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96B1 -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 Google Patents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3596B1 KR100523596B1 KR10-2003-0011079A KR20030011079A KR100523596B1 KR 100523596 B1 KR100523596 B1 KR 100523596B1 KR 20030011079 A KR20030011079 A KR 20030011079A KR 100523596 B1 KR100523596 B1 KR 100523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signal
- output
- output terminal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보강된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성이 보강된 램프 구동 장치는 램프의 ON/OFF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1 출력 단자(Q),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반대 논리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며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2 출력 단자(/Q) 및 램프의 ON/OFF 상태를 나태는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는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를 구비하는 마이콤과, 상기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로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램프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램프를 ON/OFF 시키는 구동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던 불안정적인 조건에서도 램프 구동 장치는 램프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drive device with enhanced stability. The lamp driving apparatus with enhanced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lamp and has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the first output terminal Q and the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 Q) having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and a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to which a feedback signal indicating an ON / OFF state of the lamp is input. A logic circuit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amp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a microcomputer, a feedback signal input to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and a lamp driving signal being turned on It includes a drive signal generator for turning on / 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driving device can stab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even in unstable conditions that cannot be properly coped with in the prior 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동작 상태에 대한 안정성이 보강된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램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dri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driving apparatus of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stability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mp.
최근에는 정보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화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대형 크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로는 투사형(projection) 영상 표시 기기가 많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 특히 LCD 프로젝터, LCD 프로젝션이 많이 선호된다. 이러한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는 세미나 발표 등의 용도 이외에도 가정용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점차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the demand for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screen image is increasing. As such, a projection image display apparatus is widely used as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sized image, and among them, an LCD projector and an LCD projection are particularly preferred. Such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s are gradually being used as display devices for home digital TVs in addition to applications such as seminar presentations.
이러한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는 영상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액정 패널, 렌즈, 프리즘 등과, 영상을 스크린면에 투사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고휘도, 고전력의 램프를 구비하며, 이러한 고휘도, 고전력의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램프 구동 장치가 필요하다. Such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high brightness and high power lamp as a light source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a screen surface,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 lens, a prism, etc., to implement an image image. A drive device is needed.
도 1은 종래의 투사형 영상 표기 기기의 램프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mp driv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램프 구동 장치(100)는 마이콤(10), 구동 신호 발생부(12) 및 램프(1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lamp driv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icrocomputer 10, a driving signal generator 12, and a lamp 14.
상기 마이콤(10)은 램프의 ON/OFF를 제어하는 램프 구동 신호(1)를 구동 신호 발생부(12)로 출력하는 출력 단자(Q1)와, 램프의 ON/OFF 상태를 인식하여 피드백하는 피드백 신호(3)를 상기 구동 신호 발생부(12)로부터 입력받는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를 포함한다. 마이콤(10)은 상기 피드백 신호(3)에 응답하여 램프의 정상 동작 여부를 외부에 표시한다.The microcomputer 10 outputs the lamp driving signal 1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amp to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and outputs the output terminal Q 1 , and recognizes and feeds back the ON / OFF state of the lamp. It includes a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for receiving a feedback signal (3) from the drive signal generator 12. The microcomputer 10 displays whether the lamp operates normally in response to the feedback signal 3.
또한, 상기 구동 신호 발생부(12)는 마이콤(10)으로부터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에 응답하여 램프(14)의 전원을 ON/OFF 시키며, 현재 램프(14)의 ON/OFF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피드백 신호(3)로서 마이콤의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lamp 14 in response to the lamp driving signal 1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0, and controls the current ON / OFF state of the lamp 14.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of the microcomputer as a feedback signal 3.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램프 구동 장치(100)에서 마이콤(10)의 출력 단자(Q1)는 통상적으로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마이콤(10)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초기화[또는 리셋(reset)]되는 경우에 상기 출력 단자(Q1)의 전압 상태도 초기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onventional lamp driving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10 typically has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the microcomputer 10 is initialized (or reset) by an external factor. reset), the voltage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Q 1 is also initialized.
