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604B1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03604B1 KR100503604B1 KR10-2003-0020535A KR20030020535A KR100503604B1 KR 100503604 B1 KR100503604 B1 KR 100503604B1 KR 20030020535 A KR20030020535 A KR 20030020535A KR 100503604 B1 KR100503604 B1 KR 1005036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stain
- electrode
- voltage
- period
- addr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not only increase discharge efficiency but also reduc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어드레스 기간동안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되는 단계와, 서스테인 기간동안 스캔전극에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으로 떨어지는 제 1 서스테인 펄스가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서스테인 펄스와 교번적으로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떨어지는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스캔전극 및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됨과 동시에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가 어드레스전극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es generating an address discharge for selecting a cell during an address period, and a first sustain pulse falling from a first voltage to a second voltage on the scan electrode during the sustain period. Supplying, supplying a second sustain pulse falling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alternately with the first sustain pulse to the sustain electrode, and supplying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simultaneously supplying the positive bias pulse to the address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that can increase discharge efficiency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He+Xe, Ne+Xe 및 He+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의 방전시 발생하는 147nm의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PDP는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기술 개발에 힘입어 크게 향상된 화질을 제공한다. 특히,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는 방전시 표면에 벽전하가 축적되며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스퍼터링으로부터 전극들을 보호하기 때문에 저전압 구동과 장수명의 장점을 가진다.Plasma Display Pane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Ps") are characterized by emitting phosphors by 147 nm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discharge of inert mixed gases such as He + Xe, Ne + Xe and He + Ne + Xe. An image containing graphics is displayed. Such a PDP is not only thin and easy to enlarge, but also greatly improved in quality due to recent technology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has advantages of low voltage driving and long life because wall charges are accumulated on the surface during discharge and protect the electrodes from sputtering caused by the discharge.
도 1은 통상적으로 교류형 PDP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방전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cell structure typically arranged in an alternating current type PDP in a matrix form,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sma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되어진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하부기판(17)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X)을 구비한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각각은 투명전극(12Y,12Z)과, 투명전극(12Y,12Z)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며 투명전극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버스전극(13Y,13Z)을 포함한다.1 and 2, the discharge cells of the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0, and the lower substrate 17. The address electrode X is provided. Each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has a lin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Y and 12Z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Y and 12Z, and the metal bus electrode 13Y is formed at one edge region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 13Z).
투명전극(12Y,12Z)은 통상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이하 "ITO"라 함)로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된다. 금속버스전극(13Y,13Z)은 통상 크롬(Cr) 등의 금속으로 투명전극(12Y,12Z) 상에 형성되어 저항이 높은 투명전극(12Y,12Z)에 의한 전압강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기판(10)에는 상부 유전체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체층(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보호막(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체층(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호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18) 상에는 하부 유전체층(22), 격벽(24)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체층(22)과 격벽(24) 표면에는 형광체층(26)이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X)은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2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상/하부기판(10,18)과 격벽(24) 사이에 마련된 방전셀의 방전공간에는 방전을 위한 He+Xe, Ne+Xe 및 He+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The transparent electrodes 12Y and 12Z are usually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0 by indium tin oxi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O”). The metal bus electrodes 13Y and 13Z are usually formed of metals such as chromium (Cr) and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Y and 12Z to reduce voltage drop caused by the transparent electrodes 12Y and 12Z having high resistance. 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and the passivation layer 16 are stacked on the upper substrate 10 having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side by side. In 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wall charge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re accumulated. The protective layer 16 prevents damage to the upper dielectric layer 14 due to sputtering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nd increases emission efficiency of secondary electrons. As the protective film 16, magnesium oxide (MgO) is usually used. The lower dielectric layer 22 and the partition wall 24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8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and the phosphor layer 26 is coat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dielectric layer 22 and the partition wall 24.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partition wall 24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ddress electrode X to prevent ultraviolet rays and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discharge from leaking to the adjacent discharge cells. The phosphor layer 26 is excited by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to generate visible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An inert mixed gas such as He + Xe, Ne + Xe, and He + Ne + Xe for discharging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discharge cell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0 and 18 and the partition wall 24.
이러한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는 화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을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 서브필드로 나누어 구동하고 있다. 각 서브필드는 다시 방전을 균일하게 일으키기 위한 리셋 기간, 방전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으로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처럼 256 계조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16.66ms)은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지게 된다. 아울러, 8개의 서브 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 및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여기서, 각 서브필드의 리셋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한 반면에 서스테인 기간은 각 서브필드에서 2n(n=0,1,2,3,4,5,6,7)의 비율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각 서브필드에서 서스테인 기간이 달라지게 되므로 화상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is driven by dividing one frame into several subfields having different emission counts in order to realize gray levels of an image. Each subfield is further divided into a reset period for uniformly generating discharge, an address period for selecting a discharge cell, and a sustain period for implementing gray leve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scharges. For example, when the image is to be displayed in 256 gray levels as shown in FIG. 3, the frame period (16.66 ms) corresponding to 1/60 second is divided into eight subfields SF1 to SF8. In addition, each of the eight subfields SF1 to SF8 is divided into a reset and an address period and a sustain period. Here, the reset and address periods of each subfield are the same for each subfield, while the sustain period increases at a rate of 2 n (n = 0,1,2,3,4,5,6,7) in each subfield. do.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stain period is changed in each subfield, gray levels of an image can be realized.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4를 참조하면, PDP의 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필드(SF)는 전화면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기간(RPD),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PD) 및 선택된 셀의 방전을 유지시키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SPD)으로 나뉘어 구동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ubfield SF included in one frame of the PDP includes a reset period RPD for initializing the full screen, an address period APD for selecting a cell, and a discharge period for maintaining the discharge of the selected cell. The driving is divided into the sustain period SPD.
