2005-12-06 2008-11-26 清华大学 一种碳纳米管器件制作方法
US7982570B2 (en) * 2006-11-07 2011-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erformance low volume indu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45406B2 (ja) * 2007-11-12 2012-06-06 株式会社東芝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生成炉
RU2391289C2 (ru) * 2008-06-24 2010-06-10 Институт катализа им. Г.К. Борескова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татус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чреждения)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азотсодержащего углер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нотрубчатой структуры
WO2010097099A1 (de) * 2009-02-27 2010-09-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ischen bauteils
MX2011010981A (es) * 2009-04-17 2012-08-01 Time Medical Holdings Company Ltd Modulo de bobina de grandiente de superconductor enfriado criogenicamente para la formacion de imagenes de resolucion magnetica.
US9793039B1 (en) * 2011-05-04 2017-10-1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arbon nanotube-based integrated power inductor for on-chip switching power converters
US9136542B2 (en) * 2011-05-18 2015-09-15 The Ohio State University Catalysts for use in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and electrodes and devices using same
US9590514B1 (en) 2013-03-15 2017-03-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For And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Carbon nanotube-based integrated power converters
US9418929B1 (en) * 2015-04-22 2016-08-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with sewn interconnects
WO2018182815A1 (en) * 2017-01-06 2018-10-04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Temperature and pressure sensors and method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504A (ja) * 1991-06-10 1992-12-15 Tokin Corp インダ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3105A (ja) * 1991-06-21 1992-12-2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3106A (ja) * 1991-06-21 1992-12-2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91066A (ja) * 1992-04-14 1993-11-0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1917A (ja) * 1997-06-18 1999-01-19 Canon Inc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法
JP2000044216A (ja) * 1998-04-09 2000-02-15 Horcom Ltd ナノチュ―ブ煤の精製方法、ナノチュ―ブ複合材懸濁物及び組成物
JP2000124658A (ja) * 1998-10-19 2000-04-28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714B1 (en) * 1995-09-08 2001-02-06 Rice University Method of making ropes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JP2877113B2 (ja) * 1996-12-20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ソレノイド
JP4076280B2 (ja) * 1998-08-12 2008-04-16 株式会社タイカ 薄膜抵抗発熱体及びそれを用いたトナーの加熱定着用部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1504A (ja) * 1991-06-10 1992-12-15 Tokin Corp インダ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3105A (ja) * 1991-06-21 1992-12-2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3106A (ja) * 1991-06-21 1992-12-2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91066A (ja) * 1992-04-14 1993-11-05 Tokin Corp 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1917A (ja) * 1997-06-18 1999-01-19 Canon Inc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法
JP2000044216A (ja) * 1998-04-09 2000-02-15 Horcom Ltd ナノチュ―ブ煤の精製方法、ナノチュ―ブ複合材懸濁物及び組成物
JP2000124658A (ja) * 1998-10-19 2000-04-28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137A (ko) 2002-01-17
US20020003463A1 (en) 2002-01-10
US6784779B2 (en) 2004-08-31
JP2002134325A (ja)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187B1 (ko)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카본 나노 화이바를 이용한 인덕터
JP4404961B2 (ja) カーボンナノ繊維の製造方法。
Wang et al. MOF-Derived Ni1− x Co x@ Carbon with Tunable Nano–Microstructure as Lightweight and Highly Efficient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Luo et al. Microwave-absorbing polymer-derived ceramics from cobalt-coordinated poly (dimethylsilylene) diacetylenes
Zhang et al. Net-like SiC@ C coaxial nanocable towards superior lightweight and broadband microwave absorber
Li et al. MOFs-derived hollow Co/C microspheres with enhanced microwave absorption performance
Durgun et al. Systematic study of adsorption of single atoms on a carbon nanotube
KR100682425B1 (ko) 다양한 구조를 갖는 미세한 탄소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Zhao et al. Facile synthesis and enhanced microwave absorption properties of novel hierarchical heterostructures based on a Ni microsphere–CuO nano-rice core–shell composite
Zhao et al.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properties of aligned amorphous carbon nanotube/BaFe12O19 nanorod composite
JP2007115854A (ja) 電磁波吸収体
JP4565384B2 (ja) 樹脂に対する分散性に優れた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
Zhang et al. Ultra-light 3D bamboo-like SiC nanowires felt for efficient microwave absorption in the low-frequency region
Du et al. FeCo/Graphene nanocomposites for applications as electromagnetic wave-absorbing materials
US20020163414A1 (en) Coil-based electronic &amp;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coils, transformers, filters and motors) based on nanotechnology
CN102154706A (zh) 一种一维纳米材料的制备方法
KR100537469B1 (ko) 섬유형 고체 탄소 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Shen et al. Preparation and electromagnetic performance of coating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with iron nanogranule
Jia et al. A one-step graphene induction strategy enables in-situ controllable growth of silver nanowir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Zhou et al. Polymer‐derived Fe x Si y/SiC@ SiOC ceramic nanocomposites with tunable microwave absorption behavior
JP2007247036A (ja) 鉄系ナノ細線とその製造方法、鉄系炭素複合細線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波吸収体
Liu et al. Enhanced microwave absorption properties under synergism of 0-D TiB2 particles and 1-D TiB2 fibers prepared by carbothermal process
CN116837493B (zh) 具有吸波性能的钴/凹凸棒/碳纳米复合纤维的制备方法
JP3834640B2 (ja) 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101579809B1 (ko) 파도형 탄소나노코일(wnc)이 부착된 줄기형 탄소소재(scm)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10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102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