한편, 상기 마이콤(10)에 별도의 포트 확장 IC 등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단자(Q1)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강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마이콤(10)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강제로 초기화되는 경우에도 출력 단자(Q1)의 전압 이 초기화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마이콤의 출력 단자(Q1)는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게 되는 경우도 있다.Meanwhile, by using a separate port expansion IC or the like for the microcomputer 10,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Q 1 may be prevented from dropping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As a result, even when the microcomputer 10 is forcibly initialized due to an external factor,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Q 1 is not initialized and is maintained. Thus,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has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You may have it.
도 2는 종래의 램프 구동 장치에서 마이콤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강제 초기화되는 경우에 마이콤의 출력 단자의 전압 특성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when the microcomputer is forcibly initialized by an external factor in the conventional lamp driving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a) 도면은 마이콤(10)의 출력 단자(Q1)가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b) 도면은 마이콤(10)의 출력 단자(Q1)가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a) shows the case where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10 has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s, and (b) shows that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10 The case where it has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is shown.
t0에서 마이콤(10)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강제 초기화될 때,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Q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 레벨은 도 2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레벨(5V)에서 로우 레벨(0V)로 변환되는 반면에,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Q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 레벨은 도 2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레벨(5V)을 계속 유지한다.When the microcomputer 10 is forcedly initialized by an external factor at t 0 ,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1 having the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is high as shown in FIG. 2A. While the level is converted from the level 5V to the low level 0V,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1 having the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is a high level as shown in FIG. 2 (b). Keep (5V).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램프 구동 장치와 같이, 마이콤의 출력 단자(Q1)가 휘발성 기억 특성만을 갖거나, 또는 별도의 포트 확장 IC 등을 사용하여 비휘발성 특성만을 갖는 경우에, 램프 구동 장치는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아무런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순간적으로 정전이 발생하거나 또는 특정 용도에서 램프는 ON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이콤만 초기화하기를 원하는 경우, 정전기적 충격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마이콤이 강제로 초기화되는 경우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like the conventional lamp driv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has only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s or only nonvolatile characteristics using a separate port expansion IC or the like, the lamp driving apparatus is Under normal conditions, it operates normally without any problem, but if a momentary power failure occurs or if you want to reset the microcomputer only while keeping the lamp ON in certain applications, the microcomputer is forcibly reset by external factors such as electrostatic shock. Under abnormal conditions, for example, various errors can occur.
예컨대, 도 2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의 출력 단자(Q1)가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경우에, 램프가 ON된 상태에서 마이콤(10)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강제로 초기화되면, 상기 마이콤의 출력 단자(Q1)는 바로 초기화되어 램프(14)를 OFF시키는 램프 구동 신호(1)가 출력된다. 이로써, 램프는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OFF되는 결과가 초래된다.For example, when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has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2A, the microcomputer 10 is forcibly initialized due to an external factor while the lamp is turned on. When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immediately initializes, a lamp driving signal 1 for turning off the lamp 14 is output. This results in the lamp turning off in an undesired situation.
