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347B1 -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07347B1 KR100407347B1 KR10-2001-0063237A KR20010063237A KR100407347B1 KR 100407347 B1 KR100407347 B1 KR 100407347B1 KR 20010063237 A KR20010063237 A KR 20010063237A KR 100407347 B1 KR100407347 B1 KR 100407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lephone
- control
- controller
- watchdog pulse
- s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탑재하는 복합형 전화기에서 상위 레벨의 메인 제어기가 시스템 정지 시에도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통화 안정화 장치는,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 숫자선택신호 및 문자선택신호들을 발생하는 키보드를 가진다. 그리고, 상위 레벨의 메인 제어기는 정상 동작시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 주기의 워치독 펄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상기 키보드로부터 출력되는 키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를 발생한다. 하위 레벨의 서브 제어기는 상기 워치독 펄스의 활성화에 의해 상기 메인 제어기의 슬레이브로 동작되며 상기 제어 데이타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내부의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회로를 제어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g나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워치독 펄스의 비활성화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화제어모드로 동작되어 상기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부를 제어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한다.In hybrid phones equipped with at least two processors, a higher level main controller provides a call stabilization device to perform basic phone functions even when the system is stopped. The call stabilization apparatus has a keyboar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to generate a number selection signal and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In the normal operation, the main controller of the upper level generates and outputs a watchdog pulse of a predetermined period by a preset program, and generate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keyboard. The lower level sub-controller operates as a slave of the main controller by activating the watchdog pulse,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ata, and controls an internal trunk line connection unit and an audio circuit to form a voice call loop. In addition, the sub-controller is operated in a telephone control mode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by the deactivation of the watchdog pulse to control the trunk line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unit to form a voice call loop.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공중전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한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 또다른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전화장치에서 시스템 정지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기본 전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화 안정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basic telephone operation even when a system stoppage occurs in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two processors to provide a service of another function in addition to a voice call function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or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stabiliz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통상적으로, 전화장치는 공중전화망 혹은 인터넷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상대방과 주고받아 통화하기 위한 기본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화장치는 인터넷에 관련된 기술의 진보한 발달로 인하여 현재 전자우편(E-mail)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유선 전화단말에서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왜냐하면, 음성통화 기능이외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메일계정, SMS 메시지 발생의 제어 및 모뎀 등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분산제어기 하기 위해서이다.In general, a telephone apparatus is used as a basic apparatus for exchanging voice signal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or the Internet. Such telephone apparatuses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mail and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related to the Internet. In order to send and receive e-mail and SMS messages in a wired telephone terminal, use of at least two processors is inevitable.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a voice call function, a distributed resour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 mail account, SMS message generation, and a modem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상기와 같은 복합 전화기(Complex phone)의 예로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1년 9월 29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1-61064호(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우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화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선출원의 내용을 살피면, 음성통화에 필요한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브 제어기(선출원에서는 "SMS처리부"로 표기됨)와,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의 송출을 제어하여 복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주 제어하는 메인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서브 제어기는 전화기의 기본 동작을 제어하며, 숫자 키의 선택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의 발생 및 링신호의 검출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메인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의해 SMS 메시지를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메인 제어기는 전자우편, SMS발생의 제어 및 모뎀의 동작을 제어한다.As an example of such a complex phone, Patent Application No. 2001-61064 filed on September 29, 2001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mail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telephone number and a telephone using the sam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Yes.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prior application, the main controller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site telephone by controlling a sub-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SMS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necessary for a voice call, and sending e-mail and SMS messages. It consists of the main controller. The sub-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controls the basic operation of the phone, performs operations such as generation of DTMF (Dual Tone Multi-Frequency) corresponding to selection of numeric keys and detection of ring signals,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Has the ability to generate SMS messages. The main controller also controls e-mail, SMS generation control and modem operation.
