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12331B1 -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331B1
KR100512331B1 KR10-2002-0076640A KR20020076640A KR100512331B1 KR 100512331 B1 KR100512331 B1 KR 100512331B1 KR 20020076640 A KR20020076640 A KR 20020076640A KR 100512331 B1 KR100512331 B1 KR 10051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amycin
medium
glucose
productio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690A (ko
Inventor
장한수
이창권
배동준
이대희
이강무
황지환
황용일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filed Critical 경상남도
Priority to KR10-2002-007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3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3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12P19/60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 C12P19/62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having an oxygen of the saccharide radical directly bound to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or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non-saccharide heterocyclic ring, e.g. coumermycin, novobiocin the hetero ring having eight or more ring members and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erythromycin, spiramycin, nystatin
    • C12P19/626Natamycin; Pimaricin; Tennece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4Suga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4Undefined extracts from fungi, e.g. yea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질소원으로 첨가되는 콩단백질을 1∼2%(w/v)의 농도로 첨가하고 이스트 추출물을 0.2∼0.5%(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고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탄소원으로 첨가되는 글루코스와 락토스를 1 : 3의 비율로 배지 전체에서 3∼6%(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며 나타마이신 생산을 위한 유가식 배양에서 부가적인 탄소원으로 락토스를 첨가하여 배지내의 당농도가 0.01 내지 1%(w/v)가 되도록 조절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Preparation of natamycin from Streptomyces natalensis}
본 발명은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질소원으로 첨가되는 콩단백질을 1∼2%(w/v)의 농도로 첨가하고 이스트 추출물을 0.2∼0.5%(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며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탄소원으로 첨가되는 글루코스와 락토스를 1 : 3의 비율로 배지 전체에서 3∼6%(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고 나타마이신 생산을 위한 유가식 배양에서 부가적인 탄소원으로 락토스를 첨가하여 배지내의 당농도가 0.01 내지 1%(w/v)가 되도록 조절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타마이신은 남아프리카 나탈(Natal) 지방의 토양에서 발견된 방선균의 일종인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의 배양액에서 1955년에 처음으로 분리되어진 항진균성 항생물질이다. 나타마이신은 피마리신(pimaricin)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또한 1959년 스트렙토미세스 카타노겐시스(S. chattanoogensis)의 배양액에서 분리된 테넥세틴(ennecetin)이라는 물질도 나중에 나타마이신과 동일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나타마이신은 곰팡이와 효모와 같은 진균류에 대해 소량으로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진 폴리엔 마크롤라이드(polyene macrolide)계의 항생물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엔 마크롤라이드(polyene macrolide)계의 항생물질은 인체에 강한 독성을 나타내지만, 나타마이신은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로부터 GRAS(Generally Regarded as a Safe) 등급을 받은 인체에 무독한 항생물질이다. 또한 광범위한 항진균 활성과 곰팡이가 생산하는 독소의 상당수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따라서 나타마이신은 가공 식품의 저장 중에 문제가 되는 곰팡이와 효모 및 이들이 생산하는 인간에 유독한 독소를 억제하는 항진균성 천연보존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나타마이신의 인체에 무해하고 항진균제로서의 기능이 탁월하므로 식품산업, 의약품산업, 생물농약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이 가공 식품의 저장 중에 문제가 되는 곰팡이와 효모 및 이들이 생산하는 인간에 유독한 독소를 억제하는 항진균성 천연보존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배지조성 및 배양조건 등을 조절하여 야생주인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natalensis)가 생산하는 나타마이신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질소원으로 첨가되는 콩단백질을 1∼2%(w/v)의 농도로 첨가하고 이스트 추출물을 0.2∼0.5%(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 생산용 배지에 탄소원으로 첨가되는 글루코스와 락토스를 1 : 3의 비율로 배지 전체에서 3∼6%(w/v)의 농도로 첨가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타마이신 생산을 위한 유가식 배양에서 부가적인 탄소원으로 락토스를 첨가하여 배지내의 당농도가 0.01 내지 1%(w/v)가 되도록 조절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회분식 배양을 한 결과 160 mg/m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되었다. 본 발명에서 배양을 위한 접종량을 조사해본 결과 2%(v/v)의 농도로 접종하였을 때 가장 높은 나타마이신 생산성을 나타내었고 콩단백질(soy protein)은 배지 내에 1.4%(w/v)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나타마이신 생산능을 나타내었다. 락토스와 글루코스의 상대적 최적첨가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글루코스 10 g/L와 락토스 30 g/L를 혼합하여 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이 가장 높았다. 또한 배지 내에 첨가하는 이스트 추출물(yeast extract)의 농도는 0.3%(w/v)일 때 가장 높은 1.67 g/L의 생산능을 나타내었다. 확립된 배지조성(1.4%(w/v) soy protein, 0.3%(w/v) yeast extract, 1%(w/v) 글루코스와 3%(w/v) 락토스, pH 7.0)을 이용하여 유가식으로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natalensis) ATCC 27448을 배양한 결과 배양 113시간만에 2.7 g/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되었다.
