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7887B1 -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 Google Patents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887B1
KR100547887B1 KR1020020056642A KR20020056642A KR100547887B1 KR 100547887 B1 KR100547887 B1 KR 100547887B1 KR 1020020056642 A KR1020020056642 A KR 1020020056642A KR 20020056642 A KR20020056642 A KR 20020056642A KR 100547887 B1 KR100547887 B1 KR 10054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data
signal
camera
mobile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97572A (en
Inventor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30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1376995A3/en
Priority to CNB031490182A priority patent/CN1222189C/en
Priority to US10/465,571 priority patent/US7233807B2/en
Publication of KR2003009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5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88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가,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터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와, 상기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영상데이터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구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데이터를 대응되는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The data display device of the cellular phone is configured to display a frame image data section by a camera for outputting captured screen image data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mobile phone generating user data of the cellular phone,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And a selector for time-dividing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ection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user data in the second sec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selector in a corresponding display area.

카메라, 데이터 표시, 데이터 선택Camera, data display, data selection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영상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LEPHONE HAVING CAMERA}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LEPHONE HAVING CAMERA}             

도 1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선택기가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haracteristic of a selector selecting display data in FIG. 2; FIG.

도 4는 도 2에서 선택기가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selecting display data by a selector in FIG.

도 5는 도 2에서 휴대 전화기가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the mobile phone outputs display data in FIG. 2.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서 휴대 전화기가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the mobile phone outputs display data in FIG. 6.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서 표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10은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휴대전화기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FIG. 10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selecting display data of a camera and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도11은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휴대전화기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FIG. 11 is a diagram showing details of a configuration for selecting display data of a camera and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도12는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휴대전화기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FIG. 1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selecting display data of a camera and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and user data on a display unit.

현재 휴대 전화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하고 있다. 즉, IMT 2000 규격의 이동통신 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Currently, mobile phones are conver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by implemen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mobile phone.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일반적으로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도 장착되는 추세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지화상(still picture)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화면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In general,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The camera may use a CCD or a CMOS sensor, and the display unit may use an LCD. In addition, with the miniaturization of the camera device, the device for capturing the im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 camera device is also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ay capture a video screen and display the moving picture and the still picture, and transmit the captured screen to the base station.

이때 상기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F 수신감도의 변화, 밧데리 잔량 표시, 기타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아이콘이나 문자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User Interface Data: UI data)들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picture data, pixel data)를 같이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camera is provided with user interface data (UI data) such as changes in RF reception sensitivity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battery level indication, other user interface icons or characters, and photographing from the camera. Image data or picture data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should be displayed together.

도 1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서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은 카메라2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31과, 휴대 전화기1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33 및 상기 제1표시영역31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35 등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31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는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되며, 상기 제2 및 제3표시영역33 및 35에 표시되는 사용자데이터들은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이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제2표시영역33에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은 휴대 전화기의 수신감도를 표시하거나 배터리의 잔량 및 현재의 시간 데이터들이 될 수 있으며, 제3표시영역35에 표시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은 현재 표시중인 영상 화면의 제어(scroll, zoom)를 위한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정보들이 될 수 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data and user data in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 first display area 31 display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a second display area 33 displaying a state of the mobile phone 10, and the first display area 31. And a third display area 35 for displaying a menu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this case, when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is displayed,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31 becom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33 and 35. The user data to be are user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phone 10. Among the user data, the user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33 may indicat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mobile phone, or may be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and current time data, and the user data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area 35 may be Menu information for selec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scroll, zoom) of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screen may be used.

상기 도 1과 같이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데이터를 표시부20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휴대 전화기10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와 사용자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할 때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 경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and the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e mobile phone 10 displays the image data and user data captured by the camera. It should be possible to control it properly when sending it. That is, the display paths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user data for the user interface should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표시부에 표시할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서 프레임 구간에서 카메라의 영상데이터 및 휴대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divisionally transmitting image data of a camera and user data of a mobile phone in a frame section in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and transmitting them to a display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서 수직동기신호 발생시 설정된 제1구간에서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고, 설정된 제2구간에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image data of a camera to a display unit in a first section set when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in a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and transmitting user data of the mobile phone to a display unit in a set second section. And providing a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가,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터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와,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영상데이터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에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선택하고 제2구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display device for a mobile phone includes: a camera for outputting captured screen image data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mobile phon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user data of the mobile phone; And a selector for time-dividing the frame image data section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select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ection and to select and output the user data in the second section, the image data and the user output from the select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하기 설명에서 카메라의 영상신호의 전송속도, 영상신호 사이즈 및 표시부의 영상신호 사이즈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video signal of the camera, the video signal size, and the video signal size of the display unit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and also by their modif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모드라는 용어는 카메라를 통해 영상신호를 획득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경로제어모드라는 용어는 표시부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경로를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또한 제1경로제어신호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의미하는 용어이며, 제2경로제어신호는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억세스할 수 있는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의미하는 용어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apture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n image signal is acquired through a camera and displayed on a display unit. The term path control mode refers to a mode for controlling a path of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first path control signal is a term meaning a signal for activating a path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captured by a camer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path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activating a path for the controller to access the display unit. The term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을 촬영 및 표시하는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휴대 전화기 이외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휴대 통신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suming a mobile phone. However,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ing an image using a camera in addition to the mobile 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화기1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서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user data from the display unit 30 in the mobile phon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각각 선택기40에 인가된다. 상기 선택기4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제어부401 및 스위치403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 구간에서 각각 설정된 시간 크기로 시분할 스위칭 출력하여 표시부3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2,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are applied to the selector 40, respectively. The selector 40 is composed of a switch control unit 401 and a switch 403 as shown in FIG. 2, and time-switched switching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at a time size set in a synchronization section,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m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선택기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는 스위치403에 인가되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데이터도 스위치403에 인가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동 기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40, first,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applied to the switch 403,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is also applied to the switch 403. The switch controller 401 controls the switch 403 according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to transmit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or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카메라20은 화면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0은 촬영된 영상데이터와 함께 동기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동기신호는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가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동기신호는 표시되는 화면의 라인 단위로 발생되며, 수직동기신호는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종료시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수직동기신호 Vsync를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따라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프레임 단위로 상기 카메라20의 영상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10의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스위칭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After photographing the screen, the camera 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30. At this time, the camera 20 generates a synchronization signal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data,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cludes a horizontal sync signal and a vertical sync signal.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in units of lines of the displayed screen,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at the end of image data of one fr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witch control unit 401 receive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ccordingly, the switch control unit 401 switches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20 and the user data of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on a frame basis. Control the output.

