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5211B1 -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211B1
KR100485211B1 KR10-2002-0078935A KR20020078935A KR100485211B1 KR 100485211 B1 KR100485211 B1 KR 100485211B1 KR 20020078935 A KR20020078935 A KR 20020078935A KR 100485211 B1 KR100485211 B1 KR 10048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ll joint
dimensional
connection lever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339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filed Critical 최윤석
Publication of KR2003004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339A/ko
Priority to AU200328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3282453A1/en
Priority to PCT/KR2003/002616 priority patent/WO20040524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가 요구하는 3차원 운동성 궤적의 안전성에 도달할 수 있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에서 볼죠인트의 구성에 한계, 즉 볼죠인트 요동각도의 한계로 인한 기기구성의 안전성을 도출하고 인체가 요구하는 보다 다양한 3차원 궤적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4) 상에 제1링크(2)와 제2링크(3)를 각각 소정의 각도로 축고정하고 제3링크(7)는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에 각각 볼죠인트(8,9)로 연결하며, 제4링크(16)의 일단은 상기 제3링크(7)의 일측에 연결레버A(12)와 볼죠인트(14)로 연결하고 타단은 제1링크(2) 또는 제2링크(3)의 소정 부위의 연결레버B(13)와 볼죠인트(15)로 연결하되, 이 때 볼죠인트축(17)은 제3링크(7)의 각운동방향과 일치하도록 하며 볼죠인트(8,9,15) 또한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각운동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결국 제4링크(16)의 양단의 볼죠인트축(18,19)은 서로 직교에 가까운 축구성을 이루어야 볼죠인트의 요동각 범위에 들어갈 수 있어 발판(19) 또는 손잡이의 궤적 범위가 안정된 3차원의 궤적을 안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운동수행자가 제3링크(7) 상에 형성된 손잡이 또는 발판(19)을 움직일 경우 제1링크(2)와 제3링크(3)가 이루는 각도 차이에 의한 거리변화에 의해 제3링크(7)에서의 비틀림으로 3차원 궤적을 안출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1링크(2) 또는 제2링크(3)에서 제3링크(7)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죠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 죠인트를 사용하여 제3링크(7)의 축고정을 유도하고 제3링크(7)에는 베어링하우징(21)을 축고정하여 베어링하우징과 손잡이 또는 발판(19)이 부착되어 볼죠인트(8,9)의 요동각 한계를 극복하여 80° 이상의 비틀림을 안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인체근육의 운동성에 보다 부합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로써 많은 초보자에게 운동의 적응에 뛰어난 집중력을 가져오게 하여 누구나 자신의 목표근육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국민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는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3 Dimensional sporting equipment for anaerobic exercise}
본 발명은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기존 2차원 운동성의 한계를 극복, 보완하기 위해 링크간의 각도차이에 의한 길이 변화를 이용해 제3링크에서 3차원 비틀림 궤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기존에도 볼죠인트를 사용하여 3차원 비틀림 궤적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는 볼죠인트가 허용하는 요동각도 범위(40°∼50°)가 있어 인체가 요구하는 적절한 궤적을 안출하기에는 많은 한계성을 갖고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 중 미국 특허 제 5769757 호와 본원 발명자가 선출원한 4절링크를 이용한 특허(출원번호: 10-2001-0078712)가 볼죠인트의 축 구성의 한계로 인체가 요구하는 최대 비틀림 범위 80°~90°이상을 안출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제4링크 또는 보조링크의 볼죠인트축 구성은 상호 직교에 가깝게 배여 또는 배치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제 1,2링크와 제3링크에 연결된 손잡이 또는 발판의 비틀림도 볼죠인트의 요동각도에 많은 한계성을 노출하므로 제3링크와 비틀림 축은 이원화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선 제3링크는 축으로만 기능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 +자 죠인트와 볼죠인트의 구성이 필요하게 되고 제3링크의 베어링하우징은 손잡이 또는 발판과 연결되며 이를 비트는 연결레버를 일측에 부착하여 제4링크와 연결하고 이때 또한 볼죠인트의 배열은 서로 직교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즉, 인체가 요구하는 거대 범위의 비틀림이 기기 구성의 한계로 인해 제한되었던 기존의 것을 극복하는 대안이 제시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체의 3차원 운동성에 부합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볼죠인트를 사용한 4절링크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3차원 궤적을 손잡이 또는 신체접촉부에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제3링크에서 원호운동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링크의 원호운동은 제3링크가 연결하는 제1링크 또는 제2링크가 제3링크와의 측면 각도 변이를 이용하여 제3링크의 원호운동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본원 발명자는 웨이트 트레이닝 효율 및 신체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 대해 선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1-0078712) 한 바 있다.