본 발명에서 나타마이신의 생산을 위해 ATCC(American Type Culture Center)로부터 분양받은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을 사용하였다. 포자 회수용 배지로 ISP2(Malt extract 10.0 g/L, yeast extract 4.0 g/L, glucose 4.0 g/L, and agar 20.0 g/L)를 사용하였고 콩단백질 3 g/L, 펩톤 1 g/L, 이스트 추출물 3 g/L, 글루코스 40 g/L(pH 7.0)가 함유된 배지를 종배양용 배지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실험초기에 나타마이신 생산량 확인을 위해 사용한 배지는 비프 추출물(beef extract) 2.0 g/L, 글루코스 20.0 g/L, 이스트 추출물 2.0 g/L, 아스파라긴 0.5 g/L, KH2PO4 0.05 g/L(pH 7.2)가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유가식 배양을 위한 본 배양 배지는 콩단백질질 14 g/L, 이스트 추출물 3 g/L, 락토스 30 g/L와 글루코스 10 g/L(pH 7.0)가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배양조건 및 접종
100 mL의 종배양액이 들어있는 500 mL의 엘렌마이어(Erlenmeyer) 플라스크에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 natalensis) ATCC 27448 포자액을 3 x 106 /mL 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종배양은 30 에서 180 rpm의 진탕 속도로 48시간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나타마이신 생산 배지 조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100 mL의 배양액이 담긴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30 에서 배양하였다. 멸균 후 배양액의 pH가 7.0이 되도록 맞추었으며 진탕 속도는 180 rpm이었다. 유가식 배양은 2.5 L의 유가식 배양용 배지가 들어있는 5 L 발효조에서 종배양액을 2%(v/v)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30 에서 1 vvm의 공기를 주입하였으며 별도로 pH를 조절하지 않았다. 배지내의 용존산소량을 일정량 유지하기 교반속도는 배양 초기에 300 rpm으로 유지하였다가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교반속도를 증진하였으나 교반속도는 최대 400 rpm이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기질의 추가주입은 semi-starvation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당이 고갈된 시점부터 60%(w/v)의 농도로 조제된 락토스 주입액을 배지내의 당농도가 0.3∼0.5%(w/v) 유지되도록 주입하였다. 최종적으로 추가 주입된 락토스는 배양시간을 고려하여 100 g이었다. 발효조에서의 배양시 12∼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여 나타마이신의 시간당 생산능이 올라가지 않을 때까지 배양하였다.
실험예 2: 나타마이신의 생물학적 활성 측정
아가 확산(Agar diffusion) 방법(Ref)을 이용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natalensis) ATCC 27448이 생산하는 나타마이신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검정균인 스트렙토미세스 세레비시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YPD(1%(w/v) 이스트 추출물, 2%(w/v) 박토 펩톤(bacto peptone), 2%(w/v) 글루코스 및 1.5%(w/v) 아가)한천 배지에 섞어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플레이트로 사용하였다. 배양을 통해 생산된 나타마이신 생산량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액을 메탄올로 적절히 희석한 후 6 mm 페이퍼 디스크에 20㎕씩 흡수시켜 이미 조제된 플레이트에 올려놓고 30 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환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3: HPLC에 의한 나타마이신의 정량적 분석
본 발명에서 이용된 모든 나타마이신의 정량분석은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메탄올(HPLC용, J. T. Baker, USA)로 추출 및 적절히 희석하여 4 에서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MICRO 17R,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 KOREA)한 후 HPLC에 의해 정량분석 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된 HPLC는 독일 KNAUER사의 HPLC 펌프 K-1001과 U. V. detector가 장착되어 있으며 TOSOH사(JAPAN)의 Φ 4.6x150 mm의 칼럼을 사용하였다. 용매는 80%(v/v)의 메탄올을 사용하였고 칼럼의 온도는 40 , 유속은 분당 1 mL, 주입량은 20 ㎕로 하였다.