도 3은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switch control unit 401. FIG.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D 구간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t1 설정시간 구간은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t2 구간은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되면 상기 도 3과 같은 신호를 발생하고,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t1 구간에서는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하고, t2 구간에서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한다. 또한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 3과 같은 신호의 하강 천이(falling edge)신호는 휴대 전화기10에 인터럽트신호로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수신되 면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section D denotes a period in whic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period t1 is a peri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and the period t2 is a mobile phone. It means a section for transmitting user data generated at 10. That is, the switch control unit 401 generates the signal as shown in FIG. 3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and controls the switch 403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t1 section, and in the t2 section. The output of the cellular phone 1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the falling edge signal of the signal shown in FIG. 3 output from the switch control unit 401 is applied to the mobile phone 10 as an interrupt signal.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outputs user data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received.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제어부401은 타이머를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타이머는 상기 카메라20에서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되면, 이때 구동되어 상기 t2 동안 도 3과 같이 제2논리상태를 유지하는 타이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t2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음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될 때까지 제1논리상태를 유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계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동기신호 Vsync는 카메라20에서 1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후 발생되는 신호이며, 상기 t1 설정시간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타는 스위치를 통해 표시부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t2설정시간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면된다.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에서 발생되는 스위치제어신호는 1프레임 구간을 시분할(time multiplexing)하여 상기 카메라20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타와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데이타를 표시부30에 전송하는데, 이때의 t2 설정시간은 필요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The switch control unit 401 for generating the switch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may be implemented with a timer. In this cas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in the camera 20, the timer is driven at this time to generate a timer signal that maintains the second logic state as shown in FIG. It may be designed to generate a signal that maintains the first logic state until the signal Vsync is generated. Her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a signal generated after capturing one frame of image data in the camera 20,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at the t1 set tim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through a switch. The t2 setting time may be set to a time for transmitting the user data. The switch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witch control unit 401 time-divisions one frame section and transmits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20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to the display unit 30. Setting time can be set as needed.

따라서 상기 스위치403은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구간 단위로, t1 구간에서는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을 표시부30에 전송하고 t2 구간에서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출력을 표시부3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표시부30의 제2표시영역33에 표시되는 휴대 전화기10의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제3표시영역35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의 메뉴 정보들이 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제1표시영역31에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및 제3표시영역33 및 35에 각각 대응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Accordingly, the switch 403 transmits the output of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period t1 and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t2 period. In this case,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10 is menu information of the state data of the mobile phone 10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33 of the display unit 30 and the image data displayed in the third display area 35. The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20 on the first display area 31 and displays user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33 and 35,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데이터의 동기 구간을 제1 구간t1 및 제2 구간t2로 시분할하고, 상기 제1설정시간 구간t1에서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하고 제2 구간 t2에서는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0에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ous interval of the image data is time-divided into the first interval t1 and the second interval t2,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first preset time interval t1. In the second section t2,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도 4는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이 표시데이터를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selecting display data by the switch control unit 401. FIG.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211단계에서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213단계에서 수평동기신호 카운터를 초기화시키고, 215단계에서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출력을 표시부30에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2설정시간 구간 t2을 설정하는 카운트 데이터가 세트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면 제2설정시간 구간 t2가 인에이블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217단계에서 상기 휴대 전화기10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기10은 해당 프레임 구간에서 전송할 사용자데이터들을 출력하며, 스위치403은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설정시간 구간 t2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표시부30은 제2 및 제3표시영역33 및 35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들을 표시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switch control unit 401 checks whether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in step 211. In this cas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witch control unit 401 initializes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counter in step 213, and controls the switch 403 to connect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in step 215. At this time, the counter has count data for setting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2. Therefor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witch controller 401 enables the second set time period t2. In operation 217,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to the mobile phone 10. Accordingly, the mobile phone 10 outputs user data to be transmitted in the corresponding frame section, and the switch 403 transmits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set time interval t2 is enabled so that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user data in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33 and 35.

