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4291B1 -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291B1
KR100504291B1 KR10-2003-0047731A KR20030047731A KR100504291B1 KR 100504291 B1 KR100504291 B1 KR 100504291B1 KR 20030047731 A KR20030047731 A KR 20030047731A KR 100504291 B1 KR100504291 B1 KR 10050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oxane
insulating film
interlayer insulating
resin
mono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048A (ko
Inventor
이상균
선종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291B1/ko
Priority to US10/734,179 priority patent/US7057002B2/en
Priority to EP20040254100 priority patent/EP1498443A1/en
Priority to JP2004206040A priority patent/JP2005036228A/ja
Priority to CNB200410069858XA priority patent/CN100439420C/zh
Publication of KR2005000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91B1/ko
Priority to US11/342,562 priority patent/US7198823B2/en
Priority to US11/710,487 priority patent/US7374820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by carb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8Metal-containing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4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por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 H01L21/0220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 H01L21/02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the compound comprising silicon and oxygen
    • H01L21/0221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the compound comprising silicon and oxygen the compound being a molecule comprising at least one silicon-oxygen bond and the compound having hydrogen or an organic group attached to the silicon or oxygen, e.g. a silox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의 실록산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반도체 층간 절연막을 제조하여, 기계적 물성 및 저유전 특성이 우수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Method of Semiconductor Interlayer Insulating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자의 성능은 배선 속도에 좌우되며 배선에서의 저항과 케퍼시티를 적게하기 위해서는 층간 절연막의 축적용량을 낮추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특허 제 3,615,272, 4,399,266, 4,756,977 및 4,999,397에서는 기존의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한 유전율 4.00의 SiO2 대신에 SOD(Spin on Deoposition)이 가능한 유전율 2.5~3.1 정도의 폴리실세스퀴옥산(Polysilsesquioxane)을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좋은 평탄화 특성으로 인해 스핀코팅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이드로겐 실세스퀴옥산 및 이의 제조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615,272호에는 벤젠술폰산 수화물 가수분해 매개물 중에서 트리클로로실란을 가수분해한 후, 수지를 물 또는 수성황산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근본적으로 완전히 축합된 하이드로겐 수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010,159호에는 아릴술폰산 수화물 가수분해 매개물 중에서 하이드로 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수지를 형성하고 나서, 이 수지를 중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6,232,424에서는 모노머로 테트라알콕시실란(tetraalkoxysilane), 유기실란 (organosilane) 및 유기트리알콕시실란(organotrialkoxysilane)을 사용하여 물과 촉매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용액 안정성(solution stability)이 뛰어나고 잘 녹는 실리콘 수지(silicon resin)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미국특허 제 6,000,339에서는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저항성 및 물성의 개선 그리고 두꺼운 박막형성을 위하여 알콕시실란(alkoxysilane), 불소가 함유된 알콕시실란 (fluorine-containing alkoxysilane), 알킬알콕시실란(alkylalkoxysilane) 중에 선택된 모노머와 티타늄(Ti) 또는 지르코늄(Zr) 알콕시드(alkoxide) 화합물을 물과 촉매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실리카계(silica-based) 화합물을 개시하였다. 미국특허 제 5,853,808에서는 박막에서 SiO2 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유기실란 (organosilane)의 β위치에 다른 원소 또는 반응성기 (reactive group)가 치환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실록산(siloxane),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계 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유럽특허 제 0 997 497 A1 에서는 여러 가지 모노알콕시실란(monoalkoxysilanes), 디알콕시실란(dialkoxysilanes), 트리알콕시실란(trialkoxysilanes), 테트라알콕시실란(tetraalkoxysilanes) 및 트리알콕시실란 다이머(trialkoxysilane dimers)등의 알콕시실란(alkoxysilane) 화합물들의 조합에 의한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의 조성물을 박막 절연막으로 사용됨을 개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보다 발전시킨 것으로, 기계적 물성, 열안정성, 균열에 대한 저항성 및 저유전 성질이 우수한 실록산계 수지를 제공하고, 이를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에 적용하여 저유전성 반도체 층간 절연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데, 실록산계 레진의 유전율 저하 없이 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해 졸-겔 중합이 가능한 게르마늄을 포함한 모노머를 도입하였다. 게르마늄 모노머의 경우 실록산계에 비해 밀도가 두 배 정도이므로 기계적 물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및 화학식 2의 모노머를 유기용매 하에서 산 또는 염기 촉매와 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반응 및 축합 반응시켜 제조하는 실록산계 수지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1, X2 및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p는 3~8의 정수이고, m은 0~10의 정수이며 상기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가수분해 가능한 작용기이다.
