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101B1 - Crawl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Crawl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8101B1 KR100558101B1 KR1019990050991A KR19990050991A KR100558101B1 KR 100558101 B1 KR100558101 B1 KR 100558101B1 KR 1019990050991 A KR1019990050991 A KR 1019990050991A KR 19990050991 A KR19990050991 A KR 19990050991A KR 100558101 B1 KR100558101 B1 KR 100558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wler belt
- rubber
- crawler
- pair
- guide protrus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차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轉動部) 및 전륜(轉輪) 타이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요철 노면에서도 크롤러 벨트가 옆으로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ide comfort, and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transmission parts and front wheel tire parts of the rubber crawler bel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crawler belt from shifting sideways or coming off from the uneven road surf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wler traveling device.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2)내에 폭방향 거의 중앙부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3, 3)를 갖는 맨드릴(4)을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매설하는 동시에, 가이드 돌기(3, 3)의 폭방향 바깥쪽에, 또한 크롤러 벨트 내주면에 좌우 한 쌍의 고무 전동부(5, 5)를 형성한 고무 크롤러 벨트(1)와, 고무 전동부(5, 5)에서 전동하는 전륜(20)을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전륜(20)은 보스(21)와, 보스(21)의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플랜지(24)와, 보스(21)의 양단부의 외주부에 장착된 탄성재의 환형의 타이어(25, 25)를 구비하는 동시에, 중앙 플랜지(24)의 폭방향 측면과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 사이의 소정의 간극(a1)을 타이어(25, 25)의 내측면과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 사이의 소정의 간극(b)보다 작게 하였다.In the crawler belt body 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mandrel 4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protrusions 3 and 3 protruding inwardly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embed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 protrusions are provided. The roller crawler belt (1) having a pair of rubber transmission parts (5, 5)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rawler belt and the rubber transmission parts (5, 5)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3, 3). In the crawler traveling device provided with the front wheels 20, the front wheels 20 are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ss 21, the central flange 24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ss 21, and both ends of the boss 21. In addition to the annular tires 25 and 25 of the mounted elastic material, a predetermined gap a1 between the widthwise side surface of the center flange 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s 3 and 3 is provided. It was mad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clearance b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2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s 3 and 3.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크롤러 주행 장치가 적용되는 작업 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work vehicle to which the crawler trave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의 가이드체의 부착도.4 is an attached view of the guide body in FIGS. 1 to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Fig. 5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Fig. 6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크롤러 주행 장치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rawler travel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고무 크롤러 벨트1: rubber crawler belt
2 : 본체2: body
3, 3A : 가이드 돌기3, 3A: guide protrusion
4 : 맨드릴4: mandrel
5 : 고무 전동부5: rubber transmission part
10 : 크롤러 프레임10: crawler frame
11 : 가이드체11: guide body
12 : 샤프트12: shaft
20, 20A : 전륜20, 20A: front wheel
21, 21A : 보스21, 21A: Boss
22 : 베어링22: bearing
23 : 스러스트 플레이트23: thrust plate
24 : 중앙 플랜지24: center flange
25, 25A : 타이어25, 25A: tire
26 : 림26: Rim
