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333B1 -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 Google Patents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1333B1 KR100521333B1 KR1020050012648A KR20050012648A KR100521333B1 KR 100521333 B1 KR100521333 B1 KR 100521333B1 KR 1020050012648 A KR1020050012648 A KR 1020050012648A KR 20050012648 A KR20050012648 A KR 20050012648A KR 100521333 B1 KR100521333 B1 KR 100521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er
- gear
- key
- axis
- hi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는 힌지 몸체, 힌지 몸체의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제1 폴더, 힌지 몸체의 제2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제2 폴더, 제1 축 상에 제1 폴더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제2 축 상에서 제2 폴더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부, 및 제2 폴더와 제2 기어를 물리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하는 키 부재를 포함한다. 키 부재의 작동에 따라 제2 폴더와 제2 기어가 결속되면 제1 폴더 및 제2 폴더는 함께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제2 폴더와 제2 기어가 분리되면 제1 폴더만 개폐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더 간의 이동 관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해지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폴더 사용 또는 고정시킬 수가 있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hinge body, a first folder pivoting about a first axis of the hinge body, a second folder pivoting around a second axis of the hinge body, and a first folder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folder on the first axis. A gear portion comprising a gear and a second gear that rotates independently of the second folder on the second axis, and a key member for physically engaging or separating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When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are enga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member, the first folder and the second folder may be opened and closed together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are separated, only the first folder may be opened and closed. . The mov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can be variously adjusted, and the folder can be used or fixed in a suitable form according to the usag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말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폴더 간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freely adjusting the movement between the folders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폴더형 단말기는 하나의 힌지로 연결된 메인 폴더 및 서브폴더를 포함한다. 메인 폴더는 주로 배터리, 통신 모듈 회로 및 키 입력부를 포함하며, 서브 폴더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서브 폴더는 메인 폴더에 대해 약 130~150°정도의 일정 각도로만 벌어질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폴더형 단말기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왕복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통화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folder type terminal includes a main folder and a subfolder connected by one hinge. The main folder mainly includes a battery, a communication module circuit, and a key input unit, and the sub folder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 camera modu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ubfolder can be opened only at a predetermined angle of about 130 to 150 ° with respect to the main folder. In general, the foldable terminal can move back and forth only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hich is used only for a call.
물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축을 갖는 이중 힌지를 이용하는 단말기도 있다. 이중 힌지를 갖는 단말기는 메인 폴더와 서브 폴더 간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동시에, 메인 폴더와 서브 폴더 간에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여 서브 폴더 및 메인 폴더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중 힌지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통화를 하는 방향으로는 일정 각도로만 움직일 수 있으며, 힌지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Of course, some terminals use double hinges having two axes facing different directions. The terminal having a double hinge includes a first hinge that rotates while keeping the horizontal level between the main folder and the sub folder, and includes a second hinge that rotates at an angle between the main folder and the sub folder, and an angle between the sub folder and the main folder. You can adjust variously. However, even if you have a double hinge can move only a certain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call,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hinge increases significantly.
본 발명의 일 목적은 2개의 폴더가 각각 별도의 축(axis)을 기준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폴더 간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rotated on the basis of a separate axis of each of the two folders, the movement between the folder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더가 각각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폴더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으며,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규칙적인 회전을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fixed or released by the user arbitrarily, even if the folder is rotated about a different axis, and can be rotated regular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relationship.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힌지 몸체, 힌지 몸체의 제1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제1 폴더 및 힌지 몸체의 제2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제2 폴더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폴더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는 기어부 및 기어부에 의해서 제1 및 제2 폴더 간에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키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키 부재의 작동에 따라 제1 및 제2 폴더가 힌지 몸체에 대해 동시에 움직이면서 벌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2 폴더가 힌지 몸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폴더만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키 부재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폴더가 같이 움직이게 하거나 따로 움직이게 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폴더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pivots about a hinge body, a first folder pivoting about a first axis of the hinge body and a second axis of the hinge body. It includes a second folder. It also includes a gear member capable of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and a key memb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rot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by the gear portion. Th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member,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may be opened while simultaneously moving relative to the hinge body, or alternatively, only the first folder may be moved while keeping the second folder fixed to the hinge body. The user can operate the key memb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move together or move separately. By using this property, the angle between the folders can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구체적으로 힌지 몸체의 제1 축 및 제2 축에 각각 제1 폴더 및 제2 폴더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축(axis)은 제1 및 제2 폴더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 라인으로서, 하나로 연결된 샤프트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분리된 샤프트에 의해서도 정의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돌출된 일부와 그 수용부에 의해서 정의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folder and the second folder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axis and the second axis of the hinge body,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xis is a virtual line serving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but may use a shaft connected as one, but may also be defined by a separate shaft, and a part that is structurally protruding and a receiving portion thereof. It can also be defined by.
