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58410B1 -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10B1
KR100558410B1 KR1020030081506A KR20030081506A KR100558410B1 KR 100558410 B1 KR100558410 B1 KR 100558410B1 KR 1020030081506 A KR1020030081506 A KR 1020030081506A KR 20030081506 A KR20030081506 A KR 20030081506A KR 100558410 B1 KR100558410 B1 KR 10055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aft
enclosure
coupled
guide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727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4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저면 후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0)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트(300)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410)결합되는 상부 샤프트(400)와,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내 외부로 상부가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500)와, 상기 하부 샤프트(500)의 하단부가 일 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외측 상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00)에 출입되는 걸림돌기(110)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10)가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된 상태에 따라 하부 샤프트(500)를 상부 샤프트(400)의 내외부로 출입시키는 리턴스프링(600)으로 구성하여,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100)를 출입시키는 경우, 상기 함체(100) 상부 샤프트(400)가 결합되어 있는 힌지(410)에 의해 시트의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인출 되므로써, 상기 함체(100)의 내부에 길이가 비교적 긴 물품을 적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함체(100)를 시트의 내외부로 출입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함체(100)가 좌우 및 전후로 유동되지 않아 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Seat under tray of a car }
도 1은 종래 시트 언더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C - C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시트 언더트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시트 언더트레이가 가이드레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시트 언더트레이가 시트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함체 110 : 걸림돌기
200 : 가이드레일 210 : 가이드부
300 : 힌지브라켓트 400 : 상부 샤프트
410 : 힌지 500 : 하부 샤프트
600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가 시트의 전면 하부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함체가 시트의 하부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운전자나 탑승객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Glove Box)나 콘솔박스(Console Box)가 설치되는데, 상기의 글로브 박스의 크기는 차의 검증, 정비수첩, 취급 설명서 등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카세트테이프의 수납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인스트루먼트패널 본체에 설치된 박스와 리드로 되어 있는 리드타입, 또 박스 전체가 개폐되는 버켓타입이 있다.
또 리드를 열었을 때 승차원에 대한 무릎치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댐퍼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있으며, 박스 및 리드는 수지 성형품(폴리 프로필렌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콘솔박스는 플로어패널의 터널부에 설치된 시프트레버 또는 패킹브레이크레버의 일부만을 덮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대형인 것으로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일부를 구성하여 스위치, 라디오, 스테레오, 히터 콘트롤, 소형물 수납주머니 등을 배치하고 뒤쪽에는 아암 레스트로 사용할 수 있는 뚜껑이 있는 박스부를 갖추고 있 는 것까지도 있다.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콘솔박스는 운행도중 차가 잠시 멈추었을 때 운전자가 자신의 오른팔을 콘솔박스의 덮개에 올려놓고 잠시 휴식을 취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글로브 박스나 콘솔 박스 내에는 잡다한 물건 즉, 카세트테이프나 장갑 담배 등을 보관하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는 탑승객의 소지품(예를 들면:악세사리류, 동전지갑, 선글라스 등)을 승차하고 있는 동안이나, 차량을 잠시 떠날 때에 글로브 박스나 콘솔박스에 넣어 보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곳의 지리를 잘 모르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차내에는 지도책을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의 지도책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콘솔이나 글로브 박스 속에는 보관하기가 어려워 주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의 등받이 후면에 포켓(이하 맵 포켓이라 칭함)을 설치하여 상기 맵 포켓 속에 지도책은 물론 기타 서적 및 필요에 따라 서류 등을 수납하여 필요시 신속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차음, 흡음, 차밖으로 부터의 먼지, 물의 침입방지, 차량 충돌 시 인체의 보호는 물론, 실내장식으로 사용되기 위해 도어의 내측 패널에 설치되는 도어트림에도 포켓을 설치하여 간단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내에는 승차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글로 박스나 콘솔박스 및 맵 포켓 도어 포켓 등과 같은 수납공간이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휴대중인 물품을 보관토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 은 수납공간만으로는 만족치 못하고 최근에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시트의 하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시트 언더트레이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트의 저면 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서포트 브라켓트(200')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트(200')의 저면 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10')가 상부좌우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전면에는 언더트레이(120')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시트의 저면 프레임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는 서포트 브라켓트(200')의 저면 좌우 양측에 각각의 가이드레일(300')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00')에는 전면에 언더트레이(120')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의 가이드부(110')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소지하고 있는 물품을 함체(100')에 보관시에는 언더트레이(1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트의 전면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부(11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시트의 저면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함체(100')의 내부에 물건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언더트레이(120')를 시트의 후면 방향으로 밀면, 상기 함체(100')의 가이드부(11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시트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시트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관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의 전부에 위치하는 함체(100')의 가이드부(110')의 전부가 가이드레일(300')의 상 하부면과 가이드부(110')의 상 하부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0')의 중앙부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의 상부면에 가이드부(110')의 상부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0')의 후부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의 하부면에 가이드부(110')의 하부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함체(100')를 인출시키는 경우, 가이드레일(300')과 가이드부(110') 간에 유격이 발생하여 이음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함체(100')를 과도한 힘으로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300')로부터 가이드부(110')가 이탈되어 차량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함체(100')의 가이드부(110')를 다시 가이드레일(300')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에 가이드부(110')를 재 결합시, 과도한 힘으로 억지로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10') 및 가이드레일(300')이 변형 및 파손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함체(100')를 시트의 하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함체(100')의 후단부가 시트에 가리어지는 관계로, 비교적 길이가 긴 적재물을 함체(100')에 적재 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를 출입시키는 경우에 도, 상기 함체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함체가 시트의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길이가 비교적 긴 물품을 적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저면 후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0)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트(300)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410)결합되는 상부 샤프트(400)와,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내외부로 상부가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500)와, 상기 하부 샤프트(500)의 