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886B1 - Fleet management systems - Google Patents
Fleet management system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1886B1 KR100541886B1 KR1020040015734A KR20040015734A KR100541886B1 KR 100541886 B1 KR100541886 B1 KR 100541886B1 KR 1020040015734 A KR1020040015734 A KR 1020040015734A KR 20040015734 A KR20040015734 A KR 20040015734A KR 100541886 B1 KR100541886 B1 KR 100541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ntrol device
- information
- remote control
- main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와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main controller)로서 기존의 차량 키(key)와 차량 내부의 키 박스(key box)를 대체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carried by a driver and a main controller installed in a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hat is configured to replace a key box of a vehicle and increases security and user convenience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사용자 인증 기능을 부가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원격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인증된 원격 제어 장치로만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보안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to a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a driver so that only an authenticated use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nly with the authorized remote control device. It can be operated to increase the security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통보 받음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위치를 별도로 기억하지 않더라고 용이하게 주차 위치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arking lo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an be easily managed even if the driver does not separately remember the parking location by being notifi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that the driver possesses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원격제어, 차량 키, 키 박스, 지문인식, 인증Remote control, vehicle key, key box, fingerprint recognition, authentication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주차 정보 취득에 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obtaining parking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와 이에 대응하여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main controller)로서 기존의 차량 키(key)와 차량 내부의 키 박스(key box)를 대체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isting vehicle key as a remote controller carried by a driver and a main controller installed in the vehicle corresponding thereto. And it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replace the key box (key box) inside the vehicle to increase the security and user convenience of the vehicle.
소위 원격 시동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리모콘을 동작시키면 차량에 구비된 제어 유닛에서 상기 리모콘의 송신 정보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거나, 도어 락 기능을 수행하는 등 직접 차량 키를 해당 키 박스에 접촉하지 않아도 무선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In the so-called remote starter,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drives the engin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r performs a door lock function. It is a device that can operate wirelessly without contacting.
하지만, 이러한 원격 시동 장치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차량에는 여전히 종래의 차량 키와 이에 대응하는 키 박스의 존재를 전제로 하여 차량의 제어 시스템이 설계되어 있어 이에 대한 통합적 운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such remote start devices, a vehicle control system is design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still a conventional vehicle key and a corresponding key box. Is being raised.
종래에 차량 키를 대체하여 지문, 음성인식, 홍채 인식 등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시동 장치가 많이 제안되었지만, 주차 관리원, 경비원 등과 같은 해당 차량의 소유주 또는 인증된 운전자가 허가한 사람들조차 차량을 운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어 실용화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종래의 인증 시스템은 대부분이 차량에 설치되어 있어 이에 대한 해제 및 복귀의 절차 수행이 불편한 문제점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Conventionally, a starter device for driving a vehicle by using a fingerprint, voice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or the like has been proposed in place of a vehicle key, but even those authorized by the owner or an authorized driver of the vehicle such as a parking officer, a security guard, etc.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actical use becaus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can not be operated, and this conventional authentication system has been installed in the vehicle most of the problems have been inconvenient to perform the procedure of release and return to it.