[화학식 2]
(R 2 ) 4-a Ge(X 4 ) a
상기식에서 R2는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4는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1~4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실록산계 수지를 유기용매에 녹여서 실리콘 기판 위에 코팅한 후, 열 경화시켜 제조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실록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반도체 층간 절연막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환형(cyclic)구조를 가지는 실록산계 모노머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게르마늄 화합물을 축합 중합하여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유전율이 3.0이하이며 용해도가 우수한 실록산계 수지를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1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1, X2 및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 원자로서, p는 3~8의 정수이고, m은 0~10의 정수이며 상기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가수분해 가능한 작용기이다.
(R 2 ) 4-a Ge(X 4 ) a
상기식에서 R2는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4는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1~4의 정수이다.
상기 실록산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모노머에 대한 화학식 2의 모노머의 몰(mol) 비는 1 : 99 ~ 99 : 1의 범위로 한다.
상기 실록산계 수지 제조시 사용되는 산 또는 염기 촉매는 염산 (hydrochloric acid), 질산(nitric acid), 벤젠 술폰산(benzene sulfonic acid), 옥살릭산(oxalic acid), 포믹산(formic acid),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탄산수소나트륨 (sodium bicarbonate), 피리딘(pyridine)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모노머에 대한 촉매의 몰비가 1:0.00001~1:10가 되는 범위에서 사용한다.
상기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에서 사용되는 물은 모노머에 대한 물의 몰(mol) 비가 1:1~1:100가 되는 범위에서 사용된다.
또한 실록산계 수지 제조시 유기용매로 헥산(hexane)등의 탄화수소 용매 (aliphatic hydrocarbon solvent), 아니솔(anisol), 메시틸렌(mesitylene) 및 자일렌(xylene)을 포함하는 방향족계 탄화수소 용매(aromatic hydrocarbon solvent); 메틸 이소부틸 케톤(methyl isobutyl ketone), 1-메틸-2-피롤리디논(1-1methyl-2-pyrrolidinone) 및 아세톤(acetone)을 포함하는 케톤계 용매(ketone-based solvent);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및 이소프로필 에테르(isopropyl ether)를 포함하는 에테르계 용매(ether-based solvent);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및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하는 아세테이트계 용매(acetate-based solvent); 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부틸 알코올(butyl alcohol)을 포함하는 알코올계 용매 (alcohol-based solvent),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를 포함하는 아미드계 용매; 실리콘계 용매(silicon-based solvent); 또는 이들 중 일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합 반응에서 온도는 0~200℃범위이며, 반응 시간은 0.1~100 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록산계 수지는 분자량이 3,000~300,000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실록산계 수지를 용매에 녹여서 기판 위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렇게 제조된 박막은 유전율 3.0이하의 저유전율 특성을 나타내며,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매에 용해된 실록산계 수지를 용매에 녹여서 기판 위에 코팅한 후 주위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과 같은 단순 공기 건조법, 경화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진공을 적용하거나 200℃이하에서 약하게 가열하는 법과 같은 증발에 적합한 수단을 적용한다.
실록산계 수지를 기판에 도포시킨 후, 이 막을 1~150분 동안 15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200℃내지 450℃의 온도로 열 경화시켜 균열이 없는 불용성 피막을 형성시킨다. 균열이 없는 피막이란 1000배율의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임의의 균열이 관찰되지 않는 피막을 뜻하며, 불용성 피막이란 실록산계 조성물을 침착시켜 막을 형성시키는 용매 또는 수지를 도포시키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술된 용매에 본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피막을 말한다.
상기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제조시 기공형성 물질을 혼합하여 박막에 미세 기공을 형성하는 경우 유전율이 2.5이하까지 조절된 저유전율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기공형성 물질이 혼합된 경우 기공형성 물질의 분해온도 이상으로 박막을 가열하여 기공형성 물질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기공형성 물질로는 구체적으로 사이크로덱스트린(cyclodextrin) 및 그의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그의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에 기공형성물질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모든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기공형성 물질이 첨가되는 경우 그 비율은 실록산계 수지 고형분에 대해 1~70 중량%가 되도록 혼합된다.
