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7026B1 -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026B1
KR100487026B1 KR10-2002-0030561A KR20020030561A KR100487026B1 KR 100487026 B1 KR100487026 B1 KR 100487026B1 KR 20020030561 A KR20020030561 A KR 20020030561A KR 100487026 B1 KR100487026 B1 KR 100487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obis
weight
composition
foam
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759A (ko
Inventor
장세리
김화중
최해욱
오정현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밴틱스
Priority to KR10-2002-003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026B1/ko
Priority to EP03756120A priority patent/EP1532180A4/en
Priority to US10/516,485 priority patent/US7120342B2/en
Priority to AU2003215945A priority patent/AU2003215945A1/en
Priority to JP2004509724A priority patent/JP4212554B2/ja
Priority to PCT/KR2003/000550 priority patent/WO2003102035A1/en
Publication of KR2003009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0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50/00Compositions for coatings
    • C08G2150/60Compositions for foaming; Foamed or intumesc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설포늄 염 및 무기 카보네이트의 조합, 아조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광분해 발포제, (B)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 광중합성 모노머, (D) 광중합 개시제, (E) 광분해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화학 발포를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열 경화방식이나 저비중 중심체(microsphere)를 혼합한 방식에 비해 폼(foam)의 형태 및 분포가 균일하고 생산성이 높은 광섬유 코팅제와 같은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A UV CURED FOAM}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 코팅제로서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air blown fiber system)에 적용되는 섬유다발(fiber bundle) 또는 리본다발(ribbon bundle)로 사용되는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은 압축공기나 건조질소를 이용하여 튜브 케이블에 섬유 다발을 불어서 포설하는 방법으로 섬유 단위는 싱글 모드 50/125㎛나 멀티 모드 62.5/125㎛로서 통상적으로 2 내지 18개의 광섬유들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에 섬유다발 또는 리본다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량화 및 유연성이 요구된다.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의 장점은 튜브 케이블이 처음 설치할 때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셀을 포함하고 이들 셀이 간단한 푸시-피트 연결기(Push-Fit connector)로 튜브 분배 유니트들에 연결됨으로써 네트워크 허브(hub)로부터 워크스테이션, 및 다른 자리로부터 심선 하부 구조 장치들간에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튜브 분배 유니트들을 연결하여 튜브 케이블을 확장하고 필요한 셀을 공압식 섬유 골격에 연결하며, 섬유 말단 단위(Fiber Termination Unit: FTU)는 공압식 섬유 골격의 하부구조와 서버, 컴퓨터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광섬유 점퍼들을 접합시킨다.
섬유 유니트는 최고 45.72m/min(150feet/min)의 속도로,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융착 접속 없이 1828.8m(6000feet)까지 튜브 케이블에 불어서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섬유다발을 튜브 케이블 셀 바깥으로 불어서 배출할 수도 있다. 제거된 섬유다발은 포설 및 설치시에 손상되지 않았다면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최근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이 옥내용 광섬유 배선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층 빌딩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에 사용되는 섬유 유니트는, 섬유다발 또는 리본다발과 코팅층을 포함하며, 이 코팅층은 보통 상기 섬유 다발 또는 리본 다발을 고정시키는 밀착 완충 코팅층(Tight buffer coating layer)인 내부 코팅층, 저비중, 큰 표면강도 및 유연성(flexibility)을 갖춘 외부 코팅층의 두 층으로 구성된다. 초기에는 두 층 모두에 대해 사출 방식을 사용하거나, 내부 코팅층에만 자외선 경화형 코팅 방식을 사용하고 외부 코팅층에는 폴리에틸렌 사출 및 발포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사출 방식의 경우 자외선 경화 방식에 비하여 생산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자외선 경화 방식을 외부 코팅층에 적용하기 위하여 최근 저비중 중심체(microsphere)를 광경화형 수지에 혼합하여 저비중 외부 코팅층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미국 특허 제5,557,703호, 제5,563,985호, 제5,903,693호, 제5,970,195호, 제6,101,304호 및 제6,249,629호 참조). 