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919B1 -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7919B1 KR100547919B1 KR20050031320A KR20050031320A KR100547919B1 KR 100547919 B1 KR100547919 B1 KR 100547919B1 KR 20050031320 A KR20050031320 A KR 20050031320A KR 20050031320 A KR20050031320 A KR 20050031320A KR 100547919 B1 KR100547919 B1 KR 100547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controller
- power
- light emitting
- emitting di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고, 또한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such as fire or power failure occurs in a dark place such as a subway, a building basement, or a tunnel, or a dark place, it is possible to easily evacuate to a safe place by securing a view. We can prevent outbreak of large personnel accident
비상탈출 유도장치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있어서 비상유도유닛의 대피안내수단을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loded evacuation guide means of the emergency induction unit in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대피안내수단을 지하철의 통행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guide means of Figure 2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assage of the subway,
도 4는 도 2의 대피안내수단을 연결하여 앵커볼트를 사용해서 지하철의 통행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assage of the subway using the anchor bolt by connecting the evacuation guide means of Figure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의해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지대로 대피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rection of evacuating to a safety zone from a fire occurrence area by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제어기 12:EEPROM10: controller 12: EEPROM
13:교류전원부 14:전파정류수단13: AC power supply unit 14: full-wave rectifying means
16:제1 배터리 18:화재감지수단16: First battery 18: Fire detection means
19:정전감지수단 20:중앙 통제실19: Means of power outage detection 20: Central control room
20a:안테나 22:송·수신유닛20a: antenna 22: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a:안테나 24:스피이커22a: Antenna 24: Speaker
26:경광등 28:RAM26: warning lights 28: RAM
30:비상유도유닛 31:복조수단30: emergency induction unit 31: demodulation means
31a:안테나 32:제어수단31a: antenna 32: control means
34:제2 배터리 40:대피안내수단34: second battery 40: evacuation guidance means
41:다층기판 42:발광 다이오드 어레이41: multilayer board 42: light emitting diode array
43:연결블록 43a:연결핀43: connecting
44:장착공 45:장착링44: mounting hole 45: mounting ring
46:하부커버 46a:앵커볼트46:
46b:관통구멍 47:상부덮개46b: through hole 47: top cover
50:통행로 바닥 51:지하 2층50: Passage floor 51: 2nd basement floor
52:피난계단 53:지하 1층52: Evacuation stairs 53: First basement
54:피난계단 55:안전지대54: Evacuation Stairs 55: Safety Zone
본 발명은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철 구내(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 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또는 정전시에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비상구가 있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evacuate in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exit while at the same time easily secure a view in the event of a fire or blackout in the subway premises (or building basement or tunnel, etc.). It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to guide.
종래로부터 소방법규에 의해 설치되는 비상구 안내장치는 주로 비상구 입구 나 통로 벽에 설치하여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함에 따라 화재발생시 연기에 의해 시야를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로 인해 비상구의 위치를 확인할 시간적 환경적 여건이 불가능하여 대형화재시 비상구로의 대피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emergency exit guide device installed by fire law is mainly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n emergency exit or a passageway wall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visibility by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and also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xit due to toxic ga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help to evacuate to the emergency exit in case of large fir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tim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그리고,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및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시설물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시설물 사용자들이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여 시설물의 비상구 및 안전지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지대로 대피하지 못하여 대형 인사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light does not flow from the outside, such as a subway or underground building, or a tunnel, or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power failure occurs in a dark place, the power supply to the facility is interrupted and the users of the facility do not have a clear view of the facility. Not only could there be a problem that the location of emergency exits and safety zones could not be determined, but there were also problems that large personnel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because they could not evacuate to safety zon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탈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various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use a disaster such as fire or power failure in a dark place where no ligh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uch as a facility such as a subway or a building underground or a tunnel. If so,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evacuated to a safe place by securing a view.