이때, 마이콤(10)이 초기화된 직후에, 램프가 OFF된 현 상태를 인식하여 램프를 ON시키는 램프 구동 신호(1)를 바로 출력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상황을 대처한다할 지라도, 마이콤(10)의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0(제로)"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초기화된 상기 마이콤의 출력 단자(Q1)에서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에 의해 램프가 바로 OFF되는 상기 상황을 적절히 대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immediately after the microcomputer 10 is initialized, even if the above situation is dealt with by a method of immediately outputting the lamp driving signal 1 for turning on the lamp by recognizing the current state in which the lamp is turned off, Sin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time required for initialization to become "0 (zero)", it is appropriate to cope with the above situation in which the lamp is immediately turned off by the lamp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temporarily initialized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또한, 도 2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의 출력 단자(Q1)가 비휘발성 기억 특성만을 갖는 경우에, 순간적인 정전 등으로 인해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었다가 잠시 후에 다시 복구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의 전원을 요구하는 램프는 일시적인 전원 강하로 인해 순간적으로 OFF 되지만, 상기 마이콤의 출력 단자(Q1)의 신호 상태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어 램프를 ON 시키는 램프 구동 신호(1)가 계속 구동 신호 발생부(12)로 입력되어 램프(14)를 다시 구동시키려 한다. 그러나, 램프(14)의 구동시에는 냉각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14)를 충분히 냉각시킨 후에 램프를 ON시켜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이러한 냉각 단계를 거치지 않은 불안정한 상태에서 램프를 무리하게 구동시키기 때문에, 램프의 방전 소음이 발생하고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며 램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has only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2 (b), when the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due to a momentary power failure or the like, the power supply is temporarily restored and then restored again after a while. The lamp requiring a relatively high power supply is turned off momentarily due to a temporary power drop, but the lamp driving signal 1 for turning on the lamp is still unchanged due to the signal state of the output terminal Q 1 of the microcomputer.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is continuously input to attempt to drive the lamp 14 again. However, when the lamp 14 is driven, the lamp 14 should be turned on after the lamp 14 is sufficiently cooled by using a cooling fan (not shown). In this case, the lamp may be unstable in such an unstable state. Because of excessive driv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charge noise of the lamp is generated, the life of the lamp is shortened and the lamp is damaged.
또한, 이 경우에도 순간적인 전원의 불안정으로 인해 마이콤(10)이 초기화된 직후에, 현재의 램프 동작 상태를 인식하여 램프의 전원이 OFF 상태인 경우에, 바로 램프를 OFF시키는 램프 구동 신호(1)를 출력시키는 대응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콤의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0'이 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램프를 OFF시키는 램프 구동 신호(1)를 상기 출력 단자(Q1)로부터 출력시키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에 발생하는 전술한 문제점의 발생은 막을 수가 없게 된다.Also in this case, immediately after the microcomputer 10 is initialized due to instantaneous power instability, the lamp driving signal (1) that immediately turns off the lamp when the lamp power is turned off by recognizing the current lamp operating state. Consider a corresponding method of outputting However, sin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time required for the initialization of the microcomputer to be '0', the above-described occurrence that occurs in the period required to output the lamp driving signal 1 for turning off the lamp from the output terminal Q 1 .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cannot be prevent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불안정한 동작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램프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p driving device that can operate stably under unstable operating conditions.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안정성이 보강된 램프 구동 장치는 램프의 ON/OFF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1 출력 단자(Q),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반대 논리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며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2 출력 단자(/Q) 및 램프의 ON/OFF 상태를 나태는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는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를 구비하는 마이콤과, 상기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로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램프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램프를 ON/OFF 시키는 구동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drive device with enhanced stability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lamp and has a first output terminal Q hav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and the first output. A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logic level opposite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and having a second output terminal (/ Q) having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s and a feedback signal indicating an ON / OFF state of a lamp ( And a logic circuit portion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amp driving signal in response to a feedback signal input to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It includes a driving signal generator for receiving the input ON / OFF the lamp.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부는 제1 출력 단자(Q), 제2 출력단자(/Q) 및 램프 상태 인식 단자(F)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the logic circuit unit receives the signals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Q, the second output terminal / Q and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and outputs the lamp driving signal. .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부는 1개의 NAND 게이트 및 1개의 AND 게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NAND 게이트에는 상기 제2 출력 단자(/Q)의 신호 및 상기 램프 상태 인식 단자(F)의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AND 게이트에는 상기 NAND 게이트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Q)의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상기 램프 구동 신호로 출력한다. 