나타마이신의 HPLC에 의한 정량분석을 위해 나타마이신 표준물질(Minimum 95%, Sigma, USA)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5 mg의 나타마이신을 5 mL의 메탄올에 완전히 녹인 후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mL의 농도가 되도록 각각 메탄올로 희석한 후 원심분리하고 HPLC를 통해 정량분석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실험예 4: 배양액의 잔당 조사
배양액 속에 잔존하는 글루코스 및 락토스의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배양액 1 mL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그 상징액만을 취해 Biochemistry analyzer(YSI 2000, Yellow Springs Instrument Co., USA)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당성분을 정량 분석하였다.
페리드(Farid) 등은 2%(w/v) 비프 추출물, 2%(w/v) 글루코스, 0.2%(w/v) 이스트 추출물, 0.05%(w/v) 아스파라긴, 0.005%(w/v) KH2PO4(pH 7.2)가 함유된 배지에서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 natalensis) NRRL 2651을 이용하여 1,500 mg/L의 나타마이신을 생산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이와 같은 배지 조성을 이용하여 나타마이신의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30 에서 300 rpm의 교반속도로 발효조에서 배양한 결과 배양 4일만에 160 mg/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따라서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배지 조성을 확립해야만 하였다. 일반적으로 방선균 배양에 널리 이용되는 ISP1, ISP2, ISP3, ISP4, ISP5와 SFM 배지를 이용하여 나타마이신 생산능을 조사해 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SFM 배지에서 가장 높은 생산능을 보였다.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도 대단히 큰 18 mm정도의 투명환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SFM 배지를 나타마이신 생산능 증진을 위한 기본 배지로 설정하고 여러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접종량의 영향 조사
30 에서 48시간 종배양한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 natalensis) ATCC 27448을 100 mL의 SFM배지가 들어있는 500 mL의 에렌마이어 플라스크에 2, 4, 6, 8 및 10%(v/v)의 농도로 각각 접종하였다.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은 배양액을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여 효모에 대한 생육저지능을 조사한 결과 2%(v/v)의 농도롤 접종한 경우 나타마이신 생산속도와 생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도 3 참조).
실시예 2: 질소원의 영향 조사
본 배양을 위한 기본배지로 설정한 SFM배지 조성에서 soy flour를 대신하여 다양한 유기 질소원과 무기 질소원을 2%(w/v)의 농도로 첨가하여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비교하였다. 시료를 원액과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여 agar diffusion 방법으로 각각 나타마이신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그림 4에서 보는바와 같이 SFM배지에 기본적으로 들어있는 soy flour보다 콩단백질이 함유된 배지에서 우수한 나타마이신 생산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콩단백질 농도의 영향 조사
실험의 본 배양에 이용된 SFM 배지의 조성 가운데 콩단백질에 대한 최적 농도를 플라스크에서 조사하였다. 콩단백질을 각각 0.6, 0.8, 1.0, 1.2, 1.4, 1.6, 1.7, 2.0, 2.3, 2.6 및 2.9%(w/v)의 농도로 첨가된 SFM 배지(pH 7.0)에서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HPLC로 조사한 결과 배양 8일만에 콩단백질이 1.4%(w/v)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 약 1,560 mg/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실시예 4: 글루코스 농도의 영향 조사
페리드 등은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탄소원이 글루코스라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1.4%(w/v)의 콩단백질이 함유된 배지에 만니톨을 제외하고 글루코스가 1, 2, 3, 4, 5, 6%(w/v)의 농도로 첨가된 배지를 각각 만들어서 30 에서 180 rpm의 교반속도로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여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투명환을 조사한 결과 4%(w/v)의 글루코스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시료에서 배양 4일만에 가장 큰 23 mm의 투명환을 나타내었다(도 6 참조).