상기와 같은 복합 전화기는 두 개의 프로세서중 상위 레벨의 프로세서가 하위 레벨의 프로세서의 동작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떠한원인에 의해 메인 프로세서가 정지(halt)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전화회로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기가 동작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어 기본적인 음성통화조차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복합형 전화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고 있던중 시스템 정지(system halt) 혹은 메인 제어기(Main CPU)의 CPU 정지(CPU halt)가 발생하면, 복합 전화장치 전체가 갑자기 동작하지 않게 되어 기본 전화통신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정지가 발생되면, 시스템 리셋 버튼을 선택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하거나 전원 스위치를 오프-온하여 시스템을 재부팅(re-booting)시켜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여야 전화가 가능하였다.In such a composite telephone, the upper level processor of the two processors is configur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wer level processor. Therefore, when the main processor is halted due to some cause, the sub-controller controlling the telephone circuit is not operated, and thus a basic voice call cannot be made. For example, if a system halt or a CPU halt of the main controller occurs while a voice call is made with the other party using a hybrid telephone apparatus having two processors, The entire device suddenly stops working, which causes problems with basic telephony. When the system stop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can be called by selecting the system reset button to initialize the system or rebooting the system by turning off the power switch to re-booting the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복합 전화장치에서 통화도중 전화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정지 현상이 발생하더라고 음성전화회로를 제어하는 하위 프로세서에 의해 기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안정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basic call to be made by a lower processor that controls a voice telephone circuit even when a phenomenon in which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lephone apparatus during a call occurs in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processors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tabiliz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를 가지는 복합 전화장치에어서 하위 프로세서가 전화장치의 주제어를 담당하는 상위 프로세서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정지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기본 통화 제어 모드로 천이하도록 하여 기본 통화기능을 제어하도록 하는 통화 안정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a system stop state by monitoring an operating state of an upper processor in charge of a main control unit of a telephone apparatus in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processors, and automatically detecting a basic stat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stabiliz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basic call function by transitioning to a call control mo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키들이 구비되어 숫자선택신호 및 문자선택신호들을 발생하는 키보드와; 소정 주기의 워치독 펄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상기 키보드로부터 출력되는 키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를 발생하는 메인 제어기와; 상기 워치독 펄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의 슬레이브로 동작되어 상기 제어 데이타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내부의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회로를 제어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워치독 펄스의 비활성화에 의해 전화제어모드로 동작되어 입력되는 키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의 발생 및 상기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부를 제어하여 음성통화루프를 형성하는 서브 제어기를 구비하는 전화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전화기에서 시스템 정지시 통화 안정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eyboar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for generating a numeric selection signal and a character selection signal; A main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watchdog pulse of a predetermined period and generat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keyboar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watchdog pulse, the controller operates as a slave of the main controller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ata to control an internal trunk line connection and an audio circuit to form a voice call loop, and to deactivate the watchdog pulse. And a telephone circuit having a sub-controller for generating a voice call loop by gener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ion signal input by being operated in a telephone control mode by th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trunk line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stabilization device when the system stops in the hybrid teleph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본 발명은, 전화라인에 접속되어 소정 제어에 의해 통화루프를 형성하여 각종 신호를 상기 전화라인으로 전송하는 전화인터페이스와, 제어데이타의 입력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전화인터페이스로 제공하며 상기 전화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는 서브 제어기와, 소정 주기의 워치독 펄스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입력되는 키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타를 상기 서브 제어기로 공급하는 메인 제어기를 구비한 복합 전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제어기의 워치독 펄스의 활성화 상태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워치독 펄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에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화접속회로부로 제공하고, 상기 워치독 펄스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제어모드로 천이하여 입력되는 키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화접속회로부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lephone interface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to form a call loop under predetermined control, and to transmit various signals to the telephone line, and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control data. A sub-controller that generates and provides the telephone interface to the telephone interface, detects a