상기와 같이 제2설정시간 구간 t2가 인에이블되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설정된 값이 되면(expired count),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상기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설정된 제1설정시간 구간 t1가 되면,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사용자 데이터 출력을 차단하고 카메라20의 출력을 표시부30에 연결한다. 그러면 표시부30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1표시영역31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211단계 및 223단계를 수행하면서 다음 수직 동기신호가 발생될 때 까지 상기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이 상기 표시부3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econd set time interval t2 is enabled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controller 401 decreases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In this case, when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reaches the set value (expired count), the switch control unit 401 detects this in step 219, and controls the switch 403 in step 221 to select the output of the camera 20. Therefore, the switch control unit 401 blocks the user data output of the mobile phone 10 and connects the output of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first set time period t1 is set. The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20 on the first display area 31. At this time, the switch control unit 401 performs the steps 211 and 223 to control the switch 403 until the next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output of the camera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기40은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구간 단위로 설정된 제1설정시간 구간 t1 동안 상기 카메라20의 영상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부30에 출력하고 설정된 제2설정시간 구간 t2 동안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상기 도 4에서는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된 후 설정된 제2설정시간 구간 t2 동안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된 후 먼저 제1설정시간 구간 t1 동안 카메라20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제2설정시간 구간t2 동안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ector 40 selects and outputs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during the first set time section t1 set in units of frame sections by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mobile phone 10 during the set second set time section t2. User data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In FIG. 4, the user data is transmitted during the second set time interval t2 set after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However, the camera 20 is first generated during the first set time interval t1 after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video data may be output and then user data may be selected and output during the second preset time period t2.

도 5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제어부는 251단계에서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키고, 253 단계에서 CPU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시도가 있는지 검사한다.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시도가 없다면 계속해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도가 있는지 검사를 하고,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시도가 있다면 이때 255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실제로 출력할 것인지(UI_ACCESSABLE=true), 아니면 스크린 버퍼로 전송할 것인지를(UI_ACCESSABLE=false) 판단한다. 이때 UI_ACCESSABLE이라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실제로 출력할지 판단하게 되는데 이 플래그는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CPU가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UI_ACCESSABLE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해 주게 된다. 255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억세스가 아니면(UI_ACCESSABLE=false) 257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스크린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255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억세스이면(UI_ACCESSABLE=true), 259단계에서 상기 스크린버퍼의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고, 26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억세스 불가를 등록한 후 리턴한다. 즉,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제어부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데이터 억세스를 가능한 상태(UI_accessable=true)로 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0은 사용자 데이터 억세스가 가능한 상태가 되면 스크린버퍼에 저장중인 사용자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며, 이후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억세스 불가 상태(UI_accessable=false)로 한다. 사용자 데이터의 억세스 불가 상태가 되면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제어부는 화면상에 새롭게 보여져야 할 사용자 데이터들 모두를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 다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크린버퍼에 저장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outputting user data in the mobile phone 10.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phone 10 enables the interrupt in step 251, and checks whether the CPU attempts to transmit user data in step 253. If there is no attempt to transmit user data, the system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re is an attempt to transmit user data. If there is an attempt to transmit user data, the user data is actually output (UI_ACCESSABLE = true) or the screen buffer is transmitted in step 255. (UI_ACCESSABLE = false) is determined. At this time, the UI_ACCESSABLE flag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actually output the user data. This flag recognizes that the CPU can output the screen when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in the switch controller 401, and sets the UI_ACCESSABLE flag to true. If the user data is not accessed at step 255 (UI_ACCESSABLE = false), at step 257, the user data is stored in the screen buffer. In addition, if the user data is accessed in step 255 (UI_ACCESSABLE = true), the user data of the screen buffer is output in step 259. In step 261, the user data of the access data is registered and returned. That is, when an interrupt is generated, the controller of the cellular phone 10 makes the user data accessible (UI_accessable = true). When the user data access is possible, the mobile phone 10 accesses and outputs the user data stored in the screen buffer, and then makes the user data inaccessible (UI_accessable = false). When the user data becomes inaccessible,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phone 10 stores all user data to be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creen buffer so that it can be output again in the next frame section.

따라서 상기 휴대 전화기10의 제어부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크린버퍼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스크린버퍼의 억세스가 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킨 후 상기 스크린버퍼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한 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스크린버퍼의 억세스 불가 상태로 천이시킨 후 상기 스크린버퍼에 다음 프레임의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10 includes a screen buffer for storing user data, and when the interrupt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0 changes the screen buffer to an accessible state and accesses and outputs user data stored in the screen buffer. . Thereafter, the controller changes the screen buffer to an inaccessible state and stores user data of a next frame in the screen buffer.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화기1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서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user data from the display unit 30 in the mobile phon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각각 선택기40에 인가된다. 상기 선택기40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제어부401, 스위치403 및 인터럽트처리부405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 구간에서 각각 설정된 시간 길이로 시분할 스위칭 출력하여 표시부3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the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are applied to the selector 40, respectively. The selector 40 includes a switch control unit 401, a switch 403, and an interrupt processing unit 405 as shown in FIG. 6, and time-switched switching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at a time length set in a synchronization section, respectively, and transmits them to the display unit 30. .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선택기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는 스위치403에 인가되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데이터도 스위치403에 인가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rst,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applied to the switch 403,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is also applied to the switch 403. The switch controller 401 controls the switch 403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to transmit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or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카메라20은 화면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하는 수직동기신호 Vsync에 의해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403이 스위칭되어 상기 제1단자I1 및 제2단자I2에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0에 스위칭 출력한다. After photographing the screen, the camera 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 unit 401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by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output from the camera 20, and the switch 403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first terminal I1 and the second terminal. The data applied to I2 is switched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도 3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D 구간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t1 구간은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t2 구간은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되면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스위치403은 상기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t1 시간 동안 상기 제1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하고, t2 시간 동안 상기 제2단자로 입력되는 휴대 전화기1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한다. Referr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FIG. 3, as described above, section D represents a time at whic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section t1 represents a time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and section t2. Denotes a time for transmitting user data generated in the cellular phone 10. 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and the switch 403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is input to the first terminal for t1 time. The output of 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and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10 input to the second terminal for t2 hours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또한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 3과 같이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인터럽트처리부405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휴대용전화기10의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403의 제2단자에 사용자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만 사용자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다. 즉,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사용자 데이터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모드(sleep mode)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만 이를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405에 통보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는 제1사용자 데이터(예를들면 배터리 잔량 표시 정보, 현재 시간, 수신감도 등)의 변경이 발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2사용자 데이터(표시되는 영상 화면의 제어를 위한 메뉴 변경)의 변경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의 변경 통보가 발생되면,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405는 처리모드(process mode)를 수행하여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변경통보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405는 바이패스 모드(bypasss mode)를 수행하며, 이때 상기 스위치제어부401로부터 발생되는 인터럽트신호를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인가하지 않는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to the interrupt processor 405 at the tim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outputs user data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witch 403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outputs user data only when updating the user data, and otherwise does not output user data. That is,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outputting the user data performs a sleep mode when the user data is not updated. To this end,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notifies the interrupt processor 405 only when updating the user data. In this case, when the user data is updated, a change of the first user data (for example, battery level display information, a current time, a reception sensitivity, etc.) occurs or a second user data (control of an image screen displayed by the user) is changed. May be a case where a change request of a menu is generated. When the change notification of the user data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rupt processor 405 performs a process mode to output the interrupt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In addition, when the change notification of the user data is not generated in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the interrupt processor 405 performs a bypass mode. In this case, the interrupt signal generated from the switch controller 401 is applied to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 never do that.

