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5391B1 -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391B1
KR100405391B1 KR10-2001-0001790A KR20010001790A KR100405391B1 KR 100405391 B1 KR100405391 B1 KR 100405391B1 KR 20010001790 A KR20010001790 A KR 20010001790A KR 100405391 B1 KR100405391 B1 KR 10040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display
un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045A (ko
Inventor
김형년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0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391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CNB018142915A priority patent/CN1261798C/zh
Priority to AU2001294286A priority patent/AU2001294286A1/en
Priority to PCT/KR2001/001557 priority patent/WO2002025362A1/en
Priority to EP01974909A priority patent/EP1334402A4/en
Priority to JP2002529302A priority patent/JP2004510186A/ja
Publication of KR2002006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91B1/ko
Priority to US11/423,804 priority patent/US7414594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을 구성하되, 펼칠 경우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하고 접을 경우에는 평판표시소자의 일측면 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로 수납되게 하며 상기 노출부분이 보호수단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고, 표시광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2개의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양편으로 나누어 각각 수납하고 상기 평판표시소자가 펼쳐질 경우 한 변이 서로 접하도록 접경부쪽 측벽을 절취하여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평판표시소자을 안착 지지하는 개구받침부를 포함하는 패널하우징과,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앞쪽 표면과 접경부 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이 접혀질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표시소자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혀지게 하거나 적어도 180도로 펼쳐지도록 연결 지지하는 접철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Folder type multi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펼칠 경우에는 평판표시소자의 경계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하면서 접을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표시소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평판표시소자에서 출사되는 표시광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비 표시영역을 제거하므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초기 다수 브라운관을 이용하여 대화면을 구현하였으며, 근래에는 휴대 및 사무용 기기의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용량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평판표시소자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있다.
평판표시소자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LCD,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EL(electro luminescent)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들은 대화면으로 제조할 경우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멀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이동전화기, 랩탑 컴퓨터(노트북 컴퓨터) 및 PDA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제품의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바, 그에 따라 평판표시소자도 경박 단소화되는 추세에 있다.
평판표시소자의 경박 단소화와 함께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복수 평판표시소자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펼치면 적어도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하나의 대화면을 구성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평판표시소자는 양 패널을 펼쳤을 때 화면이 밀착되어 멀티 화면과 대화면을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한 접이식 평판표시소자는 접은 상태에서 외부로 디스플레이의 측면이 완전히 드러나 시각적으로 깨끗하지 못하고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접힘과 펼침이 반복될 경우 평판표시소자의 접경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평판표시소자는 접경부의 사이에 필수적으로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게 되는바, 상기 접경부 주위에서는 양 평판표시소자의 화면이 분리되어 확연하게 구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을 구성하되, 펼칠 경우 평판표시소자의 한 변이 직접 접촉하여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하고, 접을 경우에는 평판표시소자의 일측면 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로 수납되게 하며 상기 노출부분이 보호수단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 충격이나 파손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에서 출사되는 표시광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 및 제거하므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개의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양편으로 나누어 각각 수납하고 상기 평판표시소자가 펼쳐질 경우 한 변이 서로 접하도록 접경부쪽 측벽을 절취하여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평판표시소자을 안착 지지하는 개구받침부를 포함하는 패널하우징과,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앞쪽 표면과 접경부 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이 접혀질 경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표시소자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혀지게 하거나 적어도 180도로 펼쳐지도록 연결 지지하는 접철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표시소자로는 LCD, EL 디스플레이, FED 혹은 PDP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패널하우징은 평판표시소자를 수납하는 하우징바디와,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주변 비표시영역을 덮어 주는 상부 커버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부재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필름이며, 그 상면에는 평판표시소자로부터 출사된 표시광을 접경부쪽으로 굴절시켜 양 평판표시소자 사이의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 광보상렌즈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보상렌즈는 평판표시소자 화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한 투광부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철지지수단으로 2개 패널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설치되는 힌지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판표시소자는 샤시에 의해 구동회로기판 및 백라이트와 함께 어셈블리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샤시는 평판표시소자 어셈블리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패널어셈블리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수단으로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상부에 설치되는 터치패널 혹은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펼친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은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펼친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4-평판표시소자 6-접철지지수단
8-개구 10,12-받침부
14-보호부재 16-샤시
16a-받침부재 16b-고정부재
18-광보상렌즈 18a-경사면
18b-도광판 20,40-패널하우징
22-하우징바디 22a-개구받침부
24-커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외관적으로 2개의 평판표시소자(2)(4)를 양편으로 나누어 각각 수납하는 패널하우징(20)(40)과, 상기 패널하우징(20)(40)을 완전히 평행한 상태로 접혀지게 하거나 적어도 180도로 펼쳐지도록 결합 지지하는 접철지지수단(6)을 포함한다.