리셋기간(RPD)에 있어서, 셋업기간(Set-up)에는 모든 스캔전극들(Y)에 상승 램프파형(Ramp-up)이 동시에 인가된다. 이 상승 램프파형(Ramp-up)에 의해 전화면의 셀들 내에는 미약한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셀들 내에 벽전하가 생성된다. 셋다운기간(Set-down)에는 상승 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된 후, 상승 램프파형(Ramp-up)의 피크전압보다 낮은 정극성 전압에서 떨어지는 하강 램프파형(Ramp-down)이 스캔전극들(Y)에 동시에 인가된다. 하강 램프파형(Ramp-down)은 셀들 내에 미약한 소거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셋업방전에 의해 생성된 벽전하 및 공간전하 중 불요전하를 소거시키게 되고 전화면의 셀들 내에 어드레스 방전에 필요한 벽전하를 균일하게 잔류시키게 된다. In the reset period RPD, the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all the scan electrodes Y during the set-up period. This rising ramp waveform (Ramp-up) causes a slight discharge in the cells of the full screen to generate wall charges in the cells. During the set-down period, the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upplied, and then the falling ramp waveform Ramp-down falling from the positive voltage lower than the peak voltage of the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canned. To Y at the same time. Ramp-down generates weak erase discharges in the cells,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charges during wall charges and space charges generated by setup discharges, and uniformly distributing the wall charges required for address discharges in the cells of the full screen. Will remain.
어드레스기간(APD)에는 부극성(-)의 스캔펄스(SP)가 스캔전극들(Y)에 순차적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어드레스전극들(X)에 정극성(+)의 데이터펄스(DP)가 인가된다. 이 스캔펄스(SP)와 데이터펄스(DP)의 전압차와 리셋기간(RPD)에 생성된 벽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펄스(DP)가 인가되는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들 내에는 벽전하가 생성된다.In the address period APD, a negative scan pulse SP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 and a positive data pulse DP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s X. do. A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pulse SP and the data pulse DP and the wall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reset period RPD are added, an address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cell to which the data pulse DP is applied. Wall charges are generated in the cells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서스테인기간(SPD)에는 스캔전극들(Y)과 서스테인전극들(Z)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인가된다. 그러면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은 셀 내의 벽전압과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더해지면서 매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인가될 때 마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사이에 면방전 형태로 서스테인방전이 일어나게 된다.In the sustain period SPD,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are alternatel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Z. FIG. Then, the cell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has a surfa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whenever the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are applied while the wall voltage and the sustain pulses SUSPy in the cell are added.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form of discharge.
이러한 서스테인 기간(SPD)에 이은 소거기간(EPD)에서는 서스테인전극(Z)에 소거펄스(EP)를 공급하여 유지되던 방전이 중지되게 한다. 소거펄스(EP)는 발광크기가 작게끔 램프파 형태를 가지거나 방전 소거를 위해 1㎲ 정도의 짧은 펄스폭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소거펄스(EP)에 의한 짧은 소거방전으로 하전입자들이 소거되어 방전이 중지된다.In the erase period EPD subsequent to the sustain period SPD, the discharge pulse EP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to stop the discharge. The erasing pulse EP has a ramp wave shape so that the light emission size is small, or a short pulse width of about 1 ms for the discharge erasing. The charged particles are erased by the short erase discharge by the erase pulse EP to stop the discharge.
도 5a는 서스테인 방전시 발광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발광영역에 따른 전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light emitting regions in a sustain discharge, and 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voltage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s of FIG. 5A.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서스테인 방전 시 PDP 셀내부의 방전공간에서 발광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이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예를들면, 서스테인전극(Z))과 양극(예를들면, 스캔전극(Y))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양 전극간에는 전자의 방출에 의한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음극에서 방출된 1차전자들은 양 전극간에 인가된 전계에 의해 가속을 받아서 중성입자들과 충돌하여 새로운 전자(즉, 2차전자)를 생성시키게 된다. 2차 전자는 전압의 변화가 큼에 따라 전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도 5b의 A 부분에서 강하게 가속받는다. 이러한 2차 전자는 이온화를 진행하면서 에너지를 계속 얻어 도 5b의 B영역에 도달한다. 도 5b의 B영역에서 2차전자는 더 이상 에너지를 얻지 못하고 충돌에 의해 중성입자에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여기된 입자들이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가시광선과 진공자외선을 발생하는데 이 영역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글로우(Negative Glow) 영역(2)이라 불리운다. 이 부글로우 영역(2)을 지난 전자들은 에너지가 매우 약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플라즈마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영역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광주(Positive Column)영역(4)이라 불리운다. 이 양광주영역(4)에서는 전계에 의한 에너지가 아니라 전체에서 에너지가 높은 전자들만 기체를 여기 시켜서 발광을 하게된다. 이 양광주영역(4)에서 이온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여기에 의한 발광이 많이 일어나서 전체적으로 에너지가 빛으로 많이 변환되어 효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5A and 5B, regions in which light emission phenomena occur in the discharge space inside the PDP cell during the sustain discharge are divided and illustrated. As shown in FIG. 5A,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athode (for example,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node (for example, the scan electrode Y), discharge is caused by the emission of electrons between both electrodes. This will happen. At this time, the primary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are accelerated by an electric field applied between both electrodes to collide with the neutral particles to generate new electrons (ie, secondary electrons). The secondary electrons are strongly accelerated in the portion A of FIG. 5B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is relatively large as the voltage change is large. These secondary electrons continue to obtain energy while ionizing and reach the region B of FIG. 5B. In the region B of FIG. 5B, the secondary electrons no longer obtain energy and transfer energy to the neutral particles by collision. In this process, the excited particles fall to the ground state to generate visible and vacuum ultraviolet rays. It is called a negative glow region 2 as shown in FIG. The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sub-lowlow region 2 are so weak in energy that the overall plasma state is uniform. This region is called a positive column region 4 as shown in FIG. 5A. In the positive light main region 4, only electrons with high energy in the entire area excite the gas to emit light, not energy due to an electric field. In this positive light main region 4, ionization hardly occurs, and a lot of light emission by excitation occurs, and energy is converted into light as a whole, and it is known that efficiency is good.
