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2091B1 -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091B1
KR100512091B1 KR10-1998-0039586A KR19980039586A KR100512091B1 KR 100512091 B1 KR100512091 B1 KR 100512091B1 KR 19980039586 A KR19980039586 A KR 19980039586A KR 100512091 B1 KR100512091 B1 KR 10051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heets
mold fram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806A (ko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091B1/ko
Priority to US09/300,483 priority patent/US6504586B1/en
Publication of KR2000002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0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홀더를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 및 탑샤시와 전기 접촉시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가 탑샤시를 통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시트류들이 몰드 프레임에 수용되는 경우, 홀더를 몰드 프레임의 홀딩개구에 끼워 시트류들이 안정적으로 홀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류들의 유동이 미리 차단되도록 한다.
이 경우, 홀더는 통상의 전자파 방출기능과 함께, 시트류 고정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고, 결국, 시트류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의 사용이 배제됨으로써, 시트류들의 표면에서 발생되던 링클링 현상은 미리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일부 구조물의 형태를 개선시켜, 시트류들의 링클링(Wrinkling)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사회가 정보사회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표시장치의 하나인 액정표시장치는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그것이 갖고 있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소비화 등의 장점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는 CRT(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수단으로써 점차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 5387922 호 "하나의 드라이빙 써킷으로 이루어진 엘씨디 모듈을 드라이빙하는 장치(Apparatus for driving a LCD module with one driving circuit)", 미국특허공보 제 5510915 호 "아웃 엑티브 메트릭스 엘씨디(Out active matrix LCD)", 미국특허공보 제 5684555 호 "액정표시장치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미국특허공보 제 5729316 호 "액정표시장치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미국특허공보 제 5777611 호 "엘씨디 모듈의 파우어 시퀀스 콘트롤링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equence of an LCD module)" 등에 좀더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 통상, 도광판의 전면과 LCD 패널 사이에는 복수의 시트류들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시트류들은, 예컨대,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 시트들, 도광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시켜,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들, 확산 시트들/프리즘 시트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시트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도광판과 각 시트류들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테이프, 예컨대,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서로 결합됨과 아울러 몰드 프레임의 바닥에 붙어있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 모듈 내부에서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장치의 구조물을 테이프 등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채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 5477779 호 "프린팅 드럼과 열 수축 스크린을 부착하는 방법(Printing drum and method for attaching heat shrinkable screen)", 미국특허공보 제 5665607 호 "박막 솔라 셀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thin film solar cell)", 미국특허공보 제 5620129 호 "도전성 볼 어레이를 어태치/포밍하는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nd attaching an array of conductive balls)", 미국특허공보 제 5477422 호 "조명 엘씨디 장치(Illuminated LCD apparatus)" 등에는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 LCD 패널은 통상,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이때, 램프는 빛만 조사하는 것이 아니고, 빛과 함께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몰드 프레임에 배치되는 다양한 구조물, 예컨대, 시트류들에게 영향을 미쳐, 이들을 일정 폭으로 팽창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류들은 고정 테이프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몰드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급속히 열팽창 되더라도 자신의 열팽창 폭을 일정 범위로 제한 받을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고정 테이프에 의한 고정력과, 열에 의한 팽창력이 서로 상호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시트류들의 표면에는 강한 응력이 집중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특히, 시트류들은 매우 얇은 두께를 유지하여, 다른 구조물에 비해 외부의 응력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술한 응력 집중이 조금만 진행되더라도, 링클링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결국, 시트류들의 표면은 심하게 주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류들의 표면에 링클링 현상이 야기되면, 시트류들은 표면에 형성된 주름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며, 결국,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표시품질은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테이프의 사용 없이도, 시트류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류들을 고정 시킬 때, 고정 테이프의 사용이 완전히 배제되도록 하여, 시트류에 작용하던 응력 집중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력 집중을 미리 차단하여, 시트류들의 변형을 미리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류들의 변형을 미리 방지하여, 전체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트류들의 열팽창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던 고정 테이프를 제거하는 대신, 몰드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고, 시트류들과 몰드 프레임을 새로운 홀더를 통해 결합시킨다. 이 경우, 홀더는 전자파 방출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시트류들을 몰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홀더를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 및 탑샤시와 전기 접촉시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가 탑샤시를 통해 방출되도록함과 아울러, 시트류들이 몰드 프레임에 수용되는 경우, 홀더를 몰드 프레임의 홀딩개구에 끼워 시트류들이 안정적으로 홀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류들의 유동이 미리 차단되도록 한다. 이 경우, 홀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전자파 방출기능과 함께, 시트류 고정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시트류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테이프의 사용은 완전히 배제된다.