상기 절연막 제조과정에서 유기용매로 헥산(hexane)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aliphatic hydrocarbon solvent), 아니솔(anisol), 메시틸렌 (mesitylene) 및 자일렌(xylene)을 포함하는 방향족계 탄화수소 용매(aromatic hydrocarbon solvent); 메틸 이소부틸 케톤(methyl isobutyl ketone), 1-메틸-2-피롤리디논 (1-1methyl-2-pyrrolidinone) 및 아세톤(acetone)을 포함하는 케톤계 용매(ketone-based solvent); 시클로헥산온(cyclohexanone), 테트라히드로퓨란 (tetrahydrofuran) 및 이소프로필 에테르(isopropyl ether)를 포함하는 에테르계 용매(ether-based solvent);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 아세테이트 (butyl acetate) 및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하는 아세테이트계 용매(acetate-based solvent),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부틸 알코올(butyl alcohol)을 포함하는 알코올계 용매(alcohol-based solvent);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를 포함하는 아미드계 용매; 실리콘계 용매(silicon-based solv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실록산계 수지를 기판에 도포하기 위해 요구되는 농도까지 충분한 양이 존재하여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코팅용 조성물 중 실록산계 수지와 기공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형분 무게가 유기 용매에 대하여 50~70 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실록산계 수지가 용매에 완전히 녹지 않으며, 50 중량% 미만인 경우는 박막이 1000Å 이하로 얇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판위에 실록산계 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방법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eep coating), 분무코팅(spray coating), 흐름코팅(flow coating) 또는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한 도포 방법은 스핀코팅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 모노머 합성
실시예 1-1 : 환형 구조의 실록산계 모노머 (A)합성
모노머(A)
2,4,6,8-테트라메틸-2,4,6,8-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2,4,6,8-tetramethyl-2,4,6,8-tetravinylcyclotetrasiloxane) 29.014mmol(10.0g)과 자일렌 용액에 녹아있는 플레티늄(0)-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화합물 (platinum(0)-1,3-divinyl-1,1,3,3-tetramethyldisiloxane complex(solution in xylenes)) 0.164g 을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디에틸 에테르 300ml를 넣어 희석시키고, 반응 용기를 -78℃로 낮춘 후, 트리클로로실란 127.66mmol(17.29g)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온도를 서서히 상온까지 온도를 올렸다. 이후 상온에서 40시간 반응을 진행시키고,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헥산 100ml을 가하고, 1시간 교반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여, 용액을 얻고, 이 용액을 다시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하기 액체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화합물 11.28mmol(10.0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500ml로 희석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36.71mmol(13.83g)을 첨가했다. 다음으로 반응온도를 -78℃로 낮추고, 메틸 알콜 136.71mmol(4.38g)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온도를 서서히 상온까지 올렸다. 상온에서 15시간 반응을 진행시킨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에 헥산 100ml을 가하고, 1시간 교반한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활성탄(activated carbon) 5g을 넣고 10시간 동안 교반 한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이 용액을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아래의 무색의 액체 모노머 (A)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모노머를 CDCl3에 녹여 NMR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H NMR(300MHz) data ; δ 0.09(s, 12H, 4×-CH3),
0.52~0.64(m, 16H, 4×-CH2CH2-),
3.58(s, 36H, 4×-[OCH3]3)
실시예 1-2 : 게르마늄계 모노머 (B) 합성
모노머 (B)
CH 3 Ge(OCH 3 ) 3
트리클로로메틸게르마늄 0.1mol(19.3g)을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 100ml를 넣어 희석시키고, 반응 용기를 0℃로 낮춘 후, 트리에틸아민 0.35mol(35.35g)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메틸알콜 0.35mol(11.2g)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온도를 서서히 상온까지 올렸다. 상온에서 15시간 반응을 진행시킨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했다. 여기에 헥산 100ml을 가하고, 1시간 교반한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이 용액을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얻은 무색의 액체를 단순증류(simple distillation)하여 아래의 무색의 액체 모노머 (B)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모노머를 CDCl3에 녹여 NMR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H NMR(300MHz) data ; δ 3.6 (s, 3H)
실시예 1-3 : 게르마늄계 모노머 (C) 합성
모노머 (C)
CH 3 Ge(OCH 2 CH 3 ) 3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며, 단 메틸알코올 대신 에틸알코올을 사용하였다.
