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1763B1 - 콘크리트 급결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급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763B1
KR100461763B1 KR10-2001-0065841A KR20010065841A KR100461763B1 KR 100461763 B1 KR100461763 B1 KR 100461763B1 KR 20010065841 A KR20010065841 A KR 20010065841A KR 100461763 B1 KR100461763 B1 KR 10046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mass ratio
range
fastener
predetermined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734A (ko
Inventor
허권
최홍식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주)아텍스
주식회사 화진정밀화학
허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텍스, 주식회사 화진정밀화학, 허권 filed Critical (주)아텍스
Priority to KR10-2001-006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or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1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or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7Nitr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2Set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4Natural resins, e.g. ro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지하 구조물의 건설이나 터널의 시공 현장에서 유기물에 의해 콘크리트의 급결 현상을 유도하기 위한 콘크리트 급결제를 약산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여 인체 유해성을 제거하고, 환경 침해 요인을 경감시키고, 구조물의 사후 관리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급결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산성의 콘크리트 급결제는 질량비로 황산반토 또는 질산 알루미늄 20∼60%와 물 20∼6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에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질량비로 2∼2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급결제{Materials of weak acidic shotcrete admix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급결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 구조물의 건설이나 터널의 시공 현장에서 유기물에 의해 콘크리트의 급결 현상을 유도하기 위한 콘크리트 급결제를 약산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여 인체 유해성을 제거하고, 환경 침해 요인을 경감시키고, 구조물의 사후 관리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급결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된 표면을 콘크리트로 도포하여 작업시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급결제는 생콘크리트와 급결제를 혼합하여 벽체나 천장 등에 분사시켜 부착할 때 사용된다. 분사되어 부착된 생콘크리트는 수분내에 1차 응결현상이 진행되어야하며 20분 내에 2차 응결현상이 일어나서 벽체나 천장 등에서 탈착현상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응결현상이 이와 같이 빠른 시간 내에 진행되어야하는 이유는 분사된 콘크리트가 탈착되는 양이 최소화 되어야하며 분사되어 부착된 후에도 덩어리 떨어짐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급결제는 시멘트가 수화될 때 생성되는 수많은 종류의금속 양이온과 반응하여 응결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어야하며 응결이 일어난 후 강도 증진현상이 진행되어야한다. 그러나, 많은 급결제 제품들이 콘크리트의 초기응결 현상은 쉽게 진행되도록 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 장기 강도 증진 현상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급결제로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이나 실리콘산 나트륨 염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들 물질은 모두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런 물질을 이용하여 터널이나 기타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면 인체에 묻거나 호흡기 등으로 흡입될 가능성이 크다. 강한 염기성의 물질은 인체와 비누화 반응을 일으켜 심각한 해를 입힐 수도 있다.
한편, 뿌림칠로 급결제가 혼합된 콘크리트를 부착시킬 때 콘크리트 내에 있는 굵은 골재나 잔골재 등이 일부 탈착될 수 있다. 이렇게 굵은 골재나 잔골재가 상대적으로 적게 부착된 콘크리트 내에는 시멘트의 분율이 커지는 결과가 된다. 시멘트는 자체로서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므로 일부 골재가 알칼리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면 알칼리 골재 반응이 쉽게 진행되어 콘크리트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더군다나 여기에 급결제가 강한 염기성인 경우 이와 같은 알칼리 골재 반응이 촉진될 수 있다. 