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the logic circuit portion is composed of one NAND gate and one AND gate, and the NAND gate has a signal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 Q) and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A signal of (F) is input, an output signal of the NAND gate and a signal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Q are input to the AND gate, and the logic circuit unit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into the ramp driving signal. Output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안정성이 보강된 램프 구동 장치는 램프의 ON/OFF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단자, 상기 제1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반대 논리 레벨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며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2 출력 단자(/Q) 및 램프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는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를 구비하는 마이콤과,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연결되며,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Q)를 구비하는 외부 포트 확장 회로부와, 상기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로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와 상기 외부 포트 확장 회로부의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램프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램프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램프를 ON/OFF 시키는 구동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drive device with enhanced stability includes a first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of a lamp, and an opposite of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A microcomputer having a second output terminal (/ Q) having a logic level and having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and a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to which a feedback signal indicating an ON / OFF state of the lamp is input; An external port expansion circuit section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and having an output terminal Q hav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a feedback signal input to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external port expansion circuit section ( A logic circuit par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amp drive signal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Q), and a drive signal generator for receiving the lamp drive signal to turn on / off the lamp; It should.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던 불안정적인 조건에서도 램프 구동 장치는 램프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p driving device can stab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even in unstable conditions that cannot be properly coped with in the prior art.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램프 구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amp driving apparatus of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동 장치(300)는 마이콤(310), 구동 신호 발생부(12), 램프(14) 이외에 1개의 AND 게이트(312) 및 1개의 NAND(314)로 구성된 논리 회로부(32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lamp driv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one AND gate 312 and one NAND 314 in addition to the microcomputer 310,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and the lamp 14. It further comprises a logic circuit unit 320 composed of.
상기 마이콤(310)은 램프의 ON/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마이콤의 초기화시에 그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논리 레벨에 변화가 없는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1 출력 단자(Q)와, 상기 제1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와 반대의(invert) 논리 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콤의 초기화시에 그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논리 레벨도 초기화(즉, 램프의 OFF 상태에 해당하는 논리 레벨로 변환됨)되는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제2 출력 단자(/Q)와, 상기 구동 신호 발생부(12)로부터 램프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3)를 입력받는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를 포함한다. The microcomputer 310 outputs an ON / OFF control signal of a lamp and has a first output terminal Q hav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having no change in the logic level of the output control signal when the microcomputer is initialized. 1 Outputs a control signal having an inverted logic level from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and initializes the logic level of the output control signal upon initialization of the microcomputer (ie, corresponds to the OFF state of the lamp).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 Q) having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which is converted to a logic level) and a feedback signal 3 receiving a feedback signal 3 indicating an ON / OFF state of a lamp from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It includes a recognition terminal (F).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램프를 ON 시키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램프를 OFF 시키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된다. 한편, 상기 제2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그 반대의 논리 레벨을 갖는다. Here,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Q becomes a high level when the lamp is turned on, and becomes a low level when the lamp is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terminal / Q has the opposite logic level.
또한, 상기 피드백 신호(3)의 논리 레벨은 램프가 ON 상태인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고, 램프가 OFF 상태인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일, 상기 피드백 신호(3)의 논리 레벨이 반대인 경우에는 신호 입력단에 반전(INVERTER)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logic level of the feedback signal 3 becomes a low level when the lamp is in the ON state, and becomes a high level when the lamp is in the OFF state. If the logic level of the feedback signal 3 is opposite, the same result can be obtained by adding an INVERTER circuit to the signal input terminal.