그러나, 이 경우 작업 직전에 중심체를 섞어주어야 하고 균일한 코팅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종래의 열 경화형 발포 수지를 이용하여 폼(foam)을 발생시키거나 저비중 중심체를 인출 공정 투입 직전에 혼합하여 비중을 낮추는 대신,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별도의 사출 공정 없이 외부 코팅층의 수지 조성물을 화학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의 발포체 제조방법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적은 발포제 양으로도 쉽게 섬유의 비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체는 폼의 형태 및 분포가 균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중심체 첨가형 방법이나 열 경화형 방법과 구별되는 자외선 경화방법에 따른 발포 발포체를 얻는데 있다. 특히, 광분해 발포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에 적합한 발포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설포늄 염 및 무기 카보네이트의 조합, 아조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광분해 발포제, (B)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 광중합성 모노머, (D) 광중합 개시제, (E) 광분해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광분해 발포제로서 설포늄 염 및 무기 카보네이트의 조합, 아조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1) 광분해 발포제
광분해 발포제는 노광에 의해 산이나 H+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배출된 산이나 H+는 촉매로서 작용하여 부산물로 기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들 기체는 발포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광분해 발포제로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예시된 하기 설포늄 염은 노광에 의해 다량의 산을 배출하므로 에폭시 고리를 개환시켜 중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산에 의해 분해되는 시약, 예컨대 탄산 칼슘, 중탄산 나트륨 및 탄산 칼륨과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아조계 화합물은 200 내지 300 nm의 자외선 파장대에서 분해되는 물질로서, 개시제로 사용하면 광분해에 의해 부산물로 기체를 발생하므로 화학 발포가 가능하게 되며 그 메카니즘은 예를들면 하기 반응식 2와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조계 광분해 발포제로는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보니트릴),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아미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드), 4,4-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실)프로피온아미드], 아조벤젠, 아조비스-3급-부탄, 아조디카본아미드 등이 있다. 상기 아조계 화합물의 구조식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2,2-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2-(1-카복실)-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실부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2-프로페닐)-2-메틸프로피온아미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상기 광분해 발포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의 0.1 내지 2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발포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용해도가 떨어져 수지조성물 내에서 석출되기 때문이다.(2) 광분해 촉매
본 발명에서 상기 광분해 발포제는 광분해 촉매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분해 촉매로는 코발트(II) 아세테이트, 구리(II) 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상기 광분해 촉매는 전체 수지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 이다. 반응 촉매가 이보다 과량 첨가되면 수지 조성물이 상온에서 겔화되어 저장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3)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한편, 본 발명의 광섬유 코팅용 광중합형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i)폴리올 공중합체, (ii)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i)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iv)우레탄 반응촉매, (v)중합개시제 및 (vi)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합성되며, 전체 수지 조성물의 4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4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수축률이 증가하여 마이크로밴딩에 의한 광 손실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3)의 합성에 사용되는 조성물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이 포함된다.
(i) 폴리올 공중합체
상기 폴리올 공중합체(i)는 분자량이 100 내지 10,000이고 -CH2CH2O- 또는 -CH2CH(CH2CH3)O- 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개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개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공중합체는 선택적으로 디올 화합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디올 화합물은 폴리올 공중합체의 함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올 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상기 폴리올 공중합체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의 5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5 중량% 이다.