그러나, 종래의 3전극 구조는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방전효율이 좋은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할 수 없다. 이에따라,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 시킬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hree-electrode structure, since the gap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narrow, it is not possible to form a positive column having a good discharge efficienc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positive column wi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을 저감 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which can not only increase discharge efficiency but also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어드레스 기간동안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되는 단계와, 서스테인 기간동안 스캔전극에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으로 떨어지는 제 1 서스테인 펄스가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서스테인 펄스와 교번적으로 상기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떨어지는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상기 스캔전극 및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됨과 동시에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가 어드레스전극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n address discharge for selecting a cell during an address period, and performing a first to second voltage on the scan electrode during the sustain period. Supplying a first sustain pulse falling to the second sustain pulse; supplying a second sustain pulse falling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alternately with the first sustain pulse; and supplying the sustain electrode to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nd a positive bias pulse is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상기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은 상기 어드레스 기간동안 형성된 벽전압과 더해져 상기 서스테인 기간동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설정된다.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are set so as to cause discharge during the sustain period in addition to the wall voltage formed during the address period.
상기 제 2 전압은 기전전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olt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the electropotential.
상기 제 2 전압은 부극성의 전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oltage may be set to a negative voltage.
상기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의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dth of the positive bias puls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상기 어드레스 기간동안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상기 스캔전극에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ring the address period,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and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by the address discharge.
상기 서스테인 기간동안 상기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먼저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stain pulse is first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during the sustain peri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광주영역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어드레스 기간동안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되는 단계와, 서스테인 기간동안 스캔전극에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으로 떨어지는 제 1 서스테인 펄스가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서스테인 펄스와 교번적으로 상기 제 1 전압부터 제 2 전압까지 떨어지는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상기 스캔전극 및 서스테인전극에 공급됨과 동시에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가 어드레스전극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ing a positive light region includes generating an address discharge for selecting a cell during an address period, and dropping a first voltage from a first voltage to a second voltage on the scan electrode during a sustain period. Supplying a first sustain pulse, supplying a second sustain pulse falling from the first voltage to the second voltage alternately with the first sustain pulse, and supplying the sustain electrode with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And supplying a positive bias pulse to the address electrode while being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상기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의 전압은 상기 어드레스 기간동안 형성된 벽전압과 더해져 상기 서스테인 기간동안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are set so as to cause discharge during the sustain period in addition to the wall voltage formed during the address period.
상기 제 2 전압은 기전전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olt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the electropotential.
상기 제 2 전압은 부극성의 전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oltage may be set to a negative voltage.
상기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의 폭은 상기 제 1 및 제 2 서스테인 펄스의 폭보다 좁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dth of the positive bias puls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sustain pulses.
상기 어드레스 기간동안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상기 스캔전극에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ring the address period,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and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by the address discharge.
상기 서스테인 기간동안 상기 제 2 서스테인 펄스가 먼저 상기 서스테인 전극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stain pulse is first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during the sustain period.
상기 리셋기간은 셋업기간 및 셋다운기간으로 나뉘어 구동되며, 셋업기간동안 상기 스캔전극에 제 1 상승램프파형이 공급되는 단계와, 셋업기간동안 상기 스캔전극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기 서스테인전극에 제 2 상승램프파형이 공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et period is driven by being divided into a setup period and a setdown period, wherein a first rising ramp waveform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during the setup period, and a second rising up to the sustain electrod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can electrode during the setup period.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upplying the ramp waveform.
상기 제 1 상승램프파형과 상기 제 2 상승램프파형의 전압값은 스캔전극과 서스테인전극간에 방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ising ramp waveform and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may be set to prevent a discharge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상기 제 1 상승램프파형과 제 2 상승램프파형의 전압값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ising ramp waveform and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are set to be the same.
상기 제 1 상승램프파형 및 제 2 상승램프파형의 최고 전압값은 350V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first ramp ramp waveform and the second ramp ramp waveform is set to 350V or less.
상기 제 2 상승램프파형이 공급된 후 상기 셋다운기간 및 어드레스기간동안 상기 서스테인전극에 정극성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is supplied, a positive DC voltage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during the set down period and the address period.
상기 정극성의 직류전압의 전압값은 상기 제 2 상승램프파형의 전압값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value of the positive DC voltage is set equal to the voltage value of the second ramp ramp waveform.
상기 정극성의 직류전압의 최고 전압값은 350V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positive DC voltage is set to 350V or less.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6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DP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10) 상에 형성되어진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하부기판(118)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X)을 구비한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각각은 투명전극(112Y,112Z)과, 투명전극(112Y,112Z)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며 투명전극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금속버스전극(113Y,113Z)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ischarge cells of the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type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0, and on the lower substrate 118. The address electrode X is provided. Each of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has a lin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112Y and 112Z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s 112Y and 112Z, and the metal bus electrode 113Y is formed at one edge region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 113Z).