한편, 마이콤의 종류에 따라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단자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외부 포트 확장 IC 또는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버퍼, 래치 등을 활용하여 비휘발성 출력 단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외부 포트 확장 IC 또는 버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출력 단자의 제어는 상기 마이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Q)만을 갖는 마이콤(410)에 외부 포트 확장 IC(412)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Q)를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Meanwhile, when only terminals having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microcomputer, a nonvolatile output terminal may be configured by using an external port expansion IC or a buffer or latch hav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Of course, even when using the external port expansion IC or the buffer, the control of the output terminal is performed by the micom.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terminal Q having the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is configured by using the external port expansion IC 412 in the microcomputer 410 having only the output terminal / Q having the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
또한, 상기 논리 회로부(320)는 상기 마이콤(310)과 상기 구동 신호 발생부(12)에 배치되며, 1개의 NAND 게이트(314) 및 1개의 AND 게이트(312)로 구성된다. 상기 논리 회로부(320)에는 마이콤(310)의 제1 출력 단자(Q), 제2 출력 단자(/Q) 및 램프 상태 인식 단자(F)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In addition, the logic circuit 320 is disposed in the microcomputer 310 and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12, and includes one NAND gate 314 and one AND gate 312.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Q, the second output terminal / Q, and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of the microcomputer 310 are input to the logic circuit 320.
상기 NAND 게이트(314)는 마이콤(310)의 제2 출력 단자(/Q)의 신호 및 램프 상태 인식 단자(F)의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상기 AND 게이트(312)의 일단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AND 게이트(312)는 상기 NAND 게이트(3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상기 마이콤(310)의 제1 출력 단자(Q)의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 후에, 최종적인 램프 구동 신호(1)를 구동 신호 발생부(12)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 구동 신호(1)는 램프를 ON 시키는 경우에 하이 레벨이 되고, 램프를 OFF시키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된다. The NAND gate 314 receives and processes the signal of the second output terminal / Q of the microcomputer 310 and the signal of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and then returns the result to one end of the AND gate 312. Output In addition, the AND gate 312 receives and process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NAND gate 314 and the signal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Q of the microcomputer 310, and then the final lamp driving signal 1. Is output to the drive signal generator 12. In this embodiment, the lamp drive signal 1 is at a high level when the lamp is turned on and at a low level when the lamp is turned off.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논리 회로부(320)는 1개의 NAND 게이트 및 1개의 AND 게이트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지만, 요구되는 램프 구동 신호의 논리 레벨에 따라 상이한 게이트의 종류 및 개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gic circuit 320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by one NAND gate and one AND gate, but different types and numbers of gate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required logic level of the ramp driving signal.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using.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논리 회로부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 logic circuit uni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a) 도면은 논리 회로부(320)를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고, (b) 도면은 상기 논리 회로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5, (a) shows the logic circuit 320 separately, and (b) shows the input /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logic circui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NAND 게이트(314) 및 1개의 AND 게이트(312)로 구성된 상기 논리 회로부는 마이콤의 램프 상태 인식 단자(F)로 입력되는 신호와, 제2 출력 단자(/Q) 및 제1 출력 단자(Q)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하, 편의상 입력 F, 입력 Q, 입력 /Q라고 함)를 입력받아 최종적인 램프 구동 신호(1)를 출력하며, 이때 입력 신호의 논리 레벨과 출력 신호의 논리 레벨의 관계는 (b) 도면에 나타나 있다. (b) 도면에서 'H'는 신호의 논리 레벨이 하이 레벨임을 의미하고, 'L'은 신호의 논리 레벨이 로우 레벨임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5, the logic circuit unit including one NAND gate 314 and one AND gate 312 includes a signal input to the lamp state recognition terminal F of the microcomputer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 Q)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Q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put F, input Q, and input / Q for convenience) are outputted, and the final lamp driving signal 1 is output, wherein the logic of the input signal is outp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and the logic level of the output signal is shown in (b). (b) In the figure, 'H' means that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is high level, and 'L' means that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is low level.
이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램프 구동 장치(300)의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각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각 경우에서 상기 램프 구동 장치(3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살펴 본다. Now,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cases that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lamp driving apparatus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will be described whether the lamp driving apparatus 300 operates normally in each case.
도 6은 램프 구동 장치의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각 경우와, 그 경우에서 램프 구동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구동 신호(1)에 출력되어야 할 신호의 논리 레벨을 나타낸다.Fig. 6 shows each case which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lamp driving device, and in that case the logic level of the signal to be output to the lamp driving signal 1 in order for the lamp driving device to operate normally.