또한 종래의 원격 시동 장치는 오직 차량 제어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비록 이러한 원격 시동 장치를 보유한 차량의 운전자인 경우에도 예를 들어, 다수 층으로 구성된 지하 주차장이나 면적이 넓은 주차장에 차를 주차시켜 둔 경우 나중에 자기가 어디에 차량을 주차시켰는지 기억을 못하여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mote starter only performs the vehicle control function, even if the driver of the vehicle having such a remote starter, for example, a car parked in a multi-storey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large parking lot. If you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you do not remember where you parked your car later on, it is of no help.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키(key)와 차량 내부의 키 박스(key box)를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와 메인 제어 장치(main controller)로 대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제조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a conventional vehicle key and a key box inside the vehicle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a main contro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which aims at convenience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원격 제어 장치에 사용자 인증 기능을 부가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원격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인증된 원격 제어 장치로만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보안성을 증가시키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to the portabl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so that only an authenticated use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only the authorized remote control device can operate the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hat increases the security of a vehicle by making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의 현재 상태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통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so that the current stat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can be notifi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운행을 위해서는 메인 제어 장치에 원격 제어 장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차량의 운행 중에는 원격 제어 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fix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for driving and to prev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가 다양한 주차 관리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통보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주차 위치 관리가 용이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be notified of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arious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to facilitate the parking position management of the driv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 및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차량의 각종 제어 요구 정보 또는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복수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 또는 사용자 개인 정보를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상기 메인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기억 저장된 개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 수단;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상기 송수신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The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input means for receiv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vehicle, or user personal information; Memory means for storing and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user personal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with the main control apparatus via wired or wireles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or personal information stored and stored through the input means; Authentication management mean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said input means with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said memory means;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nly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메인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된 각종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 수행 수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한 고정 수단; 및 상기 기능 수행 수단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전원 모듈 또는 엔진 점화 모듈을 동작시킨 경우에도 상기 고정 수단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안 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간에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function performing means for controlling a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by wire or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via wired or wireless; Fastening means having connection terminals for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mounted on the fixing means even when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operates the power supply module or the engine ignition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on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 사용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주차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 remote control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a parking management device,
상기 메인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고정 수단에서 분리되는 경우 현재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장치에 전송하여 주차 위치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위치 추적 수단을 포함하고, The main control device includes location tracking means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to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detached from the fixing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include memory means for receiving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and storing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는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주차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위치 테이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location table database for mapping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차량의 각종 제어 요구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복수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억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상기 메인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량 주차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관리 수단; 사 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상기 송수신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input means for receiv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vehicle; Memory means for storing and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with the main control apparatus via wired or wireles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or vehicl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Authentication management mean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said input means with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said memory means;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nly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o en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된 각종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제어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 수행 수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 구비한 고정 수단; 및 상기 기능 수행 수단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전원 모듈 또는 엔진 점화 모듈을 동작시킨 경우에도 상기 고정 수단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안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간에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main control device,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wire or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via wired or wireless; Fixing means provided with connecting terminals for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seated on the fixing means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when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operates the power module or the engine ignition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nly include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은 원격 제어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Preferably, said securing means comprises a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제어 수단은 차량의 속도 계측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이 운행 중에는 상기 고정 수단의 잠금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고정 수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speed measurement module of the vehicle to operate the locking device of the fixing mean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o that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at.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제어 수단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고정 수단에서 분리되는 경우 차량의 운행 제어모듈 및 전기 기기의 전원모듈의 동작을 차단하고 현재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장치에 전송하 여 주차 위치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block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module of the electric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ans and manages the parking position of the current vehicl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o transmit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the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는 각종 제어 요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고정 수단에 안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간에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 요구 정보를 상기 기능 수행 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input means for inputting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completed the user authentication being seated on the fixing means. Only when the mechanical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terminals, th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main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지문, 아이디(ID), 비밀번호(PW), 홍채, 음성 등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입력 수단은 지문 입력 수단과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설정 및 변경, 인증의 일시 해제 및 복귀, 인증 수단의 일시 변경을 위한 키 조작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fingerprint, ID (ID), password (PW), iris, voice, and the like. The input means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may include setting and changing fingerprint input means and a user's fingerprint, And a key operation unit for temporarily releasing and returning authentication, and for temporarily changing the authentication means.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고정 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시간 이력(history)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main control device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 time history in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coupled to a fixed device of the main control device, and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GPS 송수신 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control device or 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es a GPS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to enable the current location managemen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인 또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임의적으로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That is, the inventor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arbitrarily appropriate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10), 및 메인 제어 장치(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가 차량 외부에서 차량의 원격 시동, 차문 개폐, 경보 기능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 장치이다. 원격 제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20)와의 양 방향 통신에 의해 수신된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메인 제어 장치(2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대응하여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제어 장치(20)는 차량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도어 잠금/열림 장치, 시동 온/오프 장치 등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메인 제어 장치(20)와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구성 요소간의 연결은 주지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10)는 기존의 차량 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과 동시에 메인 제어 장치(20)는 기존의 차량 키 박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에 본 발명의 일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2 에 대한 설명에서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 구조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10)는 입력수단(11), 메모리 수단(12), 송수신 수단(13), 표시 수단(14), 인증관리 수단(15), 제어 수단(16), 및 접속 단자(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입력 수단(11)은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차량의 각종 제어 요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입력 수단은 시스템 선택 버튼과 제어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다이어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 패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수단(11)은 지문 입력을 위한 지문 입력창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지문, 음성, 홍채, 비밀번호 등 다양한 개인 정보가 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입력 수단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input means 11 allows a user to input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put means 11 includes a system selection button and a control button. Preferably, a keypad for receiv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perform a diary function of the user. Preferably, the input means 11 also includes a fingerprint input window for fingerprint input.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s, voices, irises, passwords, and the input means thereof may be variously modified.