또한, 기어부는 제1 축 상에 제1 폴더와 일체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제2 축 상에서 제2 폴더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freely rotating)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키 부재는 제2 폴더와 제2 기어를 물리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폴더와 제2 기어가 물리적으로 결속되면 제1 폴더와 제2 폴더가 서로 맞물려 함께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움직이지만, 제2 폴더와 제2 기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면 제1 및 제2 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더라도 제1 및 제2 폴더는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폴더형 단말기와 같이 제1 폴더만 움직일 수 있다.The gear portion also includes a first gear that is integrally interlocked with the first folder on the first axis and a second gear that can freely rotate relative to the second folder on the second axis. Further, the key member may physically bind or separate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Therefore, when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are physically bound, the first folder and the second folder move toge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However, when the second folder and the second gear are physically separated,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physically separated. Even if the gea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fold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ly the first folder can move as in the conventional folding terminal.
최근 경향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의 기능은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도 사진 또는 비디오 촬영, 텔레비전이나 동영상 시청 등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각 기능에 따라 폴더 간의 벌어지는 각도를 다르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는 키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폴더 간의 이동 원인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기능에 따라 폴더 간의 벌어지는 각을 달리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the function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is changing in various way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watching a television or a video in addition to a simple call function, and maintaining the angles between folders according to each func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cause of movement between folders by using a key member, and can vary the angle between the folder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refers to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etc.,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an be used as a generic concep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100)는 힌지 몸체(110),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를 포함하며, 내부적으로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는 기어부 및 키 부재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제1 폴더(120)는 힌지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축(10)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제2 폴더(140) 역시 힌지 몸체(110)에서 제1 축(10)과 평행한 제2 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1 and 2,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inge body 110, a first folder 120, and a second folder 140, and internally includes a first folder (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by the gear portion and the key member. The first folder 12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inge body 110 to pivot about the first axis 10, and the second folder 140 also has a first axis 10 on the hinge body 110. It is mounted rotatably about a second axis (20) parallel to.
힌지 몸체(110)는 힌지 프레임 및 힌지 프레임을 덮는 힌지 케이스(111)를 포함한다. 힌지 케이스(111) 내에서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는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hinge body 110 includes a hinge frame and a hinge case 111 covering the hinge frame. In the hinge case 111, the first folder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frame.
제1 폴더(120)는 제1 연결부(130) 및 제1 폴더 케이스(12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30)는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연결부(130)의 단부에는 제1 폴더 케이스(122)가 고정된다. 제1 폴더 케이스(122)의 내외면에는 각각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제1 폴더 케이스(122)의 내면 단부에는 리시버(receiver)가 장착되어 통화 음성을 출력할 수가 있다.The first folder 120 includes a first connector 130 and a first folder case 122. The first connector 13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frame, and the first folder case 122 is fixed to an end of the first connector 130. Liquid crystal displays are mounted on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older case 122, and receivers are mounted on inner ends of the first folder case 122 to output voice calls.
제2 폴더(140)는 제2 연결부(150) 및 제2 폴더 케이스(142)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150)는 제1 연결부(130)와 인접한 지점에서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연결부(150)의 단부에는 제2 폴더 케이스(142)가 고정된다. 제2 폴더 케이스(142)에는 키 입력부, 통신 모듈, 배터리 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폴더 케이스(142)의 내면 단부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장착되어 통화 음성을 입력할 수가 있다.The second folder 140 includes a second connector 150 and a second folder case 142. The second connector 15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frame at a point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second folder case 142 is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connector 150. The second folder case 142 may be equipped with a key input unit, a communication module, a battery, and the like, and a microphone may be mounted at an inner end of the second folder case 142 to input a voice call.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어부는 제1 폴더(120)와 제2 폴더(140) 간에 회전을 전달할 수 있으며, 키 부재는 제2 폴더(140) 및 기어부 간의 결속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힌지 케이스(111)의 외부로는 전환 스위치(172)가 노출되어 있으며, 전환 스위치(172)는 사용자의 밀어냄 또는 당김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고 키 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gear unit may transmit rotation between the first folder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and the key member may adjust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folder 140 and the gear unit. To this end, the changeover switch 17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inge case 111, the changeover switch 172 can be moved by the user's push or pull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key member.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3 and 4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전환 스위치(172)를 제1 위치(I)로 이동시켜 기어부와 제2 폴더(1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폴더(140)는 힌지 몸체(110)에 고정되어 회전할 수 없으며, 제1 폴더(120)만 제1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더(120)를 회전시켜 제2 폴더(140)로부터 약 90 °정도 회전하도록 선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gear switch and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separated by moving the changeover switch 172 to the first position I. FIG. In this case,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fixed to the hinge body 110 and may not rotate, and only the first folder 120 may rotate about the first axis 10. Therefore, the first folder 120 may be rotated to rotate about 90 ° from the second folder 140.
