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386B1 -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 Google Patents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3386B1 KR100553386B1 KR1020030076065A KR20030076065A KR100553386B1 KR 100553386 B1 KR100553386 B1 KR 100553386B1 KR 1020030076065 A KR1020030076065 A KR 1020030076065A KR 20030076065 A KR20030076065 A KR 20030076065A KR 100553386 B1 KR100553386 B1 KR 100553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dried
- screw
- confectionery
- grai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31—Transformation of a liquid, paste, cream, lump, powder, granule or shred into powder, granule or shred; Manufacture or treatment of powde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4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by a die; Extrusion of cross-sections or plates, optionally the associated cutting device
- A23G3/0247—Devices for cutting, modelling of sections or plates; Embossing, punching, e.g. stamp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6—Apparatus for coating by tumbling with a liquid or powder, spraying device-associated, drum, rotating p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누룽지, 현미, 보리, 율무 등의 곡물을 가공하여 스넥, 유과등의 건과류와 한과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을 별도로 침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출성형기 스크류로 분쇄하여 이를 250℃의 열을 가한 후 압출구를 통하여 압출하는 동시에 팽화(속칭:알파)한 후 제1 오븐 건조기로 수분을 건조시킨 다음 팽화 된 반데기에 조청,물엿, 설탕 등으로 이루어진 시럽과 깨, 팥, 콩, 튀밥가루, 김가루, 새우가루, 송화가루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진 고물을 코팅기로 코팅시켜 제조된 건과자를 제 2건조기로 건조시켜 조직이 부드럽고 바삭바삭한 스넥, 유과, 한과, 강정 등의 건과자를 간단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 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건과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누룽지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맛있는 건과자를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서 어린이, 청소년, 노인등 누구나 즐겨먹을수 있도록 함으로 과잉생산되는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게 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dried fruit and Korean fruits such as snacks, nectars, etc. by processing grains such as rice, nurungji, brown rice, barley, and yulmu, and more particularly in a state in which grains are not immersed separately. After crushing with an extruder screw and applying 250 ℃ heat, it is extruded through an extruder and swelled (sock name: alpha), dried with water in a first oven dryer, and then washed with syrup, starch syrup, sugar, etc. The dried confectionery made by coating a solid made of syrup and sesame, sesame, red beans, soybeans, rice flour, seaweed powder, shrimp powder and pine powder with a coater is dried with a second dryer to make the tissues soft and crunchy. By simply and easily producing large quantities of confectionery such as Korean and Gangjeong, various kinds of confectionery can be easily produced. By producing and supplying delicious dried confectionery, children, adolescents, old people, etc. can enjoy it, and it is to provide a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that can promote the consumption of over-produced rice. .
곡물, 건과자, 유과, 한과, 곡물가공장치, 압출기, 팽화, 건조기Grain, Dried Confectionery, Confectionery, Confectionery, Grain Processing Equipment, Extruder, Puffing, Dryer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단계별 공정도.1 is a step-by-step process diagram of the gra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 압출 성형기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grain processing extrus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뷰 단면구성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w view of the grain processing extrus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부의 스크류봉 구성도.Figure 4a is a screw rod configuration of the screw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봉의 다른 실시예.Figure 4b is another embodiment of a screw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예시도.5 is an illustration of a c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고정칼날과 롤러칼날 구성예시도.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a fixed blade and roller blade configuration of the cu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예시도.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first oven dry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몸체구성 예시도.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the body configuration of the first ove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측면 구성도.Figure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ove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기의 구성 예시도.10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coa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기의 측면 구성도.1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a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건조기의 예시도.12 is an illustration of a seco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건조기의 내부구성을 간략이 나타낸 예시도.Figure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rief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부의 다른 실시예. Figure 1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ew portion of the extrus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른 곡물가공 공정도.Figure 15 is a grain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공급부 11:호퍼10: Supply unit 11: Hopper
12:공급스크류 13:개폐밸브12: Supply screw 13: Open / close valve
20:압출성형기 21:스크류부20: extruder 21: screw
22:실린더 23:스크류봉22: Cylinder 23: screw rod
24:실린더 헤드 25:히터24: cylinder head 25: heater
26:발열선 27:압출구26: heating wire 27: extrusion port
28:투입구 29:분배기28: entrance 29: distributor
30:절단기 31:교정롤러 30: cutter 31: calibration roller
31':가이드공 32:압연롤러31 ': Guide ball 32: Rolling roller
33:절단칼 34:고정칼날33: cutting knife 34: fixed blade
35:롤러칼날 40:제1 오븐 건조기35: roller blade 40: first oven dryer
41:제1 오븐 건조기 몸체 42:구륜롤러41: first oven dryer body 42: wheel roller
43:구동모터 44:가스노즐43: drive motor 44: gas nozzle
45:교반날개 50:코팅기45: stirring blade 50: coating machine
51:코팅기 몸체 52:교반날개51: coating machine body 52: stirring blade
53:분사파이프 54:저장탱크53: spray pipe 54: storage tank
55:히터배관 56:회전롤러55: heater piping 56: rotary roller
57:구동모터 60:제2 건조기57: drive motor 60: second dryer
61:이송밸트 62:열반사판61: transfer belt 62: heat reflection plate
63:히터부 64:송풍기63: heater 64: blower
70a:제1 이송콘베어 70b:제2 이송콘베어70a: 1st conveying
70c:제3 이송콘베어 70d:운반 콘베어70c: 3rd conveying
80:포장기계장치80: packaging machinery
본 발명은 쌀, 누룽지, 현미, 보리, 율무 등의 곡물을 가공하여 스넥, 유과등의 건과류와 한과류를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곡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누룽지등의 곡물을 스크류로 분쇄하여 가압한 후 열을 가하여 팽화(알파)시킨 후 이를 압연, 절단, 1차 오븐건조, 고물입히기(혼합), 2차건조, 포장하는 방법으로 스넥류 또는 한과류를 제조하여 다양한 형상과 맛을 갖는 건과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manufacturing dried fruit and Korean fruits such as snacks, sweets, etc. by processing grains such as rice, nurungji, brown rice, barley, and yulmu, and more specifically, to screw grains such as rice and nurungji. After crushing, pressurization, heat, swelling (alpha), and then rolling, cutting, primary oven drying, solidification (mixing), secondary drying, and packaging to make snacks or fruits and produce various shapes and flav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ed confectionery process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invented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dried fruit having.
본 발명에서 건과자라 함은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 누룽지 등을 가공하여 제조된 스넥, 유과, 한과, 과자, 강정 등을 총칭하여 건과자라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ried confectionery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ried confectionery, such as snacks, sweets, sweets, sweets, Gangjeong, etc. prepared by processing rice, brown rice, barley, yulmu, glutinous rice, nurungji, and the like.