이때, 몰드 프레임의 홀딩개구에는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시트류들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데, 이 경우, 시트류들은 홀더에 의한 홀딩작용 이외에도 고정돌기에 의한 고정작용을 더불어 수행받을 수 있음으로써,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홀딩개구에는 고정돌기의 양 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들이 더 형성되는데, 이 경우, 홀더는 지지돌기들의 지지에 의해 시트류들을 과잉 압입하지 않게 되고, 결국, 시트류들은 자신의 열팽창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접지용 클립의 기능을 활용하여 통상의 접지기능 이외에 새로운 시트류 홀딩기능을 추가시키고, 이를 통해, 시트류들을 몰드 프레임상에 적정 수준으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시트류들의 열팽창 영역을 충분히 확보시킴으로써, 시트류들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예측하지 못한 링클링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채용되는 홀딩 구조물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모듈에서, 내부의 부품들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50)의 측면에는 화상정보 표시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는 램프(도시안됨)가 위치되며, 램프의 측면에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입사받아 이를 자신의 상부에 형성된 LCD 패널(20)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도광판(40)이 몰드 프레임(50)의 홈안에 놓인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도광판(40)의 전면과 LCD 패널(20) 사이에는 복수의 시트류들(30)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시트류들(30)은, 예컨대, 도광판(40)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켜, 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 시트들, 도광판(40)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광시켜,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프리즘 시트들, 확산 시트들/프리즘 시트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시트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부품들은 몰드 프레임(50)의 테두리를 감싸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재질의 탑샤시(1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된다.
한편, LCD 패널(20)의 측부에는 다수개의 회로패턴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21)이 LCD 패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는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LCD 패널(20)의 전체적인 구동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LCD 패널(20)과 인쇄회로기판(21) 사이에는 반도체 칩(23)을 탑재한 TAB(Tape Automated Bonding:22)이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미도시)를 통해 부착되는데, 이러한 TAB(22)은 인쇄회로기판(21)과 LCD 패널(20)을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2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LCD 패널(20)로 신속히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은 고주파대의 신호를 사용하여 장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결과, 인쇄회로기판(21)에서는 다량의 전자파가 불가피하게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전자파는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함으로써,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품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1)의 일정영역에는 상술한 전자파를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단자(24)가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각 부품들, 예컨대, 도광판(40), 시트류들(30), LCD 패널(20) 등이 몰드 프레임(50)의 홈안에 모두 수용되고, 각 부품들이 탑샤시(10)에 의해 감싸지는 경우, LCD 패널(20)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던 인쇄회로기판(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TAB(22)을 절곡시킨 상태로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된다. 물론, TAB(22)은 유연성이 좋은 테이프류이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1)의 실장을 위해 절곡되더라도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이 TAB(22)을 절곡시킨 상태로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는 홀더(70)와 접촉된 후, 이를 통해, 탑샤시(10)와 연계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외부로 신속히 방출시키게 된다.