도 4를 참조하면, 전환 스위치(172)를 제1 위치(I)에서 제2 위치(II)로 이동시켜 기어부와 제2 폴더(140)를 상호 결속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2 폴더(140)는 힌지 몸체(110)로부터 자유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제2 폴더(140)는 기어부를 통해 제1 폴더(120)와 상호 맞물려 있음으로 해서 제1 폴더(120)와 같은 각도로 또는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더(120)가 회전하여 개방됨에 따라 제2 폴더(140)도 반대로 회전하여 폴더 간의 내부를 개방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gear switch and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oving the changeover switch 172 from the first position I to the second position II. In this case,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freely rotated from the hinge body 110, and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folder 120 through the gear unit, so that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folder 120. It can rotate at the same angle or with a constant relationship. Therefore, as the first folder 120 is rotated and opened, the second folder 140 may also be rotated to open the interior of the folders.
전환 스위치(172)가 제2 위치(II)에 있어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가 함께 움직일 때,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는 통화에 적합한 약 140°도로 벌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약 180 °정도로 벌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벌어지는 각도 등은 설계자에 의해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일정한 단계를 두고 복수개의 각도를 차례로 이동할 수도 있다.When the changeover switch 172 moves in the second position II, the first folder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move together, the first folder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are weakly adapted to the call. It can be as wide as 140 °, or about 180 °. The angles, etc., which are thus opened may be selected by the designer, and may be moved in order by a plurality of angl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힌지 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연결부 및 힌지 프레임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5 is a pla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older and the hing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Figure 5, Figure 7 is the first of Figure 5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part,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hinge frame of FIG. 5.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힌지 프레임(112)에 제1 연결부(130) 및 제2 연결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힌지 프레임(112)은 힌지 케이스(111)의 내부에 장착되며, 힌지 프레임(112)과 연결부(130, 150) 간의 연결 구조는 힌지 케이스(111)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힌지 프레임(112)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ㄷ-자로 형성된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에는 제1 축(10) 및 제2 축(20)에 대응하는 홀 또는 홈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5 to 8,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second connector 150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hinge frame 112. The hinge frame 112 is mounted inside the hinge case 111, and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hinge frame 112 and the connecting portions 130 and 150 may be protected by the hinge case 111. The hinge frame 11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d shape, and holes or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xis 10 and the second axis 20 are vertically disposed at the ends of the c-shaped hinge frame 112. It is formed side by side.
힌지 프레임(112)의 홀 또는 홈으로 제1 연결부(130) 및 제2 연결부(1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기어부(160)가 형성되는 측면에는 차단판(118)이 제공되며, 차단판(118)에는 제1 축(10) 및 제2 축(20)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판(118) 및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 사이에는 제1 기어(162) 및 제2 기어(164)가 장착된다.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second connector 1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le or the groove of the hinge frame 112. In particular, a blocking plate 118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at which the gear unit 160 is formed, and the blocking plate 118 is provided with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aft 10 and the second shaft 20. The first gear 162 and the second gear 164 are mount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118 and the ends of the hinge frame 112.