이하, 도 6에 나타낸 각 경우에서 논리 회로부(320)의 동작과, 그 결과로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상태를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and the state of the resultant lamp driving signal 1 in each case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먼저, 첫 번째는 램프가 OFF된 상태에서 마이콤이 초기화되는 경우이다. 이 때,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FF 상태이므로 하이 레벨(H) 값을 갖고, 입력 /Q는 마이콤이 초기화되므로 램프를 OFF시키는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하이 레벨(H) 값을 갖고, 입력 Q는 램프를 OFF 상태로 계속 유지시키는 로우 레벨(L) 값을 갖는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L)이 되어 램프를 OFF시키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First, the microcomputer is initialized when the lamp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has a high level (H) value because the lamp is OFF, and the input / Q has a high level (H)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amp since the microcomputer is initialized. The input Q has a low level (L) value that keeps the lamp in the OFF state.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case in FIG. 5 (b), and the logic level of the lamp driving signal 1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unit 320 finally becomes the low level (L) to turn off the lamp. Control signal is output normally.
다음, 두 번째는 램프를 OFF 상태에서 ON시키는 경우이다. 이때,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FF 상태이므로 하이 레벨(H) 값을 갖고, 입력 /Q 및 입력 Q는 램프를 ON시키기 위하여 각각 로우 레벨(L) 및 하이 레벨(H) 값을 갖는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세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H)이 되어 램프를 ON 시키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Next, the second case is to turn on the lamp from the OFF state. At this tim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320 has a high level (H) value because the lamp is OFF, and the input / Q and input Q have a low level (L) and a high level (H) value, respectively, to turn on the lamp. Has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third case in FIG. 5 (b), and the logic level of the lamp driving signal 1 finally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unit 320 becomes a high level (H) to turn on the lamp. Control signal is output normally.
세 번째는 램프가 ON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이다. 이때,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N 상태이므로 로우 레벨(L) 값을 갖고, 입력 /Q 및 입력 Q는 램프를 ON시키기 위하여 각각 로우 레벨(L) 및 하이 레벨(H) 값을 갖는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일곱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H)이 되어 램프를 ON 시키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The third is when the lamp remains on. At this tim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has a low level (L) value because the lamp is in the ON state, and the input / Q and the input Q have the low level (L) and the high level (H) values, respectively, to turn on the lamp. Has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seventh case in FIG. 5 (b), and the logic level of the lamp driving signal 1 finally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unit 320 becomes a high level (H) to turn on the lamp. Control signal is output normally.
네 번째는 램프를 ON 상태에서 OFF시키는 경우이다. 이때,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N 상태이므로 로우 레벨(L) 값을 갖고, 입력 /Q 및 입력 Q는 램프를 OFF 시키기 위하여 각각 하이 레벨(H) 및 로우 레벨(L) 값을 갖는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여섯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L)이 되어 램프를 OFF 시키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그 다음, 램프가 OFF된 후에, 입력 F는 하이 레벨(H)로 되지만, 입력 /Q 및 입력 Q는 하이 레벨(H) 및 로우 레벨(L)을 유지하여[도 5의 (b) 도면에서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함], 최종적인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L)을 계속하여 유지하게 된다. The fourth is to turn off the lamp from the ON state. At this tim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has a low level (L) value because the lamp is in the ON state, and the input / Q and the input Q have the high level (H) and the low level (L) values, respectively, to turn off the lamp. Has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sixth case in FIG. 5 (b), and the logic level of the lamp driving signal 1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unit 320 finally becomes the low level (L) to turn off the lamp. Control signal is output normally. Then, after the lamp is turned off, the input F goes to the high level (H), but the input / Q and the input Q keep the high level (H) and the low level (L) in FI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ase], the logic level of the final ramp drive signal 1 continues to maintain the low level (L).