ring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interface, generates and outputs a watchdog pulse of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election signal to the sub-controller. A control method of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main controller for supplying; The sub-controller may include: searching an activation state of a watchdog pulse of the main controller;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watchdog puls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data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to the telephone connection circuit unit, and in response to deactivation of the watchdog pulse, the control unit transitions to a preset telephone control mode. And provid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key selection signal to the telephone connection circuit un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복합 전화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위 프로세서 모니터링에 따른 하위 프로세서의 전화제어모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phone control mode of a lower processor according to upper processor monito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복합 전화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라인 CO에 연결되어 루프전압을 극성 정렬하는 전파정류부 22에 국선접속부 24가 접속되고, 상기 국선접속부 24를 통하여 서브 제어기 26과 오디오 DAA(Discrete Analog Access) 28이 연결되고 모뎀 DAA 18을 통해 모뎀 16이 연결된다. 모뎀 16은 메인 제어기 14에 연결되어 그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을 통한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국선접속부 24는 통상의 전화기와 같이 통화루프 등을 형성하여 음성신호 대역의 주파수를 인터페이싱 한다. 모뎀 DAA 18은 모뎀16과 국선접속부 24 사이에 연결되어 모뎀 16과 전화라인 CO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뎀 인터페이스이다. 서브 제어기 26는 메인 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국선접속부 24에 연결되어 SMS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고, DTMF를 발생하여 상기 국선접속부 24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서브 제어부 26는 국내 Telechips사의 생산하고 있는 칩(chip)인 TCC120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오디오 DAA 28은 국선접속부 24와 상기 서브 제어기 26와 음성신호 입출력장치인 핸드셋 30에 연결되고 전화라인을 통한 전화 통화에 따른 음성신호 송수신 처리를 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이다. 표시기 20은 메인 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전자우편 및 SMS 메시지 통신과 전화 통화를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키 입력장치인 키보드(keyboard) 32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장치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메인 제어기 14 및 서브 제어기 26으로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15는 상기 메인 제어기 14에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데이타를 저장하고 임시 데이타를 저장 출력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osite telephone apparatu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is connected to a full-wave rectifying unit 22 that is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CO and polarizes a loop voltage, and a sub controller 26 and an audio DAA (Discrete Analog Access) 28 are connected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Modem 16 is connected via modem DAA 18. The modem 16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4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over the telephone line under its control.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forms a call loop or the like like a normal telephone to interface frequencies of a voice signal band. Modem DAA 18 is a modem interface connected between modem 16 and CO line 24 to provide an interface between modem 16 and telephone line CO. The sub controller 26 is connected to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to perform SMS message communication, and generates DTMF and transmits the DTMF to the telephone line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The sub control unit 26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TCC120, a chip produced by Telechips in Korea. The audio DAA 28 is an audio interface connected to a trunk line connection unit 24, the sub controller 26, and a handset 30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device and performs voic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 telephone call through a telephone line. The indicator 2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for e-mail and SMS message communication and telephone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The keyboard 32, which is a key input device, is a character input device having keys for character input and provides key input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4 and the sub controller 26. The memory 15 shown in FIG. 1 stores program data required for the main controller 14 and stores and outputs temporary data.
상기와 같은 구성중, 메인 제어기 14는 초기 파워온 리세트 동작이 수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소정주기를 가지는 워치독 펄스 스트림(watch dog pulse stream)을 활성화시켜 서브 제어기 26으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워치독 펄스 스트림은 상기 메인 제어기 14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때 계속적으로 발생하도록 메인 제어기 14내의 롬영역에 프로그램으로 마스크되어 있다. 또한, 서브 제어기 26은 상기 메인 제어기 14의 워치독 펄스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그로부터 출력되는 워치독 펄스 스트림을 모니터링하여 에러 상태일 때 상기 메인 제어기 14의 제어로부터 독립하여 전화제어모드로 천이 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initial power-on reset operation is performed and is normally operated, the main controller 14 activates a watch dog pulse stream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provides the sub-controller 26. This watchdog pulse stream is masked programmatically in the ROM region in the main controller 14 so that it continues to occur when the main controller 14 operates normally. In addition, the sub-controller 26 is programmed to be connected to the watchdog puls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ler 14 and to monitor the watchdog pulse stream outputted therefrom and to transition to the telephone control mode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in an error state. have.