종래의 경우,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은 인쇄회로기판이 몰드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될 때, 몰드 프레임의 측부에 끼워진 후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와 결합함과 아울러 자신의 일부를 탑샤시에 접촉시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방출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의 형상을 홀더(70)로 개량하여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을 단지 전자파 방출기능에만 이용하지 않고, 이의 용도를 '전자파 방출용' 뿐만 아니라 '시트류들 고정용'으로도 확대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의 구조를 모듈 내부의 다른 구조물, 예컨대, 시트류들(30)을 홀딩하는 홀더(70)로 크게 개선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이 실장되는 몰드 프레임(50)의 형상 또한 크게 개선한 후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이 경우, 시트류들(30)은 고정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양호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부분으로, 물론, 종래와 비교해도 그 구성이 매우 상이한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는 몰드 프레임(50)과 홀더(7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홀더(70)는 서로 일체화된 상태로 예컨대, 2차 절곡된 상판(75), 측판(71) 및 하판(7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판(72)은 상판(75)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측판(71)의 전면에서 예컨대, 직각으로 절곡된 후, 몰드 프레임(50)의 테두리를 따라 홀더(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하판(72)의 단부에는 상술한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와 서로 대응되는 전자파 방출단자(7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이 TAB(22)을 절곡시킨 상태로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됨과 아울러 각 부품들이 몰드 프레임(50)의 홈안에 모두 수용되고, 각 부품들이 탑샤시(10)에 의해 감싸지는 경우, 홀더(70)는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신속히 방출될 수 있도록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는데, 이때, 홀더(70)의 측판은 몰드 프레임의 측면과 대향한다.
홀더(70)가 몰드 프레임(50)에 끼워지면, 홀더(70)의 측판(71)은 몰드 프레임(50)을 감싸는 탑샤시(10)와 접촉되고, 하판(72)의 전자파 방출단자(73)는 예컨대, 나사(1)를 이용하여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와 접촉되게 된다. 그 결과, 탑샤시(10)와 인쇄회로기판(21)은 홀더(70)를 매개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를 형성시키게 되며, 결국,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는 홀더(70)를 경유하여 탑샤시(10)로 신속하게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홀더(70)는 인쇄회로기판(21)이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될 때,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진 후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와 결합함과 아울러 자신의 측판(71)을 탑샤시(10)에 접촉시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방출시키는 '전자파 방출기능'을 일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50)의 측면 테두리에는 홀딩개구(60)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홀딩개구(60)는 시트류들(30)이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시트류들(30)의 측부를 몰드 프레임(50)의 외부로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홀더(70)는 상술한 '전자파 방출기능'을 수행할 때, 홀딩개구(60)를 이용하여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는데. 이때, 홀더(70)가 끼워지는 몰드 프레임(50)의 저부에는 홀더(70)의 하판(72)이 원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한번 끼워진 홀더(7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보조하는 홀더 고정개구(63)가 더 형성된다. 물론, 홀더(70)가 홀딩개구(60)와 홀더 고정개구(63)를 이용하여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1)과 탑샤시(10)는 홀더(70)와 접촉된 상태에서, 홀더(70)를 매개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를 형성한다.
이때, 홀더(70)가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는 경우, 홀더(70)는 홀딩개구(60)에 의해 개방된 시트류들(30)의 측부를 자신의 상판(75)으로 자연스럽게 홀딩하게 된다. 물론, 이와 동시에, 하판(72)은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와 접촉된 상태에서 홀더 고정개구(63)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되고, 측판(71)은 몰드 프레임(50)의 테두리를 감싸는 탑샤시(10)와 접촉되게 된다. 이 경우, 측판(71)의 높이는 홀더(70)가 홀딩개구(60)와 홀더 고정개구(63)를 이용하여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홀딩개구(60)와 홀더 고정개구(63) 사이의 폭과 유사한 값을 유지한다.
여기서, 홀딩개구(60)에는 몰드 프레임(50)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예컨대, 원통형상의 고정돌기(61)가 더 형성되는데, 시트류들(30)은 이러한 고정돌기(61)에 맞추어 측면날개(31)의 개구(32)를 삽입시키게 되며, 결국, 시트류들(30)은 고정돌기(61)를 지지축으로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고정돌기(61)는 예컨대, 상판(75)과 시트류들(30)의 두께를 합한 값 이상으로 상향 돌출되기 때문에, 일단 고정돌기(61)에 고정된 시트류들(30)은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와 함께, 홀더(70)는 홀딩개구(60)의 고정돌기(61)에 맞추어 상판(75)의 삽입홈(74)을 삽입시킴으로써,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 경우, 삽입홈(74)의 폭은 고정돌기(61)의 직경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한번 끼워진 홀더(70)는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빠지지 않는다.