기존에는 스넥 또는 유과를 생산하기 위해 쌀을 선별한 후 침지, 분쇄시킨 후 찜, 증숙, 압출 후 1차 건조, 절단, 1차 및 2차로 튀긴후 탈유, 고물입히기 등의 순서로 이루어져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침지시간이 장시간 소요되 어 유과등을 제조시 신속하고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샌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과잉생산된 쌀을 소비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루과이라운드에 의해 의무적으로 일정량의 쌀을 수입해야 함으로서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process consists of sorting rice to produce snacks or confections, immersing, crushing, steaming, steaming, first drying after extrusion, cutting, frying first and second, and then deoiling and applying high water. Not only is it very complicated, but it also takes a long time to soak, so it is difficult to disperse large quantities in a short and short time when it is made. Also, it is compulsory by Uruguay Round in the state that it does not consume over-produced ri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certain amount of rice must be imported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ric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곡물을 별도로 침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크류로 분쇄하여 이를 250℃의 열을 가한 후 압출구를 통하여 압출하는 동시에 팽화(속칭:알파)시켜 조직이 부드럽고 바삭바삭한 스넥, 유과등의 건과자를 간단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함을 제1목적으로 하고, 과잉생산으로 남는 쌀을 여러 가지 형태의 건과자로 생산하여 남여 노소 누구나 고소하고 맛있는 건과자를 먹을 수 있도록 하여 쌀의 소비를 촉진함을 제2 목적으로 하는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grains are crushed with a screw in the state of not immersed separately and then heated at 250 ° C., and then extruded through an extruder and swelled at the same time. Its primary purpose is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confectionery such as crunchy snacks and sweets easily and easily, and produce a variety of types of dried confectionery, which can be eaten by everyone. It is to provide a dried confectionery processing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for the second purpose of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r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곡물을 가공하여 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된 제조장치에 있어서,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process the grain to produce food,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 누룽지중 하나를 선택한 곡물을 공급하도록 호퍼(11)및 공급스크류(12)로 이루어진 공급부(10)와; A
상기 공급 스크류(12)로부터 공급된 곡물을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곡물을 250℃의 히터(25)로 열을 가하여 스틱형태로 압출시켜 팽화되도록 하는 압출 성형기(20)와;An
상기 압출 성형기(20)에서 팽화된 곡물 가래를 교정롤러(31)와 압연롤러(32)를 통과시켜 모양을 바로 잡은 다음 절단칼로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절단하는 절단기(30)와;A
상기 절단기(30)에서 절단된 반데기를 이송하는 제1 이송콘베어(70a)와;A first conveying conveyor (70a) for conveying the bandage cut by the cutter (30);
상기 제1 이송 콘베어(70a)에 의해 이송된 반데기의 수분을 100%건조할 수 있도록 망으로 이루어진 드럼형태의 제1 오븐 건조기(40)와; A first oven dryer (40) having a drum shape formed of a net so as to dry 100% of the moisture of the bandage conveyed by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70a);
상기 제1 오븐 건조기(40)에서 건조된 반데기를 이송하는 제2 이송콘베어(70b)와;A second conveying conveyor (70b) for conveying the dried moss in the first oven dryer (40);
상기 제2 이송콘베어(70b)에 의해 이송된 반데기에 물엿, 조청, 설탕으로 된 시럽과 깨, 팥, 콩, 튀밥가루,김가루, 새우가루, 송화가루중 하나의 고물과 혼합하는 코팅기(50)와; Coated machine (50) mixed with one of the syrup and sesame seeds, sesame, sugar, syrup and red beans, soybeans, rice flour, seaweed powder, shrimp powder, pine powder powder in a bandage conveyed by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70b) (50) )Wow;
상기 드럼 고물 코팅기(50)에서 고물이 입혀진 반데기를 이송하는 제3 이송콘베어(70c)와;A third conveying conveyor (70c) for conveying the puddle coated with the solids in the drum solids coating machine (50);
상기 제3 이송콘베어(70c)에 의해 이송된 고물이 입혀진 반데기를 건조하여 건과자로 제조하는 함체형의 제2 건조기(60)와;A second dryer (60) of a box type for drying dried vanes coated with the solids transferred by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70c) to produce dried confectionery;
상기 제2 건조기(60)로부터 건조된 건과자는 운반콘베어(70d)로 이송되어 포장기계장치(80)에서 규격별로 포장되는 곡물가공 장치로 구성된다. The dried confectionery dried from the
상기 공급부(10)는 곡물을 수용하는 호퍼(11)가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호퍼(11) 저부 연결관에는 개폐밸브(13)가 설되어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스크류(12)의 말단부는 압출 성형기(20) 곡물 투입 구(28) 상부에 위치하여 곡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성이다.The
상기 압출 성형기(20)는 일측에 곡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부(21)를 형성하되 상기 스크류부(21)는 내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실린더(22)와, 실린더(22)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봉(23)으로 형성하고, The
상기 스크류부(21) 상면 일측에 형성된 투입구(28)를 통하여 인입되는 곡물은 뒷쪽으로 보내지고, 분쇄되는 곡물은 앞쪽 실린더 헤드(24)의 압출구(27)로 압출되도록 실린더(22)내주면에 스크류를 형성하는 산과 스크류봉(23) 외주면에 형성된 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스크류 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 헤드(24) 외면에는 발열선(26)이 권선되어 히터(25)를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Grain drawn through the
상기 스크류봉(23)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의 산 간격이 일측으로부터 1/3은 넓고, 2/3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스크류 봉(23)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의 산이 일정한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절단기(30)는 몸체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압출성형기(20)에서 압출되면서 팽화된 곡물 가래를 가이드공(31')으로 인입시켜 외관이 매끄럽게 성형할 있도록된 교정 롤러(31)와;The
상기 교정롤러(31)를 통과한 팽화된 곡물 가래를 압연롤러(32)로 가압후 제품의 규격에 알맞도록 절단하는 절단칼(30)로 구성된다.After the pressurized grain sputum passing through the straightening
상기 1차 오븐 건조기(40)는 드럼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진 몸체(41)와;The
상기 몸체 내벽에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제1 이송콘베어(70a)에 의해 내부로 인입된 반데기를 골고루 섞어 건조되도록하는 교반날개(45)와;A stirring
상기 몸체에 수납된 팽화상태의 반데기를 열로 건조할 수 있도록 제1 오븐 건조기(40) 몸체(41)전후부에 설치된 가스노즐(44)과; A gas nozzle (44)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oven dryer (40) and the body (41) to dry the swollen bandage stored in the body by heat;
상기 제1 오븐 건조기 몸체(41)를 회전시켜 내부의 반데기를 건조될 수 있도록 전후부에 구륜롤러(42) 및 구동모터(42)로 구성된다.The first
상기 고물 코팅기(50)는 내벽면에 나선형으로 교반날개(52)가 설치된 몸체(51)와;The
상기 몸체 저부에 위치하고 분사 파이프(53)를 통하여 반데기 외면에 시럽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시럽 저장탱크(54)와;A syrup storage tank (54)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capable of spraying syrup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age through an injection pipe (53);
상기 몸체 내부에서 시럽과 깨, 팥, 콩, 튀밥가루, 김가루, 새우가루, 송화가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고물이 반데기 외면에 코팅되도록 몸체 외면에 더운 공기를 가하는 히터배관(55)과;
상기 몸체내의 반데기에 고물과 시럽의 코팅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롤러(56) 및 구동모터(57)로 이루어진 구성이다.It consists of a
상기 제2 건조기는 고물과 시럽이 반데기에 코팅되어 만들어진 건과자를 지그재그 이동시키면서 건조되도록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밸트(61)와;The second dryer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 지그재그로 이동되는 이송밸트에 올려진 건과자를 건조할 수 있도록 저부에 설치된 히터부(63)및 송풍기(64)와;A
상기 히터부(63)의 열을 제2 건조기내에 고르게 분포되고록 이송밸트(61) 저부에 열반사판( 62))이 설치된 구성이다.The heat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제조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dried confection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grain made by the dried confectionery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grai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 누룽지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호퍼에 넣고 공급스크류를 통하여 압출성형기의 투입구에 곡물을 공급하는 단계와;Selecting any one of rice, brown rice, barley, barley, glutinous rice, and nurungji, and feeding grains to an inlet of an extruder through a feed screw;