상기 메모리 수단(12)은 상기 입력 수단(11)을 통해 입력된 각종 사용자 정보 내지 복수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기억 저장한다. The memory means 12 stores and stores various us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상기 송수신 수단(13)은 차량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16)에 의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동작이 온/오프 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송수신 수단(13)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 관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게 된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13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상기 표시 수단(14)은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기억 저장된 개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means 14 display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상기 표시 수단(14)에 표시될 수 있는 차량 상태 정보에는 차량 내부의 온도, 차량의 배터리 전압, 엔진 동작 여부, 차량의 실내외 전등의 소등 여부, 트렁크 개폐 여부, 도어 락의 작동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4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attery voltage of the vehicle, whether the engine is operating, whether the indoor / outdoor lights are turned off, whether the trunk is open or closed, or whether the door lock is operated. May be included.
상기 인증 관리 수단(15)은 상기 입력 수단(11)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메모리 수단(12)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수단(16)은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인증이 허가된 경우에만 상기 송수신 수단(13)을 작동시켜 상기 메인 제어 장치와의 정보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means 15 compares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11 with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means 12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e control means 16 operat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13 only when authentication is permitt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to en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지문, 아이디(ID), 비밀번호(PW), 홍채, 음성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수단(11)은 지문 입력 수단과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설정 및 변경, 인증의 일시 해제 및 복귀, 인증 수단의 일시 변경을 위한 키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fingerprint, an ID, a password, an iris, a voice, and the like. Preferably, the input means 11 includes a fingerprint input means and a user's fingerprin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key operation unit for temporarily releasing and returning and temporarily changing the authentic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기존의 차량 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관계로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20)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17)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단자(17)는 슬라이딩 방식과 같은 무접점 방식이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제어 장치(2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gain, the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는, 기능 수행 수단(21), 송수신 수단(22), 고정 수단(23), 및 제어 수단(2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기능 수행 수단(21)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된 각종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제어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개폐를 위한 기능, 각종 전기 기기의 온/오프 기능, 자동 시동 기능, 차량의 실내외 전등의 소등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21 is for controlling the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control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상기 고정 수단(23)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기존차량의 운전대 연결부에 통상적으로 장착되는 차량의 키 박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와의 기계적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23a)를 포함한다.The fixing means 23 is for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23)은 차량이 운행 중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고정 수단(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23b)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xing means 23 includes a
상기 송수신 수단(22)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와 각종 정보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22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상기 제어 수단(24)은 상기 기능 수행 수단(21)이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어 요구 정보에 따라 차량의 전원 모듈, 엔진 점화 모듈, 기타 전기 기기 제어 모듈을 동작시킨 경우에도 상기 고정 수단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안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17, 23a)간에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차량의 실제 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걸린 경우에도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고정 수단(23)에 안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17, 23a)가 연결되는 경우에만 차량을 실제 운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24 is the fixing means even when the function performing means 21 operates the power module of the vehicle, the engine ignition module, or other electric devic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of the
또한,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제어 수단(24)은 차량의 속도 계측 모듈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이 운행 중에는 상기 고정 수단(23)의 잠금 장치(23b)를 동작시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고정 수단(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4 of the