이때, 홀딩개구(60)에는 고정돌기(61)의 양 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몰드 프레임(50)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예컨대, 사면체 형상의 지지돌기(62)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돌기(62)는 홀더(70)의 상판(75)이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져 시트류들(30)의 측부를 홀딩할 때, 상판(75)을 지지하여,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홀더(70)가 시트류들(30)을 과잉 압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류들(30)이 몰드 프레임(50)의 홈에 수용됨과 아울러 고정돌기(61)에 맞추어 삽입 고정되면, 홀더(70)는 상판(75)을 홀딩개구(60)에 삽입함과 아울러 하판(72)을 홀더 고정개구(63)에 삽입함으로써,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진다. 물론, 이 경우, 홀더(70)의 측판(7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50)을 감싸는 탑샤시(10)와 접촉하게 되고, 하판(72)의 단부에 형성된 전자파 방출단자(73)는 몰드 프레임(50)의 후면에 위치된 인쇄회로기판(21)의 접지단자(24)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경우, 상술한 고정돌기(61)는 시트류들을 연속 관통하여 이들을 몰드 프레임(50)에 직접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홀더(70)의 상판(75)은 시트류들(30)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시트류들(30)을 홀딩하여 이들의 유동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시트류들(30)은 고정돌기(61)에 의한 직접적인 고정효과와 홀더(70)에 의한 간접적인 홀딩효과를 동시에 제공받음으로써,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일정한 유동없이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시트류들은 고정 테이프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몰드 프레임에 고정되었는데, 이 경우, 고정 테이프와 시트류들이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접촉되는 결과가 초래됨으로써, 고정 테이프가 이들의 열팽창을 제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그 결과, 시트류들의 표면에서는 예측하지 못한 링클링 현상이 야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류들(30)은 고정돌기(61)의 관통에 의해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국부적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홀더(70) 상판(75)의 간접적인 홀딩에 의해,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로 자신의 유동폭을 제한받을 수 있기 때문에,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류들(30)은 램프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팽창되더라도 고정 테이프와 같은 열팽창 제한 요건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전면으로 폭 넓은 열팽창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시트류들(30)은 링클링 현상 없이 원활한 열팽창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표시품질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홀더(70)는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돌기(62)의 형성에 의해, 시트류들(30)에 대한 가압폭을 제한받게 되고, 그 결과, 시트류들(30)을 필요이상으로 과잉 압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트류들(30)은 별 다른 제한조건 없이 자신의 열팽창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홀더(70)는 인쇄회로기판(21)이 몰드 프레임(50)의 배면에 위치될 때,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지면서, 고정돌기(61)에 의해 기 고정되어 있는 시트류들(30)의 유동폭을 간접적으로 제한시킴으로써, 시트류들(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시트류들 홀딩기능'을 이차적으로 수행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홀더(70)는 상술한 구조를 구비하여, 자신의 용도를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이 수행하던 '전자파 방출용' 뿐만 아니라 '시트류 고정용'으로도 확대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원활히 방출시킴과 아울러, 시트류들(30)이 종래의 고정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홀더(70)가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홀더(70)와 조합을 이루어 완성된 구조의 홀딩 어셈블리를 이루는 몰드 프레임(5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필히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홀더(70)에 의해 '전자파 방출', '시트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업체에서는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과, 시트류들(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테이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생산효율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돌기(62)에는 홀더(70)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돌기(64)가 더 형성되며, 로킹돌기(64)에 대응되는 홀더(70)의 상판(75)에는 로킹돌기(64)를 끼우기 위한 로킹개구(76)가 더 형성된다.
