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691B1 -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8691B1 KR100558691B1 KR1020040056646A KR20040056646A KR100558691B1 KR 100558691 B1 KR100558691 B1 KR 100558691B1 KR 1020040056646 A KR1020040056646 A KR 1020040056646A KR 20040056646 A KR20040056646 A KR 20040056646A KR 100558691 B1 KR100558691 B1 KR 100558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holding
- groove
- numerical control
- machine to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2003/15586—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tools in turr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릿에 결합되는 장착대와 홀딩부재,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중앙에 축공(122a)이 천공된 원형 오목홈(122)을 구비하는 결합부(120)와, 상기 원형 오목홈(122)에 끼워져 축볼트(130)에 의해 한쌍의 홀딩판(112)이 각각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원형 삽입부(111)와 가공소재 홀딩홈(112a)을 구비하는 홀딩부재(110)와, 상기 홀딩부재(110)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공소재 홀딩홈(112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40)로 구성되어진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공소재의 직각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하여 터릿의 회전반경과 작업범위를 최대화하여 가공소재의 가공효율 및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chining material holding device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having a mounting table, a holding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a turret, formed on one end of the mounting plate 121 and the shaft hole 122a is drilled in the center thereof. Circular insertion portion 120 having a circular concave groove 122, and a circular insertion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concave groove 122 so that the pair of holding plates 112 are rotatably coupled by the axial bolt 130, respectively. Holding member 110 having a portion 111 and the workpiece holding groove (112a), and the elastic member 14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piece holding groove (112a) to give elasticity to the holding member 110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onsisting of a),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amp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workpiece to maximize the rotation radius and working range of the turret to improve the processing efficiency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workpiece To maximize Has the advantage.
또한 가공소재의 직경 및 규격에 관계없이 손쉽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처럼 작업자가 가공소재의 직경에 따라서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lamp regardless of the diameter and size of the workpiece,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hat the operator must manually adjus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orkpiece, like the conventional workpiece control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having an effect that can be.
수치제어 공작기계, CNC, NC, 터릿, 선반, 홀딩장치, 가공소재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NC, NC, turret, lathe, holding device, processing material
Description
도 1 -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1-Reference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workpiece control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도 2 -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Figure 2-side view of the use state of a conventional workpiece control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도 3 -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분리사시도.Figure 3-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사시도.4-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도 4의 A-A선 단면도.5-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홀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Figure 6-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홀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7-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ld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8-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Figure 9-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10-reference state of use of the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사용상태 측면 도.11 is a side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workpiece holding apparatus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1: Processing material holding device for conventional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100: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이하 홀딩장치라 한다)100: the invention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lding device)
110: 홀딩부재 111: 원형 삽입부110: holding member 111: circular insertion portion
111a: 걸림턱 112: 홀딩판111a: engaging jaw 112: holding plate
112a: 가공소재 홀딩홈 112b: 홀딩블럭112a:
112c: 가공소재 삽입홈 112d: 체결구112c:
112: 가공소재 삽입홈 113: 결합공112: workpiece insertion groove 113: coupling hole
114: 걸림돌기 삽입홈114: locking projection groove
120: 장착대 121: 결합부120: mounting base 121: coupling portion
122: 오목홈 122a: 축공122: recessed
123: 걸림돌기123: jamming
130: 축볼트 131: 체결구130: shaft bolt 131: fastener
140: 탄성(彈性)부재 140a: 압축스프링140:
140b: 댐퍼(Damper)140b: Damper
130: 축 131: 체결구130: shaft 131: fastener
A: 가공소재 B: 척(Chuck)A: Workpiece B: Chuck
C: 터릿(Turret)C: Turret
본 발명은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릿의 이동반경을 넓혀 가공소재의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to widen the moving radius of the turret to increase the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workpiece.
일반적으로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컴퓨터에 입력된 수치를 통해서 조작(NC,Numerical Control /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하는 방식으로 가공소재(가공물)를 신속하고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소재(A)를 척(B)에 고정하고, 상기 가공소재를 드릴, 바이트, 리머 등과 같은 공구가 장착된 터릿(C)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are designed to enable fast and precise machining of processed materials (workpieces) by operating through numerical values entered into a computer (NC, Numerical Control /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A) is fixed to the chuck B, and the workpiece is processed sequentially by a turret C equipped with a tool such as a drill, a bite, a reamer, and the like.