상기 공급된 곡물을 스크류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A 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supplied grains with a screw;
상기 분쇄된 곡물을 스크류로 압출하는 동시에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히터로 250℃의 열을 가하여 분쇄된 곡물이 팽화되도록 하는 압출 성형단계와;An extrusion molding step of extruding the ground grains with a screw and simultaneously applying 250 ° C. heat to a heater installed in a cylinder head to swell the ground grains;
상기 압출 성형기에서 팽화된 곡물 가래를 교정롤러와 압연롤러를 통과시켜 절단칼로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절단하는 단계와;Cutting the swollen grain sputum in the extrusion machine through a straightening roller and a rolling roller to cut it to a size of the product with a cutting knife;
상기 절단기에서 절단된 반데기를 제1 이송콘베어로 1차 오븐 건조기로 이송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bandage cut by the cutting machine to a first oven dryer with a first transfer conveyor;
상기 이송 콘베어에 의해 이송된 반데기의 수분을 건조할 수 있도록 드럼형태의 1차 오븐 건조기로 건조하는 단계와; Drying with a drum type primary oven dryer to dry the moisture of the bandage conveyed by the conveying conveyor;
상기 1차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된 반데기를 제2 이송컨베어로 코팅기에 이송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bandage dried in the primary oven dryer to a coater with a second transfer conveyor;
상기 제2 이송콘베어에 의해 이송된 반데기에 시럽과 깨, 팥, 콩, 튀밥가루,김가루, 새우가루, 송화가루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진 고물을 코팅하는 단계와;Coating solids made of any one of syrup, sesame, red beans, soybeans, rice flour, seaweed powder, shrimp powder, and pine powder in a bandage conveyed by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상기 코팅기에서 고물이 입혀진 반데기를 제3 이송콘베어로 제2 건조기로 완전 건조하여 통상의 포장방법으로 제품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ed confectionery using grains consisting of the step of packaging the product in a conventional packaging method by completely drying the bandage coated with the solid in the coating machine with a second transfer conveyor with a third transfer conveyor.
이하 본 발명은 곡물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여러 가지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various examples carried out using grains.
실시예 1 : 유과제조의 실시 예Example 1 Example of Confectionery Manufacturing
제1공정 : 재료준비공정First step: material preparation process
만들고자하는 건과자의 종류에 따라서 이용하고자하는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등의 재료중 하나를 선택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한다.Depending on the type of confectionery you want to make, choose one of the ingredients such as rice, brown rice, barley, yulmu, and glutinous rice, and then clean it and remove moisture.
상기 세척후 수분을 제거하는 것은 통상의 자연건조를 실시하여 사람이 손으로 쌀을 만졌을 때 물끼가 없는 정도이면 족하나 그 이상 건조시키더라도 관계없다.Removing the water after the washing is performed by natural drying in general, if the person touches the rice by hand, it is enough if there is no water, but may be dried more than that.
이때 누룽지를 재료로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쌀로 밥을 한 후 누룽지제조기를 이용하여 누룽지를 만든 다음 쌀알 크기로 분쇄하여 재료를 준비한다.At this time, if you want to use nurungji as a raw material, first cook rice with rice, then use a nurungji maker to make nurungji, then grind to the size of the grain of rice to prepare the ingredients.
상기 재료는 곡식을 이용한 모든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별히 재료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재료에 따라서 그 맛이 상이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The material can be used for all the materials using grains, 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limit the material, it is natural that the tast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제2공정 : 분쇄 및 팽화 공정2nd process: grinding and expansion process
상기 준비된 재료인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 누룽지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과의 재료를 누룽지로 선택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One of the prepared materials, such as rice, brown rice, barley, yulmu, glutinous rice, nurungji is to be selec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by selecting the ingredients of the confectionery as nurungji.
쌀알 크기로 파쇄된 누룽지를 호퍼(11)에 채운후 공급스크류(12) 일측에 구비된 모터를 구동시키면 공급스크류(12)가 동작하면서 상기 호퍼(11)에 내장된 누룽지가 압출 성형기(20)의 스크류부(21) 투입구(28)에 공급된다.After filling the pulverized Nurungji in the size of the
이때 공급스크류(12)에서 투입구(28)로 공급되는 누룽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호퍼(11)하단 파이프에 설치된 개폐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누룽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mount of nurungji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투입구(28)로 인입된 누룽지는 실린더(22)와 스크류봉(23)사이로 인입된 실린더(22)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의 방향에 따라서 스쿠류부 내측으로 인입된 후 스크류를 따라서 압출구(27)측으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분쇄된다.The nurungji introduced into the
상기 스크류부의 실린더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 산의 방향은 인입된 누룽지가 뒷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봉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 산의 방향은 안쪽으로 들어간 누룽지가 압출구(27)쪽으로 밀려나도록 형성된 것으로써, 실린더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 산의 방향과 스크류봉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 산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direction of the screw acid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crew portion of the cylinder is formed so that the drawn Nurungji enters to the rear side, and the direction of the screw aci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rod is formed so that the nurungji which enters inward is pushed toward the
또한 스크류봉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의 간격은 안쪽 1/3은 넓게 형성되고 압출구(27)측의 2/3는 좁게 형성되어 투입구(28)로 인입된 누룽지는 실린더 내면을 따라서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스크류봉(23) 안쪽 부분은 스크류가 넓게 형성되어 안쪽으로 들어온 곡물이 밖으로 밀려나갈 수 있도록 공급부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of the scre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rod is formed in the inner 1/3 is wide and 2/3 of the
즉, 투입구를 통하여 스크류부(21) 내측으로 밀려 들어온 누룽지는 스크류봉의 간격이 넓은 스크류 부분에 1차로 채워진 다음 스크류봉(23)의 회전에 따라서 압출구(27)측으로 밀리면서 스크류봉과 실린더 내벽의 스크류 사이에서 분쇄되는 동시에 가압되어 분쇄된 누룽지는 실린더 헤드(24) 내측으로 몰린 후 가압에 의해 압출구로 압출된다.That is, Nurungji, which is pushed into the
상기 실린더 헤드(24) 외면에는 발열선(26)이 권선되어 히터(25)를 이루고 있으므로 실린더 헤드 내측으로 가압되어 몰린 누룽지가루는 히터의 250℃ 열에 의해 고온상태에서 스크류봉의 가압에 의해 실린더 헤드에 작게 형성된 다수의 압출구(27)로 압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낮은 온도와 접촉되어 팽화가 이루어고 압출구로 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누룽지 가래 형태로 형성된다.A
상기 팽화는 분쇄되어 뭉친 누룽지의 조직이 팽창되어 무수한 기공을 갖는 것으로 수분이 완전 건조시 바삭바삭하고 부드러운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수분을 완전히 건조한다는 것은 수분함량이 완전히 없다는 것이아니고 바삭바삭한 상태로 건조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The swelling is crushed and agglomerated tissue of nurungji is expanded to have a myriad of pores to become a crunchy and soft state when the moisture is completely dried.
Completely drying the mois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moisture content, but refers to a state that is dried in a crunchy state.