실시예 5: 탄소원의 혼합에 따른 영향 조사
일반적으로 항생제와 같은 2차 대사산물의 경우 배지내에 탄소원이 반기아 상태(semi-starvation)에 있을 때에 가장 생산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생물질 생산에는 글루코스와 같이 미생물이 손쉽게 이용하는 기질보다는 락토스와 같은 기질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농도의 글루코스가 배지내에 존재할 경우 글루코스 억제(repression)와 같은 현상에 의해 미생물의 초기 배양속도가 느려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락토스와 글루코스를 혼합하여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500 mL 플라스크에 4%(w/v)의 글루코스, 4%(w/v) 락토스, 1%(w/v) 글루코스와 3%(w/v) 락토스가 혼합된 배지, 2%(w/v)의 글루코스와 2%(w/v)의 락토스가 혼합된 배지, 3%(w/v) 글루코스와 1%(w/v) 락토스가 혼합된 배지 그리고 3.5%(w/v) 글루코스와 0.5%(w/v) 락토스가 혼합된 배지 100 mL를 각각 만들어서 실험을 하였다. 이때 배지내의 콩단백질의 농도는 1.4%(w/v)였다. 각 시료를 메탄올로 20배 희석하여 투명환을 비교한 결과 1%(w/v)의 글루코스와 3%(w/v)의 락토스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 8일만에 16.5 mm의 가장 큰 투명환을 나타내었다(도 7 참조).
실시예 6: 이스트 추출물 농도의 영향 조사
1.4%(w/v) 콩단백질, 1%(w/v) 글루코스와 3%(w/v) 락토스가 함유된 배지에 이스트 추출물을 0, 0.1, 0.2, 0.3, 0.4와 0.5%(w/v)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 8일만에 1,680 mg/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확립된 배지 조성을 이용하여 유가식 배양법에 의해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조사하여 보았다. 유가식 배양은 2.5 L의 유가식 배양용 배지가 들어있는 5 L 발효조에서 48시간 배양한 종배양액을 2%(v/v)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배지내의 용존산소량을 일정량 유지하기 교반속도는 배양 초기에 300 rpm으로 유지하였다가 용존산소가 고갈되지 않도록 순차적으로 교반속도를 증진하였다. 추가주입된 기질은 60%(w/v)의 락토스인테 최종적으로 주입된 락토스의 양은 100g이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배양 113시간만에 2,700 mg/l의 나타마이신이 생산되었다(도 9 참조).
추가 주입액을 글루코스와 락토스, 글루코스를 혼합하여 만들어서 배양을 해 보았으나 락토스만으로 만든 추가 주입액이 나타마이신 생산능 증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글루코스가 추가주입액으로 배지에 투입될 경우 미생물에 의해 손쉽게 이용됨으로 인해 반기아 상태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나타마이신의 생산능을 크게 증진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락토스는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 이용에 있어서 글루코스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반기아상태에 쉽게 들어간다.
본 발명은 배지조성 및 배양조건 등을 조절하여 야생주인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 natalensis)가 생산하는 나타마이신의 생산성을 증진시킴으로써 나타마이신의 인체에 무해하고 항진균제로서의 기능이 탁월한 성질을 이용하여 식품산업, 의약품산업, 생물농약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회분식 배양에 의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배양은 100 mL 및 2.5 L의 2.0%(w/v) 비프 추출물, 20.0%(w/v) 글루코스, 2.0%(w/v) 이스트 추출물, 0.5%(w/v) 아스파라긴 및 0.05%(w/v) KH2PO4 (pH 7.2)를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및 5 L 자(jar) 배양기 중에서 각각 배양을 수행하였다. 초기 pH는 7.0으로 조정하였고 회전속도는 180 rpm으로 조정하였다.