투명전극(112Y,112Z)은 통상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로 상부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금속버스전극(113Y,113Z)은 통상 크롬(Cr) 등의 금속으로 투명전극(112Y,112Z) 상에 형성되어 저항이 높은 투명전극(112Y,112Z)에 의한 전압강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기판(110)에는 상부 유전체층(114)과 보호막(116)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체층(1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보호막(1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체층(1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호막(1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117) 상에는 하부 유전체층(122), 격벽(도시하지않음)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체층(122)과 격벽 표면에는 형광체층(도시하지않음)이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X)은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은 어드레스전극(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상/하부기판(110,118)과 격벽 사이에 마련된 방전셀의 방전공간에는 방전을 위한 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PDP에서는 상부기판(110) 상에 형성되어진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d)이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L)(또는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L))보다 크게 설정된다.The transparent electrodes 112Y and 112Z are usually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0 by indium-tin-oxide. The metal bus electrodes 113Y and 113Z are formed of a metal such as chromium (Cr) and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s 112Y and 112Z to reduce voltage drop caused by the transparent electrodes 112Y and 112Z having high resistance. An upper dielectric layer 114 and a passivation layer 116 are stacked on the upper substrate 110 having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side by side. The wall charges generated during the plasma discharge are accumulated in the upper dielectric layer 114. The passivation layer 116 prevents damage to the upper dielectric layer 114 due to sputtering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and increases emission efficiency of secondary electrons. As the protective film 116, magnesium oxide (MgO) is usually used. A lower dielectric layer 122 and a partition wall (not shown)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17 on which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and a phosphor layer (not shown) is applied to the lower dielectric layer 122 and the partition wall surface.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ddress electrode X to prevent ultraviolet rays and visible light generated by the discharge from leaking to the adjacent discharge cells. The phosphor layer is excited by ultraviolet rays generated during plasma discharge to generate visible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An inert mixed gas such as Ne + Xe for discharging is injected into the discharge space of the discharge cell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10 and 118 and the partition wall. In the PD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0 is the distance 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r larg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한편, 종래의 3전극 구조는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이 좁아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 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은 좁게,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은 넓게 설정되기 때문에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 시킬 수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구조는 종래의 3전극 구조에 비해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말해서, 서스테인 기간동안 스캔전극(Y)에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될 때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이 스캔전극(Y) 및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기 때문에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방전이 먼저 일어난 후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서스테인 방전이 일어난다. 즉,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방전은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방전이 보다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트리거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three-electrode structure, since the gap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narrow, the positive column cannot be formed wi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is narrow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set wide, a positive column can be formed wide. Can b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ree-electrode structure. In other words, when the sustain puls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during the sustain period, the interva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set to be wid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h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s first, followed by the sustain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at is, th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can be seen as a triggering role so that th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can occur better.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d)이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L)보다 넓게 설정되기 때문에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가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전압차보다 높아져 도 6의 ① 방향으로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대향방전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그후,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자들은 도 6의 ②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의 확산이 끝나는 시점에서 도 6의 ③ 방향으로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대향방전이 발생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스테인전극(Z)에 스캔전극(Y)과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펄스가 인가시 도 6의 ③ 방향으로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대향방전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그후,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자들은 도 6의 ②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의 확산이 끝나는 시점에서 도 6의 ① 방향으로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대향방전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d)이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의 간격(L)보다 크게 설정하여 방전효율이 좋은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stance 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set to be wid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Sinc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des X is higher tha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opposit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s first in the direction of FIG. 6. Thereafter, due to the high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electrons diffuse in the direction of FIG. 6 to form a positive column. At the end of the diffusion of the positive column, opposite discharg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s in the direction ③ of FIG. 6. Similarly, when a sustain pulse is alternatel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to the sustain electrode Z, a counter discharg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s first in the direction of Fig. 6. Thereafter, due to the high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electrons diffuse in the direction of FIG. 6 to form a positive column. At the end of the diffusion of the positive column, opposite discharges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 in the direction ① of FIG. 6. As such, a positive column having a high discharge efficiency is set by setting the distance 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Can be formed wide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광주를 이용한 PDP는 일반적인 Xe의 양을 갖는 일반구조에 많은 양의 Xe 을 적용하는 것에 준하는 높은 효율(Efficacy)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교류형 PDP에서 사용되는 부글로우(Negative Glow) 영역외에 낮은 필드와 높은 Xe 여기비율(Excitation Rate)의 특성을 지닌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를 적극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은 주로 300㎛ 이상의 방전패스를 가질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부글로우(Negative Glow) 영역에서의 효율이 1~2 lm/W 인것에 비하여 높은 효율(대개의 경우 7 lm/W)을 보이고 있다.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의 확대를 위해 셀내에서 ITO간의 간격(=d)을 최대화(ex. 0.81mm 픽셀 피치 기준에서 ITO 간격은 300㎛ 이상)하였고, ITO간 간격의 증가에 따른 방전개시 및 유지 전압의 증가는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간격(=L)을 d > L 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스테인 기간(SPD)동안 방전개시를 종래의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사이가 아닌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에서 발생시켜서 서스테인전극(Z)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d > L 관계의 설립은 필수이다. 다시말해서,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사이의 거리를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 사이의 거리보다 더 넓게 하여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넓게 형성시켜 방전효율을 높이는 것이다.Therefore, the PDP using the Yanggwangj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high efficiency (Efficacy) according to applying a large amount of Xe to a general structure having a general amount of Xe. To this end, positive columns, which have low field and high Xe excitation rate characteristics, are used in addition to the negative glow region used in AC PDPs. In general, positive column is generated when discharge path is mainly 300㎛ or more, and high efficiency (usually in case of negative glow area is 1 ~ 2 lm / W) 7 lm / W). In order to enlarge the positive column, the interval between the ITOs (= d) in the cell was maximized (ex. ITO interval of 300 µm or more at 0.81mm pixel pitch), and the discharge was initiated by increasing the interval between the ITOs. Increasing the sustain voltage causes the discharge to be started during the sustain period SPD while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 L)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with d> L. It is aimed to be generated by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rather than between the electrodes Z, and mov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For this purpose, the establishment of a d> L relationship is essential. 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wid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o form a positive column wide to discharge efficiency To raise.