제1 폴더(120)는 제1 연결부(130) 및 제1 폴더 케이스(122) 외에도 제1 축 로드(124)를 더 포함한다. 제1 축 로드(124)는 제1 축(10)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130) 및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30)의 단면에는 사각형의 홀(133)이 형성되며, 제1 축 로드(124)의 일 단부도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연결부(130)의 사각 홀(133)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제1 연결부(130)와 인접한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에는 원형의 홀(114)이 형성되며, 제1 축 로드(124)의 타 단부도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 프레임(112)의 원형 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축 로드(124)는 제1 연결부(13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속되며, 힌지 프레임(112)에 대해서는 자유 회전을 할 수가 있다. 즉, 제1 축 로드(124)는 제1 폴더 케이스(122)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folder 120 further includes a first shaft rod 124 in addition to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first folder case 122. The first shaft rod 124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shaft 1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end of the hinge frame 112. In detail, a rectangular hole 133 is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30, and one end of the first shaft rod 124 is also formed in a square column shape to form a square hole 133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130. Can be inserted in On the other hand, a circular hole 114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inge frame 112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aft rod 124 is also formed in a circular column shape to form the hinge frame 112. It may be inserted into the circular hole 114. Therefore, the first shaft rod 124 is boun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or 130, and can freely rotate about the hinge frame 112. That is, the first shaft rod 124 may be fixed to the first folder case 122 and rotate together.
제2 폴더(140)는 제2 연결부(150) 및 제2 폴더 케이스(142) 외에도 제2 축 로드(144)를 더 포함한다. 제2 축 로드(144)는 제2 축(20)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며, 제1 연결부(130)와 동일한 방향에서 제2 연결부(150) 및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50)의 단면에는 사각형의 홀이 형성되며, 제2 축 로드(144)의 일 단부도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연결부(150)의 사각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결부(150)와 인접한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에는 사각형의 제2 결속홈(116)이 형성되지만, 제2 축 로드(144) 및 그 위에 장착된 키 몸체(176)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축 로드(144)는 제2 연결부(15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속되며, 다른 방법에 의해서 결속되지 않는 한 힌지 프레임(112)에 대해서는 자유 회전을 할 수가 있다.The second folder 140 further includes a second shaft rod 144 in addition to the second connector 150 and the second folder case 142. The second shaft rod 144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shaft 2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and the end of the hinge frame 112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0. In detail, a rectangular hole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and one end of the second shaft rod 144 may also b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square hol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Similarly, a square second binding groove 116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inge frame 112 adjacen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but the second shaft rod 144 and the key body 176 mounted thereon. It is formed in a larger size. Therefore, the second shaft rod 144 is boun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and can be freely rotated about the hinge frame 112 unless bound by another method.
제1 연결부(130)는 제1 연결 케이스(132), 제1 연결 케이스(132)의 전면에 장착된 제1 결속구(138) 및 제1 결속구(138)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나사 홀(139)을 포함한다. 제1 나사 홀(139)을 통해서 제1 폴더 케이스(122)의 상하 케이스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연결부(150) 역시 제2 연결 케이스(152), 제2 연결 케이스(152)의 정면 양측에 형성된 제2 나사 홀(159)을 포함한다. 물론, 제2 나사 홀(159)을 통해서 제2 폴더 케이스(142)의 상하 케이스들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케이스(132) 및 제2 연결 케이스(152)는 같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연결 케이스의 안쪽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필렛 처리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30 is a first screw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case 132, the first binding hole 138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case 132, and the first binding hole 138. (139). Upper and lower cases of the first folder case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screw hole 139. Similarly,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also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case 152 and second screw holes 159 form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case 152. Of course, the upper and lower cases of the second folder case 14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159. In addition, since the 1st connection case 132 and the 2nd connection case 152 can rotate together, the inner edge of each connection case is filleted in round shape.
도 8을 참조하면, 힌지 프레임(112)의 단부 및 차단판(118) 사이에는 제1 기어(162) 및 제2 기어(164)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기어(162)는 제1 축 로드(124)의 사각 기둥 부분에 결속되어 제1 축 로드(124)와 함께 회전하며, 제2 기어(164)는 제2 축 로드(144)의 원 기둥 부분에 결속되어 자유 회전 또는 구속된 회전을 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8, a first gear 162 and a second gear 164 are mounted between the end of the hinge frame 112 and the blocking plate 118. The first gear 162 is engaged with the square pillar portion of the first shaft rod 124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rod 124, and the second gear 164 is the circular pillar of the second shaft rod 144. Bound to the part can be free rotation or constrained rotation.