(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의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i)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상기 하이드록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로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코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알콜은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의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v) 우레탄 반응촉매
또한, 상기 우레탄 반응촉매는 우레탄 반응중에 소량 첨가되는 촉매로서 구리 나프테네이트,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아연 나프테네이트, n-부틸틴라우레이트, 트리스틸아민, 2-메틸트리에틸렌디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반응촉매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의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중합개시제
상기 중합개시제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파라-벤조퀴논, 페노티아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의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vi) 기타 첨가제
상기 기타 첨가제는 레벨링제, 분산제, 소포제 등의 역할을 하며, PP1362D, CP1481SF, CP1481F, PE1500F, PEW1555, PE1544F, TF1778, TF1780, TF1830, TFW1765, D2S, E2S, A1601, HM 1666 (이상 Langer&Co사 제조) SYLOID63, SYLOID65, SYLOID66, SYLOID72, SYLOID74, SYLOID79, SYLOID404, SYLOID620, SYLOID308, SYLOID978, SYLOID160, SYLOID161, SYLOID162, SYLOID800, SYLOID810, SYLOID150, SYLOID244, SYLOID266, SYLOID255(이상 Grace사 제조); Irganox 1010, Irganox 1035, Irganox 1076(이상 Cibageigy사 제조); HK125, HK400, OK412, OK412LC, OK520, OK607, TS100, TT600(이상 Degussa사 제조); Anti-Terra-203, Anti-Terra-204, Anti-Terra-205, Anti-Terra-206, Anti-Terra-U, Anti-Terra-U80, BYK-151, BYK-154, BYK-220S, BYK-P104, BYK-P104S, BYK-P105, Bykumen, Disperbyk, Disperbyk-101, Disperbyk-103, Disperbyk-107, Disperbyk-108, Disperbyk-110, Disperbyk-111, Disperbyk-115, Disperbyk-116, Disperbyk-130, Disperbyk-140, Disperbyk-160, Disperbyk-161, Disperbyk-162, Disperbyk-163, Disperbyk-164, Disperbyk-166, Disperbyk-167, Disperbyk-169, Disperbyk-170, Disperbyk-171, Disperbyk-174, Disperbyk-180, Disperbyk-181, Disperbyk-182, Disperbyk-183, Disperbyk-184, Disperbyk-185, Disperbyk-190, Lactimon, Lactiomon-WS(이상 BYK-Chemie사 제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의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이다.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조성물로부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하는 방법은 (1)상기 폴리올 공중합체, 폴리올 화합물 및 중합개시제를 반응기에 넣은 후 760 mmHg 이상으로 30 분간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2)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40 내지 65 ℃로 유지시킨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여 2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한 다음, 사용되는 총 촉매의 1/3을 가해 발열이 종료하면 5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에 -OH 피크가 소멸될 때까지 2 내지 3 시간 정도 반응시키는 단계, (3) 반응 종료 후 아크릴레이트 알코올을 가하고 발열이 종료하면 60 내지 80 ℃로 승온시켜 나머지 촉매를 가한 다음 IR 상에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이유는 수분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4) 광중합성 모노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성 모노머는 분자 구조내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고분자인 올리고머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모노머는 필름 상에서 고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경화수축률이 낮은 모노머로서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페녹시 헥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N-VP), 비스페놀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트 페놀 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형 트리에틸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 부가형 트리에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는 전체 수지 조성물의 1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의 투입량이 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고 점도의 올리고머 화합물을 작업 점도인 5,000 내지 8,000 cps(25℃)까지 희석시키는 것이 어려우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시 필름의 경화수축률이 커져 밴딩에 의한 광 손실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5) 광개시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광섬유 코팅이 300 m/min 이상의 빠른 라인 속도를 유지하며 이루어지므로 수지 자체의 빠른 경화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 에너지에 의해 라디칼 형태가 되고 이들 라디칼이 수지내의 이중결합을 공격함으로써 중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광개시제로는 상업적으로 수득가능한 Irgacure#184(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Irgacure#907(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on(2-methyl-1[4-(methy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 Irgacure#500, Irgacure#651, Darocure#1173(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Darocure#116, CGI#1800 및 CGI#1700 등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전체 수지 조성물의 0.5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의 함량이 0.5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지연되어 조성물의 경도 및 내화학성 등이 떨어지고, 1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장기간 보관시 조성물의 겔화가 진행되어 액상 저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6)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레벨링제, 분산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적합한 레벨링제, 분산제 및 소포제는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때 사용된 것과 대체로 동일하고, 사용시 전체 수지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형성된 필름이 산화로 인한 부식에 의해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첨가제로 일반적으로 페놀계 첨가제가 주로 사용되며, Irganox 1010, Irganox 1035, Irganox 1076(이상 Ciba 사 제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고, 전체 수지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각 구성성분들의 배합