도 7a 내지 7c는 수평형태의 양광주영역 구조에서 서스테인 기간동안 방전개시 및 유지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in detail discharge initiation and maintenance during a sustain period in a horizontal double-light main region structure.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서스테인 기간(SPD)에는 도 7a에서처럼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거리보다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에는 면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미약한 대향방전이 발생한다. 그 후, 도 7b에서처럼 d > L 이기 때문에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서 전자들이 서스테인전극(Z)으로 확산하면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7c에서처럼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이 계속 확산되다가 끝나는 시점에서 반대극성을 갖고 있는 전하의 축적에 의해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사이의 전위차가 상쇄된다. 따라서, 방전이 서서히 약해지면서 각 전극의 벽전하의 극성이 반전 혹은 중성이 된다. 이러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에서는 전계에 의한 에너지가 아니라 전체에서 에너지가 높은 전자들만 기체를 여기시켜서 발광을 하게된다. 즉,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은 이온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여기에 의한 발광이 많이 일어나서 전체적으로 에너지가 빛으로 많이 변환되어 효율이 좋다. 따라서, 이러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극대화 할 수 있다면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따라,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의 확대를 위해 방전셀내에서 ITO 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7A to 7C, in the sustain period SPD,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is relatively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s shown in FIG. 7A, the scan is performed. No surface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a weak counter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hereafter, as shown in FIG. 7B,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electrons diffuse into the sustain electrode Z to form a positive column.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C,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canceled by accumulation of charge having opposite polarity at the point where the positive column continues to diffuse. Therefore, as the discharge gradually weakens, the polarities of the wall charges of the electrodes become inverted or neutral. In the positive column, only electrons with high energy in the entire area do not emit energy by the electric field and emit light. That is, the positive column has almost no ionization and generates a lot of light emission due to excitation, so that the energy is converted into light as a whole and the efficiency is good. Therefore, the dischar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f the positive column can be maximized. Accordingly, the discharg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maximizing the interval between the ITO in the discharge cell in order to expand the positive column.
한편, 6.5 인치 테스트 샘플을 사용하여 가시적인 효율을 종래의 샘플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 8을 살펴보면, Xe가 6% 주입되고 500Torr의 압력를 갖는 Xe-Ne 가스를 봉입시키고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가 인가된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 구조는 2.0 lm/W의 효율을 갖기 위해 약 220V의 서스테인 전압이 필요하지만, Xe가 14% 주입된 Xe-Ne 가스를 봉입시킨 종래의 전극구조는 2.0 lm/W의 효율을 갖기 위해서는 약 240V의 서스테인 전압이 필요하다. 이는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 구조에서 일반구조에서는 활용하기 어려운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의 사용을 극대화 하면서 효율이 개선된 예로 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이아스 펄스를 인가하여 좀 더 낮은 전압에서 방전의 개시와 유지를 꾀함으로써 동일 구조에서도 10 ~ 20% 수준의 효율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which shows a result of comparing the visible efficiency with a conventional sample using a 6.5 inch test sample, 6% of Xe is injected and a Xe-Ne gas having a pressure of 500 Torr and a positive bias pulse The applied positive column structure requires a sustain voltage of about 220V to have an efficiency of 2.0 lm / W, but the conventional electrode structure containing Xe-Ne gas injected with 14% of Xe is 2.0 lm / W. In order to have the efficiency of W, a sustain voltage of about 240V is required. This is an example of improved efficiency while maximizing the use of positive column, which is difficult to utilize in general structure in positive column structure. In addition, a positive bias pulse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o start and maintain a discharge at a lower voltage, resulting in an efficiency improvement of 10 to 20% even in the sam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 구조의 경우 ITO 간격을 극대화한 것이므로 종래의 구동파형과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구동을 하여야 한다. 먼저, 종래의 리셋파형의 경우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방전을 통하여 벽전하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경우 스캔전극(Y)과 서스테이전극(Z)간의 간격을 극대화하여 고효율을 이용한 구조이므로 종래의 리셋파형을 인가시에 리셋전압(Vreset)이 높아지고, 그와 동시에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또는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방전으로 인하여 리셋전압의 목전인 균일한 벽전하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또한, 서스테인 기간(SPD)동안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에 교번적으로 종래의 서스테인 펄스를 공급함과 아울러 어드레스 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이스 펄스를 인가할 경우 필드분포가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반대가 되어 서스테인 방전에 안좋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종래의 서스테인 펄스와 같은 형태의 펄스가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에 인가함과 아울러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서스테인 펄스의 주파수와 폭을 변형 시켜야 한다. 그럴경우 각 필드의 휘도레벨특성이 달라지므로 화질적으로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폭과 동일 주파수를 이용하면서도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를 인가할 수 있도록 도 9와 같은 구동파형을 인가하여야 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ositive colum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TO interval is maximized, the driving should be performed using a mechanism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riving waveform. First, in the conventional reset waveform, wall charges are formed through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However,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s formed. In this structure, the reset voltage Vreset increases when the conventional reset waveform is applied, and at the same time,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r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are increased. Due to the discharge between)),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uniform wall charge, which is the current of the reset voltage.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sustain pulse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during the sustain period SPD, and the positive bias pulse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field distribution is scanned. Opposite to the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has a bad effect on the sustain discharg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a pulse having the same shape as a conventional sustain pulse to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o apply a positive Baas pulse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frequency and width of the sustain pulse are increased. It must be modified. In this case, the brightness level characteristic of each field is changed, which adversely affects image qua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waveform as shown in FIG. 9 should be applied so that a positive Baas pulse can be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while using the same width and frequency as in the prior art.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DP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D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도 9를 참조하면, PDP의 한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필드(SF)는 셀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기간(RPD),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APD) 및 선택된 셀의 방전을 유지시키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SPD)으로 나뉘어 구동된다.Referring to FIG. 9, the subfield SF included in one frame of the PDP includes a reset period RPD for initializing a cell, an address period APD for selecting a cell, and a sustain for maintaining discharge of the selected cell. The driving is divided into the period SPD.