키 부재(170)는 전환 스위치(172), 스위치 가이드(173), 경사 가이드(174), C-링(175) 및 키 몸체(176)를 포함한다. 키 몸체(176)는 제2 축 로드(144)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키 몸체(176)의 단부 형성된 홈(178)으로 C-링(175)이 결속되어 있다. C-링(175)과 스위치 가이드(173)는 서로 결속되어 있으며, 스위치 가이드(173) 및 전환 스위치(172)는 힌지 케이스(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key member 170 includes a changeover switch 172, a switch guide 173, an inclined guide 174, a C-ring 175 and a key body 176. The key body 176 is slidably mounted on the second shaft rod 144, and the C-ring 175 is engaged with an end formed groove 178 of the key body 176. The C-ring 175 and the switch guide 17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witch guide 173 and the changeover switch 17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hinge case 111 interposed therebetween.
도 9는 도 5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5,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축 로드(124)에는 제1 기어(162)가 결속되어 있으며, 제1 축 로드(124) 및 제1 기어(162)는 비원형(non-circular)의 결속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할 수가 있다.9 and 10, a first gear 162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rod 124, and the first shaft rod 124 and the first gear 162 are non-circular. It can be rotated together because it is connected through the binding of.
반면, 제2 축 로드(144)에는 제2 기어(164)가 장착되어 있으나, 서로 원 기둥 형상의 결속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기어(164)는 제2 축 로드(144) 상에서 자유 회전을 할 수 있다. 제2 기어(164) 중 힌지 프레임(112)을 바라보는 면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제1 결속홈(1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축 로드(144) 상에는 제2 축 로드(144)와 함께 회전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키 몸체(176)가 장착된다. 키 몸체(176)는 사각 기둥 형상의 홀을 갖는 키 허브를 포함하며, 키 허브의 안쪽 단부에는 제1 결속홈(166)에 대응하는 키 플랜지(177)가 형성되고, 바깥쪽 단부에는 C-링(175)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178)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second gear 164 is mounted on the second shaft rod 144, the second gear 164 is freely rotated on the second shaft rod 144 because the second gear 164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ircular column-shaped binding part. can do. A first binding groove 166 having a square pillar shap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gear 164 facing the hinge frame 112,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rod 144. The key body 176 that can rotate and slide at the same time is mounted. The key body 176 includes a key hub having a hole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A key flange 177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66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key hub, and a C- at an outer end thereof. Grooves 178 are formed to secure the ring 175.
키 플랜지(177)는 키 몸체(17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 몸체(176)가 밖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 키 플랜지(177)는 제1 결속홈(16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기어(164)는 제2 축 로드(144) 상에서 자유 회전을 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키 플랜지(177)는 힌지 프레임(112)의 제2 결속홈(116)에 결속됨으로써, 키 몸체(176)는 제2 축 로드(14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2 폴더(140)가 힌지 몸체(110)에 고정될 수가 있다.Since the key flange 177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 body 176, the key flange 177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inding groove 166 when the key body 176 slides outward. In this case, the second gear 164 may freely rotate on the second shaft rod 144. At the same time, the key flange 177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16 of the hinge frame 112, whereby the key body 176 can limit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rod 144, and 2 folders 140 may be fixed to the hinge body (110).
반면, 키 플랜지(177)가 안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을 하면 키 플랜지(177)는 제1 결속홈(166)으로 이동하여 제1 결속홈(166)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축 로드(144)와 제2 기어(164)는 키 몸체(176)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결속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key flange 177 slides inward, the key flange 177 may move to the first binding groove 166 and be inserted into the first binding groove 166,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may be moved. And the second gear 164 may be temporarily engaged by the key body 176.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몸체(176)는 제2 축 로드(144)에 결속되어 함께 회전을 하여야 하지만, 제2 축 로드(144)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가 있다. 키 몸체(176)의 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홈(178)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78)는 C-링(175)이 끼워져 키 몸체(176)와 축 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다. C-링(175)의 저면에는 경사 가이드(17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가이드(174)는 스위치 가이드(173)의 가이드 홈(173a)에 삽입된다. 경사 가이드(174) 및 가이드 홈(173a)은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가이드(173)의 전후 방향 이동을 C-링(175) 및 키 몸체(176)의 좌우 방향 이동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key body 176 must be coupled to the second shaft rod 144 to rotate together, but can slide on the second shaft rod 144. The end of the key body 176 is formed with a groove 178 along the circumference, the groove 178 may be coupled to the key body 176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C-ring 175 is fitted. An inclined guide 174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ring 175, and the inclined guide 174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73a of the switch guide 173. Since the inclined guide 174 and the guide groove 173a are formed in the inclined direc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witch guide 173 can be switched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ring 175 and the key body 176. have.
