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4941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41B1
KR100454941B1 KR10-2002-0016741A KR20020016741A KR100454941B1 KR 100454941 B1 KR100454941 B1 KR 100454941B1 KR 20020016741 A KR20020016741 A KR 20020016741A KR 100454941 B1 KR100454941 B1 KR 10045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quick paging
paging message
mode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189A (ko
Inventor
박형원
박상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7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동작 클럭인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보다 소정 주기 빠른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명령을 이중 위상 동기 루프로 전송하여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락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QUICK PAG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 일 예로 IS-95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기지국(BS: Base Statio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가 존재할 경우에만 아이들 슬립 상태인 아이들 슬립 모드(Idle sleep mode)에서 깨어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감시하는 슬랏 모드(slotted mode)로 천이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래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단말기의 슬랏 모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아이들 슬립 상태에서 재포착(re-acquisition)에 소요되는 시간, 메시지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 등 단말기 전력소모가 많아 단말기의 핵심 사항인 충분한 대기시간(stand-by time)을 보장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제3세대(3rd Generation)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에 비해 장시간화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퀵 페이징(Quick paging)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
상기 퀵 페이징(Quick-paging) 방식은 상기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이외에 새로운 채널인 순방향 퀵 페이징 채널(FQPCH: Forward Quick Paging Channel)을 할당하여, 기지국이 상기 순방향 퀵 페이징 채널을 통해 페이징/제어 메시지(Paging/control message)가 있는지 없는지를 슬럿(Slot) 단위로 알려준다. 상기 퀵 페이징 채널의 정보는 인터리빙(interleaving)과 인코딩(encoding)을 수행하지 않은 1-비트 메시지(1-bit message)로 전송되며, 단말기는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퀵 페이징(quick paging) 채널을 감시하도록 한다. 즉, 단말기는 할당된 시간에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과 디코딩(decoding)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퀵 페이징 채널의 1-비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페이징 채널을 감시할지 혹은 상기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지 않아도 될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퀵 페이징(Quick paging) 메시지는 그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일 예로 80msec 슬럿 내에 두 번, 즉 40msec간격으로 반복 전송되고 그 전송속도는 9600bps, 4800bps중 하나로 선택되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퀵 페이징(Quick paging) 채널의 1-비트 메시지는 온-오프 키잉(OOK: on-off keying)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여기서, BPSK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온-오프 키잉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BPSK 변조 방식이 "1"이 발생할 확률이 작기 때문에, "0"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다른 채널의 에너지를 줄이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퀵 페이징(Quick paging)의 수신성능을 결정짓는 요소 중 하나가 상기 온-오프 키잉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된 신호를 얼마나 정확히 복조하느냐이다. 상기 복조 과정, 즉 2개의 비트 메시지를 결정(decision)하는 알고리즘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퀵 페이징 채널 결정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단말기는 첫 번째 비트(bit)를 복조하였을 때(111단계) '0'이 검출되면, 두 번째 비트를 복조하지 않고 바로 아이들 슬립 상태로 천이하고(113단계), 상기 첫 번째 비트를 복조하였을 때 '1' 또는 '손실(Erasure)'로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두 번째 비트를 복조(115단계)하여 상기 아이들 슬립 모드로 천이할 것인지, 또는 슬랏모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디코딩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실(Erasure)이란 채널, 즉 순방향 퀵 페이징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왜곡이 심한 경우 발생하는 비트로서 퀵 페이징(Quick-paging) 심볼의 복조 결과와 무관하게 '1'로 판단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두 번째 비트까지 '1'또는 '손실(Erasure)'로 판정되는 경우 단말기는 뒤따르는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게 된다(117단계)
상기에서 설명한 페이징 채널 수신 알고리즘, 즉 아이들 슬립 상태로 천이 및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및 페이징 채널 감시 등과 같은 페이징 채널 수신 알고리즘은 단말기의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단말기 전력소모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는 아이들 슬립 상태시 슬립 전류(Sleep current)에 의한 전력소모, 디지털 파트(Digital part)에 의한 전력소모, RF부에 의한 전력소모 등이 있으며, 그래서 단말기의 대기시간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 슬립 전류(Sleep current)는 상기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슬립 전류(Sleep current)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동안의 전력소모를 의미한다.발진기(oscillator), LCD(Liquid Crystal Display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그 외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등이 슬립 전류(Sleep current)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작용한다. 