리셋기간(RPD)의 셋업기간(Set-up)동안 스캔전극(Y)에는 정극성의 전압(예를 들면 서스테인전압(Vs))으로부터 상승하는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된다. 스캔전극(Y)에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되면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 간에 미약한 방전이 발생되고, 이 방전에 의하여 셀들내에 벽전하가 형성된다. 그리고, 셋업기간(Set-up)동안 서스테인전극(Z)에는 정극성의 전압(예를 들면, 서스테인전압(Vs))으로부터 상승하는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된다. 서스테인전극(Z)에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되면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 간에 미약한 방전이 발생되고, 이 방전에 의하여 셀들내에 벽전하가 형성된다. During the set-up period of the reset period RPD, the scan electrode Y is supplied with a first rising ramp waveform Ramp-up rising from the positive voltage (for example, the sustain voltage Vs). When the first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 weak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and wall charges are formed in the cells. During the set-up period,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rising from the positive voltage (for example, the sustain voltage Vs)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When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a weak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and wall discharge is formed in the cells by the discharge.
즉, 본 발명의 셋업기간(Set-up)에는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방전을 일으켜 방전셀에 특정 극성을 갖는 벽전하를 형성한다. 한편,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 및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의 전압값은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에 방전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전압차를 갖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 및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의 전압값이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비슷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 및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의 최고전압값은 350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V이하로 설정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1 상승 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되었을 때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리셋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셀의 구조가 d > L로 설정되기 때문에, 즉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이 인접되게 위치되기 때문에 낮은 전압값을 가지는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에 의하여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 간에 안정된 리셋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스테인전극(Z)에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이 공급되므로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에 리셋방전은 일어나지 않고, 낮은 전압값을 가지는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에 의하여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안정된 리셋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That is, in the set-up peri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the address electrode X,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o generate wall charges having a specific polarity in the discharge cells. Form. 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amp ramp (Ramp-up) and the second ramp ramp (Ramp-up) is set to have a voltage difference such that no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do. For example, the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amp ramp waveform up and the ramp ramp ramp up may be set identically or similarly. Here, the highest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amp ramp Ramp-up and the second ramp ramp Ramp-up are set to 350 V or lower, preferably 300 V or lower. In detail, first, when the first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upplied, reset discharge occurs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FIG. Here, since the structure of the cell is set to d> L, that is,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can is performed by the first ramp ramp Ramp-up having a low voltage value. A stable reset discharge may occur between the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Similarly, since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su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no reset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which has a low voltage value) does not occur. By the ramp-up, a stable reset discharge may occur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파형에서 제 1 및 제 2 상승램프파형이 인가되었을 때 리셋방전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캔전극(Y)에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이 인가되었을 때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리셋방전이 발생된다. 여기서, 스캔전극(Y)이 어드레스전극(X)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도 10a와 같이 스캔전극(Y)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어드레스전극(X)에는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서스테인전극(Z)에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이 인가되었을 때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리셋방전이 발생된다. 여기서, 서스테인전극(Z)이 어드레스전극(X)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도 10a와 같이 서스테인전극(Z)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어드레스전극(X)에는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상승램프파형(Ramp-up)과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의 전압값은 방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간에는 리셋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셋다운기간(Set-down)동안 원하는 벽전하들이 잔류될 수 있도록 스캔전극(Y)에 정극성의 전압으로부터 부극성의 전압으로 하강되는 하강램프파형(Ramp-down)이 공급된다. 이 부극성의 하강램프파형(Ramp-down)이 인가되면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및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미세 방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미세방전에 의하여 도 10b와 같이 셋업기간(Set-up)에 형성된 벽전하 및 공간전하 중 불요전하를 소거시키게 되고 전화면의 셀들 내에 어드레스 방전에 필요한 벽전하를 균일하게 잔류시키게 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A to 10E, a process of generating reset discharge when the first and second rising ramp waveforms are applied to the driving wave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When the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applied, a reset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Here, since the scan electrode Y has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address electrode X,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address electrode X, as shown in FIG. 10A. Is formed. Similarly, when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is a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a reset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Here, since the sustain electrode Z has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address electrode X,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Z as shown in FIG. 10A, and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address electrode X. Is 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voltage values of the first rising ramp waveform (Ramp-up) and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are set so that no discharge occurs, a reset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It does not occur. Thereafter, a ramp ramp down of the positive voltage to the negativ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so that the desired wall charges remain during the set-down period. When the negative falling ramp waveform (Ramp-down) is applied, fine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Such fine discharge eliminates unnecessary charges among wall charges and space charges formed in the set-up as shown in FIG. 10B, and uniformly retains wall charges required for address discharge in the cells of the full screen.
어드레스기간(APD)에는 부극성의 스캔펄스(SP)가 스캔전극들(Y)에 순차적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어드레스전극들(X)에 정극성의 데이터펄스(DP)가 인가된다. 이 스캔펄스(SP)와 데이터펄스(DP)의 전압차와 리셋기간(RPD)에 생성된 벽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펄스(DP)가 인가되는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들 내에는 벽전하가 생성된다. In the address period APD, the negative scan pulse SP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 and the positive data pulse DP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s X. A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pulse SP and the data pulse DP and the wall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reset period RPD are added, an address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cell to which the data pulse DP is applied. Wall charges are generated in the cells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한편,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캔전극(Y)에 부극성의 스캔펄스(SP)가 인가됨과 동시에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데이타펄스(DP)가 인가 되었을 때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된다. 여기서, 어드레스전극(X)이 스캔전극(Y)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도 10c와 같이 스캔전극(Y)에는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어드레스전극(X)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address dischar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hrough 10E. First, a negative scan pulse SP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nd a positive data pulse (C)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When the DP) is applied, an address discharge is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Here, since the address electrode X has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scan electrode Y,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address electrode X, as shown in FIG. 10C. Is formed.
한편, 셋다운기간(Set-down)과 어드레스기간(ADP) 동안에 서스테인전극들(Z)에는 제 2 상승램프파형(Ramp-up)의 전압레벨의 정극성 직류전압이 공급된다. 이러한 정극성의 직류전압은 서스테인전극(Z)에 쌓여있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 때, 정극성의 직류전압의 최고전압값은 350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V이하로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et-down period and the address period ADP, the sustain electrodes Z are supplied with the positive DC voltage of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rising ramp waveform Ramp-up. This positive DC voltage is such that the negative wall charges accumulated on the sustain electrode Z are maintained. At this time,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positive DC voltage is set at 350 V or less, preferably 300 V or less.