국내에서 채취되는 골재 중에는 이와 같은 알칼리 골재 반응이 진행되어 구조물 자체에 심각한 영향을 준 경우가 드물지만 해외에서 채취되는 골재 중에는 반듯이 이런 알칼리 골재 반응을 거쳐 타설하도록 명문화 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이유로 콘크리트 급결제가 중성 혹은 약산성의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나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이나 실리콘산 나트륨 염으로 만들어진 급결제는 물과 오랜 시간 접촉되어 있을 때 용해되어 유출되므로써 구조물 근처의 하수구나 배수구의 막힘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강한 염기성 물질의 사용은 환경이나 구조물의 사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강한 염기성의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이나 실리콘산 나트륨 염계의 콘크리트 급결제에서 나타나는 인체 유해성을 제거하고, 종래의 강한 염기성의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이나 실리콘산 나트륨 염계의 콘크리트 급결제에서 나타나는 알칼리 골재 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며, 종래의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이나 실리콘산 나트륨 염계의 콘크리트 급결제에서 발생하는 타설면에서 수분이나 지하수 등에 의해 용해, 용출 되어 배수구나 하수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급결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질량비로 황산반토 또는 질산 알루미늄 20∼60%와 물 20∼6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에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질량비로 2∼2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급결제에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Magnesium Silicate)를 질량비로 0.2∼5% 및 글리세린을 질량비로 0.1∼2%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급결제에는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이 0.1∼10% 범위내에서 첨가되거나, SBR 라텍스가 0.1∼20% 범위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급결제에서 콘크리트의 급격한 응결현상 진행을 시멘트 내에 존재하는 많은 이온과 실리콘산 이온이나 알루미늄산 이온간의 급격한 반응을 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유기물에 의해 급결현상을 유도하여 1차 및 2차의 응결로 콘크리트의 부착을 유발하고 이후 장기적인 강도 유발을 위하여 물과 알루미늄 이온을 혼합하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물과 알루미늄 이온 이외의 첨가물은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공업용 유기물과 공업용 무기물이 수용액 상태로 혼합될 때 일부 불순물 등에 의해 침전이 생성되고, 생성된 침전이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침전형성에 의한 상품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를 일정비율 첨가하거나, 스타이렌 부타다이엔 라텍스(이하, SBR 라텍스)를 일정비율 첨가하여 이들 침전 물질들이 액상에서 분리되지 않고 부유된 형태로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SBR 라텍스는 분리 방지제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효과적인 침전분리 방지를 위하여 글리세린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3일 이후의 장기적인 강도 발현이 이루어지도록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을 일부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급결제는 초기 콘크리트 급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사용하고 초기 콘크리트 급결 현상 이후 강도 증진 효과를 위해 Al+ 이온이 함유된 황산반토(Al2(SO4)3) 또는 질산 알루미늄(Al(NO3)3)과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을 물에 용해한다.
먼저, pH가 2∼5의 약산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황산반토(Al2(SO4)3) 또는 질산 알루미늄(Al(NO3)3)과 물(H2O)을 각각 20~60% 범위내에서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질량비로 황산반토(Al2(SO4)3) 또는 질산 알루미늄(Al(NO3)3) 42%를 질량비 42%의 물에 용해 시킨다.
여기에, 질량비로 2~20%의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바람직하게는 10%를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이때, 충분히 저어주어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이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여기에, 공업용 유기물과 공업용 무기물수용액 상태로 혼합될 때 일부 불순물 등에 의해 침전이 생성되고, 이 침전이 굳어지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 보관시 침전을 방지하고, 액체 성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를 질량비로 0.2~5%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2.2%를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여 혼합물내에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가 미세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는 SBR 라텍스로 대용될 수도 있고, SBR 라텍스와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를 혼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액상의 혼합물에 3일 이후의 장기적인 강도 발현이 이루어지도록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이 질량비로 0.1~10%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2% 첨가되거나, .침전 분리 방지를 위하여 글리세린을 질량비로 0.1~2%, 바람직하게는 0.3%첨가한다.
또한, 혼합물내에서 부유물질의 침전에 의한 분리를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키기 위한 스타이렌 부타다이엔 라텍스(SBR Latex)를 질량비로 0.1~20% 바람직하게는 1.5% 첨가하여 콘크리트 급결제를 완성한다.
결과 및 고찰
완성된 재료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급결제의 실험에 많이 사용되는 길모아 시험법(Gill More Test)에 의해 시험 관찰되었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강한 염기성의 알루미늄산 나트륨 염계의 급결제가 갖는 1차 응결(초결) 시간이 5분 정도, 2차 응결(종결) 시간이 15분 정도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급결제는 1차 응결(초결) 시간이 3분 정도, 2차 응결(종결) 시간이 9분 정도로 나타나 종래 사용되던 급결제에 비해 응결 시간에서 우수함을 보였다.