본 발명은 크롤러(crawler) 덤프나 유압 셔블(shovel) 등의 무한 궤도 장착식 차량에 이용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륜(轉輪), 고무 크롤러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 승차감을 좋게 하고, 또한 주행 소음을 작게 할 목적으로, 고무 크롤러 벨트를 사용한 고무 크롤러 주행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무 크롤러 주행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32)내에 중앙부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33, 33)를 구비하는 맨드릴(34)을 크롤러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또한 크롤러 벨트의 폭방향의 중앙에 가이드 돌기(33, 33)를 크롤러 벨트의 내주측을 향해 매설하는 동시에, 가이드 돌기(33, 33)의 폭방향 바깥쪽 부근에 한 쌍의 평탄한 고무 전동부(35, 35)를 형성한 고무 크롤러 벨트(3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 장치 본체의 크롤러 프레임(3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철제(鐵製)의 전동부(39, 39)를 구비하는 전륜(38)이 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31)의 고무 전동부(35, 35)에서 전동하여 주행하도록 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rubber crawler traveling apparatus using the rubber crawler belt is employ | adop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iding comfort and reducing running noise. As shown in FIG. 7, the conventional rubber crawler traveling device includes a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무 크롤러 주행 장치에서는, 전륜(38)의 전동부(39)가 전동하는 고무 크롤러 벨트(31)의 고무 전동부(35)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대형이 되면, 전동부(35)에 과대한 압축 하중이 걸려 전동부(35)의 고무가 파괴되거나 박리된다. 이 때문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내구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크롤러 덤프 등에 있어서는, 적재 하중이 커지면, 고무의 압축 변형이 커져 조기에 고무의 파괴, 접착면의 박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전동부(35)의 고무를 두껍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 방법은 고무 크롤러 벨트(31) 전체의 중량을 무겁게 하고, 따라서 주행 저항을 증대시켜 버리는 결과가 되어 주행 효율이 저하된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rubber crawler travel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전륜(38)측의 표면을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 해결 수단의 하나로서,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평2-26985호에 개시된 크롤러 주행 장치가 있다. 동 공보에는 고무 크 롤러 벨트(상기 고무 크롤러 벨트)를 가이드하는 외측 전륜이 보스측의 전륜 본체부와, 탄성재로서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륜 본체부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쿠션부와, 그 쿠션부보다 내마모성이 큰 재질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부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벨트 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륜 본체부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전륜 이탈 방지용 돌기[상기 가이드 돌기(33)에 대응함]의 옆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옆으로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는 접촉부가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크롤러 주행 장치에는 단면 형상이 T 자형인 이탈 방지용 안내체가 상기 돌기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가설되어 있어, 전륜 본체부로부터 크롤러 벨트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s a mean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effective to form the surface on the
한편, 전륜측을 탄성체로 형성함으로써, 크롤러 벨트가 비틀리거나 하여 스러스트(thrust) 방향의 외력을 받았을 때에 전륜측의 탄성체가 변형되어 크롤러 벨트가 전륜으로부터 벗겨져 버릴 가능성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크롤러 벨트 이탈을 방지하는 선행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소62-16571호에 따르면, 내외측 및 중앙에 배치한 가로 3열의 롤러부[각각 상기 전동부(39, 39) 및 본 발명의 중앙 플랜지(24)에 대응함]로 이루어지는 최전후단 위치 설정용 하부 전동륜과, 내외측에 가로 2열로 배치한 롤러부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중간 위치 설정용 하부 전동륜을 전후 2개씩 지지 브래킷의 전후부에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각 브래킷의 상단 위치를 전후단에 구동륜과 유동륜(遊動輪)을 연결한 주행 프레임의 아래쪽에 상하 요동할 수 있도록 피봇 지지하고, 또한, 모든 하부 전동륜의 내외측 롤러부 사이에는 구동륜과 유동륜 사이에 현가한 크롤러 벨트 내측의 2갈래의 결합(係合) 돌조[상기 가이드 돌기(3, 3)에 대응함]가 끼워 맞추어져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전동륜 부착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wheel side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when the crawler belt is twisted or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thrust direction, the elastic body on the front wheel side is deformed to cause the crawler belt to come off from the front wheel. As a prior art for preventing such a crawler belt detachment, for example, according to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62-16571, there are three horizontal rows of roller portions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portions 39 and 39 and the bones disposed in the inner and outer sides and the cent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또한, 크롤러 벨트 이탈을 방지하는 다른 선행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평6-12277호에 따르면, 구동륜과 유동륜에 크롤러 벨트를 감아걸고, 노면에 접촉하는 주행부에 하부 전륜을 전동 접촉시키고, 복귀 주행측의 내측에 상부 전륜을 전동 접촉시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주행 장치에 있어서, 상부 전륜, 하부 전륜의 축방향 중간부에 크롤러 벨트의 링크부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플랜지를 마련한 크롤러 벨트 주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Further, as another prior art for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crawler belt, for example, according to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12277, a crawler belt is wound around the driving wheel and the flow wheel, and the lower front wheel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a runn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road surface. In the crawler belt traveling apparatus which makes an upper front wheel electrically contact with the inside of a return traveling side, the crawler belt provided with the coupling flange which axially coupl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k part of a crawler belt in the axial middle part of an upper front wheel and a lower front wheel. A traveling device is described.