다섯 번째는 램프가 ON된 상태에서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마이콤이 강제로 초기화되는 경우이다. 이때,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N 상태이므로 로우 레벨(L) 값을 갖고, 입력 /Q는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가지므로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환되며, 입력 Q는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가지므로 하이 레벨(H)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다섯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H)이 되어 램프를 ON 시키는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며, 이로써 램프는 ON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ifth, the microcomputer is forcibly initialized by external factors while the lamp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has a low level (L) value because the lamp is ON, and the input / Q has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so the input F is converted from the low level (L) to the high level (H). The input Q has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so that it maintains a high level (H) state.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fifth case in FIG. 5 (b), and the logic level of the lamp driving signal 1 finally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unit 320 becomes a high level (H) to turn on the lamp. Control signal is outputted normally, so that the lamp can be kept on continuously.
여섯 번째는 램프에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된 후 잠시 후에 다시 복구되는 경우이다. 이때 램프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의 전원을 요구하므로 일시적인 전원 강하로 인해 순간적으로 OFF 상태로 된다. 따라서, 논리 회로부(320)의 입력 F는 램프가 OFF 상태이므로 하이 레벨(H) 값을 갖고, 입력 /Q는 마이콤이 일시적인 전원 차단에 의해 초기화되므로 그 휘발성 기억 특성에 의해 로우 레벨(L)에서 하이 레벨(H)로 변환되고, 입력 Q는 마이콤의 초기화에도 불구하고 그 비휘발성 특성에 의해 기존의 하이 레벨(H)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입력 조건은 도 5의 (b) 도면에서 첫번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논리 회로부(320)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L)이 된다. 이로써, 램프 구동 장치(300)는 OFF 상태의 램프를 무리하게 재구동 시키지 않는다. The sixth is when the lamp is temporarily turned off and then restored again after a while. At this time, since the lamp requires a relatively high power supply, the lamp is temporarily turned off due to a temporary power supply drop. Therefore, the input F of the logic circuit unit 320 has a high level (H) value because the lamp is OFF, and the input / Q has a low level (L) due to its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since the microcomputer is initialized by a temporary power off. It is converted to the high level H, and the input Q maintains the existing high level H state due to its non-volatile characteristic despite the initialization of the microcomputer. This input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case in FIG. 5B, and the logic level of the ramp driving signal 1 finally output from the logic circuit 320 becomes a low level (L). As a result, the lamp driving device 300 does not excessively restart the lamp in the OFF state.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구동 장치(300)는 전술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경우와 같이 기본적인 정상 동작 조건에서는 물론, 다섯 번째 및 여섯 번째의 경우와 같이 불안정한 동작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램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amp driv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lamps in the basic normal operating conditions as in the first to fourth cases described above, and in unstable operating conditions as in the fifth and sixth cases. Can be driven.
