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440B1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4440B1 KR100564440B1 KR1020040043877A KR20040043877A KR100564440B1 KR 100564440 B1 KR100564440 B1 KR 100564440B1 KR 1020040043877 A KR1020040043877 A KR 1020040043877A KR 20040043877 A KR20040043877 A KR 20040043877A KR 100564440 B1 KR100564440 B1 KR 1005644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door unit
- air conditioner
- front frame
- main chass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샤시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전방과 상방은 물론 후방으로부터도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let is formed in the main chassis, and the air can be sucked from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rear side.
본 발명은 상단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후면흡입구(116)가 성형되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110)와;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에 구비되고,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20)과;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을 차폐하고, 전면프레임(120)과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전면패널(130)과; 상기 전면패널(130)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그릴(140)과;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메인샤시(110) 사이에 설치되고, 열교환이 일어나는 열교환기(190)와;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의 틈새와, 상기 흡입그릴(140) 및 상기 후면흡입구(11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공기조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suction hole 116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main chassis 110 forming a rear exterior thereof; A front frame 12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chassis 110 to form a front exterior; A front panel 130 that shields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1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suction grill 14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30 to guide the inflow of air; A heat exchanger 190 installed between the front frame 120 and the main chassis 110 to perform heat exchange;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frame 120,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lter 18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Accordingly,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30 and the front frame 120 and through the suction grill 140 and the rear suction port 116.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is improved.
공기조화기, 실내기, 메인샤시, 흡입Air conditioner, indoor unit, main chassis, suc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과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and the state of the air flow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요부구성인 메인샤시의 배면도.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main chassis which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과 공기의 유동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the air flow state of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10. 메인샤시100.
112. 고정브라켓 114. 고정단112. Fixed Bracket 114. Fixed End
116. 후면흡입구 120. 전면프레임116.
122. 토출구 130. 전면패널122.
140. 흡입그릴 150. 흡입구140. Suction grill 150. Suction port
152. 중앙분리대 160. 필터프레임152.
162. 상지지대 162'. 고정돌기162. Upper Supports 162 '. Fixing protrusion
164. 하지지대 164'. 하단돌기164. The Lower Zone 164 '. Bottom projection
166. 중앙지지대 168. 연결리브166.
170. 고성능필터 180. 필터170. High Performance Filter 180. Filter
190. 열교환기 192. 횡류팬190.
194. 팬모터 200. 토출그릴194. Fan Motor 200. Discharge Grill
202. 토출유로 204. 베인202.
206. 루버 208. 보조베인206. Louver 208.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샤시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전방과 상방은 물론 후방으로부터도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inlet is formed in a main chassis, and the air can be sucked from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rear sid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 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다른 역할에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과, 최근에는 공기정화 기능이 포함된 것까지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추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indoor air in the most optimal state according to the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room becomes hot, such as summer, the air is cooled by blowing low temperature wind, and in the winter, the room is heated by blowing high temperature warm wind. In addition, the role of the air conditioner is to control the humidity in the room, and in recent years has a trend that has more diverse functions, includ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소음과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된다.Such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into one type and a separate type.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one unit as a whole, and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s divided into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n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outdoor space.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s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noise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air condition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 공기가 흡출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샤시(1)가 실내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메인샤시(1)의 전면에는 전면프레임(3)이 장착되어 실내기의 외관이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3)이 장착되는 메인샤시(1)는 실내의 벽에 장착된다.As shown, the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Between the
한편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Meanwhile,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formed by the
상기 전면프레임(3)의 전방에는 전면흡입그릴(5)이 형성된 흡입패널(7)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7)의 상단에 는 힌지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패널(7)이 회동할 수 있게 한다.The front of the
상기 전면흡입그릴(5)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흡입패널(7)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3)의 상면에도 좌우로 길게 상면흡입그릴(3')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상면흡입그릴(3')은 상기 전면프레임(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 구비된다.The
상기 전면프레임(3)의 후방에는 열교환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9)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9')가 설치된다.The
상기 열교환기(7)의 후방에는 횡류팬(10)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메인샤시(1)의 내측에 일체로 더 형성된다.A
한편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프레임(3)의 하단에는 토출그릴(11)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air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상기 토출그릴(11)의 내부에는 상기 횡류팬(10)을 거쳐나온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3 is formed inside the