특히, 고주파 발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슬립 전류(Sleep counter)가 증가하게 됨으로서 소모하는 전력이 많아지게 되고, 이러한 슬립 전류로 인해 대기 시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퀵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시 하나의 발진기를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가 어느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발진기에서 제공하는 단일클럭을 기준클럭, 즉 동작 클럭으로 제공하게 되면, 퀵 페이징 모드에서 빠른 시간내에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야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퀵 페이징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와 동일한 동작 클럭이 제공되어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이들 슬립 상태에서 저주파 발진기만을 동작하여 슬립 전류를 최소화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 페이징 메시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별도의 클럭을 제공하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로 동작할 때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주기보다 소정 주기 빠른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상기 제2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을 위한주파수로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선택한 클럭에 따라 동작시작하며,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주파수로 동기하는 이중 위상 동기 루프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에서 동기된 주파수들로 발진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된 주파수들에 동기하여 순방향 퀵 페이징 채널을 통해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파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동작 클럭인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보다 소정 주기 빠른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수신을 위한 명령을 이중 위상 동기 루프로 전송하여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락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퀵 페이징 채널 결정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페이징 메시지 오프라인 복조 타이밍 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RF 파트 오프라인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과정을 나타낸 타이밍 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RF 파트 튜닉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위상 동기 루프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퀵 페이징을 위한 타이밍 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럭 발생 장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페이징 메시지 오프라인 복조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TCXO: Temperature Compensation Crystal Oscillator)를 온/오프(on/off)하는 시점은 아이들 슬립 상태로 진입할 때와, 상기 아이들 슬립 상태에서 벗어날 때의 의사잡음(PN: Psuedorandom Noise) 상태를 일치시키기 위해 항상 26.67ms 경계(boundary)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퀵 페이징 메시지의 1 슬럿은 80ms이며, 퀵 페이징 심벌(Quick Paging Symbol)이 '1'로 전송될 때만(201)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가 아이들 슬립 상태에서 벗어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타임 구간(211)은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가 동작 수행을 위한 준비 시간(warm up time)이며, 타임 구간(213)은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가 동작 종료후 상기 아이들 슬립 상태로 다시 되돌아가는 천이 상태 시간(warm down time)으로서,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는 실제 타임구간(215)에서만 유효(effective)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1슬럿에는 2개의 비트 메시지가 입력되고, 그중 하나의 비트 메시지만이 '1'을 나타내었으므로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는 다시 아이들 슬립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 즉,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검출 결과 페이징 채널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으므로 슬립 명령(sleep command)(203)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재포착(re-acquisition) 과정은 RF 파트에서 입력을 버퍼에 저장한 후 오프라인(off-line)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RF 파트의 오프라인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도 2의 RF 파트 오프라인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과정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 3에는 상기 RF 파트가 퀵 페이징 메시지의 심벌을 수신하기 위해 온되는 시점부터 오프되는 시점까지 동작이 타이밍도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가 온되면, 그 준비(Warm Up) 시간은 2ms가 소요되고, 제어부로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 동작이 보고되어 CHIP*8을 생성한다. 그러면, 아이들 슬립 상태에 있는 RF 파트, 즉 수신부가 온되고(311), 상기 RF 파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준비시간으로 2ms가 소요되어 상기 수신부를 대기상태(standby state)로 천이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RF_튜닝(Tuning) 과정(313)을 통해 위상 동기 루프(PLL: Phased Loop Lock)에 데이터(data)를 인가하여, 상기 위상 동기 루프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위상 동기 루프가 락상태로 완전하게 천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500usec 이고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가 약 1.5ms가 소요된다. 이와 동시에 자동 이득 제어기(AGC: Auto Gain Controller)가 넓은 대역폭으로 안정화될 수 있도록 이득을 조정한다(315). 여기서, 루프 이득 상수(Loop Gain Constant)는 73usec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자동 이득 제어기가 좁은 대역폭을 가지고 안정화되도록 한다면 상기 루프 이득 상수를 상기 넓은 대역폭으로 안정화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더 높게, 즉 392usec를 사용한다(317). 이렇게, 퀵 페이징을 위한 RF 파트가 수신 동작을 위한 준비 동작을 완료하면, 퀵 페이징 심벌 버퍼링(Buffering)이 수행된다(319). 즉,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의 퀵 페이징 심벌이 삽입되는 구간 주의의 구간을 버퍼링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가 4800 bps일경우 672 칩(546us)을 저장하고 만약 2400k bps일 경우 800chip(650us)을 저장한다. 이렇게, 퀵 페이징 심벌 버퍼링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RF 파트의 전원을 오프하여 상기 RF 파트가 아이들 슬립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며,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약 4msec이다(321).