상기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분해 발포제, 광분해 촉매,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발포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각 구성성분들을 15 내지 50 ℃의 온도 및 60 % 이하의 습도 조건에서 분산 임펠라를 사용하여 1000 rpm 이상에서 균일한 속도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의 온도가 15 ℃ 미만일 경우에는 올리고머의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5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개시제가 라디칼을 형성하여 경화반응을 일으켜 좋지 않다. 또한, 습도가 6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 수지가 이후 코팅 공정 중에 기포가 발생하며 미반응 물질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부반응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반속도가 1,000 rpm 미만이면 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광분해 발포제가 일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용해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자량이 150 미만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에 희석한 다음 후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광분해 발포제의 경우 열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고 교반시 발생하는 열이 개시 반응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첨 후의 배합물은 500 rpm 이하로 교반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식 섬유 포설 시스템의 내부 코팅층 및 외부 코팅층의 모듈러스 스펙트럼은 대략 내부 코팅층의 경우 109 N/m2, 외부 코팅층의 경우 4x107 N/m 2이며, 코팅층의 두께는 각각 0.1 내지 0.2 mm 및 약 2 mm이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은 이를 만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광중합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실시예 1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885.5g, 메틸프로필렌 디올(분자량 90)을 48.8 g,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634.5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n-부틸틴라우레이트(DBTL) 1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HQMMA) 2.25 g,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PA) 427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2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2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3000) 1278.02g,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189.4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n-부틸틴 라우레이트 0.8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20 g,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127.38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1.5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3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352.32g, 폴리 카프로 락톤 폴리올 TONE-0305 (분자량540) 285.38g,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636.34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n-부틸틴 라우레이트 0.8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25g,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520.98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1.7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4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860.5g, 메틸프로판디올(분자량 90)을 57.2 g, 2,4-토일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674.5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n-부틸틴라우레이트 1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2.15 g,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50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2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5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855.5g, 메틸프로판디올(분자량 90)을 48.8 g,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630.5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n-부틸틴라우레이트 1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2.25 g,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27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2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6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885.5g, 메틸프로판디올(분자량 90)을 48.8 g,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34.5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온도를 올려 n-부틸틴 라우레이트 1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25 g, 2-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447.6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n-부틸틴라우레이트 2 g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7