하단부가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외측 상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00)에 출입되는 걸림돌기(110)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10)가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된 상태에 따라 하부 샤프트(500)를 상부 샤프트(400)의 내외부로 출입시키는 리턴스프링(6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함체(100)가 시트의 저면에 위치시에는 걸림돌기(110)가 리턴스프링(600)의 인장력에 의해 가이드레일(2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함체(100)를 사용시에는 상부 샤프트(400)와 하부 샤프트(500)가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 샤프트(50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함체(100)가 회전 운동되면서 시트의 하부 외측 으로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100)를 출입시키는 경우에도 함체(100)가 좌우로 유동되면서 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함체가 시트의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인출되는 것에 의해, 함체의 내부에 길이가 비교적 긴 물품을 적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를 보인 측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가 작동되기 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가 작동되어 함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도 5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트(미도시)의 저면 후부 좌우 양측에 가이드레일(20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0)에는 함체(100)의 외측 상부 좌우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인입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110)가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되어 있는 함체(10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부가 상부 샤프트(400)에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 샤프트(500)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상단부는 힌지브라켓트(300)에 의해 힌지(410)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 샤프트(500)와 상부 샤프트(400)의 내부에는 리턴스프링(600)의 일측 단부와 타측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내외부로 출입이 이루어진 하부 샤프트(500)를 리턴스프링(60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원상복귀시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는 함체의 걸림돌기가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 5의 측단면도와 가이드레일(200)로 부터 함체의 걸림돌기(110)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 6의 측단면도 및 함체가 시트의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도 7의 측 단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함체(100)를 미 사용시에는, 상기 함체(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시트의 저면 좌우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200)에 걸림돌기(110)가 인입되어 있는 함체(100)의 내부에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소지하고 있는 물품 등을 보관하기 위해 시트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함체(100)에 형성된 언더트레이(1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트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함체(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하부 샤프트(500)가 상부 샤프트(4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가이드레일(200)로 부터 함체(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인출되고, 상기 걸림돌기(110)가 인출된 함체(100)는 자기 중량에 의해 상부 샤프트(400)의 힌지(410)를 중심으로 시트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시트의 외부로 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함체(100)의 내부에 물품을 적재한 후, 함체(100)에 형성된 언더트레이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트의 후방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함체(100)가 상부 샤프트(400)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시트의 저면에 위치된 후 가이드레일(200)에 인입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00) 전면 하부에는 함체(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210)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을 밝혀 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함체(100)를 출입시키는 경우, 상기 함체(100) 상부 샤프트(400)가 결합되어 있는 힌지(410)에 의해 시트의 전방 하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인출됨으로써, 상기 함체(100)의 내부에 길이가 비교적 긴 물품을 적재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함체(100)를 시트의 내외부로 출입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함체(100)가 좌우 및 전후로 유동되지 않아 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시트의 저면 후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0)과, 상기 시트의 저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트(300)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410)결합되는 상부 샤프트(400)와,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내 외부로 상부가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샤프트(500)와, 상기 하부 샤프트(500)의 하단부가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외측 상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00)에 출입되는 걸림돌기(110)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걸림돌기(110)가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된 상태에 따라 하부 샤프트(500)를 상부 샤프트(400)의 내 외부로 출입시키는 리턴스프링(6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10)가 가이드레일(200)에 인입되어 있는 함체(10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상부가 상부 샤프트(400)에 인입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하부 샤프트(500)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400)의 상단부는 힌지브라켓트(300)에 의해 힌지(410) 결합되어 일측 및 타측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샤프트(500)와 상부 샤프트(400)의 내부에는 리턴스프링(6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0) 전면 하부에는 함체(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10)가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210)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KR1020030081506A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06A KR100558410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06A KR100558410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27A KR20050047727A (ko) 2005-05-23
KR100558410B1 true KR100558410B1 (ko) 2006-03-10

Family

ID=3724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410B1 (ko) 2003-11-18 2003-11-18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17A (ko) 2019-12-27 2021-07-07 광명산업(주) 커버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언더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817A (ko) 2019-12-27 2021-07-07 광명산업(주) 커버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언더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27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463A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hidden storage compartment
WO1999003703A1 (en) Stowable seat cushion
KR20180096109A (ko) 차량용 센터콘솔 암레스트
JP2009528219A (ja) 自動車用トランク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自動車
KR100558410B1 (ko) 자동차용 시트 언더트레이
JP200025532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H10264730A (ja) 車両用収納装置
JPH09267662A (ja) 車両用ダッシュボード
JP4264732B2 (ja) フロアコンソール
JP4429005B2 (ja) 蓋装置及び収納装置
JPH06107073A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323066B1 (ko) 자동차의시트언더트레이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JP4332827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H1178701A (ja) 自動車用収納装置
JPH11157391A (ja) 可動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6142948A (ja) 自動車のトノボード装置
US11618358B2 (en) Retractable cover assemblies that removably cover gaps between vehicle seats and center consoles
JP2019043468A (ja) 車載用収納装置
JPH086621Y2 (ja) ベッドスペースの収納装置
KR20070035826A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H0649230Y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装置
JP3097417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4500664B2 (ja) 自動車用支持装置
KR100428387B1 (ko) 자동차의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3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