상기 선 특허출원의 경우 제4링크에서 볼죠인트와 축구성이 볼죠인트의 요동각 변이에 대한 접근이 없이 인체가 요구하는 비틀림 각도(80° 이상)의 접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부분이 많았다.
그래서 기존의 상용 볼죠인트의 요동각 범위 40∼50° 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볼죠인트의 축구성은 본원 발명자의 선 출원 특허(출원번호: 10-2002-0030449)와 같이 상호 직교에 가까운 구성이 되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선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1-0078712)에서 제3링크를 연결하는 볼죠인트 또한 요동각의 한계성으로 인해 그 비틀림의 가동범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볼죠인트 만으로의 구성에서 볼죠인트와 +자 죠인트의 구성으로 축고정을 이룬 후 제3링크를 축으로 하는 베어링하우징의 설치로 무한 범위의 각운동을 허용하고 베어링하우징은 손잡이 또는 발판이 연결되고 제4링크의 단부에 볼죠인트와 레버가 연결되도록 한다.
즉, 기존의 선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1-0078712)에서 노출한 비틀림 범위의 제약성을 극복하는 수단이 필요한 바, 그 수단으로 볼죠인트 요동각을 감안한 적절한 배열과 배치가 필요하고, 볼죠인트를 +자 죠인트로 대체할 경우 그에 따른 추가적인 수단을 제시하여 인체가 요구하는 적정의 비틀림 각도(80° 이상)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무산소 운동 시에 신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는 무산소 운동기구의 기본적인 매커니즘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를 제시코자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2차원 운동성의 한계를 극복 보완하여 인체가 요구하는 3차원 운동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4절링크(1) 기본 구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접근한 것으로써, 이를 이하에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4절링크(1)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여기에서 확인되듯이 제1링크(2)와 제2링크(3)는 베이스프레임(4) 상에 축설치된 샤프트(5,6)에 축고정되어 상호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2)의 상부와 제2링크(3)의 상부를 제3링크(7)의 양단에 고정된 볼죠인트(8,9)로 연결하되, 상기 볼죠인트(8,9)는 제1링크(2)와 제2링크(3)를 각운동 가능토록 축지지하고 있는 샤프트(5,6)의 축방향과 유사하게 볼죠인트축(10,11)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3링크(7)의 일측에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A(12)의 타단과, 제2링크(3)의 중간부위에서 제1링크(2)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B(13)의 타단에는 볼죠인트(14,15)를 사용하여 제4링크(16)를 연결하되, 상기 볼죠인트(14)와 연결레버A(12)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7)은 제3링크(7)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고, 그리고 연결레버B(13)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8)은 제1,2링크(2,3)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구성함으로써 제4링크(16) 양단의 볼죠인트축(17,18)은 상호 직교에 가깝도록 하는 것이다.
연결레버B(13)의 일단은 제2링크(3)에 고정되어 있지만, 제1링크(2)에 고정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죠인트(14,15)는 +자 죠인트(도시치 아니함)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9는 제3링크(7)에 연결되는 발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갖는 4절링크(1)의 기본 구성에 의해 신체 접촉부 손잡이나 발판이 움직일 때 제1링크(2)와 제2링크(3)는 각운동을 각도 α,α'와 β,β'로 행하게 되며, 이때 제1링크(2) 또는 제2링크(3)에 부착된 연결레버A(12)가 각운동을 하도록 하여 손잡이나 발판이 소정의 각도로 각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메커니즘과 일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일단은 베이스프레임(4)상에 각각 α,α'와 β,β'의 각도로 샤프트(5)로 각운동 가능하게 축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상부는 발판(19)을 구비한 제3링크(7)에 볼죠인트(8,9)로 연결되며, 이때 볼죠인트(8,9)의 볼죠인트축(10,11)은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각운동 방향과 유사해야 하고 제4링크(16)의 일단은 상기 제3링크(7)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레버A(12)에 볼죠인트(14)로 연결하며, 이때 볼죠인트축(17)은 연결레버A(12)의 각운동 방향과 유사하도록 하며, 제4링크(16)의 하단은 제1링크(2) 또는 제2링크(3)에 부착된 연결레버B(13)가 볼죠인트(15)로 연결되고, 이때 볼죠인트축(18)은 연결레버B(13)가 부착된 제2링크(3)와 유사하도록 하여 볼죠인트의 특성인 요동 각도의 한계에 간섭을 최대한 받지 않도록 하여, 인체가 원하는 3차원 궤적에 접근성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볼죠인트(14)는 +자 죠인트로 대체할 수 있으며, 제4링크의 위치는 기능상에 문제가 없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사이가 아닌 밖에도 장치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1b에서와 같이 B의 위치에서 상기 제1링크(2)와 제3링크(7)가 이루는 각(α)의 크기에 제1링크(2)와 제3링크(7) 상에 형성된 연결레버A(12)와 연결레버B(13)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어 결국 연결레버A(12) 각운동을 일으켜 제3링크(7)에 부착된 발판(19)이 각운동을 하게 되어 3차원 궤적을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개념에서 발판(19)에 보다 많은 각운동을 안출하기 위한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일단은 베이스프레임(4) 상에 각각 α,α'와 β,β '의 각도로 샤프트(5,6) 상에 축고정되어 상호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상단은 볼죠인트(8)와 +자 죠인트(20)를 사용하여 제3링크(7)와 연결하며, 이때 제3링크(7)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4링크(16)의 양단은 제3링크(7)에 베어링하우징(21)으로 연결된 연결레버A(12)의 일단과 제2링크(3)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B(13)의 타단에 직교로 구성되게 볼죠인트(14)와 볼죠인트(15)를 사용하여 각각 연결함으로써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각운동시 제3링크(7)와의 거리 차로 적용하여 베어링하우징(21)의 각운동을 연결레버A(12) 타단에 설치된 발판(19)에서 3차원 궤적을 안출하도록 한다.