스위치 가이드(173)는 힌지 케이스(111)를 사이에 두고 전환 스위치(17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환 스위치(172)의 전후 이동은 스위치 가이드(173), 경사 가이드(174) 및 C-링(175)을 통해 키 몸체(176)의 좌우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환 스위치의 이동 방향을 키 몸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며, 전환 스위치의 이동을 감지하여 모터 등을 이용하여 키 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The switch guide 173 may be connected to the changeover switch 172 with the hinge case 11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changeover switch 172 may include the switch guide 173, the inclined guide 174, and the C-ring ( 175 may be converted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key body 176.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ngeover switch may be the same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key body, and the key body can be automatically moved by using a motor or the lik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changeover switch.
도 11은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전환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기어부 및 제2 축 로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FIG. 1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9, and FIG. 1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the gear part and the second shaft rod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기어(162) 및 제2 기어(164)는 서로 맞물려 있으며, 초기 위치에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몸체(176)의 키 플랜지(177)는 제1 결속홈(166)에 삽입되어 있으며, 키 몸체(176)를 통해서 제2 축 로드(144)와 제2 기어(164)는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속되어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172)는 제2 위치(II)로 이동하여, 경사 가이드(174)가 가이드 홈(173a)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하여 있으며, 키 몸체(176)도 안쪽으로 이동하여 있다.11 and 12, the first gear 162 and the second gear 16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in an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9, the key flange 177 of the key body 176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66,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and the second gear through the key body 176. 164 is bound to rotate together. In addition, the changeover switch 172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II, the inclined guide 174 moves i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73a, and the key body 176 also moves inward.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가 제1 폴더 케이스(122)를 밀어 올려 개방하면, 제1 축 로드(124)를 통해서 제1 기어(162)가 회전하게 된다(①). 제1 기어(16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64)가 회전을 하며(②), 키 몸체(176)를 통해서 제2 기어(164) 및 제2 축 로드(144)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축 로드(144)가 함께 회전할 수가 있다(③). 그 결과 제2 연결부(150) 및 제2 폴더 케이스(142)가 회전하여 제2 폴더(140)가 제1 폴더(120)와 연동하여 함께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user or other device pushes and opens the first folder case 122, the first gear 162 rotates through the first shaft rod 124 (①). As the first gear 162 rotates, the second gear 164 rotates (②), and the second gear 164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are connected through the key body 176. The second shaft rod 144 can rotate together (③).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or 150 and the second folder case 142 are rotated so that the second folder 140 can be opened together with the first folder 120.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162) 및 제2 기어(164)가 동일한 회전 지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각도로 벌어질 수 있지만, 다르게는 회전 지름 또는 기어 특성을 달리 함으로써 서로 다른 속도 또는 다른 각도로 폴더들이 벌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1 폴더(120) 및 제2 폴더(140)가 함께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gear 162 and the second gear 164 have the same rotation diameter, they can be opened at the same angle, but differently at different speeds or at different angles by different rotation diameters or gear characteristics. You can also open folders. This is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first folder 120 and the second folder 140 may be rotated together to be opened or closed.
도 13은 전환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4는 전환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기어부 및 제2 축 로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gear portion and the key member of FIG. 9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14 is a view of the gear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rod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도 13을 참조하면, 제1 기어(162) 및 제2 기어(164)는 서로 맞물려 있으며, 초기 위치에 있다. 다만, 전환 스위치(172)가 제1 위치(I)를 향해 이동하여 경사 가이드(174)가 가이드 홈(173a)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있으며, 키 몸체(176)도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있다(④). 따라서 키 몸체(176)의 키 플랜지(177)는 제1 결속홈(16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제2 축 로드(144)와 제2 기어(164)는 함께 회전할 수가 없다. 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gear 162 and the second gear 16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in an initial position. However, the changeover switch 172 moves toward the first position I, the inclined guide 174 moves outward along the guide groove 173a, and the key body 176 also moves outward (④). ). Accordingly, the key flange 177 of the key body 176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inding groove 166,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and the second gear 164 cannot rotate together.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기타 장치가 제1 폴더 케이스(122)를 밀어 올려 개방하면, 제1 축 로드(124)를 통해서 제1 기어(162)가 회전하게 된다(⑤). 제2 기어(164)가 제1 기어(162)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1 기어(16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64)가 회전을 할 수 있다(⑥).As shown in FIG. 14, when the user or other device pushes and opens the first folder case 122, the first gear 162 rotates through the first shaft rod 124 (⑤). Since the second gear 164 is meshed with the first gear 162, the second gear 164 can rotate as the first gear 162 rotates (6).