상기와 같이 본건출원의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할 때 인터럽트처리부405는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변경이 있는 프레임 구간에서는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의 사용자 데이터 출력 동작을 활성화시켜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갱신하도록 하고, 사용자 데이터의 변경이 없는 프레임 구간에서는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의 사용자 데이터 출력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의 부하를 경감시킨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ransmitting user data to the display unit 30, the interrupt processing unit 405 activates the user data output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ontrol unit 10 in a frame section where the user data is changed in the mobile phone control unit 10. The display of the user data is updated, and in the frame period where the user data is not changed, the user data output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s deactivated to reduce the load of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는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의 제1출력단자는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연결되고 제2출력단자는 스위치제어부40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 변경 통보신호는 스위치 제어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변경 통보신호가 발생될 때 상기 제1출력단자로 스위칭되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출력되는 인터럽트신호를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변경통보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2출력단자로 스위칭되어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스위치제어부401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스위치403이 제2단자I2에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403은 상기 제1단자에 그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부401은 상기 도 3과 같이 정상적인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제1단자I1 및 제2단자I2에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제1단자로부터 영상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2단자I2로부터 사용자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전 프레임에서 표시된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한다.The interrupt processing unit 405 may be configured as a switch. In this case,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interrupt processor 405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witch controller 401. The user data change notif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may be used as a switch control signal. . The interrupt processor 405 is switch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when the user data change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s the interrupt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controller 401 to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f the user data change notific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the second output terminal is switched to output the interrupt signal to the switch controller 401. Then, the switch control unit 401 controls the switch 403 no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I2. In this case, the switch 40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s it is. 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ler 401 may generate a normal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if the data is not received at the first terminal I1 and the second terminal I2,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data of the previous frame as it is. That is, the display unit 30 maintains the display of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displayed in the previous frame when no image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or no user data is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I2.

도 7은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interrupt processing unit 405.

먼저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는 711단계에서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변경 통보신호의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갱신을 위한 통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는 713단계-717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들에서는 인터럽트처리부415의 상태를 처리모드로 설정하고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전달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15는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전달하며,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상기 인터럽트신호에 의해 상기 갱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I2에 출력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의 사용자 데이터가 갱신될 때 상기 t2 구간에서 상기 갱신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30에 출력됨을 알 수 있다.First, in step 711, the interrupt processor 405 confirms whether the change notification signal of the user data is generated in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FIG. At this time, when the notification signal for updating the user data is generated in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the interrupt processing unit 405 performs steps 713 to 717. In the above steps, the state of the interrupt processor 415 is set to the processing mode, and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performs an operation for updating user data, so that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terrup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s formed. . Thereafter,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the interrupt processor 415 transmits the interrupt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and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outputs the updated user data to the second terminal I2 by the interrupt signal. do. Therefore, when the user data of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is updated, the updated user data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in the t2 section.

그러나 상기 711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갱신 즉, 변경을 위한 통보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05는 721단계 및 723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들에서는 인터럽트처리부415의 상태를 바이패스 모드로 설정하고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어도 상기 인터럽트처리부415는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휴대전화기 제어부10에 인가하지 않게되며, 따라서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대기모드(sleep mode)가 된다. However, if a notification signal for updating, ie, changing, user data is not generated in step 711, the interrupt processor 405 performs steps 721 and 723. In the above steps, the interrupt processor 415 is set to the bypass mode and the interrupt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Accordingly, even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the interrupt processor 415 does not apply the interrupt signal to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and thus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enters a sleep mod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휴대 전화기10에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서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user data from the display unit 30 in the mobile phone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각각 선택기40에 인가된다. 상기 선택기40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제어부401, 스위치403, 버퍼처리부407 및 사용자데이터 버퍼409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동기 구간에서 각각 설정된 시간 길이로 시분할 스위칭 출력하여 표시부30에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8,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are applied to the selector 4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selector 40 includes a switch control unit 401, a switch 403, a buffer processing unit 407, and a user data buffer 409. Transfer to display unit 30.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선택기4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는 스위치403에 인가되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데이터도 스위치403에 인가된다. 그리고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rst,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applied to the switch 403,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is also applied to the switch 403. The switch controller 401 controls the switch 403 based on a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to transmit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or user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10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카메라20은 화면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하는 수직동기신호 Vsync에 의해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403이 스위칭되어 상기 제1단자I1 및 제2단자I2에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0에 스위칭 출력한다. After photographing the screen, the camera 2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 unit 401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by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output from the camera 20, and the switch 403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first terminal I1 and the second terminal. The data applied to I2 is switched to the display unit 30.