여기서, 상기 RF 튜닝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RF 파트 튜닝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RF 튜닝을 위해서 이중 위상 동기 루프(Dual PLL)가 사용된다. 즉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여 상기 RF 파트의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와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와 동기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부(100)는 무선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로 사용되는 주파수로 동기를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이중 위상 동기루프(102)로 상기 무선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로 천이하라는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로 전송하는 명령은 3개의 신호, 즉 클럭(CLK) 신호와, 데이터(DATA) 신호와, LE(Latch Enable)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로 상기 명령을 설정 횟수번, 일 예로 도 5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중간주파수 및 무선주파수의 상태천이 명령을 4회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이렇게,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가 상기 제어부(100)의 명령에 따라 무선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 각각으로 상태 천이하도록 락 과정을 거치면 RF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 Control Oscillator)(106) 및 IF 전압 제어 발진기(108)는 각각 무선 주파수 및 중간주파수로 발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로 전송하는 명령중 클럭 신호의 클럭 스피드에 의해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의 락과정의 속도가 좌우된다. 그런데, 상기 제어부(100)에서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로 전송하는 명령은 현재 상기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100)의 기준 클럭을 단말기가 어느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상관없이 아이들 슬립 상태의 온도보상 수정 발진기의 클럭 하나만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의 주파수는 약 32.768KHz로서, 상기 명령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약 5.5ms가 되어, 결국 퀵 페이징 심볼을 수신하기 위해 RF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명령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즉 5.5ms가 더해져 퀵 페이징 심벌 수신 시간이 장시간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제어부(100)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에 명령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야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에 명령을 전송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어부(100)의 기준 클럭을 소정 고주파 발진기의 클록 스피드로 아이들 슬립 상태와 다르게 동작시키고,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에 명령이 전송 완료되면, 상기 새로운 기준 클럭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 발진기의 클록 스피드로 환원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새로운 기준 클럭은, 일 예로, 27MHz나 혹은 10MHz으로 종래의 기준 클럭보다 빠른 크록 스피드를 사용한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페이징을 위한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이들 슬립상태에서 제어부(100)에서 준비 인터럽트(Warmup_interrupt) 신호를 이용하여 퀵 페이징을 시작하라는 신호가 인가되면 단말기의 새로운 기준 클럭을 생성하기 위해서 별도의 다른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를 동작시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가 준비(warmup)동작부터 정상동작이 이루어지기까지 약 2msec의 시간이 소요되고, 이 시간이 소요된 후 수신단, 즉 RF 파트가 동작 시작되도록 Sleep/high 신호를 부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00)의 새로운 기준 클럭을 동작시키고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에 소정의 명령, 즉 무선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로 천이하라는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로딩한다.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102)로 상기 명령이 로딩된 후, 상기 제어부(100)의 상기 기준클럭 발생을 정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클럭 발생 장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아이들 슬립 모드(idle sleep mode)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며, 설명의 편의상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를 "퀵 페이징 모드"라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711)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어떤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지에 따라 그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제어 신호 "MODE_CON"을 클럭 선택기(71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제어 신호는 상기 단말기가 아이들 슬립 모드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아이들 슬립 모드 신호와, 상기 단말기가 퀵 페이징 모드에 존재함을 나타내는 퀵 페이징 모드 신호의 2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상기 클럭 선택기(713)는 상기 제어기(711)에서 출력한 모드 제어 신호가 아이들 슬립 모드 신호일 경우에는 메인 클럭(main clock)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 신호 "GPIO_CLK_SEL"를 제1스위치(715) 및 제2스위치(717)로 출력한다. 상기 제1스위치(715)는 상기 클럭 선택 신호 GPIO_CLK_SEL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715)가 메인클럭(MAIN CLK)을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2스위치(717)가 상기 메인 클럭을 상기 제어기(711)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클럭이 상기 단말기 동작을 위한 기준 클럭(reference clock)이며, 상기 제어기(711)는 상기 제2스위치(717)로부터 상기 메인클럭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아이들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음을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711)는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로 이네이블 신호 "PLL_EN"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는 상기 이네이블 신호 PLL_EN에 상응하여 이네이블하고,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는 이네이블 됨에 따라 상기 메인 클럭이 외부의 이중 위상 동기 루프(dual PLL)(721)의 클럭 "CLK"로 제공된다. 상기 클럭 CLK를 제공받은 이중 위상 동기 루프(721)는 무선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에 동기하여 해당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락(lock)한다.