이때 베어링하우징(21)은 각운동의 범위가 360° 이므로 도 1의 개념에서 볼죠인트(8,9)의 요동각 한계를 극복할 수가 있으며, 발판(19)의 각도변이가 측면, 정면, 평면상의 3중 변이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볼죠인트(14)는 +자 죠인트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은 도 2의 개념을 응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1링크(2)와 제2링크(3)가 베이스프레임(4)상에 동일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샤프트(5,6)에 축고정되어 상호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상단은 베어링하우징(22,23)을 고정하여 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설치된 핀(24,25) 상간에 제3링크(7)를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7)에는 베어링하우징(21)에 의해 설치된 발판(19) 일체형의 연결레버A(12)를 설치하여 발판(19)과 연결레버A(12)는 독립적으로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제4링크(16)의 양단을 연결레버A(12)와 연결레버B(13)가 직교 되도록 각각 볼죠인트(14,15)로 연결하여 3차원 궤적을 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특히 구성이 단순하여 내구력은 높으나, 발판(19)의 각도변이를 측면과 정면상의 2중 변이만 안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죠인트(14)는 역시 +자 죠인트로 대체할 수 있다.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베이스 프레임상에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수직으로 직설하되, α,α'와 β,β'로 각운동이 되는 샤프트에 축고정되게 설치한 후,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상부는 제3링크에 의해 연결되게 하는데, 이 때 연결되는 부위에 볼조인트 또는 십자조인트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원활한 각운동을 위해 베어링 하우징을 형성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설치된 핀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상기 제3링크의 소정의 부위에 제4링크와 연결하는 연결레버A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레버A는 제3링크와 수직되게 형성하여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제3링크에 형성된베이링 하우징에 수직되게 형성하여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제4링크는 연결레버A와 연결레버B에 의해 제3링크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 연결레버B는 제1링크 또는 제2링크에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링크의 상측은 제3링크에 형성된 연결레버A에 볼조인트로 연결되며, 이 때 볼조인트축은 연결레버A의 각운동방향과 유사하도록 하며, 하측은 제1링크 또는 제2링크에 수직으로 형성된 연결레버B에 볼조인트로 연결되게 하되, 이 때 볼조인트축은 연결레버B가 부착된 제2링크와 유사한 각운동이 발생하여 볼조인트의 특성인 요동각도의 한계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링크의 양측은 제3링크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으로 연결된 연결레버A의 일측과 제2링크에 수직되게 형성된 연결레버B에 수직되게 구성하여 볼조인트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각운동시 제3링크와의 거리차를 적용하여 베어링 하우징의 각운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상기 제3링크의 소정의 부위 또는 제3링크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에 'ㄴ'자 형태의 연결대를 형성하여 일측에 발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3링크의 각운동에 의해 발판이 각운동을 하게 되어 3차원 궤적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이 이루어져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샤프트에 축고정된 제1링크와 제2링크가 도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와α'의 각도로 각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3링크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제2링크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레버B의 일측은 제2링크의 각운동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된다.