1H NMR(300MHz) data ; δ 1.2(t, 6H, 3×-CH3), δ 3.8(q, 9H, 3 x-CH2)
실시예 1-4 : 게르마늄계 모노머 (D) 합성
모노머 (D)
Ge(OCH 2 CH 3 ) 4
테트라클로로게르마늄 0.1mol(21.4g)을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 100ml를 넣어 희석시키고, 반응 용기를 0℃로 낮춘 후, 트리에틸아민 0.45mol(45.45g)을 첨가한다. 다음으로 메틸알콜 0.45mol(14.4g)을 서서히 가한 후, 반응온도를 서서히 상온까지 올렸다. 상온에서 15시간 반응을 진행시킨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에 헥산 100ml을 가하고, 1시간 교반한 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필터링하고, 이 용액을 0.1토르(torr) 정도의 감압하에서 헥산을 제거하여, 얻은 무색의 액체를 단순증류(simple distillation)하여 아래의 무색의 액체 모노머 (D)를 제조했다. 합성된 모노머를 CDCl3에 녹여 NMR 측정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H NMR(300MHz) data ; δ 1.2(t, 8H, 4×-CH3), δ 3.8(q, 12H, 4 x-CH2),
실시예 2 : 메트릭스 (Matrix) 수지 합성
환형(Cyclic)구조를 가지는 실록산계 모노머 (A)와 게르마늄계 모노머 (B), (C) 및 (D) 중 하나의 모노머를 플라스크에 넣고, 총 넣어 준 모노머의 15배 정도의 테트라히드로퓨란을 넣어 모노머를 희석시킨 후,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78℃까지 내렸다. -78℃에서 70℃로 서서히 올렸다. 이후 70℃에서 반응을 20시간 진행시켰다. 반응용액을 분별 깔대기에 옮긴 후, 최초 넣어 준 테트라히드로퓨란과 동일한 양의 디에틸에테르와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첨가하고, 총 용매의 1/10배 가량의 물로 3회 씻어 준 다음, 감압 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여 흰색 분발 형태의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중합체를 완전히 맑은 용액이 될 때까지 소량의 아세톤을 넣어 녹였다. 이 용액을 기공이 0.2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맑은 용액부분만을 취한 후, 물을 서서히 첨가했다. 이때 생성된 흰색 분말과 용액부분(아세톤과 물의 혼합용액)을 분리한 후, 0~20℃, 0.1토르(torr) 감압 하에서 10시간 동안 흰색 분말을 말려서 분별된 조성물을 얻었다. 각각의 전구체 합성에 사용된 모노머, 산 촉매, 물 및 얻은 수지 량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실록산게 수지 모노머 종류(mmol) HCl(mmol) H2O(mmol) 얻은 수지량(g)
모노머(A) 모노머(B) 모노머(C) 모노머(D)
(a) 12.32 9.17 0.12 250 5.76
(b) 13.87 11.62 0.22 548 10.7
(c) 10.55 4.67 0.145 514 8.77
(d) 10.55 4.67 0.145 514 8.43
(e) 10.55 4.67 0.145 514 8.12
(f) 10.55 4.67 0.145 857 8.34
(g) 10.55 4.67 0.131 514 8.03
(h) 10.55 4.67 0.101 514 8.55
(i) 10.55 4.67 0.080 514 8.34
(j) 10.55 4.67 0.048 514 8.07
실시예 3: 박막두께 및 굴절율 측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에 기공형성 물질인 헵타키스[2,3,6-트리-메톡시]-베타-사이크로덱스트린(heptakis[2,3,6-tri-O-methyl]-β-cyclodextrin)을 하기 표 2와 같은 무게분율(wt%)로 섞고,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에 전체 조성물이 용매에 대해 25무게분율(wt%) 되게 녹인 후, 혼합용액을 3000 RPM으로 30초간 실리콘 웨이퍼 위에 스핀 코팅을 했다. 그 후, 조성물이 코팅된 기판을 질소 분위기의 핫플레이트(hot plate)에서 100도에서 1분간 그리고 250도에서 1분간 가열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후 진공 분위기에서 분당 3도씩 올려 420도 까지 올린 후, 420도에서 1시간 소성시켜 제조한 박막의 두께(thickness) 및 굴절률(refractive index)을 측정하였다. 이때 박막의 두께는 프로파일러 (profilometer)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고, 굴절율은 프리즘 커플러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또한 두께 및 굴절율 균일도 (uniformity)는 웨이퍼의 5 지점을 측정하여 그 차이로 산출했다.