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탈출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escap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personnel accidents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power failure occurs in the dark or light is no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such as facilities such as subways, underground buildings or tunnels An induction device is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EEPROM과, 교류전원부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일정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과, 상기 전파정류수단에서 전파정류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1 배터리와, 지하철 구간 또는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출력하는 화재감지수단과, 지하철 구간 또는 건물내에 정전되었을 경우,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출력하는 정전감지수단과, 상기 화재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재검출신호 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전검출신호를 상기 제어기에서 받았을 경우 상기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중앙 통제실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수신유닛과, 상기 중앙 통제실의 안테나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상기 송·수신유닛의 안테나 또는 유선을 통해 받아서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대피할 방향을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발광시켜서 표시하는 비상유도유닛과, 상기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이커와, 상기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경광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화재 또는 정전중임을 표시하는 경광등과, 상기 비상유도유닛의 대피안내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발광컬러 및 발광주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AM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n EEPROM storing an execution program of the controller, full-wave rectifying means for receiving AC power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 and rectifying the DC power at a predetermined level; Receiving and storing the DC power rectified by the full-wave rectifying means,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battery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ler, and fire detection in the subway section or building, if the fire occurs in the fire detection Means, a power failur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ower failure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ler when a power failure occurs in a subway section or a building, and a fir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fire detection means or a power failur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power failure detection means. If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n a direction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an antenna of the central control room through an antenna or a wire of the central control room and evacu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 emergency induction unit that emits and displays an array, a speaker that outputs an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s a sound, a warning light that is lit by an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indicates that a fire or power failure is in progress; And a RAM storing programs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colors and light emissio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 arrays constituting the evacuation guide means of the induction unit.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있어서 비상유도유닛의 대피안내수단을 분해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대피안내수단을 지하철의 통행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대피안내수단을 연결하여 앵커볼트를 사용해서 지하철의 통행로 바닥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의해 화재발생지역으로부터 안전지대로 대피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xploded evacuation guide means of the emergency induction unit in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ubway passage evacuation guide means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assage of the subway using the anchor bolt by connecting the evacuation guide means of Figure 2,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irection of evacuation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to the safety zone by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탈출 유도장치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10)와, 상기 제어기(10)의 실행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EEPROM(12 ; Electically Erasable Programable Read Only Memory)과, 교류전원부(13)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일정레벨의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14)과, 상기 전파정류수단(14)에서 전파정류된 직류전원을 받아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10)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제1 배터리(16)와, 지하철 구간 또는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하는 화재감지수단(18)과, 지하철 구간 또는 건물내에 정전되었을 경우, 정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하는 정전감지수단(19)과, 상기 화재감지수단(18)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재검출신호 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19)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전검출신호를 상기 제어기(10)에서 받았을 경우 상기 제어기(1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중앙 통제실(20)로 안테나(22a)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수신유닛(22)과, 상기 중앙 통제실(20)의 안테나(20a)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상기 송·수신유닛(22)의 안테나(22a) 또는 유선을 통해 받아서 상기 제어기(10)의 제어하 에 대피할 방향을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42)를 발광시켜서 표시하는 비상유도유닛(30)과, 상기 제어기(10)에서 출력되는 경보신호를 음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출력하는 스피이커(24)와, 상기 제어기(10)에서 출력되는 경광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화재 또는 정전중임을 일정시간 동안 발광하여 표시하는 경광등(26)과, 