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모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all of the above prior art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평2-26985호,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소62-16571호 및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평6-12277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모두 크롤러 벨트의 중앙부에 마련한 한 쌍의 돌기 사이에 각각 안내체, 중앙의 롤러부 및 결합 플랜지를 결합시켜 크롤러 벨트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돌기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전륜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대해서는 방지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고무 전륜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무 전륜의 내측면이 돌기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고무 전륜의 마모나 파손이 발생하고, 전륜의 내구성이 보증되지 않아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된다.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2-26985,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2-16571 and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12277, all of the pair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rawler belt Although the guide body, the roller part in the center, and the engaging flange are engaged between the projections to prevent the crawler belt from being separated, th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heel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not prevented. As a result, when the rubber front wheel is used,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front wheel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on, causing wear or damage of the rubber front wheel, and durability of the front wheel is not guaranteed, resulting in increased maintenance costs.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승차감의 향상 및 주행 소음의 저하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 및 전륜 타이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요철 노면에서도 고무 크롤러 벨트가 옆으로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which enables to improve ride comfort and to reduce running noise,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transmission part and front wheel tire part of the rubber crawler belt, and at the same time, the rubber crawler belt is next to the uneven road surf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wler traveling device that can prevent slipping or slipping of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내에 크롤러 벨트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맨드릴을 크롤러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매설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의 폭방향 바깥쪽에, 또한 크롤러 벨트 내주면에 좌우 한 쌍의 고무 전동부를 형성한 고무 크롤러 벨트와, 차체 하부에 장착된 크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고무 크롤러 벨트의 좌우 한 쌍의 고무 전동부에서 전동하는 전륜을 구비한 작업 차량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전륜은 보스와, 보스의 폭방향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원반형의 중앙 플랜지와, 중앙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보스의 폭방향 양단부의 외주부에 각각 장착된 탄성재의 환형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타이어를 구비하는 동시에, 전륜의 중앙 플랜지의 외주부의 폭방향 측면과 고무 크롤러 벨트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의 내측면 사이에 갖는 소정의 간극(a1)을 전륜의 좌우 한 쌍의 타이어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 사이에 갖는 소정의 간극(b)보다 작게(a1<b) 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로부터의 스러스 트 방향의 힘을 전륜의 중앙부의 중앙 플랜지에 의해 받고, 상하 하중을 전륜의 좌우 양단부의 타이어 및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에 의해 받는다. 