박막 조성물 두께(Å) 굴절율 굴절율 균일도(%) 두께 균일도(%)
실록산계 수지 수지(wt%) 기공형성물질(wt%)
(a) 100 _ 8995 1.3876 0.088 1.87
(a) 70 30 9846 1.3775 0.143 1.34
(b) 100 _ 10254 1.3891 0.063 0.76
(b) 70 30 10457 1.4123 0.044 1.54
(c) 100 _ 10334 1.4136 0.021 0.76
(c) 70 30 9765 1.3543 0.76 1.21
(d) 100 _ 10923 1.4113 0.23 0.23
(d) 70 30 10654 1.3235 0.192 1.05
(e) 100 _ 11129 1.3654 0.022 1.23
(e) 70 30 10537 1.3247 0.054 1.54
(f) 100 _ 11587 1.3675 0.027 0.78
(f) 70 30 9976 1.3208 0.054 0.56
(g) 100 _ 11034 1.3143 0.046 0.59
(g) 70 30 9861 1.3221 0.059 1.16
(h) 100 _ 11738 1.3023 0.013 1.45
(h) 70 30 11587 1.3114 0.049 1.75
(i) 100 _ 10987 1.4211 0.051 1.76
(i) 70 30 9398 1.4367 0.036 1.08
(j) 100 _ 11456 1.4178 0.037 0.84
(j) 70 30 10324 1.3106 0.056 0.38
실시예 4 :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측정
제조된 다공성 박막의 유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론(boron)으로 도핑된 P타입의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위에 실리콘 열 산화막을 3000Å을 도포한 다음에 메탈 이베포레이터(metal evaporator)로 티타늄(titanium) 100Å, 알루미늄 (aluminum) 박막 2000Å을 증착한 다음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표 3의 조성으로 저유전 박막을 코팅한다. 이후에 전극지름이 1mm로 설계된 하드마스크(hard mask)를 이용하여 1mm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알루미늄(aluminum) 박막 2000Å을 증착하여 MIM(metal-insulator-metal)구조의 유전율 측정용 저유전 박막을 완성한다. 이러한 박막을 Probe station(micromanipulatior 6200 probe station)이 장착된 PRECISION LCR METER (HP4284A)를 이용하여 약 100 kHz의 주파수에서 정전용량(capacitance)을 측정하였다. 유전율을 계산하기 위해서 박막의 두께를 프리즘 커플러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유전율을 계산하였다.
k = C x A / ε0 x d
k : 유전율 (dielectric ratio)
C : 정전용량 (Capacitance)
ε0: 진공의 유전 상수 (Dielectric constant)
d : 저유전 박막의 두께
A : 전극의 접촉 단면적
박막 조성물 유전율
실록산계 수지 수지(wt%) 기공형성물질(wt%)
(a) 100 _ 2.56
(a) 70 30 2.21
(b) 100 _ 2.76
(b) 70 30 2.32
(c) 100 _ 2.72
(c) 70 30 2.34
(d) 100 _ 2.67
(d) 70 30 2.24
(e) 100 _ 2.68
(e) 70 30 2.23
(f) 100 _ 2.72
(f) 70 30 2.21
(g) 100 _ 2.79
(g) 70 30 2.24
(h) 100 _ 2.80
(h) 70 30 2.25
(i) 100 _ 2.83
(i) 70 30 2.31
(j) 100 _ 2.86
(j) 70 30 2.21
실시예 5 : 경도(hardness)와 모듈러스(modulus) 측정
경도(hardness)및 모듈러스(modulus) 측정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박막을 MTS사의 나노인덴터(nanoindenter) II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샘플에 대하여 신뢰도를 확신하기위해 6 지점(point)를 압입(indent)하여 평균값으로부터 각각의 경도(hardness) 및 모듈러스(modulus)를 구하였다. 상기의 박막을 이용하여 나노인텐더로 압입개시 후, 압입깊이가 박막 전체 두께의 10% 압입이 이루어졌을 때 박막의 경도(hardness)와 모듈러스(modulus)를 구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이때 박막의 두께는 프리즘 커플러(prismcoupler)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박막 조성물 경도(GPa) 모듈러스(GPa)
실록산계 수지 수지(wt%) 기공형성물질(wt%)
(a) 100 _ 0.72 5.11
(a) 70 30 0.45 3.14
(b) 100 _ 0.75 5.32
(b) 70 30 0.41 3.23
(c) 100 _ 1.23 5.65
(c) 70 30 1.02 3.02
(d) 100 _ 1.10 5.21
(d) 70 30 0.98 3.65
(e) 100 _ 1.42 6.58
(e) 70 30 1.11 3.63
(f) 100 _ 1.34 6.89
(f) 70 30 0.99 3.87
(g) 100 _ 1.09 6.52
(g) 70 30 0.77 3.55
(h) 100 _ 1.17 6.16
(h) 70 30 0.54 3.67
(i) 100 _ 1.14 6.21
(i) 70 30 0.59 3.48
(j) 100 _ 1.04 6.97
(j) 70 30 0.64 3.30
비교예 1 실록산계 수지합성