상기 도 3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D 구간은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간을 나타내고, t1 구간은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t2 구간은 휴대 전화기10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되면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스위치403은 상기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t1 시간 동안 상기 제1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카메라2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하고, t2 시간 동안 상기 제2단자로 입력되는 휴대 전화기10의 출력을 상기 표시부30에 연결한다. Referr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FIG. 3, as described above, section D represents a time at whic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section t1 represents a time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and section t2. Denotes a time for transmitting user data generated in the cellular phone 10. 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and the switch 403 is switched by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is input to the first terminal for t1 time. The output of 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and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10 input to the second terminal for t2 hours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또한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 3과 같이 수직동기신호 Vsync가 발생되는 시점에서 버퍼처리부407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휴대용전화기10의 제어부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 저장된 데이터는 버퍼처리부407에서 읽어 상기 스위치402의 제2단자I2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는 갱신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는 듀얼포트 메모리(dual port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버퍼409는 제1사용자 데이터들(예를들면 배터리 잔량 표시 정보, 현재 시간, 수신감도 등) 및 제2사용자 데이터들(표시되는 영상 화면의 제어를 위한 메뉴 변경)을 저장하는 영역들이 할당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to the buffer processor 407 at the time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lephone 10 stores user data in the user data buffer 409. Data stored in the user data buffer 409 is read by the buffer processor 407 and output to the second terminal I2 of the switch 402.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ular phone controller 10 stores the user data in the user data buffer 409 when updating the user data, and otherwise does not operat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data to be updated is stored in the user data buffer 409. The user data buffer 409 may use dual port memory. The user data buffer 409 stores an area for storing first user data (for example, battery level indication information, current time, reception sensitivity, etc.) and second user data (menu change for controlling a displayed video screen). Are allocated.

상기 버퍼처리부407은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에서 인터럽트신호 발생시 구동되어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들을 억세스하여 제2단자I2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처리부407은 카운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카운터는 상기 스위칭제어부401에서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면 동작모드(count enable mode)를 수행하며, 상기 동작모드에서 카운트를 개시하여 상기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의 어드레스신호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카운트 값은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의 제1 및 제2사용자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영역을 모두 어드레싱할 수 있어야 하며, 카운트 완료시 카운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된다. 이때 상기 카운트 동작은 상기 t2 내에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The buffer processor 407 is driven when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by the switch controller 401, and accesses the user data stored in the user data buffer 409 to output to the second terminal I2. The buffer processor 407 may be configured as a counter. That is, the counter executes a count enable mode when the switching control unit 401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starts a count in the operation mode, and applies the count signal to the address signal of the user data buffer 409. In this case, the count value should be able to address the area storing the first and second user data of the user data buffer 409, and may be designed to terminate the count operation when the count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count operation can be terminated in the t2.

따라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이 상기 도 3과 같은 스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스위치403은 상기 t1 동안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영역31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전화기 제어부10은 상기 제1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2사용자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를 라이트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변경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의 해당하는 영 역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카메라20에서 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한 후 수직동기신호 Vsync를 발생하면 상기 스위치 제어부401은 도 3과 같은 스위치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버퍼처리부407이 동작되어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을 리드모드로 동작시킨 후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는 상기 버퍼처리부407의 어드레싱에 의해 대응되는 영역의 사용자 데이터들을 억세스하여 출력하며, 스위치403은 상기 사용자데이터 버퍼409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들을 표시부3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수신되는 제1 및 제2사용자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표시영역33 및 35에 표시한다. Therefore, when the switch control unit 401 generates the switch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the switch 403 transmit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20 to the display unit 30 during the t1. The display unit 30 then displays the received image data on the display area 31. When the change of the first user data or the second user data occurs, the mobile phone controller 10 sets the user data buffer 409 to a write mode and sets the changed user data to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user data buffer 409. Store in Thereafter, when the camera 20 outputs one frame of image data and generat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 switch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Then, the buffer processor 407 is operated to operate the user data buffer 409 in read mode and generate an address signal. Then, the user data buffer 409 accesses and outputs user data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ddressing of the buffer processing unit 407, and the switch 403 outputs user data output from the user data buffer 409 to the display unit 30. The display unit 30 then displays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user data in corresponding display areas 33 and 35, respectively.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구성이 될 수 있다. 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a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RF부121은 휴대 전화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1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RF unit 121 performs communication of a mobile phone. The RF unit 12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3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CODDEC. The audio processor 125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ata processor 123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data processor 123.

키패드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27은 카메라20으로부터 촬영 되는 영상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하여 촬영 및 표시하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설정키, 촬영키 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29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크린버퍼(screen buffer)를 구비할 수 있다.The keypad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pad 127 may include a mode setting key and a shooting key for performing a shooting and displaying function to display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20. The memory 129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a mobile phone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a path of an image signal applied to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The memory 129 may include a screen buffer for storing the user data.

제어부110은 휴대 전화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30의 제2표시영역 33 및 제3표시영역35에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도 5와 같은 절차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카메라20의 영상데이타를 표시하기 위하여, 키패드127로부터 모드 설정 변경시 신호처리부25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 촬영된 영상데이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the data processor 123.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procedure of FIG. 5 to display user data for display in the second display area 33 and the third display area 35 of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sets the photographing mode by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or 25 when the mode setting is changed from the keypad 127 so as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20, and controls to display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t photographing mode.