이때, 시트류들(30)이 몰드 프레임(50)의 홈에 수용됨과 아울러 고정돌기(61)에 맞추어 삽입 고정되면, 홀더(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75)을 홀딩개구(60)에 삽입함과 아울러 하판(72)을 홀더 고정개구(63)에 삽입함으로써, 몰드 프레임(50)의 측부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홀딩개구(60)의 지지돌기(62)와, 홀더(70)의 상판(75)은 서로 대응되는 로킹돌기(64)와 로킹개구(7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70)가 홀딩개구(60)를 통해 몰드 프레임에 끼워지는 경우, 상판(75)은 로킹돌기(64)에 맞추어 로킹개구(76)를 삽입시키게 되며, 결국, 홀더(70)는 로킹돌기(64)를 지지축으로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로킹돌기(76)는 예컨대, 상판(75)의 두께 이상으로 상향 돌출되기 때문에, 일단 로킹돌기(64)에 고정된 홀더(70)는 강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빠지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홀더(70)는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돌기(64)의 형성에 의해, 시트류들(30)에 대한 가압폭을 제한받게 되고, 그 결과, 시트류들(30)을 필요이상으로 과잉 압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트류들(30)은 별 다른 제한조건 없이 자신의 열팽창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달성되는 경우에도, 홀더(70)에 의해 '전자파 방출', '시트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업체에서는 인쇄회로기판(21)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방출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과, 시트류들(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테이프를 각각 별도로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짐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생산효율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을 통해 몰드 프레임(50)의 홈 내부에 고정된 시트류들(30)은 도광판(4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집광·확산시켜 이를 LCD 패널(20)로 출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LCD 패널(20)은 적정 표시정보를 외부로 신속히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 접지클립의 구조를 개선하여, 접지클립이 통상의 전자파 방출기능 뿐만 아니라, 시트류들을 몰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기능까지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류들을 고정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몰드 프레임에 적정 수준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서 제조되는 전 기종의 액정표시장치, 예컨대, 측면 결합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에서는 홀더를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 및 탑샤시와 전기 접촉시켜 일련의 전자파 방출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가 탑샤시를 통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시트류들이 몰드 프레임에 수용되는 경우, 홀더를 몰드 프레임의 홀딩개구에 끼워 시트류들이 안정적으로 홀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류들의 유동이 미리 차단되도록 한다.
이 경우, 홀더는 통상의 전자파 방출기능과 함께, 시트류 고정기능을 아울러 수행할 수 있고, 결국, 시트류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테이프의 사용이 배제됨으로써, 시트류들의 표면에서 발생되던 링클링 현상은 미리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

Claims (8)

  1. 도광판과, 시트류들과, LCD 패널을 수용하는 몰드 프레임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도광판과 시트류들을 경유하여 상기 LCD 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몰드 프레임의 테두리를 감싸는 탑샤시와;
    접지단자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LCD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LCD 패널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부에 끼워지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 및 상기 탑샤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자파를 상기 탑샤시를 통해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류들이 상기 몰드프레임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시트류들이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류들을 홀딩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2차로 절곡되어 상판, 측판 및 하판을 형성하고, 상기 측판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몰드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하판의 일측이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단자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시트류들의 홀딩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몰드 프레임에는 상기 홀더의 홀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취되어 상기 시트류들의 측부를 개방하는 홀딩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개구에는 상기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시트류들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개구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양 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홀더를 지지하여, 상기 홀더의 상기 시트류들에 대한 과잉 압입을 방지하는 지지돌기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에는 상기 홀더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로킹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홀더에는 상기 로킹돌기를 끼우기 위한 로킹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7. 절취된 상태로, 수용된 대상물의 일측을 노출시키는 홀딩개구를 구비하는 몰드 프레임과;
    노출된 상기 대상물이 홀딩되도록 상기 홀딩개구에 끼워지는 클립 형상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개구는 상기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양 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상기 홀더를 지지하여, 상기 홀더의 상기 대상물에 대한 과잉 압입을 방지하는 지지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에는 상기 클립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로킹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홀더에는 상기 로킹돌기을 끼우기 위한 로킹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모듈용 홀딩 어셈블리.