2 L 플라스크에 디올 타입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분자량 1,000) 885.5g, 메틸프로필렌 디올(분자량 90)을 48.8 g,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634.5 g을 혼합한 후 40 내지 50 ℃로 승온하여 2-메틸트리에틸렌 디아미드 0.5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끝난 후 50 내지 70 ℃로 유지하여 -OH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IR 상에 -OH 피크가 완전히 소멸되면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2.25 g,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27 g을 첨가하였다. 발열이 종료되면 온도를 60 내지 75 ℃로 유지하여 IR 상의 -NCO 피크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2-메틸트리에틸렌 디아미드 1.5 g을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 제조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0 중량%,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3 중량%, Irgacure #184 3.8 중량%, 첨가제(PE1500F) 0.5 중량%, 첨가제(안티-테라-206) 0.5 중량%, 첨가제(일가녹스 1010) 1 중량%와 혼합하고 광분해 발포제(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 1 중량%, 광분해 촉매로서의 코발트 아세테이트 0.2 중량%를 후첨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내지 1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대신 각각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올리고머를 70 중량%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4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대신 각각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올리고머를 50 중량%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0 중량%,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3 중량%, Irgacure #184 3.8 중량%, 첨가제(PE1500F) 0.5 중량%, 첨가제(안티-테라-206) 0.5 중량%, 첨가제(일가녹스 1010) 1 중량%와 혼합하고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 중량%를 첨가하였다. 광분해 촉매로서의 코발트 아세테이트 0.2 중량%를 후첨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대신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을 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대신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대신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1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미발포 수지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8에서 광분해 발포제와 광분해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올리고머를 71.2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과 같은 구성성분들을 이용하여 비교용의 미발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7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대신 각각 실시예 2 내지 7 에서 제조한 올리고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용 수지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물성 시험
(1) 비중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광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들은 600Watt UV (Fusion 무전극 형태 램프) D 벌브(bulb) 5 내지 200 m/min에서 광경화 및 광 발포시켜 경화 필름을 수득하고,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들은 40m/min에서 광경화시켜 필름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필름에 대해 비중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올리고머 변화에 따른 비중의 변화
고상 비중( g/cm3) 고상 비중( g/cm3)
비교예1 1.23 실시예 8 0.7
비교예2 1.15 실시예 9 0.6
비교예3 1.24 실시예 10 0.7
비교예4 1.27 실시예 11 0.75
비교예5 1.25 실시예 12 0.75
비교예6 1.27 실시예 13 0.75
비교예7 1.27 실시예 14 0.75
실시예 15 0.75
실시예 16 0.80
실시예 17 0.75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비중이 0.5 내지 0.8 g/cm3으로 작아 광섬유 코팅용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광 분해 발포제 중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의 성능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다.
(2) 점도
상기 실시예 8 내지 14에서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STM D-2196(Brookfield DV-II+, Spindle No. 41, 3RPM)방법에 따라 상온에서 테스트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코팅 라인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점도는 상온에서 1000 내지 5000 cps 이다. 점도가 10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시 두께 유지 및 습윤면의 조절이 어렵고, 5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라인에 열을 40eh 이상으로 가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아크릴레이트가 광 개시제 및/또는 광 발포제 등의 물질과 반응하여 겔화될 위험이 있다.
점도 (α= 25 ℃)
점도(cPs)
실시예 8 1400
실시예 9 2500
실시예 10 1700
실시예 11 1250
실시예 12 1150
실시예 13 1140
실시예 14 1130
실시예 15 1400
실시예 16 1400
실시예 16 1400
(3) 인장강도
상기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광경화형 발포 수지의 인장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STM D-638 방법에 따라 완전 경화된 필름을 인장강도 측정기(인스트론(Instron 4443)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단위kg/mm2)
실시예 8 5.0
실시예 9 0.5
실시예 10 7.5
실시예 11 6.5
실시예 12 5.5
실시예 13 6.0
실시예 14 6.0
실시예 15 6.5
실시예 16 6.5
실시예 17 6.5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발포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자체의 광분해 및 화학 발포에 의해 경량화 및 유연성이 부여되므로 기존의 열 발포나 중심체 적용 수지와는 달리 생산성이 높을 뿐 아니라, 폼의 형태 및 분포가 균일하여 광섬유 코팅용 수지에 적합하다.