전술한 다섯 번째 경우와 같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마이콤이 강제적으로 초기화되는 경우에도 최종적인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하이 레벨(H)을 유지하여 램프(14)가 ON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여섯 번째 경우와 같이 마이콤에 전원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 램프가 OFF되는 경우에 최종적인 램프 구동 신호(1)의 논리 레벨은 로우 레벨(L)이 되어 램프를 무리하게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Even when the microcomputer is forcibly initialized by an external factor as in the fifth case described above, the logic level of the final lamp driving signal 1 is kept at the high level (H) so that the lamp 14 remains ON. To be able. In addition, as in the sixth case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microcomputer is temporarily interrupted and the lamp is turned off, the logic level of the final lamp driving signal 1 becomes the low level L so as not to excessively drive the lamp. do.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램프 구동 장치의 제어 방식으로는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던 불안정적인 조건에서도 램프 구동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amp driving device to operate stably even under unstable conditions that cannot be adequately handled by the control method of the lamp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특히, 순간적인 정전, 일시적인 주전원의 불안정 상태, 외부 요인에 의한 정전기적 충격,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마이콤이 초기화되거나, 마이콤에 공급되는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등의 경우에, 램프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OFF되거나, 또는 램프가 ON되지 말아야할 상황에서 무리하게 구동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microcomputer is initialized or the power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is temporarily cut off due to a momentary power failure, a temporary main power instability, an electrostatic shock caused by external factors, noise, etc.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being excessively driven in a situation where the lamp is turned off or the lamp should not be turned 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램프 구동 장치의 동작을 불안정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램프의 수명 단축 또는 오작동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driving apparatus even under unstable conditions,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amp life can be shortened or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은 종래의 투사형 영상 표기 기기의 램프 구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driv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도 2는 종래의 램프 구동 장치에서 마이콤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강제 초기화되는 경우에 마이콤의 출력 단자의 전압 특성을 도시한 타이밍도.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when the microcomputer is forcibly initialized by an external factor in the conventional lamp driving apparatu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램프 구동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amp driving apparatus of a 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를 갖는 마이콤에 외부 포트 확장 IC 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기억 특성을 갖는 출력 단자를 구성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figuring an output terminal having a non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by using an external port expansion IC in a microcomputer having an output terminal having a volatile memory characteristic.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논리 회로부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 logic circuit uni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램프 구동 장치의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각 경우와, 그 각 경우에서 램프 구동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램프 구동 신호에 출력되어야 할 신호의 논리 레벨을 나타낸 도면.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case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a lamp driving device, and in each case, a logic level of a signal to be output to the lamp driving signal in order for the lamp driving device to operate normally.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램프 구동 신호1: lamp driving signal
3: 피드백 신호3: feedback signal
12: 구동 신호 발생부12: drive signal generator
14: 램프14: lamp
300: 램프 구동 장치300: lamp driving device
312: AND 게이트312: AND gate
314: NAND 게이트 314: NAND gat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11079A KR100523596B1 (en) | 2003-02-21 | 2003-02-21 |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11079A KR100523596B1 (en) | 2003-02-21 | 2003-02-21 |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75540A KR20040075540A (en) | 2004-08-30 |
| KR100523596B1 true KR100523596B1 (en) | 2005-10-25 |
Family
ID=373618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110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23596B1 (en) | 2003-02-21 | 2003-02-21 |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235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44460B1 (en) * | 2009-01-09 | 2011-06-27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Device for determining driving error of lamp |
-
2003
- 2003-02-21 KR KR10-2003-0011079A patent/KR10052359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75540A (en) | 2004-08-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593231B2 (en) | Power suppl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 US8754838B2 (en) | Discharge circuit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 |
| US10152911B2 (en) | Power supply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panel | |
| KR100356097B1 (en) | Automatic turn off / on device for error correction | |
| US20070296714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15731826A (en) | Driving circuit of display pane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 US20230162652A1 (en) |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ic chip | |
| JP6513447B2 (en) | Semiconducto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 |
| KR100523596B1 (en) | A lamp driver having improved stability | |
| US11074878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 US20110119592A1 (en) | Network system and managing method | |
| US1136740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light, and display device | |
| KR100970956B1 (en) | Power supp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 US6664823B2 (en) | Inverter output circuit | |
| US7133650B2 (en) | Power supply having stable reset function in mobile electronic unit | |
| KR100293823B1 (en) | Backlight lighting compensation circuit | |
| US6850014B2 (en) | Discharge lamp circuit for ignition time control and overvoltage protection receivers | |
| KR100803124B1 (en) | Projector capable of multiple resets and its control method | |
| KR100617088B1 (en) | Control unit reset device | |
| JP2002300719A (en) | Powe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the power device | |
| KR20050099875A (en) | Apparutus for resetting buffer | |
| KR100617087B1 (en) | Control unit reset device | |
| KR100957209B1 (en) | inverter | |
| JP2004355865A (en) | Discharge tube lighting device | |
| KR20060094365A (en) | How to handle communication error of the proj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1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