상기 비상유도유닛(30)의 대피안내수단(40)을 구성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42)의 발광컬러 및 발광주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AM(28 ;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어 있다.2 to 5,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비상유도유닛(30)은 상기 송·수신유닛(22)의 안테나(22a)에서 송신되는 상기 중앙 통제실(20)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안테나(31a)를 통해 받아서 복조하는 복조수단(31)과, 상기 복조수단(31)에서 복조된 신호를 받아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2)과, 상기 제어수단(32)에서 출력되는 통제신호를 받아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를 순차적으로 또한 다수의 컬러로 발광시켜서 대피할 통로를 표시하는 대피안내수단(40)과, 상기 제어수단(32)에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파정류수단(14)으로부터 직류전원을 받아서 충전하는 제2 배터리(34)로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은 길이가 길다란 다층기판(41)과, 화재발생시 또는 정전시에 순차적으로 또한 일정주기로 반복적으로 화재발생지역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발광하여 대피방향을 표시하도록 상기 다층기판(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설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와, 상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에 상기 제어수단(32)을 통해서 직류전원을 인가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다층기판(41)을 접속시키도록 연결핀(43a)이 배설되며, 상기 다층기판(41)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연결블록(43)과, 앵커볼트(46a)에 의해 상기 연결블록(43)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장착공(44) 및 상기 장착링(45)을 관통하여 다수의 관통구멍(46b)과 결합됨과 동시에, 통행로 바닥(50)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커버(46)와, 상기 하부커버(46)의 길이방향 양측 오목홈(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며, 상기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42)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판으로 된 상부덮개(47)로 구성되어 있다.The evacuation guide means 40 is a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는 제1 발광다이오드(42a)와, 제2 발광다이오드(42b) 및 제3 발광다이오드(42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The ligh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반사열이 적고, 수명이 영구적인 세라믹 칩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iod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se ceramic chip light emitting diodes (LEDs) that have less heat of reflection and have a long lifetime.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 유도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지하철 구내,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의 통행로에 상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가 설치된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다층기판(41)에 형성된 장착공(44)에 상기 앵커볼트(46a)를 관통시킨 다음, 상기 장착링(45)에 형성된 관통구멍(부호표시하지 않음)에 상기 앵커볼트(46a)를 끼우고, 다시 상기 하부커버(46)에 형성된 관통구멍(46b)을 통과시킨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행로 바닥(50)에 상기 앵커볼트(46a)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다층기판(41) 및 상기 하부커버(46)를 설치한다.First, the
다음에, 상기 하부커버(46)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부호 표시하지 않음) 내에 상기 상부커버(47)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길다란 돌기부(부호 표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일체적으로 견고하게 결합고정한다.Next, an elongated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inwardly along both edges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비상유도유닛(30)의 대피안내수단(40)을 통행로 바닥(50)을 따라서 설치하고, 지하철 구내 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에 다수개의 상기 화재감지수단(18) 및 다수개의 상기 정전감지수단(19)을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지하철 구내 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의 지하 2층(51)의 화재발생위치(60)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화재감지수단(18)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한다.In this way, the evacuation guide means 40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10)에서는 상기 EEP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지하철 구내 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의 특정위치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화재발생신호를 상기 RAM(28)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화재발생신호를 상기 송·수신유닛(22)에 출력하여 상기 송·수신유닛(22)의 안테나(31a)를 통해서 상기 중앙 통제실(20)에 무선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유선으로도 출력한다.Accordingly, the
상기 중앙 통제실(20)에서는 무선 및 유선을 통해서 지하철 구내 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의 특정위치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화재발생신호를 받은 후에, 중앙 통제실(20)의 안테나(20a)를 통해서 상기 송·수신유닛(22)에 무선으로 비상 유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the
상기 중앙 통제실(20)에서 출력되는 비상유도 제어신호는 상기 송·수신유닛(22)의 안테나(22a)를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유닛(22)에서 복조하여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기(10)에서는 비상유도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EEP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상기 RAM(28)에 메모리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10)에서 스피이커(24)에 경보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지하 2층(51)의 화재발생위치(6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상기 스피이커(24)에서 음향으로 출력하여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10)에서 경광등(26)에 경광등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광등(26)을 점멸시켜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경보한다.The emergency induc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기(10)에서 상기 송·수신유닛(22)에 화재발생위치(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5에서 화살표A 방향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를 점멸시키는 점멸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송·수신유닛(22)의 안테나(22A)에서 상기 비상유도유닛(30)에 송신한다.At the same time, in the