환형(Cyclic)구조를 가지는 실록산계 모노머 (A)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 trimethoxysilane) 모노머(B')나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 모노머(D') 중 하나를 플라스크에 넣고, 총 넣어 준 모노머의 15배 정도의 테트라히드로퓨란을 넣어 모노머를 희석시킨 후, 플라스크의 내부 온도를 -78℃까지 내렸다가 70℃로 서서히 올렸다. 이후 70℃에서 반응을 20시간 진행시켰다. 반응용액을 분별 깔대기에 옮긴 후, 최초 넣어 준 테트라히드로퓨란과 동일한 양의 디에틸에테르와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첨가하고, 총 용매의 1/10배 가량의 물로 3회 씻어 준 다음, 감압 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여 흰색 분발 형태의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중합체를 완전히 맑은 용액이 될 때까지 소량의 아세톤을 넣어 녹였다. 이 용액을 기공이 0.2μm인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맑은 용액부분만을 취한 후, 물을 서서히 첨가했다. 이때 생성된 흰색 분말과 용액부분(아세톤과 물의 혼합용액)을 분리한 후, 0~20℃, 0.1토르(torr) 감압 하에서 10시간 동안 흰색 분말을 말려서 분별된 조성물을 얻었다. 얻은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모노머 종류(mmol) HCl(mmol) H2O(mmol) 얻은 수지량(g)
모노머(A) 모노머(B) 모노머(C)
(a`) 12.32 9.17 0.12 250 6.87
(b`) 13.87 11.62 0.22 548 8.84
(c`) 10.55 4.67 0.16 485 8.54
(d`) 10.55 4.67 0.145 514 7.89
(e`) 10.55 4.67 0.145 857 8.23
(f`) 10.55 4.67 0.131 514 8.98
비교예 2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측정
비교예 1 에서 합성된 레진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박막두께 및 굴절율을 측정한 다음,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측정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박막 조성물 유전율
실록산계 수지 수지(wt%) 기공형성물질(wt%)
(a) 100 _ 2.56
(a) 70 30 2.21
(b) 100 _ 2.76
(b) 70 30 2.32
(c) 100 _ 2.72
(c) 70 30 2.34
(e) 100 _ 2.68
(e) 70 30 2.23
(f) 100 _ 2.72
(f) 70 30 2.21
(g) 100 _ 2.79
(g) 70 30 2.24
(a`) 100 _ 2.54
(a`) 70 30 2.22
(b`) 100 _ 2.81
(b`) 70 30 2.32
(c`) 100 _ 2.85
(c`) 70 30 2.31
(d`) 100 _ 2.69
(d`) 70 30 2.29
(e`) 100 _ 2.73
(e`) 70 30 2.23
(f`) 100 _ 2.81
(f`) 70 30 2.34
비교예 3 경도(hardness)와 모듈러스(modulus) 측정
비교예 1,2 에서 합성된 레진을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박막두께 및 굴절율을 측정한 다음,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경도(hardness)와 모듈러스(modulus)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박막 조성물 경도(GPa) 모듈러스(GPa)
실록산계 수지 수지(wt%) 기공형성물질(wt%)
(a) 100 _ 0.72 5.11
(a) 70 30 0.45 3.14
(b) 100 _ 0.75 5.32
(b) 70 30 0.41 3.23
(c) 100 _ 1.23 5.65
(c) 70 30 1.02 3.02
(e) 100 _ 1.42 6.58
(e) 70 30 1.11 3.63
(f) 100 _ 1.34 6.89
(f) 70 30 0.99 3.89
(g) 100 _ 1.09 6.52
(g) 70 30 0.77 3.55
(a`) 100 _ 0.51 4.21
(a`) 70 30 0.31 3.84
(b`) 100 _ 0.59 4.67
(b`) 70 30 0.34 3.54
(c`) 100 _ 0.98 5.44
(c`) 70 30 0.82 3.54
(e`) 100 _ 1.12 6.12
(e`) 70 30 0.43 2.99
(f`) 100 _ 1.09 6.23
(f`) 70 30 0.68 3.35
(g`) 100 _ 0.87 6.18
(g`) 70 30 0.43 3.27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보듯이 게르마늄을 포함한 실록산계 수지는 낮은 유전율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와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 및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저유전 성질을 지니는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를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에 적용하여 저유전성 반도체 층간 절연막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모노머를 유기 용매하에서 산 또는 염기 촉매와 물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시켜 제조되는 게르마늄(Germanium)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1, X2 및 X3 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원자로서, p는 3~8의 정수이고, m은 0~10의 정수이며 상기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가수분해 가능한 작용기이다.