한편, 상기 클럭 선택기(713)는 상기 제어기(711)에서 출력한 모드 제어 신호가 퀵 페이징 모드 신호일 경우에는 슬립 클럭(sleep clock)을 선택하는 클럭 선택 신호 "REF_CLK_SEL"를 상기 제1스위치(715) 및 제2스위치(71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슬립 클럭은 상기 메인 클럭에 비해 빠른 주기를 가지는 클럭이다. 상기 제1스위치(715)는 상기 클럭 선택 신호 REF_CLK_SEL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715)를 상기 슬립 클럭을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하고, 상기 제2스위치(717)는 상기 슬립 클럭을 상기 제어기(711)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711)는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시점에서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로 이네이블 신호 PLL_EN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711)는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721)의 클럭(CLK)을 제공한 후에는 다시 상기 제1스위치(715) 및 제2스위치(717)로 클럭 신호 GPIO_CLK_SEL을 출력하여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로 상기 메인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711)는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퀵 페이징 모드에서만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721)의 클럭(CLK)으로서 상기 슬립 클럭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GPIO 위상 동기 루프(719)는 상기 이네이블 신호 PLL_EN에 상응하여 이중 위상 동기 루프(721)의 클럭 CLK로 제공하고, 상기 클럭 CLK를 제공받은 이중 위상 동기 루프(721)는 무선 주파수 및 중간 주파수에 동기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락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가 퀵 페이징 모드에서 빠른 시간내에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게 가능하게 되고,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으로 인한 동작시간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슬립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가 퀵 페이징 모드에서 빠른 시간내에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으로 인한 동작 시간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슬립 전류 소모를 최소화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4)

  1.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2모드로 동작할 때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1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제1주기보다 소정 주기 빠른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상기 제2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선택한 클럭에 따라 동작시작하며,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주파수로 동기하는 이중 위상 동기 루프와,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에서 동기된 주파수들로 발진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된 주파수들에 동기하여 순방향 퀵 페이징 채널을 통해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파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동작 클럭을 상기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으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퀵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모드와, 상기 제1모드가 아닌 제2모드중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할 경우의 동작 클럭인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보다 소정 주기 빠른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을 동작 클럭으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2주기를 가지는 클럭에 동기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타임 슬럿에서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명령을 이중 위상 동기 루프로 전송하여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락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위상 동기 루프가 상기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위한 주파수로 락됨을 감지하면 상기 동작 클럭을 상기 제1주기를 가지는 클럭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2-0016741A 2001-03-27 2002-03-27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54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6000 2001-03-27
KR1020010016000 2001-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89A KR20020076189A (ko) 2002-10-09
KR100454941B1 true KR100454941B1 (ko) 2004-11-06

Family

ID=1970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7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4941B1 (ko) 2001-03-27 2002-03-27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28293B2 (ko)
KR (1) KR100454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377B2 (en) * 2004-06-10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42444B2 (en)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55552B2 (en)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20090156207A1 (en) 2005-10-27 2009-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ssion of an access prob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90207790A1 (en)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60617B1 (en) * 2006-02-09 2014-02-25 Marvell World Trade Ltd. WiMAX enhanced sleep mode
KR101248205B1 (ko) * 2006-02-14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무선접속시스템의 슬립 및 아이들모드에서의동기획득 장치 및 방법
JP4982260B2 (ja) * 2006-06-20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ルス変調回路
US8244280B2 (en) * 2006-09-05 2012-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figuring a page message used to page an access termina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ursuant to a partial identity comparison scheme
CN101282189B (zh) 2007-04-06 2011-03-23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时钟同步方法、系统及终端
US8340009B1 (en) * 2010-01-06 2012-12-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a quick paging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18266A (ko) 2010-08-20 201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증폭기 소모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767055B1 (ko) * 2019-01-25 2025-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304A (ja) * 1995-05-09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端末