이때, 상기 서브 제어기 26은 전화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 혹은 전파정류부 22로부터 출력되는 루프전압중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루프전압의 입력에 의한 동작은 NPO(No Power Operation)모드로 동작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NPO 모드에 대한 설명은 생락 될 것이며, NPO모드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자 발명자 이혜정외 1인에 의해 발명되어 본원 출원인에 의해2001년 10월 00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1-000000호의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At this time, the sub-controller 26 is selectively operated by either the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telephone apparatus or the loop voltage output from the full wave rectifier 22, and the operation by the input of the loop voltage is NPO (No Power Operation). Mode is operating. The description of the NPO mode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NPO mode is describ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Lee Hye-jeong and one other person, and the contents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000000 filed on October 00, 2001 by the present applicant. Please see.
또한, 도 1의 구성중, 점선으로 블럭표기된 부호 12는 일반 전화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화회로에 대응하며, 메인 제어기 14 및 모뎀 16, 모뎀DAA 18은 상기 전화회로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상기 전화라인 CO로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전화회로 12에서 서브 제어기 26을 제외한 구성은 전화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타 통신 및 일반적인 전화기능에 대한 동작설명은 생략될 것이며, 단지 메인 제어기 14가 시스템 정지(system halt) 되었을 때 서브 제어기 26이 전화제어모드로 제어모드를 천이 하여 전화회로 12를 제어하는 과정만이 상세하게 설명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reference numeral 12 denoted by a dotted line corresponds to a telephone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a general telephone, and the main controller 14, the modem 16, and the modem DAA 18 ar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ircuit to receive data. The telephone line CO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sub controller 26 in the telephone circuit 12 corresponds to the telephone inte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data communication and the general telephone function will be omitted. Only when the main controller 14 is in the system halt, the sub-controller 26 switches the control mode to the telephone control mode to control the telephone circuit 12.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procedure is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위 프로세서 모니터링에 따른 하위 프로세서의 전화제어모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phone control mode of a lower processor according to upper processor monito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메인 제어기 14와 서브 제어기 26이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되어 서브 제어기 26이 메인 제어기 14의 제어에 의해 전화회로 12를 제어하는 상태이며, 전화회로 12의 동작상태가 통화중 상태라 가정하에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main controller 14 and the sub controller 26 shown in FIG. 1 are operated in a normal state so that the sub controller 26 is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14. It is a state which controls 12, and it demonstrates on the assumption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lephone circuit 12 is a busy state.
상기 두 개의 프로세서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메인 제어기 14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래에 의해 소정 주기를 가지는 워치독 펄스 스트림 34를 서브 제어기 26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워치독 펄스 스트림 34은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발생시킬 수 도 있다. 이때, 서브 제어기26은 소정의 주기로 상기 메인 제어기 14의 워치독 펄스 출력 단자를 읽어 그로부터 출력되는 워치독 펄스 스트림 34의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예를 들면, 워치독 펄스의 레벨이 스윙하여 활성화 상태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에서 워치독 펄스 스트림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서브제어부 14는 상기 메인 제어기 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타에 따른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국선접속부 및 오디오 DAA 28을 제어하여 전화회로 12를 제어한다.When the two processors operate normally, the main controller 14 transmits the watchdog pulse stream 34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to the sub controller 26 by a preset program. The watchdog pulse stream 34 may be generated by a program, but may be generated by hardware if necessary. At this time, the sub controller 26 reads the watchdog pulse output terminal of the main controller 14 at a predetermined period and monitors the state of the watchdog pulse stream 34 outputted therefrom. For example, it is checked whether the level of the watchdog pulse is swinging and active. When the watchdog pulse stream is determined to be normal in the search, the sub-control unit 14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14 to control the trunk line connection unit and the audio DAA 28 to control the telephone circuit 12.
만약, 어떠한 원인에 의해 시스템 정지(system halt)의 발생에 의해 메인 제어기 14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메인 제어기 14의 동작이 도 2와 같이 정지되어 그로부터는 워치독 펄스 스트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워치독 펄스가 논리 "하이" 혹은 "로우"로 고정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되어 진다. 이러한 원인은 메인 제어기 14내의 프로그램 버그에 의해 발생할 소지가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이 메인 제어기 14의 워치독 펄스 단자로부터 워치독 펄스 스트림이 출력되지 않으면, 서브 제어기 26은 이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제어모드로 점프하여 전화회로 12의 기본적인 동작 제어한다.If, for some reason,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14 is stopp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system halt,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14 is stopped as shown in FIG. 2 and no watchdog pulse stream is generated therefrom. That is, the watchdog pulse is fixed to logic "high" or "low" and transitions to an inactive state. This cause is very likely to be caused by a program bug in the main controller 14. When the watchdog pulse stream is not output from the watchdog pulse terminal of the main controller 14 as described above, the sub controller 26 jumps to the preset phone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basic operation of the phone circuit 12.