제4링크의 하측은 연결레버B의 상승하는 각운동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되어 제4링크의 상측에 연결된 연결레버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연결레버A가 형성된 제3링크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때 상게 제3링크에 'ㄴ'자 형태의 연결대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비틀림을 발생하게 되어 3차원의 궤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4절링크를 이용하여 제1,2링크에 의한 각운동시, 사용자의 발이 맞닿는 발판이 제1,2링크의 각운동에 종속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면서 3차원 궤적의 비틀림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가 요구하는 궤적을 통해 목표 근육에 보다 더 근접하여 집중적인 단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4절링크(1)와 단축 원호운동에서 제1∼4링크(2,3,7,16)간 각도 변이에 따른 거리차이를 이용하여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의 비틀림을 도출하여 3차원 궤적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한 단축개념과는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단축에서는 손잡이링크의 축구성이 고정된 형상의 궤적을 안출하지만 본 발명의 4절링크(1)는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각도 α,α'와 β,β'가 상이한 경우 도출되는 여러 궤적의 형상은 인체가 요구하는 또 다른 궤적을 안출할 수가 있다.
즉, 궤적의 변이가 2중각을 갖춘 단순 3차원에서 3중각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렉프레스의 경우 발판(19)의 정면에서의 각운동은 최초의 비틀림현상으로 안출하고 발판(19)의 측면에서의 각운동은 4절링크(1)의 특성을 이용하며 발판(19)의 평면에서의 각운동은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축구성 각도차를 안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4절링크(1)의 3차원 궤적은 비록 단축에 비해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지만 인체가 요구하는 궤적을 안출하는 필수적인 도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출원에서는 기기 구성의 이용에 한계성을 노출하고 있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된 3차원을 위한 추가 구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많은 한계성을 극복하여 4절링크에서 안출하는 3차원 궤적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것이며, 많은 초보자에게 운동의 적응에 뛰어난 집중력을 가져오게 하여 누구나 자신의 목표근육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국민 건강에 크게 기여할 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4절링크의 기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a는 본 발명의 4절링크 작동상태를 설명키 위한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4절링크 작동상태를 설명키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4절링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4절링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4절링크를 적용한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4절링크 2:제1링크
3:제2링크 4:베이스프레임
5,6:샤프트 7:제3링크
8,9:볼죠인트 10,11:볼죠인트축
12:연결레버A 13:연결레버B
14,15:볼죠인트 16:제4링크
17,18:볼죠인트축 19:발판
20:+자 죠인트 21:베어링하우징
22,23:베어링하우징 24,25:핀

Claims (4)

  1.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인체가 원하는 3차원 궤적을 이끌어내기 위한 4절링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4)에는 전후 샤프트(5,6)와 축고정되어 각운동 가능한 제1,2링크(2,3)를 설치하고,
    상기 제1,2링크(2,3)의 상단부를 제3링크(7)의 양단에 고정된 볼죠인트(8,9)로 연결하되, 상기 볼죠인트(8,9)는 샤프트(5,6)의 축방향과 동일하게 볼죠인트축(10,11)을 연결하며,
    상기 제3링크(7)의 일측에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A(12)의 타단과, 제2링크(3)의 중간부위에서 제1링크(2)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B(13)의 타단에는 볼죠인트(14,15)를 사용하여 제4링크(16)를 연결하되,
    상기 볼죠인트(14)와 연결레버A(12)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7)은 제3링크(7)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고,
    상기 연결레버B(13)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8)은 제1,2링크(2,3)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여 제4링크(16) 양단의 볼죠인트축(17,18)은 상호 직교가 되도록 하며,
    상기 제3링크(7)에 연결된 연결레버A(12)의 일측으로는 손잡이 내지는 발판(19)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2.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인체가 원하는 3차원 궤적을 이끌어내기 위한 4절링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4)에는 전후 샤프트(5,6)와 축고정되어 각운동 가능한 제1,2링크(2,3)를 설치하고,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상단은 볼죠인트(8)와 +자 죠인트(20)를 사용하여 제3링크(7)와 연결하며, 상기 볼죠인트(8)와 +자 죠인트(20)는 샤프트(5,6)의 축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3링크(7)에 베어링하우징(21)으로 연결된 연결레버A(12)의 일단과 제2링크(3)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레버B(13)의 타단에 직교로 구성되게 볼죠인트(14,15)로 제4링크(16)를 연결하고,
    상기 볼죠인트(14)와 연결레버A(12)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7)은 제3링크(7)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고,
    상기 연결레버B(13)를 연결하는 볼죠인트축(18)은 제1,2링크(2,3)의 각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연결하여 제4링크(16) 양단의 볼죠인트축(17,18)은 상호 직교가 되도록 하며,