제3공정 : 형태교정 및 절단공정3rd process: shape correction and cutting process
상기 제2공정의 압출 성형기에서 팽화된 곡물 가래는 압출구(27)를 빠져 나오면서 팽화되므로 가래의 외면은 불퉁불퉁하고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게되므로 이를 절단기 일측에 위치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교정롤러를 통하여 외면이 매끈하도록 교정된다.Since the swelled grain swell in the extrusion molding machine of the second process is expanded as it exits the
이때 교정롤러는 팽화된 누룽지의 가래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31')이 형성되어 누룽지 가래가 교정롤러를 통과하면 외면이 매끄러운 가래가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31 'is formed so that the bulge of the swollen nurungji is introduced, and when the nurungji sputum passes through the calibration roller, the outer surface becomes smooth sputum.
상기 교정롤러는 상부에 간격조절 핸들이 구비되어 누룽지의 가래 직경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calibration roller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handle at the top can be adjusted to suit the size of the sputum diameter of Nurungji.
상기 교정롤러를 통과한 누룽지 가래는 다시 일측에 설치된 압연롤러(32)를 통과한 후 절단칼(33)에 의해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절단된다.The nurungji sputum passing through the straightening roller passes through the rolling
상기 압연롤러(32)는 만들고자하는 건과자의 형상에 따라서 상단에 구비된 핸들을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여 형태의 변화를 줄 수 있게된다.The rolling
즉, 유과인경우에는 그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압연롤러의 간격을 크게하여 형상을 원형또는 타원형이 유지되도록 하고, 유과외의 스넥류와 같이 납작한 형상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압연롤러의 간격을 좁게하여 교정롤 러를 통과한 원형의 가래가 압연롤러를 통과하면서 납작하게 형성된 후 절단칼로 제품의 규격에 따라서 절단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lactose, the shape is made of round or oval, so that the gap between the rolling rollers is increased so that the shape is kept round or oval, and in the case of making flat shapes such as snacks other than lactose, Narrow circular sputum passing through the straightening roller is formed flat while passing through the rolling roller, and then cu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with a cutting knife.
상기 제품이라함은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유과 스넥 강정등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만들어지는 제품의 규격을 기존것과 차별화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 곡물이 팽화된 가래의 크기는 만들고자 하는 제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절단하면된다. The product refers to the commonly distributed milk and snack gangjeong, etc. The size of the product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so the size of the grain-swelled phleg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product to be made Cut to make.
제4공정: 이송 및 건조 공정Fourth Process: Transfer and Drying Process
상기 절단기에서 팽화된 누룽지의 가래를 만들고자하는 제품의 규격에 알맞도록 절단되어 반데기 형태로 이루어져 슬라이드판에 의해 미끄러져 하강하면 슬라이드판 저부에서 제1 오븐 건조기 입구까지 설치된 제1 이송콘베어에 의해 제1 오븐 건조기로 이송된다.The cutting machine is cut to fit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to make the puffed Nurungji sputum,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puddle, which is slid by the slide plate. 1 is transferred to the oven dryer.
본원발명에서 명명된 가래는 누룽지 분말이 압출되면서 팽화되어 길게 이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고, 반데기는 팽화된 누룽지 가래를 제품의 규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된 상태의 것을 반데기라 지칭한다. The phlegm nam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nurungji powder is swelled and elongated while being extruded, and the bandage refers to the state in which the expanded nuungji sputum is cut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상기 제1 이송콘베어에 의해 제1 오븐 건조기(40) 내로 이송된 반데기는 제1 오분 건조기 전 후면에 파이프형태로 설치된 가스노즐에 붙은 불의 열에 의해 건조된다.The bandages conveyed into the
즉, 제1 오븐 건조기 전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스배관과 연결된 파이프가 설치되고 제1 오븐 건조기 몸체와 대응되는 파이프 내측에는 다수의 노즐 또는 통공이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므로 점화시키면 불이 붙게된다.That is, a pipe connected to the gas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oven dryer, and a plurality of nozzles or through holes are formed inside the pi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n dryer body, so that when the gas is injected, the fire is ignited.
이때 불꽃은 산소가스와 같이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파이프 내측 통공에 등잔불과 같은 형상의 불꽃이 다수 점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오븐 건조기 몸체(41)에 열을 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lame is not sprayed with oxygen gas, but heat is applied to the first
상기 제1 오븐 건조기 몸체는 드럼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oven dryer body is made of a drum-shaped net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both sides can easily penetrate the inside.
또한 상기 제1 오븐 건조기는 드럼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부 양측에 다수의 구륜롤러(42)가 대응되며 구륜롤러(42)는 샤프트축에 연결되어 일측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43)가 샤프트축을 회전시키면 제1 오븐 건조기 몸체 전후면에 접촉되도록 위치한 구륜롤러(42)가 회전하면서 몸체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내부에 담겨진 팽화된 누룽지 반데기는 골고루 섞이면서 건조된다.In addition, the first oven dryer has a drum shape and a plurality of
상기 제1 오븐 건조기의 몸체 내면에는 스크류형태로 교반날개(45)가 형성되어 제1 오븐 건조기의 몸체가 회전할 때 반데기를 골고루 뒤집는 역할을 하여 건조가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때 건조는 수분을 100% 제거하여 반데기가 바삭바삭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irring
삭제delete
제5 공정 : 이송 및 코팅공정5th Process: Transfer and Coating Process
상기 제1 오븐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된 반데기는 제2 이송 컨베어(70b)에 의해 코팅기(50)로 이송된다.Bandage completely dried in the first oven dryer is transferred to the
상기 코팅기는 몸체(51) 내벽면에 나선형으로 스크류된 교반날개(52)가 설치되고, 몸체 저부 양측에는 코팅기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롤러 및 구동모 터로 이루어진 구성이다.The coater is provided with a
따라서 코팅기(50) 내에는 건조된 반데기가 내장되고 반데기에 입힐 고물을 선택하여 함께 내장한 후 저부 저장탱크(54)의 물엿, 조청, 설탕 등을 혼합하여 제조된 시럽이 파이프를 통하여 코팅기 내부의 반데기와 고물에 분사된다.Therefore, in the
상기 코팅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롤러가 구동되므로 구동롤러와 맞대응된 드럼형태의 코팅기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내부에 내장된 고물과 시럽이 반데기 외면에 코팅된다.Since the coater is driven by a rotating roller by a drive motor, the drum-type coater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roll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olids and syrup embedded therein ar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ndage.
상기 반데기와 고물, 시럽은 코팅기의 몸체 안에서 코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몸체 내벽면에 설치된 교반날개(52)에 골고루 섞이게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스크류를 따라서 이동된다. The bandage, solids, and syrup are evenly mixed with the stirring
상기 반데기는 외면에 물엿, 조청, 설탕 등으로 이루어진 시럽과 고물을 함께 코팅할 수 있다.The bandage may be coated with syrup and solids made of syrup, crude syrup, sugar and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상기 반데기에 코팅되는 고물의 재료는 깨, 튀밥, 송화가루, 김가루, 새우가루, 콩가루등 다양한 재료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어느 하나의 특정 고물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material of the solid to be coated in the bandage can be used by selecting on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esame, rice, pine powder, seaweed powder, shrimp powder, soybean powder,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specific solids.