KR19980071815A (ko) * 1997-02-28 1998-10-26 롤랜드 핵버트 무선 전화기 및 cdma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슬롯 페이징
KR0153351B1 (ko) * 1994-06-30 1998-11-16 가네꼬 히사시 평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페이징 수신기
WO1998054919A2 (en) * 1997-05-30 1998-12-03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a wireless terminal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74036B1 (ko) * 2001-03-06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하기 위한위상동기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410A (en) * 1976-11-08 1978-05-23 Zenith Radio Corporation Frequency and phase lock loop synchronous detecting system having a pair of phase lock conditions
US5638054A (en) * 1980-10-01 1997-06-10 Motorola, Inc. Paging receiver with modifiable features or functions
US4618996A (en) * 1984-04-24 1986-10-21 Avnet, Inc. Dual pilot phase lock loop for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FI942753A7 (fi) * 1994-06-10 1995-12-11 Nokia Corp Menetelmä jänniteregulaattorin sisältävän elektronisen laitteen tehonkulutuksen pienentämiseksi
US5594776A (en) * 1994-09-14 1997-01-14 Ericsson Inc. Efficient paging system
JPH10190568A (ja) * 1996-12-27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
US6111865A (en) * 1997-05-30 2000-08-29 Qualcomm Incorporated Dual channel slotted paging
US6421540B1 (en) * 1997-05-30 2002-07-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tandby time using a quick paging channel
US6044069A (en) * 1997-10-29 2000-03-28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station
JP2000083282A (ja) * 1998-09-07 2000-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装置
JP2000244351A (ja) * 1999-02-19 2000-09-08 Fujitsu Ltd 受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6687285B1 (en) * 1999-03-19 2004-0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the performance of a quick paging channel in a dual event slotted paging system
US6300864B1 (en) * 1999-03-31 2001-10-09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6526295B1 (en) * 1999-10-14 2003-02-25 Ericsson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728300B1 (en) * 2000-02-11 2004-04-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standby time in remote stations configured to receive broadcast databurst messag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351B1 (ko) * 1994-06-30 1998-11-16 가네꼬 히사시 평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 페이징 수신기
JPH08307304A (ja) * 1995-05-09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端末
KR19980071815A (ko) * 1997-02-28 1998-10-26 롤랜드 핵버트 무선 전화기 및 cdma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슬롯 페이징
KR100263410B1 (ko) * 1997-02-28 2000-08-01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무선 전화기 및 cdma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슬롯 페이징모드를 위한 클럭 교정 방법
WO1998054919A2 (en) * 1997-05-30 1998-12-03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a wireless terminal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74036B1 (ko) * 2001-03-06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하기 위한위상동기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8293B2 (en) 2005-08-09
US20020142785A1 (en) 2002-10-03
KR20020076189A (ko)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9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US62892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JP3199039B2 (ja) 消費電力低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消費電力低減方法
KR100263410B1 (ko) 무선 전화기 및 cdma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슬롯 페이징모드를 위한 클럭 교정 방법
KR20010071937A (ko) 슬롯 페이징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장치에서 어웨이크시간을 감소시키는 기술
US6330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US6574200B1 (en) CDMA receiver comprising a synchronous timing notifying section capable of reaching low consumption of current
JPH0819028A (ja) Pllシンセサイザ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308513B1 (ko) 자동 주파수 제어 처리 방법
JP2003338771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6731911B1 (en) Method of performing automatic frequency control in mobile station in waiting mode
EP1217738B1 (en) Mobile station capable of performing automatic frequency control
US58783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ly operating a receiver
KR1003740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퀵 페이징 메시지 수신하기 위한위상동기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3154624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装置
JP2000341188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687135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クロック制御方法
JP3974428B2 (ja) 移動通信端末
KR100435557B1 (ko) Rf-모듈의 전원 공급방법
KR100763372B1 (ko) 듀얼밴드 단말기의 전류소모 감소 회로
JP2001127599A (ja) 基準クロック生成回路および携帯機
JP2000068874A (ja) 無線受信装置およびその間欠受信方法
JP2001016162A (ja) 間欠受信装置および間欠受信方法
JPH08223063A (ja) 間欠受信装置
JPH07322364A (ja) 住宅設備機器などのリモコ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0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02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