따라서, 탄성체의 타이어에 의해 승차감 및 주행 소음 저감성이 고무 크롤러 벨트만의 경우보다 더욱 향상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의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더욱이, 전륜측의 전동하는 외주부를 타이어로 함으로써, 고무 크롤러 벨트의 탄성체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크롤러 주행 장치 전체의 중량이 경감되므로 주행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또한, a1<b로 설정함으로써, 먼저 가이드 돌기가 중앙 플랜지에 맞닿기 때문에 중앙 플랜지가 스러스트 하중을 받고 타이어에는 가해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타이어가 마모 및 파손되는 정도가 현격히 저감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by setting a1 <b, the guide protrusion abuts the center flange first, so that the center flange is subjected to thrust load and is not applied to the tire. Therefore, the degree of wear and damage of the tir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ire durability. do.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은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내에 크롤러 벨트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갖는 맨드릴을 크롤러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매설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의 폭방향 바깥쪽에, 또한 크롤러 벨트 내주면에 좌우 한 쌍의 고무 전동부를 형성한 고무 크롤러 벨트와, 차체 하부에 장착된 크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고무 크롤러 벨트의 좌우 한 쌍의 고무 전동부에서 전동하는 전륜을 구비한 작업 차량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프레임에 소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고무 크롤러 벨트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사이를 통과하는 가이드체가 부착되고, 전륜은 보스와, 보스의 폭방향 양단부의 외주부에 각각 장착된 탄성재의 환형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타이어를 구비하는 동시에, 가이드체의 크롤러 벨트 폭방향의 측면과 고무 크롤러 벨트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의 내측면 사이에 갖는 소정의 간극(a2)을 전륜의 좌우 한 쌍의 타이어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 사이에 갖는 소정의 간극(b)보다 작게(a2<b) 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로부터의 스러스트 방향의 힘을 크롤러 프레임에 마련한 가이드체에 의해 받고, 상하 하중을 전륜의 좌우 양단부의 타이어 및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에 의해 받는다. 따라서, 탄성체의 타이어에 의해 승차감 및 주행 소음 저감성이 고무 크롤러 벨트만의 경우보다 더욱 향상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의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더욱이, 전륜측의 전동하는 외주부를 타이어로 함으로써, 고무 크롤러 벨트의 탄성체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크롤러 주행 장치 전체의 중량이 경감되므로 주행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또한, a2<b로 설정함으로써, 먼저 가이드 돌기가 중앙 플랜지에 맞닿기 때문에 중앙 플랜지가 스러스트 하중을 받고 타이어에는 가해지지 않게 되어, 타이어가 마모 및 파손되는 정도가 현격히 저감되어 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Further, by setting a2 <b, the guide protrusion abuts the center flange first, so that the center flange is subjected to thrust load and is not applied to the tire, and the degree of wear and damage of the tir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를 착탈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마모 또는 손상 등으로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 타이어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륜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타이어의 내측면을 전륜의 회전 축심에 거의 수직인 구성으로 한 것이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에서 전동하는 타이어의 접촉면이 마모되어도 타이어의 내측면과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의 간극(b)은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새타이어일 때에는 설정되어 있던 간극(b) 및 전륜의 중앙 플랜지 또는 크롤러 프레임의 가이드체의 외측면과 가이드 돌기의 내측면의 간극(a1, a2)의 관계(a1<b, 또는 a2<b)가 시간이 경과하여도 유지되기 때문에, 타이어는 손상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완충 작용 및 소음 방지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타이어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을 거의 연직(鉛直)인 구성으로 한 것이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에서 전동하는 타이어의 접촉면이 마모되어도 타이어의 내측면과 가이드 돌기의 외측면의 간극(b)은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새타이어일 때에 설정되어 있었던 간극(b) 및 전륜의 중앙 플랜지 또는 크롤러 프레임의 가이드체의 외측면과 가이드 돌기의 내측면의 간극(a1, a2)의 관계(a1<b 또는 a2<b)가 시간이 경과하여도 유지되기 때문에, 타이어는 손상되지 않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완충 작용 및 소음 방지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recited in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embodiment of the crawler trave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우선,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가 적용되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크롤러식 덤프 트럭을 도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크롤러식 덤프 트럭은 트럭 프레임(55)의 좌우에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50, 50)를 구비하고 있고, 트럭 프레임(55)의 상부에 선회 장치(56)를 매개로 상부 선회체(57)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57)의 앞부분에는 운전실(58)이 마련되고, 뒷부분에는 후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짐받이(59)가 마련되어 있다.First, a crawler type dump truck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work vehicle to which the crawler travel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FIG. In the figure, the crawler type dump truck is provided with a pair of crawler