또한,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제어 수단(24)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고정 수단(23)에서 분리되는 경우 차량의 운행 제어모듈 및 전기 기기의 전원모듈의 동작을 차단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차량 키를 키 박스에서 제거할 때와 동일한 방식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24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는 각종 제어 요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25)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제어 수단(24)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고정 수단(23)에 안착되어 서로의 접속 단자(17, 23a) 간에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입력 수단(25)을 통해 입력된 제어 요구 정보를 상기 기능 수행 수단(21)으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원격 제어 장치(10)로는 메인 제어 장치(2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고, 더구나 원격 제어 장치(10)와 별개로 메인 제어 장치(20)만으로는 차량의 각종 제어 모듈을 제어할 수 없다. 물론, 사용자 인증이 일시 해제된 원격 제어 장치(10)의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특별한 사용자 인증이 없이도 메인 제어 장치(2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증의 일시 해제 및 복귀는 반드시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에 인증 정보가 등록된 사용자만이 인증 정보(예를 들어, 지문 인식)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고정 장치(23)에 결합되어 있는 시간 이력(history)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6)와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27)을 포함한다. 상기 시간 이력 데이터베이스(26)는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근무 기록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주차 정보 취득에 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3 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2 에 대한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가하였으며, 상기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앞서의 설명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해당 실시예에서의 특징적인 측면만을 설명하기로 한다.3 is a schematic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obtaining parking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s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2,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scribed abov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nly the characteristic aspects in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운전자라면 대부분이 백화점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지하 주차장이나 운동장의 대형 지상 주차장 등에 차를 주차시켜 둔 경우 나중에 자기가 어디에 차량을 주차시켰는지 기억을 못하여 곤란한 상황에 처한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If most of you have parked your car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large building such as a department store or a large ground parking lot of a playground, you may have a difficult time remembering where you parked your car later.
본 발명에 대한 일 실시예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정보 취득을 위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20), 사용자가 휴대하는 원격 제어 장치(10), 및 주차 관리 장치(30)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to this, as shown in Figure 3,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acquiring park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가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고정 수단(23)에서 분리되는 경우 현재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에 전송하여 주차 위치 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기 위한 위치 추적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추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GPS 송수신 수단, 및 다양한 전파 송수신 방법에 의한 전파 송출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The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는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주차 위치 정보를 매핑하는 위치 테이블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한다.The
즉, 차량을 주차한 곳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위치 추적 수단이 송신하면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가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로 송신하여 저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는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That is, when the location tracking means of the
예를 들어, 운전자가 특정 건물의 지하 5층 가열 25번째 주차 영역에 차량을 주차시킨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가 메인 제어 장치(20)의 고정 수단(23)에서 분 리되는 순간 상기 메인 제어 장치(20)의 위치 추적 수단은 해당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가 판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 관리 장치(30)는 수신된 해당 위치 데이터를 해당 건물의 주차 위치 정보(예를 들어, 앞서의 예에서 "5-가-25"의 문자 메시지)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driver parks the vehicle in the 25th floor parking area of the fifth floor under the ground of a specific building, the main body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제어 장치(20) 또는 원격 제어 장치(10)는 GPS 송수신 수단을 포함하여 차량이 특정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에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는 차량 감시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예를 들어, 상술한 사용자 인증 방법 중 지문 인식 방법 외에 홍채, 음성, 비밀번호 등의 방법과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user authentication method, it is natural that the method of user authentication by various combinations thereof, such as iris, voice, password, and the like,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차량 키(key)와 차량 내부의 키 박스(key box)를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와 메인 제어 장치(main controller)로 대체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차량의 제조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an existing vehicle key and a key box inside the vehicle with a remote controller and a main controller.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사용자 인증 기능을 부가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원격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고, 인증된 원격 제어 장치로만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보안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so that only the authenticated use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an operate the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only with the authenticated remote control device. This increases the security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 장치로부터 차량의 현재 상태를 통보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user's convenience by enabling the two-way communication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to be informed of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제어 장치에 고정된 원격 제어 장치가 차량의 운행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by preven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fix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to be sepa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장치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운전자가 소지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 통보 받음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않더라고 용이하게 주차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parking management can be easily carried out even if the driver does not remember the parking position by being notified from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driver.