Claims (9)

  1. (A) 설포늄 염 및 무기 카보네이트의 조합, 아조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광분해 발포제, (B)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C) 광중합성 모노머, (D) 광중합 개시제, (E) 광분해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광분해 발포제 0.1 내지 20 중량%,
    광중합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5 내지 8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15 내지 50 중량%,
    광개시제 0.5 내지 10 중량%, 및
    광분해 촉매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계 광분해 발포제가,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보니트릴), 2-(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아미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드), 4, 4-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실)프로피온아미드], 아조벤젠, 아조비스-3급-부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늄염이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카보네이트가 탄산칼슘, 중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광분해 촉매가 코발트(II) 아세테이트 또는 구리(II) 아세테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광학 물품에 코팅된 후 자외선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물품이 공압식 섬유 시스템에 적용되는 섬유 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30561A 2002-05-31 2002-05-31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87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561A KR100487026B1 (ko) 2002-05-31 2002-05-31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EP03756120A EP1532180A4 (en) 2002-05-31 2003-03-21 EXPANDABLE RESIN COMPOSITION CURABLE WITH ULTRAVIOLET RAYS
US10/516,485 US7120342B2 (en) 2002-05-31 2003-03-21 Uv-curable and foamable resin composition
AU2003215945A AU2003215945A1 (en) 2002-05-31 2003-03-21 Uv-curable and foamable resin composition
JP2004509724A JP4212554B2 (ja) 2002-05-31 2003-03-21 Uv硬化型発泡性樹脂組成物を使用して発泡体を製造する方法。
PCT/KR2003/000550 WO2003102035A1 (en) 2002-05-31 2003-03-21 Uv-curable and foamable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561A KR100487026B1 (ko) 2002-05-31 2002-05-31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759A KR20030092759A (ko) 2003-12-06
KR100487026B1 true KR100487026B1 (ko) 2005-05-10

Family

ID=2970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5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7026B1 (ko) 2002-05-31 2002-05-31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0342B2 (ko)
EP (1) EP1532180A4 (ko)
JP (1) JP4212554B2 (ko)
KR (1) KR100487026B1 (ko)
AU (1) AU2003215945A1 (ko)
WO (1) WO20031020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734B1 (ko) 2011-09-01 2013-05-13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자동차용 폼 테이프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폼 테이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93B1 (ko) * 2003-07-18 2011-05-25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상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CN1965045B (zh) 2004-06-11 2012-08-29 Lg化学株式会社 包括空心部分的粘合片及其制备方法
WO2006035916A1 (ja) * 2004-09-30 2006-04-06 Oji Paper Co., Ltd. 発泡体の製造方法
FR2902106B1 (fr) * 2006-06-09 2008-07-18 Arkema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e mousses thermoplastiques
US20080187276A1 (en) * 2007-02-02 2008-08-07 Reginald Roberts Flexible optical fiber tape and distribution cable assembly using same
CN101978173B (zh) * 2008-03-11 2013-12-25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光响应性气体发生材料、微泵及微流体设备
US8948560B1 (en) 2010-03-15 2015-02-03 Cirrex Systems, Llc Elevating numerical aperture of optical systems
US8901198B2 (en) 2010-11-05 2014-12-02 Ppg Industries Ohio, Inc.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s, multi-component composite coatings, and related coated substrates
ITTV20130001A1 (it) * 2013-01-04 2014-07-05 Maricell S R L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espansi rigidi a base polimerica.
WO2020026073A1 (en) * 2018-07-30 2020-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s and methods of making
US20200201178A1 (en) * 2018-12-20 2020-06-25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urable composition having low shrinkage after curing
WO2020239563A1 (en) * 2019-05-24 2020-12-03 Dsm Ip Assets B.V.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for coating optical fiber with enhanced high-speed processability
WO2020239564A1 (en) * 2019-05-24 2020-12-03 Dsm Ip Assets B.V. Radiaton curable compositions for coating optical fiber with enhanced high-speed processability
JP7658371B2 (ja) * 2020-06-24 2025-04-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TWI823509B (zh) * 2022-08-04 2023-11-21 磐采股份有限公司 可發泡樹脂組成物
CN116253985A (zh) * 2023-03-15 2023-06-13 山东基舜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聚氨酯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366A (ja) * 1985-03-15 1986-09-19 Asahi Denka Kogyo Kk 熱硬化性およびエネルギ−線硬化性を兼備えたカチオン重合性樹脂組成物
US4767793A (en) * 1985-11-12 1988-08-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foam from a radiation-curable composition
