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34265B1 -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265B1
KR100534265B1 KR10-2003-0086805A KR20030086805A KR100534265B1 KR 100534265 B1 KR100534265 B1 KR 100534265B1 KR 20030086805 A KR20030086805 A KR 20030086805A KR 100534265 B1 KR100534265 B1 KR 10053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frontal collision
fixing bracket
floo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182A (ko
Inventor
서종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2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2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시트(2)와, 상부면에는 시트(2)가 장착되며, 양측에는 체결구멍(13)이 뚫려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안착되는 결합부(11)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결합부(11)에 뚫려진 체결구멍(13)을 통하여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관통되어 체결되므로 시트(2)를 플로어 판넬(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10)는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 시 하중을 작게 받는 일 측의 결합부(11)에 뚫린 체결구멍(13)을 차량의 앞, 뒤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홀(14)로 형성하여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이 발생하면, 시트 밸트에 의해 시트(2)에 걸리는 하중이 작게 걸리는 측이 앞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면서 시트(2)에 걸리는 하중이 큰 측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시트(2)가 소정의 폭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정면충돌 시 작동되는 에어백에 몸체 전체로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정면충돌 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거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면충돌 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 시 안전밸트를 차고 있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착석한 시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운전자와 탑승객의 상해를 줄여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시트는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승차감의 증대와 편익을 증대하기 위한 시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는 탑승자가 앉아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쿠션의 후단에 세워져 탑승자가 시트 쿠션에 앉았을 경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는 차체의 플로어 판넬 상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는 고정 브라켓트 상부에 장착되며, 이 고정 브라켓트는 양측에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이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수단을 플로어 판넬로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에는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시트 밸트(안전밸트)가 장착 되어, 주행 중 운전자 및 탑승자가 이 시트 밸트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가 시트 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 중 정면충돌이 발생되면, 시트 밸트의 버클이 시트에 취부되어 있어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이 시트의 양측에 균일하게 가해 지지 않고, 시트 밸트의 버클이 취부된 측으로 그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시트가 소폭으로 회전하게 되어 정면충돌 시 에어백이 작동한 경우 이 에어백에 운전자와 탑승객의 몸체가 정확히 안착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부딪치게 되어 그 상해가 증대되고, 정면충돌 시 탑승객의 안전정인 거동을 방해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이 시트에 균일하게 가해 지지 않아 시트가 소폭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할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에어백 안착 등 안정적인 거동을 하게 하여 상해를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시트(2)와;상부면에는 시트(2)가 장착되며, 양측에는 체결구멍(13)이 뚫려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안착되는 결합부(11)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트(10)와;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결합부(11)에 뚫려진 체결구멍(13)을 통하여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관통되어 체결되므로 시트(2)를 플로어 판넬(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10)는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 시 하중을 작게 받는 일 측의 결합부(11)에 뚫린 체결구멍(13)을 차량의 앞, 뒤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홀(14)로 형성하여 달성된다.
즉,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이 발생될 경우 시트(2)는 충돌 시 발생되는 하중을 작게 받는 일 측이 상기 장홀(14)에 의해 미끄러져 앞 측으로 전진하면서, 하중을 크게 받는 측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시트가 플로어 판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차체의 플로어 판넬에 고정 브라켓트가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이 고정 브라켓트의 상부면에 시트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고정된 시트의 정면도로서, 고정 브라켓트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중에 정면충돌 시 하중이 작게 받는 측의 결합부에 뚫리는 체결구멍이 소정길이를 가지는 장홀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2 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도로서, 체결구멍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홀로 형성된 것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2)는 고정 브라켓트(1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이 고정 브라켓트(10)의 양측은 하부로 절곡되어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안착되는 결합부(11)(12)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부(11)(12)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20)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체결구멍(13)이 뚫려 진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트(10)는 상부면에 시트(2)가 장착되어 고정되고, 이 고정 브라켓트(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11)(12)의 체결구멍(13)으로 체결수단(20)을 플로어 판넬(1)로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20)은 본 발명에서는 볼트(21)를 기본으로 하여 이 볼트(21)의 머리부(21a)를 상기 결합부(11)(13)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걸리게 하고, 볼트(21)의 끝단은 플로어 판넬(1)의 하부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관통되어 이 끝단에 너트(22)를 결합하여 체결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2)가 상기 고정 브라켓트(10)에 의해 플로어 판넬(1)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트(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11)(12) 중 자동차가 정면충돌할 경우 하중이 작게 가해지는 측의 결합부(11)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홀(14)로 체결구멍(13)을 뚫어 형성하고, 체결수단(20)은 상기 장홀(14)의 끝단에 맞추어 플로어 판넬(1)로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한다.이 장홀(14)은 자동차의 앞, 뒤 방향을 향하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드릴링 기구나, 펀칭 기구로 뚫려져 형성된다.
또한,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트 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정면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시트(2)가 시트 밸트에 의해 전방으로 큰 하중을 받게 되고, 시트 밸트의 버클이 시트(2)에 취부되어 있어 그 하중이 시트 밸트의 버클이 취부되는 측의 고정 브라켓트(10)의 결합부(12)에 큰 하중이 걸리고, 반대편의 결합부(11)는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이 걸려 시트(2)가 소폭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2)에 걸리는 하중이 작게 걸리는 고정 브라켓트(10)의 결합부(11)에 뚫리는 체결구멍(13)이 장홀(14)로 형성되어, 자동차가 정면충돌 할 경우 하중이 작게 받는 시트(2)의 일 측이 상기 장홀(14)에 의해 앞 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여 큰 하중을 받는 측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시트(2)가 소폭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홀(14)은 그 길이가 너무 길게 형성된 경우 시트(2)가 과도하게 앞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그 길이를 10 에서 20mm 사이로 자동차의 종류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트(10)의 정면충돌 시 하중이 작게 걸리는 측의 결합부(11)와 플로어 판넬(1) 사이에는 마찰제(미도시)를 삽입하여 정면충돌 시 이 결합부(11)가 미끄러지듯 이동하도록 하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한다.이 마찰제는 고정 브라켓트(10)와 플로어 판넬(1) 사이의 체결수단으로 인한 체결력으로 인해 고정브라켓트(10)가 플로어 판넬(1)에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를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설계에 따라 마찰을 증대시키는 라이닝을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브라켓트와 플로어 사이의 접촉면을 거칠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차량의 설계와 고정브라켓트(10)와 플로어 판넬(1) 사이의 체결정도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자동차가 주행 중에 정면충돌이 발생하여 충분한 크기의 하중이 발생할 경우에만 고정 브라켓트(10)의 결합부(11)가 미끄러지듯 이동하면서 큰 하중을 받는 측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시트(2)가 소폭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후방충돌이나 측면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는 기존 구조와 동일하게 시트(2)를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이 발생하면, 시트 밸트에 의해 시트에 걸리는 하중이 작게 걸리는 측이 앞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면서 시트에 걸리는 하중이 큰 측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켜 시트가 소정의 폭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정면충돌 시 작동되는 에어백에 몸체 전체로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정면충돌 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거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면충돌 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시트가 플로어 판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고정된 시트의 정면도.
도 3 은 도 2 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플로어 판넬 2 - 시트
10 - 고정 브라켓트 11 - 결합부
13 - 체결구멍 14 - 장홀
20 - 체결수단