크롤러식 주행 장치(50)는 길이방향(차량의 전후방향)으로 크롤러 프레임(10)을 구비하며, 크롤러 프레임(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스프로킷(52) 및 아이들러(53; idler)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크롤러 프레임(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전륜(20)(제1 실시 형태) 또는 전륜(20A)(제2 실시 형태)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킷(52), 아이들러(53) 및 전륜(20, 20A)의 외주부에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바깥으로 감겨져 있다. 또, 크롤러식 주행 장치(50)의 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고, 작업 차량에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예컨대 좌우 복수쌍을 구비하여도 좋다.The crawler-
이어서, 도 2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Next, based on FIG. 2, 1st Embodiment of the crawler traveling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2에 있어서, 전륜(20)의 샤프트(12)는 좌우의 브래킷(13, 13)을 매개로 볼트(14)에 의해 상기 크롤러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21)는 샤프트(12)에 끼워 넣어져 있고, 좌우의 베어링(22, 2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21)의 좌우 단부면은 스러스트 플레이트(23, 23)를 매개로 활주 가능하게 브래킷(13, 13)의 내측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보스부(21)의 좌우 단부와 브래킷(13, 13) 사이에는 플로팅 시일(15, 15; floating seal)이 마련되어 있어 축부의 윤활유를 밀봉하고 있다.In FIG. 2, the
보스부(21)의 외주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거의 원반형이고, 또한 외주부 단면이 폭방향 양측에 소정의 매끄러운 면을 갖는 중앙 플랜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플랜지(24)의 상기 소정의 매끄러운 면은 후술하는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과 접촉시키기 위한 면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의 경사와 거의 같은 경사를 갖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21) 외주부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림(26, 26)의 외주부에 베이킹(baking) 등에 의해 각각 고착된 한 쌍의 타이어(25, 25)가 끼워 넣어져 있고, 그 림(26, 26)의 삽입측 단부는 각각 클램퍼(27, 27)를 매개로 볼트(28, 28)에 의해 보스부(21)에 고정되어 있다. 클램퍼(27, 27)의 부착 및 분리에 의해 타이어(25, 25)는 림(26, 26)과 일체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한편, 고무 크롤러 벨트(1)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2)내에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크롤러 벨트의 안쪽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3, 3)를 구비하는 맨드릴(4)이 크롤러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돌기(3, 3)의 폭방향 바깥쪽 부근에, 또한 크롤러 벨트 본체(2)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고무 전동부(5, 5)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전륜(20)의 상기 중앙 플랜지(24)가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돌기(3, 3)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바깥으로 감겨져 장착되고, 고무 전동부(5, 5)에서 전륜(20)의 한 쌍의 타이어(25, 25)가 각각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Then, the rubber crawler belt (1) is wound around and mounted so that the center flange (24) of the front wheel (20) i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guide protrusions (3, 3), and the rubber transmission parts (5, 5) are mounted. The pair of
여기서, 중앙 플랜지(24)의 좌우 측면은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에 소정의 간극(a1)을 가지며 대향하고 있고, 또한, 타이어(25, 25)의 내측면은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극(b)을 가지며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간극 a1<간극 b」가 되도록 각각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Here,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이러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1)로부터의 스러스트 방향의 힘은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이 전륜(20)의 중앙 플랜지(24)에 맞닿음으로써, 중앙 플랜지(24)에 의해 받고, 상하 하중은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와 전륜(20)의 좌우 타이어(25, 25)에 의해 받는다. 따라서, 탄성체의 타이어(25, 25)에 의해, 고무 크롤러 벨트(1)만의 경우보다 승차감이 더욱 향상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에 걸리는 상하 하중이 경감되므로, 고무 전동부(5, 5)의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first embodiment, the force in the thrust direction from the
또한, 중앙 플랜지(24)가 철제이기 때문에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비틀려도 금속제의 가이드 돌기(3, 3)는 중앙 플랜지(24)로부터 소정의 반력(反力)을 받기 때문에, 양 가이드 돌기(3, 3) 사이에서 중앙 플랜지(24)가 벗어나지 않고, 따라서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벗겨지지 않는다.Further, since the
또한,「간극 a1<간극 b」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25)의 내측면보다도 먼저 중앙 플랜지(24)의 측면이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에 맞닿아 타이어(25)의 내측면이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에 맞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타이어(25, 25)에는 스러스트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타이어(25, 25)의 내구성 또한 향상된다.Moreover, since it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gap a1 <gap b", the side surface of the