JPH08222035A (ja) * 1995-02-10 1996-08-30 Hitachi Cable Ltd 紫外線架橋発泡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46495A1 (en) * 1996-06-07 1997-12-11 Dsm N.V. Liquid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bundled optical fibers
US5721289A (en) * 1994-11-04 1998-02-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ble, low cure-temperature semi-structur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5744557A (en) * 1993-06-16 1998-04-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ergy-curable cyanate/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sitions
US5945463A (en) * 1994-09-30 1999-08-31 Zeon Rize Co., Ltd. Composition for a gaske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gasket using the composition
US6110987A (en) * 1996-07-16 2000-08-29 Showa Denko K.K.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uring process therefor
KR20020019983A (ko) * 2000-06-16 2002-03-13 마쯔모또 에이찌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및 발포체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5236A (ja) * 1985-03-15 1986-09-25 Nippon Paint Co Ltd 光フアイバ−被覆組成物
GB8911959D0 (en) * 1988-05-28 1989-07-12 Ici Plc Coated optical fibres
JP2706285B2 (ja) * 1988-12-23 1998-01-28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EP1002817B1 (en) * 1998-11-17 2004-04-28 Showa Denko K.K. Photocurable composition
JP2001261923A (ja) * 2000-03-15 2001-09-26 Shin Etsu Chem Co Ltd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用被覆材
WO2002061308A1 (fr) * 2001-01-31 2002-08-08 Bridgestone Corporation Joint integre au couvercle
KR100500191B1 (ko) * 2002-09-10 2005-07-14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366A (ja) * 1985-03-15 1986-09-19 Asahi Denka Kogyo Kk 熱硬化性およびエネルギ−線硬化性を兼備えたカチオン重合性樹脂組成物
US4767793A (en) * 1985-11-12 1988-08-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foam from a radiation-curable composition
US5744557A (en) * 1993-06-16 1998-04-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ergy-curable cyanate/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sitions
US5945463A (en) * 1994-09-30 1999-08-31 Zeon Rize Co., Ltd. Composition for a gasket and process for producing a gasket using the composition
US5721289A (en) * 1994-11-04 1998-02-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ble, low cure-temperature semi-structur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H08222035A (ja) * 1995-02-10 1996-08-30 Hitachi Cable Ltd 紫外線架橋発泡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7046495A1 (en) * 1996-06-07 1997-12-11 Dsm N.V. Liquid 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bundled optical fibers
US6110987A (en) * 1996-07-16 2000-08-29 Showa Denko K.K.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uring process therefor
KR20020019983A (ko) * 2000-06-16 2002-03-13 마쯔모또 에이찌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및 발포체의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734B1 (ko) 2011-09-01 2013-05-13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자동차용 폼 테이프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폼 테이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2180A4 (en) 2005-09-28
KR20030092759A (ko) 2003-12-06
WO2003102035A1 (en) 2003-12-11
US7120342B2 (en) 2006-10-10
US20050213910A1 (en) 2005-09-29
EP1532180A1 (en) 2005-05-25
JP4212554B2 (ja) 2009-01-21
AU2003215945A1 (en) 2003-12-19
JP2005533874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026B1 (ko) 자외선 경화형 발포체의 제조방법
JP4143508B2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CN103483537B (zh) 一种紫外光固化树脂、其制备方法以及用其所制备的涂料
KR101018357B1 (ko) 우수한 고온 내수성을 갖는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CN101360777A (zh) 预浸料以及由此制得的原位固化固体表面
US7524890B2 (en) Photocurable and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optical fiber
KR20100020154A (ko)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CN100455613C (zh) 可固化液态树脂组合物
JP5053145B2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WO2021020588A1 (en) Radiation-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ts cured product, and optical fiber
JP4568552B2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3345931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
CN117209693A (zh) 一种具有形状记忆性的含硅改性的紫外光固化膜的制备
JP3341848B2 (ja) 重合性不飽和ポリウレタン及びこれを用いた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H0234620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100405004B1 (ko) 광섬유 리본 코팅용 수지 조성물
JP3796655B2 (ja) 光ファイバ用被覆材
KR20120092944A (ko) 광섬유용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광섬유
JP2003226558A (ja) 光ファイバ被覆用電子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心線
JPH06313022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20100106287A (ko) 우수한 고온 내수성을 갖는 광섬유
JP2005036193A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体、及び硬化体の製造法
CN116445076A (zh) 一种耐候性强的紫外光固化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
JP2005330442A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3134268B2 (ja) 光ファイバ被覆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4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