도 2는 여러 가지 상이한 배양 배지에서 30℃, 120시간동안 배양에 의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100 mL의 상이한 배양 브로쓰를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초기 pH는 7.0으로 조정하였고 회전속도는 180 rpm으로 조정하였다. □는 희석액이 아니고 ▨는 메탄올을 사용한 10배 희석액이다. Ex. 1; ISP1; Ex. 2, ISP2; Ex. 3, ISP3; Ex. 4, ISP4; Ex. 5, ISP5; Ex. 6, SFM.
도 3은 30℃에서 나타마이신 생산의 접종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0 mL의 2%(w/v) 콩단백질 및 2%(w/v) 만니톨(pH 7.0)을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각 샘플은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였다. ○, 2%(v/v); ▲, 4%(v/v); ■, 6%(v/v); ◆, 8%(v/v); ●, 10%(v/v).
도 4는 30℃, 120시간동안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상이한 질소원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0 mL의 2%(w/v) 만니톨(pH 7.0) 및 2%(w/v) 상이한 질소원을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은 희석하지 않은 것이고 ▨은 메탄올로 10 배 희석한 것이다.
도 5는 30℃에서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콩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콩단백질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각 샘플은 메탄올로 적합하게 희석하였다. ●, 0.6%(w/v)의 콩단백질; ○, 0.8%(w/v); ▲, 1.0%(w/v); △, 1.2%(w/v); ■, 1.4%(w/v); □, 1.6%(w/v); ◆, 1.8%(w/v); ◇, 2.0%(w/v); *, 2.3%(w/v); x, 2.6%(w/v); +, 2.9%(w/v).
도 6은 30℃에서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글루코스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0 mL의 1.4%(w/v) 콩단백질 및 상이한 탄소원(pH 7.0)을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각 샘플은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였다. ●, 2%(w/v)의 만니톨; ▲, 2%(w/v)의 글루코스; ■, 3%(w/v); ◇, 4%(w/v); ◆, 5%(w/v).
도 7은 30℃에서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탄소원 혼합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탄소원 L, 락토스; G, 글루코스를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각 샘플은 메탄올로 적합하게 희석하였다. □은 희석한 것이 아니고; ▨은 메탄올로 10배 희석하였다.
도 8은 30℃에서 192시간 나타마이신의 생산에 있어서 이스트 추출물 농도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0 mL의 1.4%(w/v) 콩단백질, 1%(w/v) 글루코스, 3%(w/v) 락토스 및 상이한 농도의 이스트 추출물 (pH 7.0)을 함유하는 500 mL 엘렌마이어 플라스크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 0%(w/v)의 이스트 추출물; ○, 0.1%(w/v); ▲, 0.2%(w/v); , 0.3%(w/v); ■, 0.4%(w/v); □, 0.5%(w/v).
도 9는 5L 배양기에서 유가식-회분식 배양에 의하여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1.4% 콩단백질, 1% 글루코스, 3% 락토스 및 0.3% 이스트 추출물(pH 7.0)을 함유하는 초기 배양 브로쓰 중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각 샘플은 메탄올로 적합하게 희석하였다. ●, 나타마이신 생산; ▲, pH; ■, 용해된 산소.