서스테인기간(SPD)에는 스캔전극들(Y)과 서스테인전극들(Z)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기저전위로 떨어지는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인가된다. 여기서,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SUSPy,SUSPz)는 특정 전압부터 부극성의 전압까지 떨어지는 펄스가 될 수도 있다. 이 때, 특정 전압부터 부극성의 전압까지 떨어지는 펄스의 전압차는 서스테인 전압(Vs)값을 갖는다. 이와 동시에 어드레스전극(X)에는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가 인가된다. 그러면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선택된 셀은 셀 내의 부극성의 벽전압과 부극성의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더해지면서 더욱 부극성이 되어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서스테인 방전이 더욱 더 활성화 된다. 이러한 서스테인 방전은 매 서스테인펄스(SUSPy, SUSPz)가 인가될 때 마다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사이에 면방전 형태로 일어나게 된다. In the sustain period SPD,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falling from the sustain voltage Vs to the ground potential are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s Y and the sustain electrodes Z alternately. Here, the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may be pulses falling from a specific voltage to a negative voltage. At this time, the voltage difference of the pulse falling from the specific voltage to the negative voltage has a sustain voltage (Vs) value. At the same time, a positive pulse pulse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n, the cell selected by the address discharge becomes more negative with the addition of the negative wall voltage and the negative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in the cell, and thus becomes more negative. The scan electrode Y,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m becomes larger. Therefore, the sustain discharge is further activated. Such a sustain discharge occurs in the form of surfac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every time the sustain pulses SUSPy and SUSPz are applied.
한편, 서스테인 방전이 발생되는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서스테인전극(Z)에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기저전위로 떨어지는 서스테인 펄스(SUSPz)가 인가됨과 동시에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가 인가 되었을 때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에 의해 방전이 발생된다. 즉, 서스테인전극(Z)에 인가된 부극성의 서스테인 펄스(SUSPz)의 전압과 어드레스 기간(APD)동안 서스테인전극(Z)에 형성된 부극성의 벽전압이 더해져 더욱 부극성의 전압이 됨과 아울러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가 공급됨으로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서스테인전극(Z)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방전이 활발하게 발생되어 서스테인전극(Z) 및 스캔전극(Y)간의 서스테인 방전을 더욱 활성화 시키게 된다. 여기서, 스캔전극(Y)이 서스테인전극(Z)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도 10d와 같이 스캔전극(Y)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서스테인전극(Z)에는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그 후, 서스테인전극(Z)에 인가된 서스테인 펄스(SUSPz)와 교번적으로 스캔전극(Y)에 서스테인 전압(Vs)으로부터 기저전위로 떨어지는 서스테인 펄스(SUSPy)가 인가됨과 동시에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가 인가 되었을 때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에 의해 방전이 발생된다. 즉, 스캔전극(Y)에 인가된 부극성의 서스테인 펄스(SUSPy)의 전압과 이전의 서스테인 펄스(SUSPz)에 의해 스캔전극(Y)에 형성된 부극성의 벽전압이 더해져 더욱 부극성의 전압이 됨과 아울러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가 공급됨으로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전압차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에 방전이 활발하게 발생되어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간의 서스테인 방전을 더욱 활성화 시키게 된다. 여기서, 서스테인전극(Z)이 스캔전극(Y)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도 10e와 같이 스캔전극(Y)에는 정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되고, 서스테인전극(Z)에는 부극성의 벽전하가 형성된다. 이렇게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원하는 계조를 표시하게 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A to 10E, a process of generating a sustain discharge will be described. First, a sustain pulse SUSPz falling from the sustain voltage Vs to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and at the same time, the address electrode X is applied. When a positive Baas puls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discharge occurs due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hat is, the voltage of the negative sustain pulse SUSPz a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negative wall voltag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Z during the address period APD are added to become the negative voltage and the address. Since the positive bias pulse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X,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becomes larger. Therefore, the discharge is actively generated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o further activate the sustain discharge between the sustain electrode Z and the scan electrode Y. Here, since the scan electrode Y has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sustain electrode Z,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s shown in FIG. 10D, and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Z. Is formed. Thereafter, a sustain pulse SUSPy falling from the sustain voltage Vs to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lternately with the sustain pulse SUSPz applied to the sustain electrode Z, and at the same time, the address electrode X When a positive bias puls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the discharge is caused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hat is, the voltage of the negative sustain pulse SUSPy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negative wall voltag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by the previous sustain pulse SUSPz are added to further increase the negative voltage. In addition, since the positive bias pulse is su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becomes larger. Therefore, the discharge is actively generat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to further activate the sustain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Here, since the sustain electrode Z has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scan electrode Y, posi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negative wall charges are formed on the sustain electrode Z as shown in FIG. 10E. Is formed. By alternately causing sustain discharge, desired gray scales are displayed.