상기 송·수신유닛(22)에서 송신되는 점멸제어신호는 상기 복조수단(31)의 안테나(31a)에서 받아 상기 복조수단(31)에서 복조된 후에, 상기 제어수단(32)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3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배터리(34)에 충전되어 있는 직류전원을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다층기판(4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에 인가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이 화살표A 방향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또한 일정주기로 발광한다.The flas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 receiving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수단(3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배터리(34)에 충전되어 있는 직류전원을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다층기판(4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에 인가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이 화살표A 방향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발광되게 하여 상기 화재발생위치(60)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게 한다.In other words, the light emitting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이 발광하는 방향을 따라 대피하면서 지하 2층(51)으로부터 피난계단(52)을 통해서 지하 1층(53)으로 대피하며, 다시 지하 1층(53)에서 피난계단(54)을 통해서 안전지대(55)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while evacuat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한편, 화재가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정전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제어기(10)에서 상기 송·수신유닛(22)에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점멸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송·수신유닛(22)에서 송신한다.On the other hand, in a case where a fire does not occur or power failure does not occur, the
상기 송·수신유닛(22)에서 송신되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점멸시키는 제어신호는 상기 복조수단(31)의 안테나(31a)에서 받아 상기 복조수단(31)에서 복조된 후에, 상기 제어수단(32)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3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배터리(34)에 충전되어 있는 직류전원을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다층기판(4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에 인가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을 모두 동시에 발광시키거나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점멸되게 하여 지하철 구내 또는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에 비상시(화재 또는 정전시)에 비상탈출 유도장치가 있음을 통행인들이 알 수 있게 한다. 이 때에는 상 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들이 화살표A 방향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발광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After the control signal for emitting or flashing the light emitting
한편, 지하철 구내,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가 정전되어 상기 정전감지수단(19)에 의해서 정전을 감지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19)에 의해서 정전신호를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하며, 정전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기(10)의 동작은 화재발생신호를 받은 경우와 대체로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ower failure is detected by the power failure detecting means 19 due to a power failure in a subway premises, a building underground, or a tunnel, the power failure detection means 19 outputs a power failure signal to the
한편, 지하철 구내, 건물지하 또는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또는 정전되었을 경우에, 화재발생신호 또는 정전신호를 상기 제어기(10)의 제어하에 상기 송·수신유닛(22)을 통해서 받은 상기 중앙 통제실(20)의 관리자는 화재감지위치(60)의 역무원이나 관리자들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을 행하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았거나 또는 정전되지 않았을 경우, 즉 상기 화재감지수단(18) 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19)의 오동작으로 인해 작동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중앙 통제실(20)에서 안테나(20a)를 통하여 상기 송·수신유닛(22)에 상기 화재감지수단(18) 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19)의 오동작에 의해 작동하였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22a)를 통해 상기 송·수신유닛(22)에서 제어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상기 제어기(10)에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fire or power outage in the subway premises, building basement or tunnel, the central control room received the fire generation signal or power failure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
상기 제어기(10)에서는 이들 신호를 상기 EEPROM(12)에 기억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데이터를 상기 RAM(28)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재감지수단(18) 또는 상기 정전감지수단(19)의 오동작에 의해 작동하였다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피이커(24)에서 음향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10)에서 상 기 경광등(26)의 점등제어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경광등(26)을 소등시킨다.The
상기 대피안내수단(40)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2)를 점멸시키는 컬러(색상)는 강한 녹색 또는 강한 적색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A color (color) for blinking the light emit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장치는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고, 또한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secured by securing a view when a disaster such as fire or power failure occurs in a dark place such as a subway or a building underground or a facility such as a tunnel. It can be evacuated and it can also prevent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personnel accidents.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desig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 유도장치에 의하면, 지하철이나 건물지하 또는 터널 등의 시설물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유입되지 않거나 어두운 곳에서 화재 또는 정전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시야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고, 또한 대형 인사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ergency escap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a power failure occurs in a dark place such as a subway, a building underground, or a facility such as a tunnel or the like, the visibility is secure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evacuate to a safe place and also prevent the occurrence of large-scale personnel accident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50031320A KR100547919B1 (en) | 2005-04-15 | 2005-04-15 |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