상기 서브 제어기 26이 전화제어모드로 진입하면, 키보드 32상의 숫자키 버튼의 선택에 대응하는 DTMF신호 발생, 훅크 오프/온 상태신호 38의 입력에 따른 국선접속부 24의 통화루프의 제어, 오디오 DAA 28의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브 제어기 26으로 입력되는 훅크 오프/온 상태신호 38이 논리 "하이"로 활성화되어 통화중인 시스템 정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선접속부 24, 오디오 DAA 28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그대로 유지하여 현재의 통화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훅크 오프/온 상태 신호 38은 핸드셋 30의 행오프/행온(hang off/hang on)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송수화기를 들고 내림에 의해 변화되는 신호이다.When the sub-controller 26 enters the telephone control mode, the DTMF signal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numeric key button on the keyboard 32, the control of the call loop of the trunk line connecting part 24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hook off / on status signal 38, audio DAA 28 Perform control of the. For example, if the hook off / on status signal 38 inputted to the sub controller 26 is activated with a logic “high” and a system stoppage occurs during a call, the control signal output to the trunk line connecting unit 24 and the audio DAA 28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current call state. Here, the hook off / on state signal 38 is a signal that is activated /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hang off / hang on of the handset 30 and is changed by lifting and lowering the handset.
만약, 상기 훅크 오프/온 상태신호 38이 논리 "로우"로 비활성화되어 비통화중인 상태에서 시스템 정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화제어모드로 점프하여 키보드 32상에 위치된 키 선택 신호를 입력하거나 혹은 훅크 오프/온 상태 신호의 천이 상태에 따라 국선접속부 24와 오디오 DAA 28를 제어하여 일반 전화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드셋 30을 들어 훅크 오프한 상태라면, 상기 서브 제어기 26은 국선제어부 24와 오디오 DAA 28을 제어하여 전화라인의 국선루프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화라인상으로 입력되는 다이얼톤 신호를 오디오 DAA 28내에서 증폭되어 핸드셋 30의 스피커로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 32상에 놓여진 숫자 키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면, 상기 서브 제어기 26은 상기 선택된 숫자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국선접속부 24를 통해 전화라인상으로 송출하여 상대방을 호출하게 한다.If the hook off / on state signal 38 is deactivated to a logic " low " and a system stop occurs in a non-call state, jump to the telephone control mode and input a key selection signal located on the keyboard 32; or The telephone line connection part 24 and the audio DAA 28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state of the hook-off / on-state signal to perform general telephone function. For example, if the user hooks off the handset 30, the sub-controller 26 controls the trunk line control unit 24 and the audio DAA 28 to form a trunk line loop of the telephone line and at the same time a dial tone signal input onto the telephone line. Is amplified in audio DAA 28 and output to handset 30 speaker. In this state, when the user dials using the numeric keys placed on the keyboard 32, the sub-controller 26 generates a DTM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umeric key and transmits the DTMF signal on the telephone line through the trunk line connection 24 to send the other party a call. To call.