상호 인접 배치되는 평판표시소자(2)(4)로는 LCD, FED, PDP 및 EL 디스플레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LCD를 기본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철지지수단(6)은 패널하우징(20)(40)의 회전 중심에 힌지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평판표시소자(2)(4)는 적어도 한 변이 서로 접하도록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 수납 설치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패널하우징(20)(40)은 접경부 측벽 일부를 개방하여 개구(8)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8)는 패널하우징(20)(40)을 접을 때 양 평판표시소자(2)(4)의 접촉되었던 한 변과 함께 외부로 노출된다.
패널하우징(20)(40)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평판표시소자(2)(4)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널하우징(20)(40)은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평판표시소자(2)(4)를 수납하는 하우징바디(22)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22)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며, 펼쳐진 상태의 평판표시소자(2)(4)의 한 변을 지지하고 동시에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접경부쪽 측벽을 절취하여 개구받침부(22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평판표시소자(2)(4)의 한 변은 개구받침부(22a)에 안착된 상태로 개구(8)를 통하여 노출되고 상호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바디(22)의 내부에는 평판표시소자(2)(4)를 지지하고 일정 높이로 유지하기 위해 받침부(10)를 구비한다. 받침부(10)는 평판표시소자(2)(4)를 지지하기 위해 접경부의 반대쪽 측벽(22b)에 돌출물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평판표시소자(2)(4)는 구동IC(2a)(4a) 혹은 구동회로기판과 백라이트(2b)(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지는바, 상기 구동회로기판 및/또는 백라이트(2b)(4b)는 평판표시소자(2)(4)의 하부에 위치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바디(22)에는 별도의 받침부(12)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패널하우징(20)(40)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평판표시소자(2)(4)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평판표시소자(2)(4)는 구동IC 혹은 구동회로기판 및 백라이트와 함께 어셈블리되고 샤시(16)에 의해 지지되어 패널어셈블리(26)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패널어셈블리(2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의 내부에 수납되고 개구받침부(22a)에 안착 지지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받침부(10)를 대신하여 상기 샤시(16)에서 하향 형성되는 받침부재(16a)를 형성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아울러 상기 샤시(16)는 케이스의 접철 동작시 패널어셈블리(26)가 하우징바디(20)로부터 이탈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16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재(16b)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6)에서 날개 형태로 돌출 형성되거나, 혹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향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수납 설치된 평판표시소자(2)(4)의 상부에는 커버(24)를 설치한다. 커버(24)는 개구 받침부(22a) 및 받침부(10)에 안착 지지된 평판표시소자(2)(4)의 화면을 제외한 비표시영역을 덮어 가려준다. 또한 상기 커버(24)는 상기 2개의 평판표시소자(2)(4)가 펼쳐진 상태에서 한 변이 서로 접하도록 하기 위해 접경부쪽 변이 개방 형성되며, 이러한 개방 구조는 개구(8)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평판표시소자(2)(4)의 앞쪽 화면과 접경부 측면을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보호부재(14)를 설치한다. 보호부재(14)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필름의 형태로 제조한 것이며, 대략 'ㄱ'자 상으로 굽어져 화면과 접경부 측면을 동시에 커버하고, 특히 상기 패널하우징(22)이 접혀질 경우 상기 개구(8)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표시소자(2)(4)의 측면을 덮어 보호하며, 평판표시소자(2)(4) 간의 접촉 및 외부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입을 차단한다.