| PCT/KR2005/003210 WO2006109911A1 (en) | 2005-04-15 | 2005-09-28 | Emergency escape guid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50031320A KR100547919B1 (en) | 2005-04-15 | 2005-04-15 |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45965A KR20050045965A (en) | 2005-05-17 |
| KR100547919B1 true KR100547919B1 (en) | 2006-02-09 |
Family
ID=370871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500313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919B1 (en) | 2005-04-15 | 2005-04-15 |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47919B1 (en) |
| WO (1) | WO2006109911A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7449B1 (en) * | 2009-05-22 | 2016-05-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Emergency lamp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emergency lamp |
| US10083580B2 (en) | 2014-09-05 | 2018-09-25 | Gotec Inc. |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3823B1 (en) * | 2006-04-05 | 2007-10-05 | 주식회사 리트코 | Subway history and tunnel fire prevention system with passenger evacuation route guidance |
| AT504699A3 (en) * | 2007-01-04 | 2008-11-15 | Flexit Group Gmbh | DEVICE FOR EVACUATING BUILDINGS |
| WO2009054584A1 (en) * | 2007-10-22 | 2009-04-30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Foundation | Multi-directional emergency exit light and emergency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43134B1 (en) * | 2007-10-22 | 2010-02-18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Emergency guidance lamp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and emergency guidance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m |
| RU2419470C1 (en) * | 2009-12-22 | 2011-05-27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ордена "Знак Почета"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обороны МЧС России (ФГУ ВНИИПО МЧС России) | Method of visibility support in fire extinguishing aerosol medium due to special lighting |
| DE202012101384U1 (en) * | 2012-04-16 | 2013-07-17 | Hanning & Kahl Gmbh & Co. Kg | Soil-integrated control system |
| CN117098281B (en) * | 2023-08-15 | 2024-02-06 | 永林电子股份有限公司 | Hotel LED intelligent contro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873256B2 (en) * | 2002-06-21 | 2005-03-29 | Dorothy Lemelson | Intelligent building alarm |
| KR100391304B1 (en) * | 2003-02-28 | 2003-07-12 | Mattron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exit |
| KR20040040415A (en) * | 2004-04-17 | 2004-05-12 | 김운복 | emergency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it's how to operate |
-
2005
- 2005-04-15 KR KR20050031320A patent/KR10054791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8 WO PCT/KR2005/003210 patent/WO200610991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7449B1 (en) * | 2009-05-22 | 2016-05-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Emergency lamp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emergency lamp |
| US10083580B2 (en) | 2014-09-05 | 2018-09-25 | Gotec Inc. | Passenger evacuation direction guidance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06109911A1 (en) | 2006-10-19 |
| KR20050045965A (en) | 2005-05-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619538B1 (en) | Programmable, directing evacuati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 |
| KR101485167B1 (en) | Fire Alarm And Evacuee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 US8810415B2 (en) |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 |
| KR100985507B1 (en) | Control method of fire alarm system | |
| US20070152808A1 (en) | Intelligent directional fire alarm system | |
| ES2436302T3 (en) | Lighting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 |
| US9576459B2 (en) |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 |
| US20110267179A1 (en) | Route guidance system | |
| KR20160064662A (en) | Induction and how induction device | |
| US20160042615A1 (en) | Evacuation assistance apparatus | |
| CN104809832A (en) | Fire evacuation system and evacuation method thereof | |
| KR100547919B1 (en) |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 |
| KR20170079160A (en) | emergency exit lamp and control system of the same | |
| US20210343125A1 (en) |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 |
| KR102416689B1 (en) | Guidance system for disaster evacuation using gobo lighting device | |
| KR20140075119A (en) | Management system of led lamp mounted fire sensing means | |
| GB2516073A (en) | Fire Safety Light | |
| EP0361973A2 (en) | Illumitated fire escape route | |
| JP6396750B2 (en) | Fire detector or fire alarm | |
| US20150364025A1 (en) | Wireless indoor personal evacuations system | |
| KR101900203B1 (en) | Fire detector and intelligent automatic fire dec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KR20130040372A (en) | Guide light system linked with fire sensor and method of linking guide light with fire sensor | |
| WO2009017628A2 (en) |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 KR200429452Y1 (en) | LED Emergency Escape Induction Device Using Telephone | |
| KR101668014B1 (en) | Guide device for Emergency exit indu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15-X000 |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5-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20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