카메라2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25는 상기 카메라2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25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60은 상기 신호처리부25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 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60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30의 규격에 맞춰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며, 또한 상기 카메라20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데이타를 압축 및 신장하는 수행한다. The camera 20 photograph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onverts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s assumed here that the camera sensor is a CCD sensor. The signal processor 25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into an image signal. The signal processor 25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image processor 6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5. The image processor 60 scales and outputs an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30, and compresses and decompress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선택기40은 상기 영상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신호는 수직동기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프레임 동기신호가 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기40은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프레임 구간 단위로 설정된 제1구간 t1에서 상기 카메라20의 영상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고 제2구간 t2에서 상기 제어부110의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 출력한다. The selector 40 input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60 and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and selects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and outputs them to the display unit 30.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i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selector 40 may have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and outputs the image data of the camera 20 in a first section t1 set in units of frame sections as shown in FIG. 3, and the user of the controller 110 in a second section t2. Selective output of the data.

표시부30은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31, 상기 제어부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및 제3표시영역33 및 35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영상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표시영역31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사용자 데이터들을 각각 제2 및 제3표시영역33 및 35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3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127과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31 for display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20 and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33 and 35 for displaying first and second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60 in the first display area 31 and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in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33 and 35, respectively. Display.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Herein, when the LCD is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manner, the keypad 127 and the LCD may be input units.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1 및 데이터처리부1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타를 표시부30 상에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user sets a dialing mode after dialing through the keypad 127,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als the received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3. After processing the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121 and outputs. Thereafter, when the counter subscriber generates a response signal, the counter subscriber detects it through the RF unit 121 and the data processor 123.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data processor 123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video data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23 on the display unit 30.

또한 상기 휴대 전화기는 인물 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화면으로 표시 또는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카메라20은 휴대 전화기10에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소정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20은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에 촬영되는 영상은 내부의 CCD 센서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처리부25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25는 상기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60에 출력한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apturing a person or an environment and displaying or transmitting the image on a video screen. First, the camera 20 may b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10 or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utside. That is, the camera 20 may be an external camera or an internal camera. The camera 20 may us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 internal CCD sensor and then applied to the signal processor 25. Then, the signal processor 25 converts the image signal into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60.

그러면 상기 영상처리부60은 상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표시부30의 제1표시영역31 크기에 맞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며, 또한 사진찍기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촬영된 화면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T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60 scales and outputs the received image data to fit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and compresses the image data of the photographed screen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10 when a photographing command is generated. do.

그리고 선택기40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프레임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60 및 제어부110의 출력을 선택하여 표시부30에 출력한다.The selector 40 selects the outputs of the image processor 60 and the controller 110 and outputs them to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도10은 상기 영상처리부60 및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30에 전송하는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110 to the display unit 30. As shown in FIG.

상기 영상처리부60은 상기 신호처리부25와 표시부30 간에 영상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2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JPEG 포맷으로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60은 상기와 같은 기능 이외에 소화면(thumbnail picture)을 생성하거나 또는 표시하고나 하는 영상화면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60 functions to compress and decompres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20 into a JPEG format while simultaneously interfacing the image signal betwe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5 and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the image processor 60 may further include functions for editing a video screen to generate or display a thumbnail picture.

상기 도10을 참조하면, 카메라 인터페이스(이하 CCD 인터페이스라 칭함)611은 신호처리부2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타(YUV format) 및 동기 신호(HREF, VREF)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HREF는 수평유효기간플래그로써, 라인동기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HREF는 상기 신호처리부25수평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EF는 수직유효기간플래그로써 1프레임 단위로 발생되며, 수직동기신호가 될 수 있다. 스케일러613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표시부30의 제1표시영역 크기가 되도록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변환기615는 상기 YUV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RGB 포맷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한다. 표시인터페이스(즉, 엘시디 인터페이스)617은 표시부30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프레임 크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코덱619는 상기 신호처리부25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JPEG 압축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로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10으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JPEG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0, a camera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CD interface) 611 performs an interface between image data (YUV format) and synchronization signals HREF and VREF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5. The HREF is a horizontal validity period flag, which is used as a line synchronization signal. The HREF may be the signal processor 25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VREF is generated as a vertical validity period flag in units of one frame and may b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scaler 613 scales and outputs the size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to be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30. The converter 615 converts the image data of the YUV format into image data of the RGB format. The display interface 617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30 and may include a buffer for storing image data having a frame size. The image codec 619 performs a function of JPEG-compress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5 to output the encoded data to the controller 110 or to JPEG-extend the encoded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10.

여기서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타의 크기는 CIF(352×288) 사이즈이며, 상기 표시부30의 제1표시영역31의 크기는 128×112 또는 128×96이라고 가정한다.Here, it is assumed that the size of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the size of the CIF (352 × 288), and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is 128 × 112 or 128 × 96.