따라서, 시스템 정지에 의해 메인 제어기 14가 동작되지 않더라고 상기 서브 제어기 26의 전화제어모드의 동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복합전화기는 단순 전화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게되어 급한 전화 용무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main controller 14 is not operated due to the system stop, the multi-phone shown in FIG. 1 can be operated by the simple telephone fun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elephone control mode of the sub-controller 26, thereby solving urgent phone service.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상위 프로세서와 하위 프로세서를 각각구비하여 복합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전화기에서 시스템 정지에 의해 상위 프로세서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하위 프로세서가 상위 프로세서를 모니터링하여 자동으로 전화제어모드를 수해함으로써 기본 전화기능의 동작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어 복합 전화기의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upper processor is not performed by the system stop in the combined telephone having at least the upper processor and the lower processor to perform the complex function, the lower processor monitors the upper processor and automatically makes a call. By controlling the control mode, the basic telephone function can be performed as it is, thereby maximizing the use of the composite telephon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63237A KR100407347B1 (en) | 2001-10-13 | 2001-10-13 |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63237A KR100407347B1 (en) | 2001-10-13 | 2001-10-13 |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31308A KR20030031308A (en) | 2003-04-21 |
| KR100407347B1 true KR100407347B1 (en) | 2003-11-28 |
Family
ID=2956454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632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7347B1 (en) | 2001-10-13 | 2001-10-13 |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407347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90015548A (en) * | 1988-03-29 | 1989-10-30 | 강진구 | Recovery of Calls and Special Functions Using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n Private Switching System |
| KR930017462A (en) * | 1992-01-24 | 1993-08-30 | 정장호 | Method and device for maintaining call recovery in private electronic exchange system |
| KR19980020514A (en) * | 1996-09-09 | 1998-06-25 | 김광호 | Implementing Fault Tolerance of Private Switching System of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
| JPH11288406A (en) * | 1998-04-02 | 1999-10-19 | Toshiba Corp | Multiprocessor system with operation monitoring function |
| KR20000001674A (en) * | 1998-06-12 | 2000-01-15 | 윤종용 | Processor recovery device |
-
2001
- 2001-10-13 KR KR10-2001-0063237A patent/KR1004073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90015548A (en) * | 1988-03-29 | 1989-10-30 | 강진구 | Recovery of Calls and Special Functions Using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n Private Switching System |
| KR930017462A (en) * | 1992-01-24 | 1993-08-30 | 정장호 | Method and device for maintaining call recovery in private electronic exchange system |
| KR19980020514A (en) * | 1996-09-09 | 1998-06-25 | 김광호 | Implementing Fault Tolerance of Private Switching System of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
| JPH11288406A (en) * | 1998-04-02 | 1999-10-19 | Toshiba Corp | Multiprocessor system with operation monitoring function |
| KR20000001674A (en) * | 1998-06-12 | 2000-01-15 | 윤종용 | Processor recovery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30031308A (en) | 2003-04-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483577A (en) | Single chip telephone answering machine, telephone, speakerphone, and ADSI controller | |
| US6377663B1 (en) | Call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a local telephone circuit | |
| US7376221B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mode telephone | |
| US6434225B1 (en) |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in which a ringing sound control processing is performed in response to a call from a telephone network | |
| KR100407347B1 (en) | Device for safety calling occasion system halt in complex phone and method thereof | |
| JP2007281907A (en) | Emergency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private branch telephone system | |
| KR100480298B1 (en) | Telephone device for call stabilizing in no power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 |
| KR0155634B1 (en) | Telephone call waiting method | |
| JP2984678B1 (en) | Ringer failure notification circuit and ringer failure notification method | |
| GB2308943A (en) | Power saving for telephone system | |
| KR950010480B1 (en) | Keypone system and general phone interface device | |
| KR200154128Y1 (en) | Telephone receiver | |
| KR100643440B1 (en) | How to set alarm us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JP2691624B2 (en) | Emergency call telephone terminal device | |
| KR970056572A (en) | Automatic line sel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 |
| KR100666944B1 (en) | High frequency signal removing device generated when incoming from various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s | |
| KR200301283Y1 (en) | Ring / down unit with loop detection | |
| JP2662724B2 (en) | Facsimile machine | |
| KR0185642B1 (en) | How to Notify Security on Your Phone | |
| JPH10174164A (en) | Data communication method by mobile phone | |
| JP2850864B2 (en) | Telephone line connection device with call function | |
| JP2004266679A (en) | Remote control system | |
| JPS63107395A (en) | Telephone exchange | |
| JP2001326752A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reporting through use of portable telephone set | |
| KR19990008841U (en) | Phone with call failure notific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11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