Claims (1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15734A KR100541886B1 (en) | 2004-03-09 | 2004-03-09 | Fleet management system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15734A KR100541886B1 (en) | 2004-03-09 | 2004-03-09 | Fleet management system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4-0006277U Division KR200352177Y1 (en) | 2004-03-09 | 2004-03-09 | Vehicles Managing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90585A KR20050090585A (en) | 2005-09-14 |
| KR100541886B1 true KR100541886B1 (en) | 2006-01-11 |
Family
ID=372725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157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1886B1 (en) | 2004-03-09 | 2004-03-09 | Fleet management system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41886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54273B1 (en) * | 2011-06-17 | 2012-06-13 | 태현통상 주식회사 | A smart key for a vehicle |
| KR101417455B1 (en) | 2012-12-07 | 2014-07-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User oriented typ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and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5516B1 (en) * | 2005-09-06 | 2006-06-07 | (주)유니파이브테크 |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
| KR100762923B1 (en) * | 2006-06-07 | 2007-10-04 | (주)스마트로닉 | Immobilizer bypass module and electronic certification system |
| JP2007334825A (en) * | 2006-06-19 | 2007-12-27 | Denso Corp |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nunciating system |
| KR100857390B1 (en) * | 2007-06-26 | 2008-09-05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 How to display the remote lock and lock status of the car |
| WO2011043559A2 (en) * | 2009-10-08 | 2011-04-14 | Choi Unho |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driver authentication, vehicle terminal, biometric identity car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nd tracking function using the biometric identification card and the terminal |
| KR20110038563A (en) | 2009-10-08 | 2011-04-14 | 최운호 | Vehicle control method through driver authentication, vehicle terminal, biometric card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ccupant protection tracking function using biometric card and terminal |
| KR101520573B1 (en) * | 2014-01-27 | 2015-05-14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ke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 IT201800010033A1 (en) * | 2018-11-05 | 2020-05-05 | Silatech S R L |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gearbox of a motor vehicle including a portable control device. |
| KR102174685B1 (en) * | 2019-03-15 | 2020-11-05 | 정성대 | Apparatus for issuing and returning service pack for parking guidance system |
| KR102174684B1 (en) * | 2019-03-15 | 2020-11-05 | 정성대 | Parking guidance system comprising service pack in vehicle and apparatus for issuing and returning the service pack |
| CN114384913A (en) * | 2022-01-13 | 2022-04-22 | 天津港第二集装箱码头有限公司 | Remote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container terminal horizontal transport equipment |
-
2004
- 2004-03-09 KR KR1020040015734A patent/KR1005418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54273B1 (en) * | 2011-06-17 | 2012-06-13 | 태현통상 주식회사 | A smart key for a vehicle |
| KR101417455B1 (en) | 2012-12-07 | 2014-07-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User oriented type remote keyless entry system and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90585A (en) | 2005-09-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34303B1 (en) | A system of managing automobile | |
| US10343650B1 (en) | NFC system for unlocking a vehicle via smartphone biometric authentication | |
| CN104464040B (en) | Car keyless entry system based on smart phone | |
| CN104494564B (en) | A kind of VATS Vehicle Anti-Theft System based on recognition of face | |
| KR100541886B1 (en) | Fleet management systems | |
| US10604115B2 (en) | NFC system for unlocking a vehicle via smartphone biometric authentication | |
| KR101745443B1 (en) | Authentication system for driver of vehicle | |
| CN103903091B (en) | A kind of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ignition control device based on cloud computing platform | |
| US20220180679A1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 US20220258695A1 (en) | Biometric wireless vehicle entry system | |
| US7692533B2 (en) | Security for navigation system and garage door opener | |
| KR10260117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mart key control for vehicle remote control | |
| KR101406192B1 (en) | Car access control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
| CN112389368B (en) | Vehicle backup unlocking method | |
| KR200352177Y1 (en) | Vehicles Managing System | |
| JP2020113065A (en) |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
| US20230219526A1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 KR101084648B1 (en) | System to remotely control a car by vo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 US11988182B2 (en) | Integrated vehicular remote starting interrupter | |
| KR101469862B1 (en) | Vehicle user authentication device linked with mobile phone | |
| WO2023168512A1 (en) | Multiuser authent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entry and starting a vehicle | |
| CN109263601A (en) | Automobile anti-theft device, method and system, automobile and storage medium | |
| JP4723194B2 (en) | Vehicle use restriction system, vehicle side communication device, and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 |
| KR101846559B1 (en) | Method for saving battery in smart key system | |
| CN205524135U (en) | Interactive electric automobile anti -theft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1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1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