    [화학식 2]
    (R2)4-aGe(X4)a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원자, C1~C3 알킬기(alkyl group) 또는 C6~C15의 알릴기(aryl group)이고, X4는 C1~C3의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alkoxy group),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1~4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2의 모노머의 몰비 1 : 99 ~ 99 : 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계 수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 300,000의 범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록산계 수지.
  4. 상기 제 1항의 실록산계 수지를 유기용매에 녹여서 실리콘 기판 위에 코팅한 후, 열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수지 고형분 무게에 대해 1~70 중량% 함량으로 기공형성물질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기공을 형성하는 물질은 사이클로덱스트린 (cyclodextrin),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실록산계 수지와 기공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형분 무게가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해 5~70 중량% 범위가 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 경화 온도가 150~600℃인 조건에서 1 ~ 150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
  9. 제 1항에 의한 실록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반도체 층간 절연막.
  10. 제 9항에 있어서, 기공 형성 물질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층간 절연막.
KR10-2003-0047731A 2003-07-14 2003-07-14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31A KR100504291B1 (ko) 2003-07-14 2003-07-14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US10/734,179 US7057002B2 (en) 2003-07-14 2003-12-15 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EP20040254100 EP1498443A1 (en) 2003-07-14 2004-07-08 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2004206040A JP2005036228A (ja) 2003-07-14 2004-07-13 ゲルマニウムを含むシロキサン系樹脂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層間絶縁膜の形成方法
CNB200410069858XA CN100439420C (zh) 2003-07-14 2004-07-14 包含锗的硅氧烷基树脂和使用该树脂的半导体器件用间层绝缘膜
US11/342,562 US7198823B2 (en) 2003-07-14 2006-01-31 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11/710,487 US7374820B2 (en) 2003-07-14 2007-02-26 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31A KR100504291B1 (ko) 2003-07-14 2003-07-14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048A KR20050008048A (ko) 2005-01-21
KR100504291B1 true KR100504291B1 (ko) 2005-07-27

Family

ID=3661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7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4291B1 (ko) 2003-07-14 2003-07-14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반도체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057002B2 (ko)
EP (1) EP1498443A1 (ko)
JP (1) JP2005036228A (ko)
KR (1) KR100504291B1 (ko)
CN (1) CN10043942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26A3 (ko) * 2009-12-30 2011-11-17 제일모직 주식회사 봉지재용 투광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682B1 (ko) * 2003-04-17 2006-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실록산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절연막
KR100589123B1 (ko) * 2004-02-18 2006-06-14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기공형성용 템플레이트로 유용한 사이클로덱스트린유도체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저유전체
US8901268B2 (en) * 2004-08-03 2014-12-02 Ahila Krishnamoorthy Compositions, layers and films for optoelectronic device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US7892648B2 (en) * 2005-01-21 2011-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COH dielectric material with improved toughness and improved Si-C bonding
KR100824037B1 (ko) 2005-03-16 2008-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막 형성용 기공형성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절연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절연막의 제조 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막
KR100775100B1 (ko) * 2005-03-16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절연막, 및 이를포함하는 전기 또는 전자 소자
EP2115039A2 (en) * 2007-02-08 2009-11-11 Dow Corning Corporation Heteroelement siloxane compounds and polymers
US8557877B2 (en) 2009-06-10 2013-10-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nti-reflective coatings for optically transparent substrates
JP2011241291A (ja) * 2010-05-18 2011-12-01 Tosoh Corp ポリ環状シロキサ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US8864898B2 (en) 2011-05-31 2014-10-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ating formulations for optical elements
JP6803842B2 (ja) 2015-04-13 2020-12-23 ハネウェ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Honeywell International Inc.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用途のためのポリシロキサン製剤及びコーティング
CN109776840B (zh) * 2019-01-30 2021-08-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盖板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5272A (en) 1968-11-04 1971-10-26 Dow Corning Condensed soluble hydrogensilsesquioxane resin