이때 상기 가공소재(A)는 일정간격을 정해 가공하고 가공이 완료되면 절단하고 다시 일정 간격만큼 이송시켜 다시 가공하는 공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가공소재의 일정간격 이송을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258846호"가 사용되어 왔다.At this time, the processed material (A) is to proces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the process is repeated to cut again and transfer agai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ocess is repeated, conventionally shown in Figure 1 for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workpiece "Working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258846" has been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공소재 홀딩장치(1)는 원통형상의 바디와, 가공소재(A)를 파지하도록 바디의 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등각도로 형성된 3개의 집게발과, 터릿(C)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집게발의 벌림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환형의 조정구로 구성되어지는 것이어서 가공소재(A)의 직경 및 규격에 따라서 작업 자가 상기 조정구를 일일이 조절하여 상기 집게발의 폭과 넓이를 조절하여야 하며, 이로인해 작업효율의 저하 및 생산성, 가공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However, the
또한 종래의 가공소재 홀딩장치(1)가 가공소재(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가공소재를 고정하고, 클램핑(Clamping)한 다음 다시 뽑아내는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상기 가공소재 홀딩장치(1)의 집게발은 가공소재의 절단면 가장자리, 즉 직각상태의 모서리에 부딪친 다음 충격에 의해 벌려져 가공소재를 클램핑하게 되어 미세한 가공소재의 손상 및 기계전체에 미치는 충격을 감안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orkpiece holding device (1) has a structur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 to fix the workpiece, clamp (clamping) and then pull it out again of the workpiece holding device (1) The claw hits the cutting edge of the workpiece, that is, the corner of the right angle, and then is opened by the impact to clamp the workpiece so that it has a closed end to take into account the damage of the micro workpiece and the impact on the whole machine.
특히 종래의 가공소재 홀딩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공소재(A)를 길이방향에서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는 가공소재 홀딩장치(1)의 폭넓이만큼 터릿(C)의 작동범위, 즉 수평 이동간격(α)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인해 가공소재의 가공범위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workpiece holding device (1) is to move the fixed workpiece (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2, which is the width of the turret (C) as wide as the workpiece holding device (1) The operating range, i.e., the horizontal movement interval α, is narrowed, thereby causing a serious problem that the processing range of the workpiece is limited.
본 발명은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터릿에 장착되는 가공소재 홀딩장치의 폭넓이를 최소화하여 터릿의 이동간격을 최대화하여 가공소재의 가공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가공소재 홀딩장치가 가공소재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orkpiece control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wide range of the workpiece holding device mounted on the turret to maximize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turret In order to extend the processing range of the workpiece, and also to provide a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to hold the workpiece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orkpiece.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리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100)는 터릿(C)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장착대(121)와, 상기 장착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중앙에 축공(122a)이 천공된 원형 오목홈(122)을 구비하는 결합부(120)와, 상기 원형 오목홈(122)에 끼워져 축볼트(130)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홀딩판(112)을 구비하는 홀딩부재(110)와, 상기 홀딩판(112)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공소재 홀딩홈(112a)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processing
이때 상기 결합부(120)는 장착대(121)의 일단에 수직상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홀딩부재(110)는 결합부(120)와 수평상태로 결합되어진다. At this time, the
상기 홀딩부재(110)는 중간부가 절개된 상태로 일측면에 돌출된 원형 삽입부(111)가 결합부(120)의 원형 오목홈(122)에 끼워져 각각의 홀딩판(112)이 회전가능토록 축볼트(130)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원형 삽입부(111)에는 축볼트(130)의 머리부가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1a)이 형성되어진다.The
상기 원형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가공소재 홀딩홈(112a)의 반대편에는 탄성부재(140), 즉 인장 및 압축스프링, 댐퍼 등이 형성되어 홀딩판(112)이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고, 이때 탄성부재의 탄성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홀딩판(112)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공(113)을 천공하였다.An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한쌍의 상기 홀딩판(112)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가공소재(A)의 홀딩을 위해 직각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가공소재의 외주면을 타고 넘어갈 때는 홀딩판(112)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가공소재(A)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가공소재 홀딩홈(112a)에 물려있는 상태가 되며, 반대로 가공소재(A)의 분리시에는 가공소재의 직각방향으로 일정이상의 압력이 가해면 손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air of
이처럼 홀딩판(112)이 탄성부재에 의해 신축성있게 벌어짐으로 인해 가공소재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홀딩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릿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동시에 홀딩판도 이동하면서 동시에 가공소재도 함께 "β"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the
또한 상기 가공소재 홀딩홈(112a)은 대개 원통형상인 가공소재의 홀딩이 용이하도록, 또 가공소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홀딩할 수 있도록 만곡의 호(弧)형상을 가지며, 가공소재 홀딩홈(112a)의 끝단부 역시 가공소재의 외주면을 타고 넘을 때 보다 부드럽게 넘어가도록 만곡(彎曲)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 본 발명은 상기 홀딩부재(110)의 원형 삽입부(111)가 결합부(120)의 원형 오목홈(122)에 끼워져 마음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부(120)의 일측에 걸림돌기(123)가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기(123)를 중간에 두고 홀딩판(112)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때 홀딩판(112)에는 걸림돌기 삽입홈(11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딩판(112)이 걸림돌기(123)에 의해 상시 벌려진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처럼 상기 걸림돌기(123)는 홀딩판(112)이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가공소재(A)를 홀딩판(112)를 홀딩하는 것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판(11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일측에는 가공소재 삽입홈(112c)가 구비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홀딩블럭(112b)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가공소재(A)와 금속재질을 갖는 상기 홀딩판(112)과의 마찰과 충격으로 인한 가공소재의 손상 및 파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형 직경을 갖는 가공소재를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공소재의 직경 및 재질에 관계없이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ruded in front of the
특히 본 발명은 보다 사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판(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공소재 삽입홈(112a)과, 결합공(113) 및 걸림돌기 삽입홈(114)을 각각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가공소재(A)의 규격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하여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o increase the use efficiency, the
이는 일측에는 일반규격의 가공소재(A)를 포괄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타측에는 특별한 규격을 갖는 가공소재(A)를 홀딩할 수 있도록 하여 규격별로 각각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가공소재의 특성에 따라서 작업자가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홀딩부재(110)의 제작비 절감과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t is formed on the one side to hold the workpiece (A) of the general standard comprehensively, and on the other side it is possible to hold the workpiece (A) having a special specification,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each of the specific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is, the operator can easily replace and use,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ing the use efficiency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부재(140)는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성이 용이한 통상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작업환경 및 설치공간에 따라 다양한 탄성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저렴하고 보편적인 압축스프링(140a) 및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수 도 있으며, 상기 코일식 스프링의 부식현상 및 장기간 사용시 발생되는 피로파괴(疲勞破壞)현상으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시키고,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의 유압식 댐퍼(140b)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처럼 본 발명은 특히 터릿의 이동반경을 넓혀 가공소재의 가공효율을 높이고, 작업범위를 최대화하여 가공소재의 가공효율 및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cessing radius of the processed material by increasing the moving radius of the turret, and maximizing the working efficiency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ocessed material by maximizing the working range.