한편 콘크리트 급결제에서 중요시 되는 1일 강도에 있어서도 종래의 급결제가 가지고 있는 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실제 현장 타설에서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H에 있어서는 종래의 콘크리트 급결제가 11∼13의 높은 pH 값을 나타내므로서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급결제는 pH가 2∼5를 나타내어 약한 산성임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약산성의 콘크리트 급결제는 황산반토(Al2(SO4)3) 또는 질산 알루미늄(Al(NO3)3),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 또는 SBR 라텍스, 글리세린,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콘크리트 급결제를 생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생산되는 약산성의 콘크리트 급결제는 pH가 2~5의 약산성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하수구나 배수구의 막힘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잇점이 있다. 특히 알칼리 골재반응으로 구조물에 치명적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저항성을 갖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질량비로 황산반토 또는 질산 알루미늄 20∼60%와 물 20∼6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에 디에타놀아민(Diethanolamine) 또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을 질량비로 2∼20%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급결용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급결용 혼합물에 천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Magnesium Silicate)를 질량비로 0.2∼5% 및 글리세린을 질량비로 0.1∼2%의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고, 질량비로 포름산 칼슘(Calcium Formate)을 0.1∼10%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며, 질량비로 SBR 라텍스를 0.1∼20% 범위내에서 일정량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급결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65841A 2001-10-25 2001-10-25 콘크리트 급결제 Expired - Lifetime KR10046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841A KR100461763B1 (ko) 2001-10-25 2001-10-25 콘크리트 급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841A KR100461763B1 (ko) 2001-10-25 2001-10-25 콘크리트 급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734A KR20030033734A (ko) 2003-05-01
KR100461763B1 true KR100461763B1 (ko) 2004-12-14

Family

ID=2956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841A Expired - Lifetime KR100461763B1 (ko) 2001-10-25 2001-10-25 콘크리트 급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12B1 (ko) 2010-11-18 2011-11-15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91B1 (ko) * 2002-05-07 2005-03-08 주식회사 티아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급결제
ITBO20130366A1 (it) * 2013-07-15 2015-01-16 Elas Geotecnica Srl Prodotto accelerante privo di alcali per conglomerati cementiz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2812A1 (en) * 1996-06-14 1997-12-17 Mbt Holding Ag Concrete spraying additives
KR20000052720A (ko) * 1996-10-25 2000-08-25 에. 로싸토, 크리스토프 아. 홀렌에르트 수경 결합제용 고화 및 경화 촉진제
JP2001130935A (ja) * 1999-10-29 2001-05-15 Katekkusu:Kk コンクリート急結剤
JP2001261393A (ja) * 2000-03-24 2001-09-26 Denki Kagaku Kogyo Kk セメント急結剤、それを用いた急結性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4470A (ja) * 2000-04-10 2001-10-23 Denki Kagaku Kogyo Kk 吹付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2812A1 (en) * 1996-06-14 1997-12-17 Mbt Holding Ag Concrete spraying additives
KR20000052720A (ko) * 1996-10-25 2000-08-25 에. 로싸토, 크리스토프 아. 홀렌에르트 수경 결합제용 고화 및 경화 촉진제
JP2001130935A (ja) * 1999-10-29 2001-05-15 Katekkusu:Kk コンクリート急結剤
JP2001261393A (ja) * 2000-03-24 2001-09-26 Denki Kagaku Kogyo Kk セメント急結剤、それを用いた急結性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4470A (ja) * 2000-04-10 2001-10-23 Denki Kagaku Kogyo Kk 吹付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吹付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012B1 (ko) 2010-11-18 2011-11-15 주식회사트라이포드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WO2012067304A1 (ko) * 2010-11-18 2012-05-2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실리케이트-포르메이트계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734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774A (en) Process for accelerating the setting and hardening of material which contains a hydraulic binder, setting and hardening accelerator and use of a mixture for accelerating the setting and hardening
CN104211313B (zh) 一种磷石膏基胶凝材料及在矿山尾矿充填中的应用
Zhu et al. Effect of chloride salt type on chloride binding behavior of concrete
Wang et al. Damaging effects of deicing chemicals on concrete materials
CA2211408C (en) Improved corrosion inhibiting formulations with calcium nitrite
CA2819094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mentitious compositions
CA2646655C (en) Grouting material
CN109879642A (zh) 一种防锈混凝土及其制作方法
EP2762545A1 (de) Zweikomponentige, flexible und schnell aushärtende Kombinationsabdichtung zur Abdichtung von Bauwerken, Dächern und zur Reparatur von Verkehrsflächen
KR100461763B1 (ko) 콘크리트 급결제
JPS581068B2 (ja) コンクリ−ト混合物またはモルタル混合物
KR0134253B1 (ko) 산업폐기물 및 토양혼합물의 경화방법
CN107021706A (zh) 自防水混凝土
DE19501100C2 (de) Spritzbetonbindemittelmischung
CA2018321A1 (en) Admixture for concrete mixes
US4762561A (en) Volume-stable hardened hydraulic cement
US3087825A (en) Corrosion-resistant cementitious mineral build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ductionof the same
JP3952834B2 (ja) アルカリ性泥土の処理方法及びアルカリ性泥土の改質剤
Saussaye et al. Influence of anions on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s treated with hydraulic binders: Individual and coupling effects
KR102131123B1 (ko) 차수특성을 보유하는 복합 주입재를 이용하는 표준화 품질관리 시스템 적용 그라우팅공법
Rakhimbaev et al. Improving the cement systems corrosion resistance based on clogging theory
FR2742432A1 (fr) Accelerateur de rigidification, coulis pour l'etancheification et/ou la consolidation de sols et de materiaux de construction concernant un tel accelerateur, procedes mettant en oeuvre un tel coulis
JPH0542388B2 (ko)
Saussaye et al. Soils treatment with hydraulic binders: physicochemical and geotechnical aspects
JP7651396B2 (ja) 地盤改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42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