다시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 구조는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간격을 최대화 하여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확대시켜 방전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조이다. 즉, 스캔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간의 면방전보다는 스캔전극(Y)과 어드레스전극(X)간의 대향방전이 먼저 일어나게 하여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사이의 리셋방전을 일킴으로써 리셋전압을 낮추고 양 상판전극의 ITO에 균일한 벽전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파형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경우에 양 상판 ITO간의 리셋방전시 생기던 블랙 패턴에서의 휘도가 본 파형을 적용시 블랙 패턴 휘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은 상대전위차를 부극성이 되게하여 부극성의 벽전하를 이용한 서스테인 방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스캔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에 부극성의 벽전하를 이용한 서스테인방전을 하므로 어드레스전극(X)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를 인가하여 종래의 서스테인 주파수를 이용한 서스테인 방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 ~ 20%의 효율개선과 소비전력 저감의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광주영역(Positive Column) 구조외에 종래의 3전극 구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파형이다.In other words, the positive colum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o enlarge the positive column (Positive Column)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That is, instead of the surfac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opposite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address electrode X occurs first to enlarge the positive colum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reset voltage by forming a reset discharg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form a uniform wall charge on the ITO of the upper plate electrodes. By applying this waveform, the additional effect that the luminance in the black pattern which occurred in the reset discharge between the upper plate ITO in the conventional case can significantly lower the black pattern luminance when applying this waveform can also be obtained. In addition, the wave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the relative potential difference to be negative, thereby causing sustain discharge using negative wall charges. Thus, since the sustain discharge using the negative wall charge is performed on the scan electrode Y and the sustain electrode Z, the positive discharge pulse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X so that the sustain discharge using the conventional sustain frequency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10-20%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waveform that can be used in the conventional three-electrode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column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스캔전극과 서스테인전극간의 간격을 최대화하여 양광주영역를 확대시킴으로써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캔전극 혹은 서스테인전극과 어드레스전극간의 리셋방전을 일으킴으로써 리셋전압을 낮추고 스캔전극 및 서스테인전극에 균일한 벽전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전극 및 서스테인전극의 벽전하가 부극성일때 상대 준위적으로 부극성의 전압을 주는 효과를 가지므로 어드레스전극에 정극성의 바아아스 펄스를 인가하면 더욱 서스테인 방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to enlarge the photovoltaic region, thereby increasing the discharge efficiency and also causing the reset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or the sustain electrode and the address electrode. The reset voltage can be lowered and uniform wall charges can be formed on the scan electrodes and the sustain electrod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iving a negative voltage at a relative level when the wall charges of the scan electrode and the sustain electrode are negative, so that the sustain discharge can be further activated by applying a positive Baas pulse to the address electrode. .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3전극 교류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cell of a conventional three-electrode AC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sma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fram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도 5a는 서스테인 방전시 발광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light emitting regions classified when sustain discharge is performed.
도 5b는 도 5a의 발광영역에 따른 전압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lt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of FIG. 5A.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광주영역구조에서 방전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flow in the positive light main reg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c는 수평형태의 양광주영역 구조에서 서스테인 기간동안 방전개시 및 유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A to 7C are diagrams showing the discharge start and maintenance during the sustain period in the horizontal double-light main region structure.
도 8a 및 8b는 종래의 전극구조와 양광주영역 전극구조의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8A and 8B are graphs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electrode structure and the positive light main region electrode structure.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FIG. 9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도 10a 내지 10e는 도 9의 구동파형에 따른 벽전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0A through 10E illustrate a process of forming wall charges according to the driving waveform of FIG. 9.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상부기판 18 : 하부기판 10: upper substrate 18: lower substrate
Y : 스캔전극 Z : 서스테인전극Y: scan electrode Z: sustain electrode
X : 어드레스 전극 12Y, 12Z : 투명전극X: address electrode 12Y, 12Z: transparent electrode
13Y, 13Z : 금속버스전극 14 : 상부 유전체층13Y, 13Z: metal bus electrode 14: upper dielectric layer
16 : 보호막 22 : 하부 유전체층16: protective film 22: lower dielectric layer
24 : 격벽 26 : 형광체층24: partition 26: phosphor layer
Claims (21)
Priority Applications (7)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20535A KR100503604B1 (en) | 2003-04-01 | 2003-04-01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DE602004023553T DE602004023553D1 (en) | 2003-03-04 | 2004-03-03 |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discharge stability and improved efficienc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10/791,691 US7319292B2 (en) | 2003-03-04 | 2004-03-03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EP04004982A EP1455332B1 (en) | 2003-03-04 | 2004-03-03 |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discharge stability and efficienc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JP2004061254A JP2004273455A (en) | 2003-03-04 | 2004-03-04 | Plasma display panel and its drive method |
| CNA2004100065248A CN1527345A (en) | 2003-03-04 | 2004-03-04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1/931,456 US20080111770A1 (en) | 2003-03-04 | 2007-10-31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20535A KR100503604B1 (en) | 2003-04-01 | 2003-04-01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85741A KR20040085741A (en) | 2004-10-08 |
| KR100503604B1 true KR100503604B1 (en) | 2005-07-26 |
Family
ID=3736867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205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3604B1 (en) | 2003-03-04 | 2003-04-01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0360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99054A (en) * | 2003-05-17 | 2004-11-26 | 태흥식 | Method for driving ac plasma display panel having long gap and using positive column of discharge |
| EP1659558A3 (en) | 2004-11-19 | 2007-03-14 | LG Electronics, Inc. |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sustain pulse driving method thereof |
| US7639214B2 (en) | 2004-11-19 | 2009-12-29 | Lg Electronics Inc. |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0739588B1 (en) * | 2006-05-22 | 2007-07-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of Driving AC PDP for Temporary Darkness Removal and AC Plasma Display Panel |
-
2003
- 2003-04-01 KR KR10-2003-0020535A patent/KR1005036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85741A (en) | 2004-10-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080111770A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 US20090128532A1 (en) |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604275B1 (en)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503604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93918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89280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93919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20050034767A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549669B1 (en)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99081B1 (en) |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21477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525738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378623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 KR100733883B1 (en) | Gas Discharge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453161B1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Fabricating Method of lower Plate Thereof | |
| KR20040080564A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 KR100533729B1 (en) |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508237B1 (en) |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801476B1 (en)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 |
| KR20040078436A (en) |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 KR20040036257A (en) |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817793B1 (en) | New method of driving DC PD to reduce reset period and increase dark-room contrast ratio | |
| KR100553931B1 (en) |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
| KR100735737B1 (en) |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contrast ratio of AC plasma display | |
| KR100667593B1 (en) | Negative address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7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71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