보호부재(14)는 평판표시소자(2)(4)의 상부에 후술하는 입력수단을 설치할 경우 그 표면과 측면을 커버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보호부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부재(14)의 하부 혹은 상부에 설치되는 광보상렌즈(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보상렌즈(18)는 평판표시소자(2)(4)로부터 출사된 표시광을 접경부쪽으로 굴절시켜 모아주므로, 양 평판표시소자(2)(4) 사이의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 및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준다.
이때 평판표시소자(2)(4)는 한 쌍의 기판 내면에 적어도 투명전극과 도시 생략한 배향층을 형성하고, 실란트로 실링된 내부 공간에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밀봉 형성되어진다. 평판표시소자(2)(4)의 전후 양측 소정 위치에는 편광판(18)을 부착하는데, 상기 편광판(19)은 보호부재(14) 혹은 광보상렌즈(18)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광보상렌즈(18)은 평판표시소자(2)(4)로부터 출사된 표시광(L)을 접경부쪽으로 굴절시켜 상기 접경부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만나도록 하므로 양 평판표시소자 사이의 비 표시영역을 제거하여 준다. 즉 광보상렌즈(18)는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에서 광이 굴절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굴절 매질로 수지 및 플라스틱으로 된 투광부재를 사용하고, 표시광(L)의 굴절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평판표시소자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갖는 다수 경사면(18a)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광보상렌즈(18)와 표시광(L)이 만나는 지점의 사이를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광판(18b)을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호부재(14)로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한 광보상렌즈(18)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보상렌즈(18)는 평판표시소자(2)(4)의 화면과 그 측면을 동시에 커버하여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수단으로 터치패널(11) 혹은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패널(11)은 도 3에서와 같이 평판표시소자(2)(4)의 상부에 설치하며, 이때 상기 터치패널(11)의 상부에 보호부재(14) 및/또는 광보상렌즈(18)를 설치한다. 또한 터치패널(11)의 상판과 보호부재(14)를 일체형으로 할 수도 있다. 터치패널(11)을 사용할 경우에는 패널하우징(20)(40) 내부에 마이콤과 같은 데이타정보처리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데이타정보처리장치와 구동IC(2a)(4a) 및 터치패널(11)은 상호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입력수단으로 키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패널하우징(20)(40)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거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철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 및 그 내부에 수납된 평판표시소자(2)(4)가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되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은 평판표시소자(2)(4)의 일측벽 외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나머지는 내부로 수납되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평판표시소자(2)(4)의 일 측면은 보호부재(14)에 의해 커버 및 보호된다.
이렇게 보관 및 이동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을 위해 도 1 및 도 3과 같이 펼쳐지게 되는바, 이때 본 발명의 패널하우징(20)(40)은 개구받침부(22a)와 받침부(10) 및 받침부재(16a)와 고정부재(16b)에 의해 평판표시소자(2)(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유동이나 이탈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14)에 의해 접촉면이 보호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펼쳐진 평판표시소자(2)(4)의 표시광(L)은 광보상렌즈(18)에 의해 중심쪽 즉 접경부쪽으로 모아져 출사되므로 비 표시영역이 제거 및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 평판표시소자를 연결하여 하나의 대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펼칠 경우 평판표시소자의 한 변이 서로 접하여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하고, 접을 경우에는 평판표시소자의 일측면 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내부로 수납되어 받침부 및 고정부재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며 또한 노출 부분이 보호부재에 의해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나 파손으로부터 평판표시소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표시소자에서 출사된 표시광을 광학적으로 보상하여 비 표시영역을 최소화 및 제거하므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수평하게 펼쳐질 경우 한 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평판표시소자와; 상기 평판표시소자를 양편으로 나누어 각각 수납하는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혀지게 하거나 적어도 180도로 펼쳐지도록 연결 지지하는 접철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하우징은 2개의 평판표시소자가 펼쳐질 경우 한 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접경부쪽 측벽을 절취하여 형성된 개구와, 상기 평판표시소자을 안착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비표시영역을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평판표시소자의 앞쪽 화면과 접경부 측면을 커버하고, 패널하우징에 연결 지지되어 패널하우징의 개구를 막으며, 상부 커버와도 연결 지지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소자는 LCD, EL 디스플레이, FED 혹은 PDP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평판표시소자로부터 출사된 표시광을 접경부쪽으로 굴절시켜 양 평판표시소자 사이의 비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광보상렌즈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상부 혹은 하부에, 평판표시소자로부터 출사된 표시광을 접경부쪽으로 굴절시켜 양 평판표시소자 사이의 비 표시영역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광보상렌즈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소자는 샤시에 의해 구동회로기판 및 백라이트와 함께 어셈블리되고, 상기 샤시는 패널어셈블리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패널어셈블리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ㄱ"자 또는 "ㄷ"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1-0001790A 2000-09-19 2001-01-12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90A KR100405391B1 (ko) 2001-01-12 2001-01-12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AU2001294286A AU2001294286A1 (en) 2000-09-19 2001-09-18 Multi display device