게다가, 타이어(25, 25)는 클램퍼(27, 27)에 의해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어(25, 25)가 마모되거나 또는 손상되었을 때,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전륜(20)의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3에 의해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있어서, 전륜(20A)의 샤프트(12)는 좌우의 브래킷(13, 13)을 매개로 볼트(14)에 의해 크롤러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다. 보스부(21A)는 샤프트(12)에 끼워 넣어져 있고, 좌우의 베어링(22, 2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1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21A)의 좌우 단부면은 스러스트 플레이트(23, 23)를 매개로 활주 가능하게 브래킷(13, 13)의 내측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보스부(21A)의 좌우 단부와 브래킷(13, 13) 사이에는 플로팅 시일(15, 15)이 마련되어 있어 축부의 윤활유를 밀봉하고 있다.In FIG. 3, the
또한, 보스부(21A)의 외주부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림(26, 26)의 외주부에 베이킹 등에 의해 각각 고착된 한 쌍의 타이어(25, 25)가 끼워 넣어져 있고, 그 림(26, 26)의 삽입측 단부는 각각 클램퍼(27, 27)를 매개로 볼트(28, 28)에 의해 보스부(21A)에 고정되어 있다. 클램퍼(27, 27)의 부착 및 분리에 의해 타이어(25, 25)는 림(26, 26)과 일체로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Further, a pair of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인 가이드체(11)가 그 길이방향을 향해 좌우의 측면이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크롤러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한편, 고무 크롤러 벨트(1)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크롤러 벨트 본체(2)내에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크롤러 벨트의 안쪽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폭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3, 3)를 구비하는 맨드릴(4)이 크롤러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돌기(3, 3)의 폭방향 바깥쪽 부근에, 또한 크롤러 벨트 본체(2)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고무 전동부(5, 5)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고무 전동부(5, 5)에서 전륜(20A)의 한 쌍의 타이어(25, 25)가 각각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여기서, 가이드체(11)의 좌우 측면은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에 소정의 간극(a2)을 가지며 대향하고 있고, 또한, 타이어(25, 25)의 내측면은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극(b)을 가지며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간극 a2<간극 b」가 되도록 각각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Here,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1)로부터의 스러스트 방향의 힘은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이 크롤러 프레임(10)에 마련한 가이드체(11)의 외측면에 맞닿음으로써 가이드체(11)에 의해 받고, 상하 하중은 고 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와 전륜(20A)의 좌우 타이어(25, 25)에 의해 받는다. 따라서, 탄성체의 타이어(25, 25)에 의해 고무 크롤러 벨트(1)만의 경우보다 승차감이 더욱 향상되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에 걸리는 상하 하중이 경감되므로 고무 전동부(5, 5)의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second embodiment, the force in the thrust direction from the
또한, 가이드체(11)가 철제이기 때문에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비틀려도 금속제의 가이드 돌기(3, 3)는 가이드체(11)로부터 소정의 반력을 받기 때문에, 양 가이드 돌기(3, 3) 사이에서 가이드체(11)가 벗어나지 않고, 따라서 고무 크롤러 벨트(1)가 벗겨지지 않는다.Since the
또한,「간극 a2<간극 b」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25)의 내측면보다도 먼저 가이드체(11)의 측면이 가이드 돌기(3, 3)의 내측면에 맞닿아 타이어(25)의 내측면이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에 맞닿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그 결과, 타이어(25, 25)에는 스러스트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타이어(25, 25)의 내구성 또한 향상된다.Moreover, since it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gap a2 <gap b", the side surface of the
게다가, 타이어(25, 25)는 클램퍼(27, 27)에 의해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타이어(25, 25)가 마모되거나 또는 손상되었을 때,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전륜(20A)의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5는 타이어와 가이드 돌기 부근의 상세도이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detail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tire and the guide protrusion. In addition, in the sam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previous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어(25, 25)의 형상을 바꾼 것이다. 즉, 전륜(20) 또는 전륜(20A)의 폭방향 양단부에 삽입되는 타이어(25A, 25A)의 내측면이 샤프트(12)의 축심(12a)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다. 이 밖의 구성은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This embodiment changes the shape of the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의 전동면과 타이어(25A, 25A)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이기 때문에, 고무 전동부(5, 5)에서 전동하는 타이어(25A, 25A)의 접촉면이 마모되어도 타이어(25A, 25A)의 내측면과 가이드 돌기(3, 3)의 외측면의 간극(b)은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25A, 25A)는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완충, 소음 저감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ird embodiment, since the rolling surfaces of the