제6공정 : 이송 및 건조공정6th Step: Transfer and Drying Process
상기 코팅기에 의해 고물이 입혀진 반데기는 다시 제3 이송콘베어(70c)에 의해 제2 건조기(60)로 유입된다.Bandage coated with the solids by the coating machine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제2건조기는 고물과 조청이 반데기에 코팅되어 만들어진 유과를 건조하기 위해 지그재그 이동되도록 다수의 이송밸트(61)가 상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제3 이송콘베어(70c)에 의해 이송된 건과자가 제2 건조기(60)의 최상단 이송밸트(61)에 올려지면 상단의 이송밸트(61)는 유과가 올려진 상태에서 서서히 이동하여 일측단부로 유과를 낙하시키면 그 저부에 위치한 이송밸트(61)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킨 후 일측부로 낙하시키면 그 하단에 위치한 또다른 이송밸트(61)가 다시 유과를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건과자는 코팅과정에서 생긴 수분이 완전히 건조된다.The second dryer has a plurality of conveying
상기 제2 건조기 내에 다수 설치된 이송 밸트는 상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도 7과 같이 설치된 것으로 유과를 지그재그 이송시켜 건조되도록 한 것이다.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installed in the second dryer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7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so as to be dried by zigzag transferring the confection.
상기 지그재그로 이동되는 이송밸트의 최저단에는 히터부(63)와 송풍기(64)가 설치되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히터부의 열을 함체형으로 이루어진 제2 건조기 내에 고르게 분포되고록 이송밸트 저부에 열반사판(62)이 설치되어 건조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된다.
제7공정 : 포장공정7th Step: Packing Process
상기 제2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되어 바삭바삭하고 누룽지 특유의 고소한 맛을 갖는 유과는 일정 양으로 포장되기 위해 별도의 이송밸트에 의해 자동포장기계 장치로 이송되어 포장된다.Completely dried in the second dryer, the crunchy crunchy and unique savory flavor of Nurungji is transported to a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by a separate transfer belt and packed to be packa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이상의 제1실시 예에서는 누룽지를 이용한 유과제조에 대한 일예의 실시 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의 공정에 의해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을 소재로 유과 튀밥, 강정, 쌀과자등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밝힌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of the manufacture of confectionery using Nurungji, and can be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from rice, brown rice, barley, yulmu, glutinous rice, confectionery, rice, Gangjeong, rice confectionery, etc. It is revealed.
실시예 2 : 스넥제조 실시 예Example 2 Snack Manufacturing Example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2의 유과제조 실시 예에서 설명하 였듯이 스넥제조 공정 역시 동일한 공정으로서 제1공정 내지 제4공정의 실시 만으로 스넥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실 시예를 다시한 번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in the fructose manufacturing example of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example aga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nack can be manufactured by only performing the first to fourth processes as the same process. do.
제1공정 : 재료준비공정First step: material preparation process
본 공정에서도 역시 스넥을 만들고자하는 재료를 쌀, 현미, 보리, 율무, 찹쌀등의 재료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one of the ingredients for making snacks can be used, such as rice, brown rice, barley, yulmu, and glutinous rice.
따라서 본 발명의 스넥을 실시하기 위한 재료를 누룽지를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material for carrying out the sna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Nurongji.
누룽지를 재료로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쌀로 밥을 한 후 누룽지제조기를 이용하여 누룽지를 만든 다음 쌀알 크기로 분쇄하여 재료를 준비한다.If you want to use the Nurungji as a raw material, first cook rice with rice, then use the Nurungji maker to make Nurungji, and then grind it to the size of a grain of rice.
제2공정 : 분쇄 및 팽화 공정2nd process: grinding and expansion process
상기 준비된 재료인 누룽지를 쌀알 크기로 파쇄한 후 압출성형기 스크류부(21) 산부에 설치된 호퍼(11)에 채운후 공급스크류(12) 일측에 구비된 모터를 구동시키면 공급스크류(12)가 동작하면서 상기 호퍼(11)에 내장된 누룽지가 압출 성형기(20)의 스크류부(21) 투입구(28)에 공급된다.After crushing Nurungji, the prepared material, into a grain size of rice, and filling the
이때 스크류부의 투입구(28)는 실린더(22)까지 관통된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공급스크류(12)에서 투입구(28)로 공급되는 누룽지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호퍼(11)하단 파이프에 설치된 개폐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누룽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nurungji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투입구(28)로 인입된 누룽지는 실린더(22)와 스크류봉(23)사이 로 인입된 누룽지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22)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의 방향에 따라서 실린더 내측으로 인입된다,The nurungji drawn into the
상기 스크류부(21)의 실린더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방향은 인입된 누룽지가 뒷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스크류봉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의 방향은 안쪽으로 들어간 누룽지가 압출구쪽으로 밀려나도록 형성되어 누룽지는 투입구(28)를 통하여 실린더 내측으로 인입된 후 다시 스크류봉(23)을 따라서 압출구(27)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크류봉과 실린더 내벽의 스크류에 의해 파쇄된다.The direction of the screw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즉 스크류부(21) 내측으로 밀려들어온 누룽지는 스크류봉의 간격이 넓은 스크류 부분에 채워져 스크류봉의 회전에 따라서 압출구(27)측으로 밀리면서 스크류봉과 실린더 내벽의 스크류 사이세서 분쇄되는 동시에 가압되어 분쇄된 누룽지는 실린더 헤드(24) 내측으로 몰리게된다.That is, the nurungji which has been pushed into the
상기 스크류봉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의 간격은 도4a, 4b와 같이 안쪽 1/3은 넓게 형성되고 압출구(27)측의 2/3는 좁게형성되어 투입구(28)로 인입된 누룽지는 실린더 헤드(24)의 압출구(27)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더욱 미분세된다.The gap of the scre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rod is formed in the inner 1/3 is wide as shown in Figures 4a, 4b and 2/3 of the
상기 스크류봉에 의해 분쇄는 누룽지 분말은 실린더 헤드 내측에 위치하는 순간 실린더 헤드(24)외면에 권선된 발열선(26)에 의하여 250℃의 고열이 가해져 볶아짐과 동시에 실린더 헤드(24) 일측면에 다수 형성된 압출구(27)에 의해 외부로 나오는 순간 팽화가 이루어진다.The Nurungji powder pulverized by the screw rod is placed at the inside of the cylinder head at the moment of being heated and heated at 250 ° C. by the
상기 압출구는 필요에 따라서 원형, 별표, 사각형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팽화된 누룽지는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누룽지 가래형태로 형성된다.The extrusion por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an asterisk, a rectangle, etc., if necessary, the expanded nurungji is continuously extruded to form a nurungji phlegm.
상기 팽화는 분쇄되어 뭉친 누룽지의 조직이 팽창되어 무수한 기공을 갖는 것으로 수분이 완전 건조시 바삭바삭하고 부드러운 상태가 된다.The swelling is crushed and agglomerated tissue of nurungji to have a myriad of pores to have a crunchy and soft state when the moisture is completely dry.
제3공정 : 형태교정 및 절단공정3rd process: shape correction and cutting process
상기 제2공정의 압출 성형기에서 팽화된 누룽지 가래를 압출구(27)를 빠져 나오면서 팽화되므로 가래의 외면은 불퉁불퉁하고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게되므로 이를 절단기(30) 일측에 위치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 교정롤러(31)를 통하여 외면이 매끈하도록 교정된다.Since the puffed nurungji swelled in the extrusion process of the second process exits the
이때 교정롤러는 팽화된 누룽지의 가래가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31')이 형성되어 누룽지 가래가 교정롤러를 통과하면 외면이 매끄러운 가래가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31 'is formed so that the bulge of the swollen nurungji is introduced, and when the nurungji sputum passes through the calibration roller, the outer surface becomes smooth sputum.