Claims (3)

  1. 자동차용 시트(2)와;
    상부면에는 시트(2)가 장착되며, 양측에는 체결구멍(13)이 뚫려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안착되는 결합부(11)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트(1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10)의 결합부(11)에 뚫려진 체결구멍(13)을 통하여 차체의 플로어 판넬(1)에 관통되어 체결되므로 시트(2)를 플로어 판넬(1)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10)는 자동차가 주행 중 정면충돌 시 하중을 작게 받는 일 측의 결합부(11)에 뚫린 체결구멍(13)을 차량의 앞, 뒤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홀(14)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14)은 길이를 10 에서 20mm 사이로 자동차의 종류에 맞게 조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10)의 정면충돌 시 하중이 작게 걸리는 측의 결합부(11)와 플로어 판넬(1) 사이에는 마찰제를 삽입하여 정면충돌 시 이 결합부(11)가 미끄러지듯 이동하도록 하는 하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KR10-2003-0086805A 2003-12-02 2003-12-02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53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805A KR100534265B1 (ko) 2003-12-02 2003-12-02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805A KR100534265B1 (ko) 2003-12-02 2003-12-02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182A KR20050053182A (ko) 2005-06-08
KR100534265B1 true KR100534265B1 (ko) 2005-12-08

Family

ID=3724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34265B1 (ko) 2003-12-02 2003-12-02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2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182A (ko)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605B2 (en) Seat track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sensor
US3186760A (en) Combination seat belt anchoring and seat braking mechanism
CN105015379B (zh) 交通工具用座椅
US7147261B2 (en) Seat track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having an integrated position sensor
JP2002211369A (ja)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US20190185043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0534265B1 (ko) 자동차용 시트 고정 구조
JP340952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100410722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트랙
KR100288297B1 (ko) 자동차 시트의 가이드 레일 록장치
KR100412468B1 (ko) 목 부상 방지용 자동차 시트 고정구조
KR100410955B1 (ko) 자동차용 시트 트랙의 록커 구조
KR200156488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로워 앵커 플레이트 지지구조
US20050253408A1 (en) Seat component to prevent whiplash injury
KR100361983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프리텐셔너 구조
KR20080008903A (ko) 충돌시 승객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플라스틱 브레이크 페달결합구조
KR100324681B1 (ko) 충격 흡수식 자동차용 시트 트랙 구조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JP3122810B2 (ja) シートスライド制御装置
KR100288300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KR100353072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2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