KR10-1998-0039586A 1998-09-24 1998-09-24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86A KR100512091B1 (ko) 1998-09-24 1998-09-24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US09/300,483 US6504586B1 (en) 1998-09-24 1999-04-28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and holding assemblies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586A KR100512091B1 (ko) 1998-09-24 1998-09-24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06A KR20000020806A (ko) 2000-04-15
KR100512091B1 true KR100512091B1 (ko) 2005-11-16

Family

ID=1955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5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091B1 (ko) 1998-09-24 1998-09-24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04586B1 (ko)
KR (1) KR100512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199B1 (ko) * 1998-09-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3631663B2 (ja) * 2000-05-26 2005-03-23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Lcdパネルの固定構造
KR100713643B1 (ko) * 2000-12-22 2007-05-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용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
JP2002196312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TW548479B (en) * 2001-02-27 2003-08-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for the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83591B1 (ko) * 2001-04-26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6661647B2 (en) * 2001-08-13 2003-12-09 Bayer Corporation Snap-in display frame
KR100813470B1 (ko) * 2001-11-27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 부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796487B1 (ko) * 2001-12-22 2008-0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3195781A (ja) * 2001-12-28 2003-07-09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表示装置
US20040109308A1 (en) * 2002-12-07 2004-06-10 Yi-Chun Ho Device for fixing layers of optic film of backlight module
US7044627B2 (en) * 2003-05-30 2006-05-16 Mertz John C Display retainer and backlight
KR100966432B1 (ko) * 2003-06-30 2010-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 기판의 접지 방식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JP4321191B2 (ja) * 2003-09-18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236525B (en) * 2004-02-20 2005-07-21 Au Optronics Corp Direct light type backlight modu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TWI401488B (zh) * 2004-11-23 2013-07-11 Samsung Display Co Ltd 顯示器裝置
KR101232045B1 (ko) * 2005-08-24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4502933B2 (ja) * 2005-10-26 2010-07-14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195227B1 (ko) * 2005-12-14 2012-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7298622A (ja) * 2006-04-28 2007-11-1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100743012B1 (ko) 2006-06-15 2007-07-26 동일파텍주식회사 강성보강구조를 갖는 홀더 구조체
KR100894603B1 (ko) * 2007-05-16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0842B1 (ko) * 2008-09-08 2010-09-10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318757B1 (ko) * 2009-06-24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51689A (ko) 2012-10-23 201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50393B1 (ko) * 2015-07-31 2022-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구조물과 그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33595B1 (ko)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실린더 압착판을 이용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1633594B1 (ko)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압착롤러를 이용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1633596B1 (ko)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적재 박스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1633597B1 (ko) 2016-04-07 2016-06-24 (주)한도기공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1720907B1 (ko) 2016-09-05 2017-03-29 (주)한도기공 시트고무의 자동 적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3226A (ko) 1990-12-28 1992-07-28 이헌조 Lcd 구동장치
JP3610077B2 (ja) * 1992-03-26 2005-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GB2267378B (en) 1992-05-22 1996-07-10 Nokia Mobile Phones Uk Illuminated LCD apparatus
JP3360919B2 (ja) 1993-06-11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薄膜太陽電池
JPH0752516A (ja) 1993-08-20 1995-02-28 Riso Kagaku Corp 印刷ドラ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729316A (en) 1994-07-07 1998-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5510915A (en) 1994-08-02 1996-04-23 Ge; Shichao Out-Active-Matrix-LCD
US5684555A (en) 1994-12-19 1997-11-04 Kabushiki Kaisha Toshib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5620129A (en) 1995-02-17 1997-04-15 Rogren; Philip E.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nd attaching an array of conductive balls
KR0147491B1 (ko) 1995-05-17 1998-12-01 김주용 엘씨디 전원 순차 제어장치
TW453449U (en) * 1995-11-16 2001-09-01 Hitachi Ltd LCD display panel with buckling driving multi-layer bendable PCB
US6091474A (en) * 1997-06-26 2000-07-18 Ericsson, Inc. Display assembly
KR100238004B1 (ko) * 1997-08-30 2000-01-15 구본준 액정표시장치의 배광장치의 고정구조
KR100258839B1 (ko) * 1998-01-24 2000-06-15 윤종용 엘씨디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4586B1 (en) 2003-01-07
KR20000020806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091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홀딩 어셈블리
JPH11281966A (ja) 液晶表示装置
US6392724B2 (en) LCD module having improved fixing structure
US7623195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lamp wires for backlight assembly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9671630B2 (en) Display device
US6914646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a wrinkle in a reflective sheet of a backlight unit
US20090196018A1 (en) Backlight assembly having improved heat releas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648070B2 (ja) 表示装置
US201003285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25941B2 (en) Backlight assembly
KR20080027007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00014947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654225B1 (ko) 광학시트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6066127A (ja)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154242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062845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13291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101087426B1 (ko)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KR100474518B1 (ko) 엘씨디 모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00038655A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EP1921493A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275542B2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088717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000855A (ko) 빛 샘 방지수단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080703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8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