Claims (3)

  1. 스트렙토미세스 속 미생물로부터 나타마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미세스 속 미생물이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Streptomyces natalensis) ATCC 27448이고, pH 7.0 조건 하에서 콩단백질 1.4%(w/v), 이스트 추출물 0.3%(w/v), 글루코스 1.0%(w/v) 및 락토스 3.0%(w/v)의 배지에 락토스 1.0 %(w/v)을 추가하여 유가식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2-0076640A 2002-12-04 2002-12-04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640A KR100512331B1 (ko) 2002-12-04 2002-12-04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640A KR100512331B1 (ko) 2002-12-04 2002-12-04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690A KR20040048690A (ko) 2004-06-10
KR100512331B1 true KR100512331B1 (ko) 2005-09-05

Family

ID=3734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6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12331B1 (ko) 2002-12-04 2002-12-04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01A (ko) 2021-12-13 2023-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병원성 진균 제어용 신규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콜리너스 Inha504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4602B (zh) * 2010-08-11 2012-06-27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纳他霉素的发酵培养基
CN119776231A (zh) * 2025-01-23 2025-04-08 淮北师范大学 一种褐黄孢链霉菌zy8及其发酵种子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0580A1 (en) * 1990-12-07 1992-06-2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atamycin recovery
US5231014A (en) * 1991-08-05 1993-07-27 Bio-Technical Resources Fermentation process for producing natamycin
US5591438A (en) * 1990-12-07 1997-01-07 Bio-Technical Resources L.P. Natamycin recovery
US5686273A (en) * 1991-08-05 1997-11-11 Cultor Food Science, Inc. Fermentation process for producing natamycin with additional carbon and nitrogen
KR19990082396A (ko) * 1996-02-09 1999-11-25 한스 발터 라벤 나타마이신 회수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0580A1 (en) * 1990-12-07 1992-06-2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atamycin recovery
US5591438A (en) * 1990-12-07 1997-01-07 Bio-Technical Resources L.P. Natamycin recovery
US5231014A (en) * 1991-08-05 1993-07-27 Bio-Technical Resources Fermentation process for producing natamycin
US5686273A (en) * 1991-08-05 1997-11-11 Cultor Food Science, Inc. Fermentation process for producing natamycin with additional carbon and nitrogen
KR19990082396A (ko) * 1996-02-09 1999-11-25 한스 발터 라벤 나타마이신 회수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01A (ko) 2021-12-13 2023-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병원성 진균 제어용 신규 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콜리너스 Inha504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690A (ko)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skay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Conditions on Biomass and Antimicrobial Metabolite Production by Streptomyces Sp., KGG32.
Matsukawa et al. Stimulatory effect of indole-3-acetic acid on aerial mycelium formation and antibiotic production in Streptomyces spp.
Sholkamy et al. Antimicrobial and antinematicidal metabolites from Streptomyces cuspidosporus strain SA4 against selected pathogenic bacteria, fungi and nematode
Al-Daghistani et al.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Thermomonas hydrothermalis isolated from Jordan's hot springs for biotechnological and medical purposes
Lertcanawanichakul et al.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 KB1 and its cultural optimization for bioactive compounds production
Omran et a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metabolites produced from rare actinobacteria Pseudonocardia alni
Djebbah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Streptomyces strain from Algeria and its in-vitro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microbial pathogens
GB2220657A (en) Antifungal fermentation product
Saha et al. Studies on the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an antimicrobial compound and taxonomy of the producer isolated from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Sundarbans
Damayanti et al. Antiplasmodial activity, biosynthetic gene clusters diversity, and secondary metabolite constituent of selected Indonesian Streptomyces
KR100512331B1 (ko) 스트렙토미세스 나탈렌시스로부터 나타마이신의 생산방법
Suresh et al. Isol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novel Streptomyces sp. ACT2 from marine mangrove sediments with antidermatophytic potentials
Hemashenpagam Purific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soil actinomycetes
Tripathi et al. Production of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metabolites by Streptomyces violaceusniger and media optimization studies for the maximum metabolite production
Tanaka et al. Activation of secondary metabolite–biosynthetic gene clusters by generating rsmG mutations in Streptomyces griseus
Gebhardt et al. Streptocidins AD, Novel Cyclic Decapeptide Antibiotics Produced by Streptomyces sp. Tü 6071 I. Taxonomy, Fermentation,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Ashraf et al. Production of a broad spectrum streptothricin like antibiotic from halotolerant Streptomyces fimbriatus isolate G1 associated with marine sediments
CN109280034B (zh) 一种具有抑菌活性的苯并氮氧杂卓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rtcanawanichakul et al.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spp. isolated from air samples and its cytotoxicity of anti-MRSA bioactive compounds
US6224863B1 (en) Antibiotic composition from alcaligenes species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in et al.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ecumicin, a novel anti-tuberculosis agent, from new Nonomuraea sp. MJM5123
Hanka et al. A method for isolating strains of the genus Streptoverticillium from soil
Olivier et al. Aerial warfare: An inducible production of volatile bioactive metabolites in a novel species of Scytinostroma sp.
RU2817695C1 (ru) Штамм Streptomyces sp. YVZ014 - продуцент антибиотика лизолипина X
Shikuku et al. Effect of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antibiotic production by Actinomycetes isolates from River Tana and Lake Elementaita,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8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8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