다만, 도 12와는 다르게, 키 몸체(176)를 통해서 제2 기어(164) 및 제2 축 로드(144)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축 로드(144)는 제2 기어(164)가 회전하여도 함께 회전할 수가 없다(⑦). 오히려, 키 몸체(176)의 키 플랜지(177)는 힌지 프레임(112)의 제2 결속홈(116)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연결부(150) 및 제2 폴더 케이스(142)는 힌지 몸체(110)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제1 연결부(130) 및 제1 폴더 케이스(122)만 회전을 할 수가 있다.However, unlike FIG. 12, since the second gear 164 and the second shaft rod 144 are not connected through the key body 176, the second shaft rod 144 may have a second gear 164. Even if it rotates, it cannot rotate together (⑦). Rather, since the key flange 177 of the key body 176 is bound to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116 of the hinge frame 112,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and the second folder case 142 is the hinge body. It is fixed with respect to 110, and only the first connection part 130 and the first folder case 122 can rotat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230)는 제1 나사 홀(239)을 통해 제1 폴더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결속구(238)는 제1 연결 케이스(232)의 전면에서 회전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connecto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older case through the first screw hole 239, and the first binding hole 238 may be the first connection case 232. ) Can be rotated from the front.
제1 연결부(230)는 회전 홈(234)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케이스(232), 회전 홈(234)에 장착되는 회전 샤프트(235), 회전 샤프트(235)의 안쪽에 고정되는 제1 캠(235), 제1 캠(235)에 대응하는 제2 캠(236), 제2 캠(236)과 결속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결속구(238) 및 결속구(238)의 양단에 형성된 제1 나사 홀(239)을 포함한다. 결속구(238)는 제1 연결 케이스(232)에 대해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폴더 케이스는 제1 연결부(230)에 대해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회전을 할 수가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폴더만 약 90°만큼 선회한 경우에는, 캠코더나 동영상 촬영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폴더 케이스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각도에 맞춰 액정 디스플레이가 잘 보이도록 조절 할 수가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case 232 including a rotation groove 234, a rotation shaft 235 mounted on the rotation groove 234, and a first cam fixed inside the rotation shaft 235. 235, a second cam 236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m 235, a binding hole 238 coupled to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cam 236,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binding hole 238. 1 screw hole 239. The binding hole 238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case 232 at a constant angular interval, and as a result, the first folder case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30 at a constant angular interval.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when only the first folder is turned by about 90 °, the first folder may be used for a camcorder or video recording, and the user may rotate the first folder case to match the desired angle. You can adjust it so that you can see it well.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2개의 폴더가 각각 별도의 축(axis)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키 부재의 조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개폐되거나, 어느 한 폴더만 개폐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기어부를 구성하는 기어의 지름이나 피치 등을 변경하여 폴더들이 개폐되는 속도, 개폐되는 각도, 폴더가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 지점 등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가 있다.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folders can be pivoted about a separate axis, respectively, and can be rotated and opened together or only one folder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ey member. In addition, by changing the diameter and pitch of the gear constituting the gear por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a variety of speeds, such as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folder, the ang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point where the folder can be temporarily stopped.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통화, 음악 청취, 동영상 감상,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 개인휴대단말기가 갖고 있는 여러 기능에 따라 폴더 간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최적의 위치 조건에 따른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can control various movements between folders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such as call, music listening, video viewing, photo recording, video recording,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timal location conditions. can do.
또한, 폴더가 각각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폴더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olders rotate about different axes, the user can freeze or release the folders arbitrarily, and the user can use them very conveni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3 and 4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 및 힌지 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사시도이다.5 is a plan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older and a hing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FIG. 5. FIG.
도 7은 도 5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of FIG. 5.
도 8은 도 5의 연결부 및 힌지 프레임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hinge frame of FIG. 5.
도 9는 도 5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describing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5. FIG.
도 10은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describ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9.
도 11은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gear part and the key member of FIG. 9. FIG.