그 밖의 효과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effec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타이어와 가이드 돌기 부근의 상세도이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여기서의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a crawler tra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detail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tire and the guide protru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same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previous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here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가이드 돌기(3, 3)의 형상을 바꾼 것이다. 즉, 가이드 돌기(3A, 3A)의 외측면은 샤프트(12)의 축심(12a)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다. 이 밖의 구성은 제1,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This embodiment changes the shape of the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무 크롤러 벨트(1)의 고무 전동부(5, 5)의 전동면과 가이드 돌기(3A, 3A)의 외측면이 수직이기 때문에, 고무 전동부(5, 5)에서 전동하는 타이어(25, 25)의 접촉면이 마모되어도 타이어(25, 25)의 내측면과 가이드 돌기(3A, 3A)의 외측면의 간극(b)은 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25, 25)는 손상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완충, 소음 저감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밖의 효과는 제1,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is fourth embodiment, since the rolling surfaces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고무 크롤러 벨트의 고무 전동부 및 전륜 타이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요철 노면에서도 크롤러 벨트가 옆으로 어긋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de comfort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ubber transmission part of the rubber crawler belt and the front wheel tire part, and also prevent the crawler belt from shifting sideways or coming off from the uneven road surface.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10343639A JP2000142502A (en) | 1998-11-18 | 1998-11-18 | Crawler traveling device |
| JP98-343639 | 1998-11-18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35519A KR20000035519A (en) | 2000-06-26 |
| KR100558101B1 true KR100558101B1 (en) | 2006-03-10 |
Family
ID=183630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50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101B1 (en) | 1998-11-18 | 1999-11-17 | Crawl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2000142502A (en) |
| KR (1) | KR1005581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525527B (en) * | 2019-08-01 | 2024-03-01 |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 Triangular crawler wheel and gear tooth guiding and limiting device |
-
1998
- 1998-11-18 JP JP10343639A patent/JP2000142502A/en active Pending
-
1999
- 1999-11-17 KR KR1019990050991A patent/KR1005581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00035519A (en) | 2000-06-26 |
| JP2000142502A (en) | 2000-05-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564119B1 (en) | Endless track for high speed multi-terrain vehicles | |
| US6012784A (en) | Impact reducing idler wheel for a track-driven machine | |
| US5829849A (en) | Undercarriage assembly for attack-type machine | |
| US6299264B1 (en) | Heat shielded mid-roller | |
| WO2007119719A1 (en) | Crawler belt | |
| EP0679131B1 (en) | Track roller assembly having a replaceable flange | |
| US20020047306A1 (en) | Crawler belt type traveling system | |
| US3439959A (en) | Endless steel track construction | |
| KR100584469B1 (en) | Undercarriage with tireless rubber crawlers using chain drive | |
| EP0614430A4 (en) | Track laying vehicles. | |
| US5785395A (en) | Cushioned roller for a belted undercarriage | |
| JP4776080B2 (en) | Elastic crawler | |
| WO2018111496A1 (en) | Bushing for track assembly | |
| KR100558101B1 (en) | Crawler equipment for construction machine | |
| CN217100236U (en) | Crawler travel mechanism, chassis and operating machine | |
| JP3550561B2 (en) | Crawler type traveling device | |
| JP4297332B2 (en) | Crawler track | |
| CA2395757C (en) | Split wheel and method for installing endless track | |
| JP4761642B2 (en) | Crawler travel device | |
| JP4136002B2 (en) | Rubber crawler | |
| JP2002225758A (en) | Crawler belt | |
| JP2000302069A (en) | Crawler running device | |
| JP2594184Y2 (en) | Segment type rubber track | |
| JPS6313989Y2 (en) | ||
| JPH0399988A (en) | Lower roller made of rubber for craw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3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