    상기 제3링크(7)에 연결된 연결레버A(12)의 일측으로는 손잡이 내지는 발판(19)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3.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에서 인체가 원하는 3차원 궤적을 이끌어내기 위한 4절링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4) 상에 동일 각도로 서로 평행하게 샤프트(5,6)에 축고정되어 상호 각운동 가능하게 제1,2링크(2,3)가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2)와 제2링크(3)의 상단은 베어링하우징(22,23)을 고정하여 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설치된 핀(24,25) 상간에 제3링크(7)를 연결하고,
    상기 제3링크(7)에는 베어링하우징(21)에 의해 설치된 발판(19) 일체형의 연결레버A(12)를 설치하여 발판(19)과 연결레버A(12)는 독립적으로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4링크(16)의 양단을 연결레버A(12)와 연결레버B(13)가 직교되도록 각각 볼죠인트(14,15)로 연결하며,
    상기 제3링크(7)에 연결된 연결레버A(12)의 일측으로는 손잡이 내지는 발판(19)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16)는 연결레버A,B(12,13)의 단부와 +자 죠인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KR10-2002-0078935A 2001-12-12 2002-12-11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48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3282453A AU2003282453A1 (en) 2002-12-11 2003-11-28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anaerobic exercise
PCT/KR2003/002616 WO2004052469A1 (en) 2002-12-11 2003-11-28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anaerobic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78712 2001-12-12
KR1020010078712 200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339A KR20030048339A (ko) 2003-06-19
KR100485211B1 true KR100485211B1 (ko) 2005-04-25

Family

ID=2957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5211B1 (ko) 2001-12-12 2002-12-11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464A (en) * 1995-03-01 1997-09-16 Simonson; Roy Plate-loaded shoulder press exercise machine and method of exercise
US5769757A (en) * 1996-06-21 1998-06-23 Fulks; K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e with forced pronation or supination
US5810701A (en) * 1997-06-17 1998-09-22 Northland Industries, Inc. Motion translation arrangement for exercise machine
US5971896A (en) * 1996-09-30 1999-10-26 Cybex International, Inc. Shoulder press apparatus for exercising regions of the upper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464A (en) * 1995-03-01 1997-09-16 Simonson; Roy Plate-loaded shoulder press exercise machine and method of exercise
US5769757A (en) * 1996-06-21 1998-06-23 Fulks; K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e with forced pronation or supination
US5971896A (en) * 1996-09-30 1999-10-26 Cybex International, Inc. Shoulder press apparatus for exercising regions of the upper body
US5810701A (en) * 1997-06-17 1998-09-22 Northland Industries, Inc. Motion translation arrangement for exercis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339A (ko) 200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0436B1 (en) Linkage assemblies for exercise devices
CN101108274B (zh) 带侧向摆动的位置固定的踩踏板健身器材
KR100932231B1 (ko) 체감형 운동 시뮬레이터용 운동판
US7731671B2 (en) Massaging device
US7455623B2 (en) Elliptical machine
KR100786976B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070027001A1 (en) Gymnastic machine
US20090239713A1 (en) Cyclic skating motion exercise machines
KR100485211B1 (ko)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WO1984004270A1 (en) Joint mechanism
US5938569A (en) Stepping and swinging exerciser
KR20040099067A (ko)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KR100512649B1 (ko)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US71286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exercise movements
EP2431077B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CN201052375Y (zh) 椭圆运动机
WO2004052469A1 (e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anaerobic exercise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CN101411935B (zh) 运动器材
KR100822388B1 (ko) 엘립티컬 머신
JP3148986U (ja) 腰捩り式健康器用回転板構造
JP2007143761A (ja) 肩回し関節可動域訓練用具
JP3753408B2 (ja) ゲーム機の交互入力装置
KR20210125293A (ko) 신체 운동 장치
TW202103758A (zh) 具前、後向以及側向伸展效果之攀爬機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