상기 교정롤러는 상부에 간격조절 핸들이 구비되어 누룽지의 가래 직경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The calibration roller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handle at the top can be adjusted to suit the size of the sputum diameter of Nurungji.
상기 교정롤러를 통과한 누룽지 가래는 다시 일측에 설치된 압연롤러(32)를 통과한 후 절단칼(33)에 의해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절단된다.The nurungji sputum passing through the straightening roller passes through the rolling
이때 스넥의 경우 그 형상이 납작한 것, 약간 납작한것, 타원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갖게되므로 만들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서 상단에 구비된 핸들을 이용하여 압연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형태의 변화를 줄 수 있게된다.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nack is flat, slightly flat, oval, round, etc., so that the shape of the shape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ing rollers using the handle provided at the top according to the shape to be made. do.
상기와 같이 압연롤러를 통과한 누룽지 일측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롤러형태의 절단칼로 제품의 규격에 알맞도록 절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knife in the form of a roller installed to rotate on one side of Nurungji passed through the rolling roller is cut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상기 절단칼(33)은 도6과 같이 고정칼날(34)과 로터리 칼날(35)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 고정칼날(34) 절단기의 출구측 단턱에 고정되고 로터리 칼날(35)은 고 정칼날(34) 전방에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압연롤러(32)에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누룽지 가래를 회전하면서 절단하게된다. The cutting
제4공정: 이송 및 건조 공정Fourth Process: Transfer and Drying Process
상기 절단기에서 제품의 크기에 알맞도록 절단된 스넥은 다시 제1 이송콘베어에 의해 제1 오븐 건조기(40)로 이송되어 건조가 이루어진다.The snack cut to fit the size of the product in the cutter is transferred to the
상기 제1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된 스넥은 수분이 바삭바삭하게 제거되고 재료를 누룽지로 사용함으로 고소한 맛을 낼 수 있다.Snack dried in the first oven dryer can be removed by the crunchy moisture and using the material as a nuungji can give a savory taste.
상기 제조되는 스넥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그 맛과 향이 차이갈 날 수 있다.The prepared snack may vary in taste and aroma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또한 스넥외면에 엿, 설탕등을 코팅할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1과 같이 제5공정 내지 제7공정을 실시하면된다.In addition, when co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nack and coating sugar and the like, the fifth to seventh steps may be perform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어지는 한과, 유과, 스넥, 강정, 과자등의 건과류를 제조하는 곡물가공장치는 제조되는 건과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공정에 해당하는 공정만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refore, grains for manufacturing dried fruit such as confectionery, confection, snack, gangjeong, confectionery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selectively perform only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above process according to the type of dried fruit produced.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은 스넥, 유과등의 건과류를 제조시 맛과 제조시간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유과제조시 기존의 전통유과제조공정과 같이 많은 시간과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can selectively adjust the taste and manufacturing time when manufacturing dried fruit such as snacks, sweets, etc. It is to make it easy to manufacture.
이하 첨부도면의 의거하여 발명의 곡물가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grain value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장치의 단계별 공전도로서, 선택된 곡물을 이용하여 건과자를 만들기 위해 곡물을 분쇄 후 팽화시겨 가래로 형성하는 압출성형기(20), 팽화된 곡물가래를 절단하여 반데기로 만드는 절단기(30), 반데기의 수분을 건조하는 제1 오븐 건조기(40), 건조된 반데기에 물엿, 또는 조청을 이용하여 깨, 튀밥, 송화가루, 김가루, 새우가루, 콩가루 등으로 이루어진 고물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물입히기 즉 코팅하는 코팅기, 반데기에 고물이 입혀져 유과, 과자, 스넥, 강정중의 하나로 제조된 건과자의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바삭바삭한 맛을 낼 수 있도록하는 제2건조기,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건과자를 제품의 규격에 따라 포장하는 포장기계장치로 이루어진 단계별 공정에 따른 제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tepwise revolving diagram of a grai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 압출 성형기 예시도로서,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부(21) 상부에 공급스크류(12)와 호퍼(11)가 설치되어 압출 성형기로 제조하고자 하는 건과자의 원료인 곡물을 팽화시킬 수 있도록 된 압출성형기의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grain processing extrusion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가공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뷰 단면구성도로서, 내면에 스크류를 갖는 실린더(22), 실린더(22)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봉(23), 실린더 헤드(24)에 설치된 히터(25)의 결합상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crew view of a grain processing extrus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상기 스크류부(21)는 투입구로 인입된 곡물을 분쇄하여 히터로 가열한 후 압출시켜 곡물이 팽화되도록 한 것이다.The
도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부의 실린더 내에 위치하여 곡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봉(23)의 스크류 배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4a, 4b shows a screw arrangement of the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기의 예시도로서, 곡물이 압출성형기에서 압출되 면서 팽화(속칭: 알파)되어 가래형태로 인출되면 이를 교정롤러(31)의 가이드공(31')을 통과 시키면서 외면의 울퉁불퉁한 면을 고르게 교전한 후 다시 압연롤러(32)로 제조하고자 하는 건과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압연한 후 절단칼(33)로 절단하도록 된 것이다.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a cu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ain is extruded in the extrusion molding machine (shrink: alpha) and withdrawn into the sputum shape while passing it through the guide hole 31 'of the straightening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칼를 이루고 있는 고정칼날과 롤러칼날 구성예시도로서, 고정칼날(34)의 날부가 톱니와 같은 형상을 하여 절단물의 절단면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도록하며, 고정칼날과 대응되는 로터리칼날(35)은 롤러 일측면에 칼날을 부착시켜 회전하면서 가래를 절단할 수 있도록된 것으로 절단되는 반대기의 길이를 길게 절단할 경우에는 로터리칼날(35)을 느린속도로 회전시키고 반데기 크기를 짧게할 경우에는 로터리칼날의 회전을 빠르게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6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blade and roller blade constituting the cutting knif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of the fixed
상기 로터리칼날의 회전은 통상의 감속기를 갖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이다. The rotation of the rotary blade is made of a motor having a conventional speed reducer.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예시도로서, 제1 오븐 건조기(40) 몸체는 드럼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망 내부에는 팽화된 반데기를 회전시켜 골고루 섞으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형태의 교반 날개(45)가 형성되어있다.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 first ove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of the
상기 드럼형태의 몸체는 저부양측에 모터에의해 구동되는 구륜롤러(42)가 접촉되어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하여 내부의 반데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된다.The drum-shaped body is able to dry the inside of the bandage by allowing the
또한 제1 오븐 건조기(40)의 몸체 하단부 양측에는 파이프가 설치되고 파이프 내측면에는 다수의 가스노즐(44)이 형성되어 점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a pipe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몸체구성 예시도로서,내부의 반데 기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히기 위해 몸체가 망으로 이루어진 드럼형태를 취한 것이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body configuration of a first ove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ody is made of a drum made of a net in order to efficiently dry an internal bandage.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오븐 건조기의 측면 구성도로서, 몸체 양측에 파이프배관이 설치되고 파이프의 내측에는 다수의 가스노즐이 형성되어 점화된 불꽂에 의하여 제1 오븐 건조기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하고, 저부에는 구륜롤러(42)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드럼형태의 몸체를 회전시켜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oven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ipe pipe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gas nozzles are formed inside the pipe to heat the first oven dryer by an ignited fire. In the bottom portion, the four-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기의 구성 예시도로서, 제1 오븐 건조기에서 건조된 반데기가 제2 이송콘베어에 의해 코팅기(50)내부로 공급된 반데기에 시럽으로 코팅하여 고물을 입힐 수 있도록하는 것으로, 저부에는 물엿 또는 조청, 설탕등으로 이루어진 시럽을 담을 수 있는 저장탱크(54)가 구비되고 저장탱크(54) 내의 시럽은 일측에 구비된 펌프와 연결된 분사파이프(53)에의해 내부의 반데기에 코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 10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a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ndage dried in a first oven dryer is coated with a syrup to a bandage supplied into the