또한 가공소재의 직경 및 규격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수치제어 공작기계용 가공소재 홀딩장치처럼 작업자가 가공소재의 직경에 따라서 수작업으로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hold regardless of the diameter and size of the workpiece,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hat the operator must manually adjust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workpiece, like the conventional workpiece control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having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6646A KR100558691B1 (en) | 2004-07-21 | 2004-07-21 |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6646A KR100558691B1 (en) | 2004-07-21 | 2004-07-21 |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09160A KR20060009160A (en) | 2006-01-31 |
| KR100558691B1 true KR100558691B1 (en) | 2006-03-10 |
Family
ID=371199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56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8691B1 (en) | 2004-07-21 | 2004-07-21 |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58691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70004997U (en) * | 1985-09-23 | 1987-04-21 |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 Tool lock on machining center tool changer |
| JPH04294952A (en) * | 1991-03-25 | 1992-10-19 | Okuma Mach Works Ltd | Tool delivery device |
| JPH05305542A (en) * | 1992-04-28 | 1993-11-19 | Brother Ind Ltd | Tool exchange device |
| JP2001287127A (en) | 2000-04-06 | 2001-10-16 | Furukawa Co Ltd | Rod clamp device |
-
2004
- 2004-07-21 KR KR1020040056646A patent/KR1005586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70004997U (en) * | 1985-09-23 | 1987-04-21 |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 Tool lock on machining center tool changer |
| JPH04294952A (en) * | 1991-03-25 | 1992-10-19 | Okuma Mach Works Ltd | Tool delivery device |
| JPH05305542A (en) * | 1992-04-28 | 1993-11-19 | Brother Ind Ltd | Tool exchange device |
| JP2001287127A (en) | 2000-04-06 | 2001-10-16 | Furukawa Co Ltd | Rod clamp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09160A (en) | 2006-01-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491305B2 (en) | Chuck and gripping claws for chuck | |
| JPH10217136A (en) | Gripping tool | |
| KR100978319B1 (en) | Automatic Discharge Chuck for Lathe | |
| US6997656B2 (en) | Device and assembly for holding an object | |
| CN110325306B (en) | Hole making tool and guide pad adjustment mechanism for hole making tool | |
| JP2008264983A (en) | Machine vice for 5-axis control machine tool | |
| JPH06312363A (en) | Honing mandrel | |
| KR102026224B1 (en) | double grip type work holder for machine tool | |
| KR200472903Y1 (en) | Soft jaw for manufacturing ring | |
| RU2028878C1 (en) | Holder for tools installation and fixation | |
| KR20160106416A (en) | Length adjustment structure of machine workpiece | |
| KR100558691B1 (en) | Material holding device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 |
| EP3981546B1 (en) | Pneumatic clamp for plates with tilting jaws | |
| US8056905B1 (en) | Computerized numeric control toolholder tightening fixture | |
| KR20040071901A (en) | Drilling machine to make vertical hall | |
| KR100812125B1 (en) | Cylindrical Elastic Strain Absorber of Lathe Chuck for Machine Tool | |
| KR20070050097A (en) | Tool with non-circular connection | |
| US4679802A (en) | Clamp chuck | |
| JP2008161988A (en) | lathe | |
| KR101124268B1 (en) | Tool holder with eccentricity adjustment device | |
| EP1616660A1 (en) | Clamping device | |
| US9427810B2 (en) | Tool holder | |
| US5816986A (en) | Universal chuck and automated machining system | |
| KR101612540B1 (en) | a apparatus for clamping of machine tool | |
| CN210548529U (en) | Hole chamfering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3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3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