상기 영상처리부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CCD인터페이스611은 상기 신호처리부25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데이타 YUV 포맷으로써, CIF(352×288) 사이즈로 고정된다. 스케일러6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30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스케일링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20에서 발생하는 영상신호의 픽셀수는 CIF사이즈(352×288)이며, 상기 표시부30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픽셀 수는 128×112 또는 128×96이다. 따라서 상기 스케일러613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픽셀들을 표시부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픽셀 수로 축소 및 크러핑한다. 또한 상기 스케일러613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확대 표시 방법은 상기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표시부30에서 표시할 수 있는 픽셀수 만큼 선택하여 표시하면 된다. 변환기615는 상기 스케일러613에서 출력되는 YUV 데이터를 RGB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LCD 인터페이스617은 상기 표시부30에 영상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프레임버퍼는 상기 LCD인터페이스617에서 표시부30과 인터페이싱되는 영상데이타를 버퍼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60, the CCD interface 611 performs a function of interfac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25. In this case, the image data is fixed to a CIF (352 × 288) size as the YUV format. The scaler 613 scales the image signal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on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pixels of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20 is CIF size (352 × 288), and the number of pixels of the video signal which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is 128 × 112 or 128 × 96. Accordingly, the scaler 613 reduces and crops the image signal pixels output from the camera 20 to the number of pixels of the image signal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the scaler 613 may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enlarged display method may be selected by displaying the number of pixel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from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20. The converter 615 converts the YUV data output from the scaler 613 into RGB and outputs the converted RGB. The LCD interface 617 interfaces the image data on the display unit 30, and the frame buffer performs the function of buffering the image data interfaced with the display unit 30 on the LCD interface 617.

상기 영상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 및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데이타를 전송하는 동작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60 and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will be described.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여 도 3과 같은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프레임 주기의 제1구간 t1에서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표시인터페이스617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표시인터페이스617은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의 제1구간t1에서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상기 스위치403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표시인터페이스617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1표시영역31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2구간 t2가 되면, 상기 스위치제어부401은 상기 제어부110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은 도 5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스크린버퍼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억세스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제어부401은 스위치403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출력을 선택한 상태이므로, 스위치403은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사용자데이타를 표시부30에 출력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30은 상기 제1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2표시영역33에 표시하고 제2사용자데이타를 제3표시영역35에 출력한다. 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switch control unit 401 generates a switch control signal as shown in FIG. 3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4. Then, in the first period t1 of the frame period, the switch controller 401 controls the switch 403 to select the output of the display interface 617. The display interface 617 accesse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rame buffer in the first section t1 of the switch control unit 401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switch 403. The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display interface 617 on the first display area 31. After that, when the second section t2 is reached, the switch controller 401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Then, the control unit 110 accesses and outputs user data stored in the screen buffer while performing the procedure of FIG. 5. In this case, since the switch controller 401 selects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110 by controlling the switch 403, the switch 403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to the display unit 30. The display unit 30 then displays the first user data on the second display area 33 and outputs the second user data on the third display area 35.

도11은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휴대전화기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 configuration for selecting display data of a camera and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기40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선택기40의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동작은 상기 도 10과 같다.Referring to FIG. 11, the selector 40 has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6, and operations of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4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0.

도12는은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및 휴대전화기의 표시 데이터를 선택하는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selecting display data of a camera and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기40은 도 8과 같은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선택기40의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동작은 상기 도 10과 같다.Referring to FIG. 12, the selector 40 has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 and operations of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4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0.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기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 및 휴대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된 구간 단위로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휴대 전화기에서 사용자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phone having a camera,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the user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phone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in a set section unit, thereby efficiently displaying the user data and the image data in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Claims (16)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display device of a mobile phone,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와,A camera which outputs the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screen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발생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 제어부와,The mobile phon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user data of the mobile phone, 상기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상기 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영상데이터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에서 상기 영상데이타를 선택하고 제2구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기와,A selector for time-dividing the frame image data section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select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ection and to select and output the user data in the second section;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 사용자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and the user data output from the selec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신호가 수직동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And said synchronizing signal is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lector, 상기 수직동기신호 발생시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 구간을 시분할하여 상기 영상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제1구간 및 상기 사용자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구간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2구간신호 발생시점에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사용자 데이터 출력을 인에이블시키기는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제어기와,Whe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the frame image data section is time-divided to generate a first section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and a second section signal for outputting the user data, and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second section signal, the mobile phone A switch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interrupt signal for enabling user data output to 상기 스위치제어기의 제1구간에서 상기 카메라의 출력을 스위칭 선택하고 상기 제2구간에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출력을 스위칭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And a switch for switching the output of the camera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witch controller and switching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in the second section to output the display to the display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용자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의 표시 메뉴를 나타내는 제2사용자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4. The data display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user data is second user data representing a display menu of first user data and video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mobile teleph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영상데이타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image data, a second display area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first user data, and a lower display area positioned below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user data.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며,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발생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방법에 있어서,In the data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lephone having a video for display screen image and a camera for outpu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a user data of the mobile telephone, 상기 카메라에서 동기신호 출력시 프레임 데이타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신호 및 제2구간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Generating a first interval signal and a second interval signal by time-dividing the frame data section when the camera outpu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상기 제1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Select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camera when the first interval signal is generated; 상기 제2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휴대전화기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방법.And selecting user data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and displaying the user dat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section signal is genera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동기신호가 수직동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방법.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용자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의 표시 메뉴를 나타내는 제2사용자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 data is a second user data indicating a display menu of first user data and video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mobile telephone.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display device of a mobile phone,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와,A camera which outputs the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screen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사용자 데이터 갱신시 통보신호를 출력하고,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이전의 사용자데이타를 유지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제어부와,A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which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when updating user data, outputs the user data when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and maintains previous user data when the interrupt signal is not generated; 상기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영상데이타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에서 상기 영상데이타를 선택하고 제2구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제어기와,A switch controller for time-dividing the frame image data section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ection and selecting user data in the second section; 상기 휴대전화기에서 사용자 데이터 갱신시 처리모드가 되어 상기 제2구간제어신호 발생시 휴대전화기에 인터럽트신호를 발생하며, 사용자 데이터가 갱신되지 않을 시 바이패스모드가 되어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휴대전화기에 인가하지 않는 인터럽트처리부와, When the user data is updated in the mobile phone, a processing mode is generated, and when the second sec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in the mobile phone. When the user data is not updated, the mobile phone enters a bypass mode and does not apply the interrupt signal to the mobile phone. Interrupt processing unit, 상기 스위치제어기에서 제1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카메라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휴대 전화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와,A switch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camera when the first s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switch controller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second s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 및 사용자데이타를 대응되는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data and user data output from the switch in a corresponding display area.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동기신호가 수직동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nd said synchronizing signal is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용자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의 표시 메뉴를 나타내는 제2사용자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11. The dat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data is second user data indicating a display menu of first user data and video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mobile telepho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영상데이타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image data, a second display area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first user data, and a lower display area positioned below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user data.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display device of a mobile phone, 촬영된 화면 표시용 영상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와,A camera which outputs the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screen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사용자 데이터 갱신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버퍼로 출력하며, 사용자 데이터가 갱신되지 않으면 이전의 사용자데이타를 유지하는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제어부와,A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lephone which outputs the user data to a buffer when updating the user data, and maintains the previous user data if the user data is not updated; 상기 휴대전화기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버퍼와,The buffer for storing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of the cellular phone; 상기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동기신호에 의해 프레임 영상데이타 구간을 시분할하여 제1구간에서 상기 영상데이타를 선택하고 제2구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제어기와,A switch controller for time-dividing the frame image data section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ection and selecting user data in the second section; 상기 제2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버퍼에 저장된 사용자데이타를 출력하는 버퍼처리부와,A buffer processor for outputting user data stored in the buffer when the second s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스위치제어기에서 제1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카메라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구간신호 발생시 상기 버퍼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와,A switch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camera when the first s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switch controller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buffer when the second section signal is generated;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 및 사용자데이타를 대응되는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data and user data output from the switch in a corresponding display area.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동기신호가 수직동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And said synchronizing signal is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사용자 데이터 및 영상데이타의 표시 메뉴를 나타내는 제2사용자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15. The data display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user data is second user data indicating a display menu of first user data and video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mobile telepho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isplay unit, 상기 영상데이타를 표시하는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상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용자데이타를 표시하는 제3표시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데이터 표시장치.A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image data, a second display area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play area displaying the first user data, and a lower display area positioned below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thir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user data.
KR1020020056642A 2002-06-21 2002-09-17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3388A EP1376995A3 (en) 2002-06-21 2003-06-18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CNB031490182A CN1222189C (en) 2002-06-21 2003-06-20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devicew ith camera
US10/465,571 US7233807B2 (en) 2002-06-21 2003-06-20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42 2002-06-21
KR20020035042 2002-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572A KR20030097572A (en) 2003-12-31
KR100547887B1 true KR100547887B1 (en) 2006-01-31