상기 저장탱크내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시럽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heater is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to maintain the viscosity of the syrup.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기의 측면 구성도로서, 드럼형태의 코팅기(50) 몸체 양측에 히터배관(55)이 설치되어 몸체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하고, 저부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롤러(56)가 설치되어 몸체를 회전시켜 내부의 반데기가 시럽과 고물에 의해 코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11 is a side configuration of the coa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m-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건조기의 예시도로서, 코팅기에서 반데기가 시럽 및 고물에 코팅되어 건과자 제조된 후 건과자를 건조하기 위해 제3 이송컨베어 에 의해 제2 건조기 내의 산부 이송밸트에로 이송된다. 제2건조기 내에 구비된 이송밸트는 상하로 다수 설치되고 지그재그 이동될 수 있도록하여 건과자가 제2건조기 내에서 완전히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12 is an exemplary view of a seco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andage is coated on a syrup and solids in a coater to prepare dried confectionery, and then to the acid transfer belt in the second dryer by a third conveying conveyor to dry the dried confectionery.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belt provided in the second dryer is to be installed up and down a number of zigzag movement so that the confectioner can be completely dried in the second dryer.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건조기의 내부구성을 간략이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2 건조기(60) 내부에는 다수의 이송밸트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열 반사경과 히터, 송풍기를 설치하여 열을 제2건조기 내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어느한 부분만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 토록한 것이다.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ansfer belts are formed inside the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의 스크류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압출성형기의 실린더 헤드(24)와 스크류봉(23) 내측에 개재하도록 된 분배기(29)이다.Fig.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ew portion of the extru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상기 분배기는 스크류봉(23)에 의해 분쇄된 곡물이 분배기(29)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하여 압출구(27)로 압출될때 분배기(29) 중심축 외주면으로 압출되어 팽화가 이루어지므로 압출구 외부로 인출되는 가래의 내부는 속이빈 상태의 중공부룰 이루게된다.The dispenser is extrud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axis of the
상기 분배기를 통하여 압출기로 인출되는 곡물가래는 실린더 헤드(24) 압출구(27) 전면에 날개로 이루어진 절단칼을 설치하여 팽화되면서 인출된는 곡물가개를 잘개 부수어 건과자의 고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grains drawn out to the extruder through the dispenser may be used as a solid of dried confectionery by crushing the grains pulled out by swelling by installing a cutting knife made of wings in front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도14의 분배기를 사용하여 팽화된 누룽지의 반데기를 회전칼(도시없음)로 잘게 부수어 누룽지로 이루어진 반데기 고물로 사용하면 누룽지의 고소한 맛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plitter of the puffed Nurungji using a splitter finely pulverized with a rotary knife (not shown) using a splitting knife (not shown) has the effect of utilizing the savory taste of Nurungji.
도15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른 곡물가공 공정도로서 상기 곡물가공창치 의 의하여 건과자가 제조되는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5 is a grain processing process diagra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rocess diagram of the dried confectionery by the grain processing window value.
이렇게된 본 발명은 곡물을 주원료로하여 유과, 한과, 강정, 과자, 스넥등의 건과자를 선택으로 생산함과 동시에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roduction of dried confectionery such as confectionery, confectionery, Gangjeong, sweets, snacks, etc., with grain as the main raw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o enable mass production in a short time.
이상에 설 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곡물을 원료로한 건과자를 생산시 내면에 스크류가형성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봉 의하여 곡물이 분쇄된 후 압출되는 동시에 팽화되도록 함으로서, 여러가지의 건과자를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누룽지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맛있는 건과자를 생산하여 공급함으로서 어린이, 청소년, 노인등 누구나 즐겨먹을수 있도록함으로 과잉생산되는 쌀의 소비를 촉진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variety of dry confectionery by making the granules are crushed and extruded at the same time as the grains are crushed by the screw-shaped cylinder and the screw rods located inside the cylinder during produc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especially by producing and supplying various types of delicious confectionery using Nurungji, so that children, adolescents, the elderly, etc., everyone can enjoy eating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consumption of over-produced ric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76065A KR100553386B1 (en) | 2003-10-29 | 2003-10-29 |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76065A KR100553386B1 (en) | 2003-10-29 | 2003-10-29 |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40608A KR20050040608A (en) | 2005-05-03 |
| KR100553386B1 true KR100553386B1 (en) | 2006-02-22 |
Family
ID=372423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760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53386B1 (en) | 2003-10-29 | 2003-10-29 |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53386B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3203B1 (en) * | 2006-12-11 | 2007-12-06 | 이인숙 | Korean medicine mold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orean medicine |
| KR100876193B1 (en) | 2007-06-18 | 2008-12-2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Non-yutang Yukwa using Extru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093600B1 (en) | 2009-03-31 | 2011-12-15 | 강화군 | Disposable cup Nurungji using lotus roo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91104B1 (en) | 2010-02-04 | 2012-10-15 | 강희창 | Tapioca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20138B1 (en) | 2012-11-26 | 2014-07-17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nstant yukwa delivery apparatus with extension pipe |
| KR101469141B1 (en) * | 2013-08-02 | 2014-12-04 | 김정호 | The coating equipment for a grain |
| KR20170071170A (en) * | 2015-12-15 | 2017-06-23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갈골한과명인식품 |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using non-fried process |
| KR20170135082A (en) * | 2016-05-30 | 2017-12-08 | 주식회사 글로원 | A method for preparing YUKWA puffed by extruder |
| CN107538540A (en) * | 2017-09-05 | 2018-01-05 | 重庆文理学院 | A kind of dried Chinese gooseberry producing device |
| KR20190094583A (en) * | 2018-02-05 | 2019-08-14 | 지 연 하 | Preparation Method of Paprika and Laver Sna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99369B1 (en) * | 2007-06-28 | 2008-01-30 | 박종래 | Bulging device |
| KR100813584B1 (en) * | 2007-08-29 | 2008-03-17 | (주)조은식품 | Sweet corn snack with la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50067B1 (en) * | 2009-11-12 | 2012-05-31 | 이병철 | a rice film drying device for a rice noodle manufactur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
| KR101420139B1 (en) * | 2012-11-26 | 2014-07-17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Belt conveyer machine with starch syrup removal means |
| KR101750880B1 (en) | 2014-06-27 | 2017-06-29 | (주)대한식품 | Cruching apparatus for crust of overcooked rice |
| KR20180062722A (en) * | 2016-12-01 | 2018-06-11 | 고영권 | Dasik and method manufacturing thereof |