PCT/KR2001/001557 WO2002025362A1 (en) 2000-09-19 2001-09-18 Multi display device
EP01974909A EP1334402A4 (en) 2000-09-19 2001-09-18 MULTIPLE DISPLAY DEVICE
CNB018142915A CN1261798C (zh) 2000-09-19 2001-09-18 复合显示器件
JP2002529302A JP2004510186A (ja) 2000-09-19 2001-09-18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11/423,804 US7414594B2 (en) 2000-09-19 2006-06-13 Multi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90A KR100405391B1 (ko) 2001-01-12 2001-01-12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5A KR20020061045A (ko) 2002-07-22
KR100405391B1 true KR100405391B1 (ko) 2003-11-14

Family

ID=2769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5391B1 (ko) 2000-09-19 2001-01-12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54B1 (ko) * 2002-01-29 2005-07-12 김시환 접이식 디스프레이 장치
KR20040023453A (ko) * 2002-09-11 2004-03-18 김시환 멀티 디스프레이 장치
KR101643377B1 (ko) * 2010-02-26 201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0588B1 (ko) * 2010-12-07 201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102633904B1 (ko) 2013-04-24 2024-0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2261641B1 (ko) 2014-05-13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298844B (zh) * 2018-10-19 2022-05-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组件、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81U (ko) * 1997-10-01 1999-05-06 손욱 휴대용 표시장치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75223A (ko) * 1999-05-31 2000-12-1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226761Y1 (ko) * 2000-12-06 2001-06-15 김시환 휴대용 표시 장치 케이스
KR20020012881A (ko) * 2000-08-09 2002-02-20 김시환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KR20020012880A (ko) * 2000-08-09 2002-02-20 정석홍 접이식 휴대용 평판표시장치
KR20020034664A (ko) * 2000-11-03 2002-05-09 김시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381U (ko) * 1997-10-01 1999-05-06 손욱 휴대용 표시장치
JPH11167354A (ja) * 1997-10-01 1999-06-22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携帯用表示装置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75223A (ko) * 1999-05-31 2000-12-1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12881A (ko) * 2000-08-09 2002-02-20 김시환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KR20020012880A (ko) * 2000-08-09 2002-02-20 정석홍 접이식 휴대용 평판표시장치
KR20020034664A (ko) * 2000-11-03 2002-05-09 김시환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200226761Y1 (ko) * 2000-12-06 2001-06-15 김시환 휴대용 표시 장치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5A (ko) 200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594B2 (en) Multi display device
US6970210B2 (en) Folder type multi display device
US8120899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7548415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20030189759A1 (en) Multi display device
KR20070034707A (ko) 표시 장치
KR102614711B1 (ko) 전자 기기
KR20100092220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EP3564738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rusion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for connecting a frame
KR100405391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102640019B1 (ko) 전자 기기
KR102394197B1 (ko) 표시장치
KR1004936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365311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20190006161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60079694A (ko)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보호용 필름 부재 및 이를 이용한평판표시장치
KR100395597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1009505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91051B1 (ko) 멀티 디스프레이 장치
KR10053147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34204A (ko) 표시 장치
KR20070015696A (ko) 탑 샤시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4000662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11497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0273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1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10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