Family

ID=3238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6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887B1 (en) 2002-06-21 2002-09-17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8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768A1 (en) * 2004-10-22 2006-04-27 Lg Electronics, Inc. Image proces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214A (en) * 1997-08-22 1999-03-09 Hitachi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9990038411A (en) * 1997-11-05 1999-06-05 구자홍 Multi Image Time Division Digital Camera
KR20000061817A (en) * 1999-03-31 2000-10-25 윤종용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picture data, and opera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2001285420A (en) * 2000-03-24 2001-10-12 Telefon Ab L M Ericsson Mobi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printer
JP2002094629A (en) * 2001-06-26 2002-03-29 Hitachi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20095064A (en) * 2002-05-10 2002-12-20 이성규 Method of manag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for a mobile phone
KR20030070311A (en) * 2002-02-23 200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9214A (en) * 1997-08-22 1999-03-09 Hitachi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9990038411A (en) * 1997-11-05 1999-06-05 구자홍 Multi Image Time Division Digital Camera
KR20000061817A (en) * 1999-03-31 2000-10-25 윤종용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picture data, and opera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2001285420A (en) * 2000-03-24 2001-10-12 Telefon Ab L M Ericsson Mobi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printer
JP2002094629A (en) * 2001-06-26 2002-03-29 Hitachi Lt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30070311A (en) * 2002-02-23 200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scopic image in portable phone
KR20020095064A (en) * 2002-05-10 2002-12-20 이성규 Method of manag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for a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572A (en)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289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umbnail screen in wireless terminal having a camera
US795776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e in a portable terminal
KR10046529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splay data in wireless telephone having camera
KR100663430B1 (en) Zoom 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US72338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EP1048166B1 (e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080289A (en) Communication device
EP1746830A2 (en) Method for performing presentation in video telephone mode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0607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60127509A (en) Image Data Control Method in Video Call Mode of Mobile Device
KR100547887B1 (en) Imag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phone with camera
KR100630165B1 (en) How to search phone number of mobile device
KR100617736B1 (en) How to zoom in and out of pictures on your mobile device
KR100557096B1 (en) Display method of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with bidirectional camera
KR100557184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wo display units
KR100703462B1 (en) How to switch image attachment mode of mobile terminal
KR100678130B1 (en) How to perform call on mobile terminal
KR100557094B1 (en) Method for adjusting inverted image in display system
KR100547769B1 (en) How to send a phone number during a call on your mobile device
KR100593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high pixel image
KR101002864B1 (en) How to control the use mode in the slide portable terminal
KR100744344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KR20070044426A (en) Image Data Control Method in Video Call Mode of Mobile Device
KR20060136235A (en) Method for perform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0663531B1 (en) How to display the time on th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1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