| KR101852557B1 (en) * | 2017-09-25 | 2018-06-04 | 주식회사 성산지엔 | Device for manufacturing korean traditional sweets and cookies |
| KR101875210B1 (en) * | 2018-01-23 | 2018-07-06 | 신성범 | Furnace for rice cracker with indirect heating type burner |
| KR200487908Y1 (en) * | 2018-10-18 | 2019-02-14 |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rst of overcooked rice |
| CN109845867B (en) * | 2019-02-26 | 2022-07-22 | 吉林北显生态农业集团有限公司 | Grain agricultural product deep processing extension system and specific process method thereof |
| KR102437069B1 (en) * | 2020-02-17 | 2022-08-29 | 주식회사 크라운제과 | The Snack cookie and Snack cookie manufactur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hapes inside |
| KR102484449B1 (en) * | 2021-11-22 | 2023-01-02 |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 Brown rice chip production system |
Citation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955529A (en) * | 1974-08-22 | 1976-05-11 | Reed & Associates, Inc. | Automatic breading machine |
| JPS62262949A (en) * | 1986-06-20 | 1987-11-16 | Yoshida Kikai Kogyo Kk | Dryer |
| JPS63105663A (en) * | 1986-10-23 | 1988-05-10 | Ikeden Seisakusho:Kk | Low-temperature drying apparatus |
| KR890002185Y1 (en) * | 1986-12-10 | 1989-04-15 | 박우수 | Continuous cutting device of rice cake |
| US5100683A (en) * | 1991-02-21 | 1992-03-31 | Wenger Manufactur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product coating and drying |
| KR920006497Y1 (en) * | 1989-12-06 | 1992-09-19 | 주식회사 농 심 | Apparatus for shaping biscuit |
| KR930001611Y1 (en) * | 1990-05-03 | 1993-04-08 | 주식회사 비락 | Food forming rollers |
| US5466290A (en) * | 1990-11-05 | 1995-11-14 | Mcneil-Ppc, Inc. | Drying systems for apparatus for gelatin coating tablets |
| KR19990068445A (en) * | 1999-05-20 | 1999-09-06 | 김상근 | The method of korean pastry manufacture using powdered glulinous rico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
| KR20000018825U (en) * | 1999-03-30 | 2000-10-25 | 정창옥 | An automixing and autodischarge for production of a glutinous ricecracker frizzled in oil |
| KR200313668Y1 (en) * | 2003-02-21 | 2003-05-22 | 김형일 | Cutting device such as rice cake and sputum |
-
2003
- 2003-10-29 KR KR1020030076065A patent/KR10055338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3955529A (en) * | 1974-08-22 | 1976-05-11 | Reed & Associates, Inc. | Automatic breading machine |
| JPS62262949A (en) * | 1986-06-20 | 1987-11-16 | Yoshida Kikai Kogyo Kk | Dryer |
| JPS63105663A (en) * | 1986-10-23 | 1988-05-10 | Ikeden Seisakusho:Kk | Low-temperature drying apparatus |
| KR890002185Y1 (en) * | 1986-12-10 | 1989-04-15 | 박우수 | Continuous cutting device of rice cake |
| KR920006497Y1 (en) * | 1989-12-06 | 1992-09-19 | 주식회사 농 심 | Apparatus for shaping biscuit |
| KR930001611Y1 (en) * | 1990-05-03 | 1993-04-08 | 주식회사 비락 | Food forming rollers |
| US5466290A (en) * | 1990-11-05 | 1995-11-14 | Mcneil-Ppc, Inc. | Drying systems for apparatus for gelatin coating tablets |
| US5100683A (en) * | 1991-02-21 | 1992-03-31 | Wenger Manufactur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product coating and drying |
| KR20000018825U (en) * | 1999-03-30 | 2000-10-25 | 정창옥 | An automixing and autodischarge for production of a glutinous ricecracker frizzled in oil |
| KR19990068445A (en) * | 1999-05-20 | 1999-09-06 | 김상근 | The method of korean pastry manufacture using powdered glulinous rico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
| KR200313668Y1 (en) * | 2003-02-21 | 2003-05-22 | 김형일 | Cutting device such as rice cake and sputum |
Cited By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83203B1 (en) * | 2006-12-11 | 2007-12-06 | 이인숙 | Korean medicine mold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orean medicine |
| KR100876193B1 (en) | 2007-06-18 | 2008-12-29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Non-yutang Yukwa using Extru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093600B1 (en) | 2009-03-31 | 2011-12-15 | 강화군 | Disposable cup Nurungji using lotus roo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91104B1 (en) | 2010-02-04 | 2012-10-15 | 강희창 | Tapioca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20138B1 (en) | 2012-11-26 | 2014-07-17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Constant yukwa delivery apparatus with extension pipe |
| KR101469141B1 (en) * | 2013-08-02 | 2014-12-04 | 김정호 | The coating equipment for a grain |
| KR20170071170A (en) * | 2015-12-15 | 2017-06-23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갈골한과명인식품 |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using non-fried process |
| KR101995246B1 (en) * | 2015-12-15 | 2019-07-0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갈골한과명인식품 | Manufacturing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using non-fried process |
| KR20170135082A (en) * | 2016-05-30 | 2017-12-08 | 주식회사 글로원 | A method for preparing YUKWA puffed by extruder |
| KR101887612B1 (en) * | 2016-05-30 | 2018-08-10 | 주식회사 글로원 | A method for preparing YUKWA puffed by extruder |
| CN107538540A (en) * | 2017-09-05 | 2018-01-05 | 重庆文理学院 | A kind of dried Chinese gooseberry producing device |
| KR20190094583A (en) * | 2018-02-05 | 2019-08-14 | 지 연 하 | Preparation Method of Paprika and Laver Snack |
| KR102106681B1 (en) * | 2018-02-05 | 2020-05-04 | 지 연 하 | Preparation Method of Paprika and Laver Snack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40608A (en) | 2005-05-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53386B1 (en) | Dry Confectionery Process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ains | |
| KR100314383B1 (en) | The method of korean pastry manufacture using powdered glulinous rico and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 |
| Fast | Manufacturing technology of ready-to-eat cereals | |
| CA2589234C (en) | Edible container for foodstuff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 CA2341125C (en) | Food bar | |
| CN100456944C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uffed snack food | |
| CA1268989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risp rice | |
| EP1363513B1 (en) |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he continuous preparation of pellets for the production of snack-type food products | |
| KR101778862B1 (en) | Granules for preparing puffed snacks, and method for preparing puffed rice snacks using the same | |
| KR2021001965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rain Dried Sweets | |
| US3450538A (en) | Process for making a ready-to-eat breakfast cereal with a filling therein | |
| WO2010093983A1 (en) | Snack food chip containing cooked grain and method of making same | |
| US3464826A (en) | Process for making breakfast cereal | |
| US8039037B2 (en) | Multi-textured ready-to-eat cereal with extruded rice pellets | |
| Fast et al. | Breakfast—Forms, ingredients, and process flow | |
| Seker | Extrusion of snacks, breakfast cereals, and confectioneries | |
| EP0626138B1 (en) | Process for preparing ready-to-eat cereal flakes | |
| KR20030083049A (en) | Korean traditional oil and honey pastry like snack using rice and method for preparing it | |
| Culbertson | Grain, Cereal: Ready‐to‐Eat Breakfast Cereals | |
| RU2838217C1 (en) | Method of production of extruded snacks | |
| TWI753314B (en) | Rice cracker puffing processing device with compound taste | |
| CN213819812U (en) | Full-automatic bulking device | |
| HUP0101066A2 (en) | Extruderhead for making snack foods having two or more filled axial cavities | |
| CN112535258B (en) | Full-automatic continuous puff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 KR102254571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of ball snack using surimi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2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21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