DE3173441D1 (en) 1980-08-26 1986-02-2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Ladder-like lower alkylpolysilsesquioxan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756977A (en) 1986-12-03 1988-07-12 Dow Corning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s from hydrogen silsesquioxane
US4999397A (en) 1989-07-28 1991-03-12 Dow Corning Corporation Metastable silane hydrolyzat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5010159A (en) 1989-09-01 1991-04-23 Dow Corning Corporatio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soluble, condensed hydridosilicon resins containing low levels of silanol
US6000339A (en) 1994-06-30 1999-12-14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Material for forming silica-base coated insulation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material, silica-base insulatio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device
WO1997010282A1 (en) 1995-09-12 1997-03-20 Gelest, Inc. Beta-substituted organosilsesquioxanes and use thereof
CA2289782C (en) 1997-07-15 2004-07-13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lkoxysilane/organic polymer composition for use in producing an insulating thin film and use thereof
DE19814060A1 (de) * 1998-03-30 1999-10-07 Bayer Ag Borhaltige Mischungen, Hybridmaterialien und Beschichtungen
DE19935326A1 (de) * 1999-07-28 2001-02-01 Bayer Ag Verwendung selbstorganisierender Beschichtungen auf Basis fluorfreier polyfunktioneller Organosilane zur Herstellung ultrahydrophober Beschichtungen
US6232424B1 (en) 1999-12-13 2001-05-15 Dow Corning Corporation Soluble silicone resin compositions having good solution stability
DE10196026B4 (de) 2000-04-04 2011-02-1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Überzugs-Zusammensetzung, dünner Film, zur Verwendung des dünnen Film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ünnen porösen Kieselsäure-Films
KR100343938B1 (en) * 2000-11-29 2002-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interlayer insulation membrane of semiconductor
US6623711B2 (en) * 2001-03-27 2003-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oxane-based resin and method for forming insulating film between interconnect layers in semiconductor devices by using the same
EP1245642B1 (en) * 2001-03-27 2005-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oxane-based resin and method for forming an insulating film between interconnecting layers in wafers
KR100488347B1 (ko) * 2002-10-31 2005-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형성방법
KR100506695B1 (ko) * 2003-06-02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26A3 (ko) * 2009-12-30 2011-11-17 제일모직 주식회사 봉지재용 투광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4725A1 (en) 2007-07-05
US20060141269A1 (en) 2006-06-29
US7198823B2 (en) 2007-04-03
JP2005036228A (ja) 2005-02-10
CN100439420C (zh) 2008-12-03
US7374820B2 (en) 2008-05-20
US20050014009A1 (en) 2005-01-20
KR20050008048A (ko) 2005-01-21
US7057002B2 (en) 2006-06-06
CN1576299A (zh) 2005-02-09
EP1498443A1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584B2 (en) Siloxane-based resin and a semiconductor interlayer insulating film using the same
US7198823B2 (en) Siloxane-based resin containing germaniu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for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321894A1 (en) Multi-functional linear siloxane compound, a siloxane polymer prepared from the compound, and a process for forming a dielectric film by using the polymer
KR20050024721A (ko) 신규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
US7470634B2 (en) Method for forming interlayer dielectric film for semiconductor device by using polyhedral molecular silsesquioxane
KR100979355B1 (ko) 다반응성 환형 실리케이트 화합물, 상기 화합물로부터제조된 실록산계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를 이용한 절연막제조방법
KR100506695B1 (ko)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
KR100554327B1 (ko)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 형성방법
KR100488347B1 (ko)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형성방법
KR20060068348A (ko) 실록산계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를 이용한 절연막 제조방법
KR101023916B1 (ko) 분자 다면체형 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반도체 층간절연막의 형성방법
KR100475548B1 (ko)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층간 절연막의형성방법
KR20050058893A (ko) 에테르알콕시기를 포함한 다반응성 규소 화합물, 상기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중합체 및 이들을 이용한 절연막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7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