도 12는 전환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기어부 및 제2 축 로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the gear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rod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13은 전환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도 9의 기어부 및 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gear portion and the key member of FIG. 9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FIG.
도 14는 전환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기어부 및 제2 축 로드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the gear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rod when the changeover switch is in the first posi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개인휴대단말기 110:힌지 몸체100: personal portable terminal 110: hinge body
111:힌지 케이스 112:힌지 프레임111: hinge case 112: hinge frame
116:제2 결속홈 118:차단판116 : Second binding groove 118 : Blocking plate
120:제1 폴더 122:제1 폴더 케이스120: The first folder 122: The first folder case
124:제1 축 로드 130:제1 연결부124: first shaft rod 130: first connection portion
132:제1 연결 케이스 139:제1 나사 홀132 : first connection case 139 : first screw hole
140:제2 폴더 142:제2 폴더 케이스140: Second folder 142: Second folder case
144:제2 축 로드 150:제2 연결부144: second shaft rod 150: second connecting portion
152:제2 연결 케이스 159:제2 나사 홀152: Second connection case 159: Second screw hole
160:기어부 162:제1 기어160: gear 162: first gear
164:제2 기어 166:제1 결속홈164: 2nd gear 166: 1st binding groove
170:키 부재 172:전환 스위치170: key member 172: change over switch
173:스위치 가이드 175:C-링173 : Switch guide 175 : C-ring
176:키 몸체 177:키 플랜지176 : Key Body 177 : Key Flang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2648A KR100521333B1 (en) | 2005-02-16 | 2005-02-16 |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12648A KR100521333B1 (en) | 2005-02-16 | 2005-02-16 |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521333B1 true KR100521333B1 (en) | 2005-10-14 |
Family
ID=373054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126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1333B1 (en) | 2005-02-16 | 2005-02-16 |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2133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42590B1 (en) | 2005-09-02 | 2007-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sition fix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using sam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42953A (en) * | 2000-02-25 | 2001-09-07 | Sharp Corp | Information equipment |
| KR20030070977A (en) * | 2002-02-27 | 2003-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da/phone combination portable device |
| KR20040033239A (en) * | 2002-10-11 | 2004-04-21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Hinge device |
| KR20040041914A (en) * | 2002-11-12 | 2004-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200353859Y1 (en) * | 2004-03-09 | 2004-06-26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Hinge device having parallel two rotation axes |
-
2005
- 2005-02-16 KR KR1020050012648A patent/KR1005213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42953A (en) * | 2000-02-25 | 2001-09-07 | Sharp Corp | Information equipment |
| KR20030070977A (en) * | 2002-02-27 | 2003-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Pda/phone combination portable device |
| KR20040033239A (en) * | 2002-10-11 | 2004-04-21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Hinge device |
| KR20040041914A (en) * | 2002-11-12 | 2004-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200353859Y1 (en) * | 2004-03-09 | 2004-06-26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Hinge device having parallel two rotation axe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42590B1 (en) | 2005-09-02 | 2007-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sition fix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using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242237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20040203535A1 (en) |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 |
| US8073502B2 (en) | Hinge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a double action hinge | |
| KR100630024B1 (en) | Portable phone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and hinge device thereof | |
| US7256987B2 (en) | Automatic homing apparatus of a rotatable module | |
| CN101346975B (en) | Foldable portable device | |
| US8102675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using a driver wheel to provide a plurality of housing configurations | |
| EP1806909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 |
| KR20060037182A (en) | Camera Rotator in Handheld Terminal | |
| EP1755318B1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 EP1773030A2 (en) |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 |
| US20080049391A1 (en) | Bar type portable terminal | |
| EP1887763B1 (en) |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 |
| US20050153668A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rotatable display device | |
| EP1650934B1 (en) | Foldable phone with a 3d hinge and a camera in the hinge | |
| KR100693641B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ody and slide cover spread horizontally | |
| KR100521333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shaft hinge structure | |
| US7841050B2 (en) |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 |
| CN101321199B (en) | Gemel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equipment | |
| KR20080014588A (en) | Biaxial rotary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hinge device | |
| US20080039214A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 |
| KR20050121526A (en) | Slide apparatus for slide type mobile phone | |
| KR100881579B1 (en) | Multi-mode structure | |
| KR100689535B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 |
| KR100883452B1 (en) | Multi-mode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U15-X000 |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10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100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