그리고 상기 토출유로(13)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5)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6)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1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6)는 링크(17)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In addition, a vane 15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up and down and a louver 16 for adjusting left and right ar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13. The louvers 16 are provided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louvers 16 are connected by the link 17 and operated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의 하단부 대략 중앙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basis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as follows.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는 상기 횡류팬(11)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다. 즉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3')을 통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며, 열교환기(9)를 통과하게 된다.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by the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9)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9) 내부를 흐르는 작동유체(냉매)와 열교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열교환기(9)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되어 상기 횡류팬(10)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횡류팬(10)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토출되어 상기 토출유로(13)측으로 안내된다.The air heat-exchanged in the
토출유로(13)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토출유로(1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베인(15)과 루버(16)에 의해 그 토출방향이 조절되고 상기 토출그릴(13)을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베인(15)과 루버(16)는 구동하는 것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 및 좌우로 분산되도록 하므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 로 골고루 토출되도록 한다.The air guid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13 is controlled by the vane 15 and the louver 16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13 to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discharge grill 13. It is discharged to the space for. At this time, since the vanes 15 and the louvers 16 are discharged by driving the air dischar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vanes 15 and the louvers 16 are evenly discharged in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상기 열교환기(9)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메인샤시(1)의 좌측에 고정브라켓(8)을 마련함과 동시에 우측에는 열교환기(9)의 스크류체결단(9a)과 대응되는 고정단(8')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8') 내부에는 스크류체결공(8")이 천공 형성되어야 한다.In order to fix the
상기 고정브라켓(8)의 전방측 및 상측에는 열교환기(9)의 좌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8a) 내부에는 열교환기(9)의 좌측 헤어핀(9c)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8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n
또한 상기 열교환기(9)의 스크류체결단(9a)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체결공 (8")과 대응되는 스크류관통공(9b)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crew through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열교환기(9)가 고정되는 것은, 스크류(S)를 사용하여 메인샤시(1)의 좌측에 고정브라켓(8)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8)의 삽입홈(8a)은 우측을 향해 개구된다.As the
상기 고정브라켓(8)의 삽입홈(8a)에 열교환기(9)의 헤어핀(9c)을 삽입하면, 상기 헤어핀(9c)이 삽입홈(8a) 내부의 걸림돌기(8b)에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열교환기(9)의 좌측 단부가 먼저 고정된다.When the
이후 상기 열교환기(9)의 우측,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체결단(9a)을 메인샤시(1)의 고정단(8')에 밀착시킨 다음, 스크류관통공(9b)과 스크류체결공(8")에 스크류(S)를 체결하면 상기 열교환기(9)가 메인샤시(1)에 고정된다.Thereafter, the right side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는 공기의 흡입이 전방에서만 이루어지거나, 전방 또는 상방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입체적인 공기의 흡입이 어려우므로, 실내공간(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the intake of air is made only at the front side, or has the configuration made at the front side or the upper side. 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intake three-dimensional 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circulation in the indoor spac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not smoot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방면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is sucked in various asp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의 프레임을 이루고, 후방으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안내하는 후면흡입구가 형성되는 메인샤시와; 상기 메인샤시의 전방에 구비되고,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chassis which forms a frame of the indoor unit and has a rear suction port for guiding air inflow from the rear; A front fram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chassis and forming a front exterior; A front panel shielding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suction grill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to guide the inflow of air.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설치되어, 상기 전면패널과 전면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panel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frame.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fron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is further installed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상기 후면흡입구는 상기 메인샤시의 상단부에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uc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chassis.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부는 후방으로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backward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해지므로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irculation of air is smoo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improved.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전체적인 프레임(frame)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110)와,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구성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은 전면패널(130)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전면패널(130)의 상측, 즉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흡입그릴(1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전면프레임(12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극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130)의 하단부와 좌우 측단부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The
한편 상기 전면패널(130)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과 대응되도록 상단부 가 후방으로 일정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은 하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2)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그릴(200)이 구비된다.The
상기 토출구(122)의 우측단 상측에는 디스플레이창(124)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24)은 투명하게 구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그릴(200)의 표시부(도시되지 않음)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실내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면을 참조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샤시(110)는 실내의 벽면에 장착된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110)와 전면프레임(12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100)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Between the
상기 메인샤시(110)의 좌측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90) 및 횡류팬(192)의 좌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는 열교환기(190)와 횡류팬(192)의 우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단(11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left end of the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방에는 흡입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50)는 상기 실내기(10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필터프레임(160)이 좌우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60)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성능필터(17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5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가로지르는 중앙분리대(152)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앙분리대(152)의 좌우에 필터프레임(160)이 각각 형성된다.A suction port 150 is formed in front of the
상기 필터프레임(160)에는 고성능필터(170)가 장착된다. 상기 고성능필터(170)는 단일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연기나 각종 냄새 등을 탈취하는 암모니아 탈취필터(172)나,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174) 및 휘발성 유기물의 냄새를 탈취하는 톨루엔(VOC) 탈취필터(176)로 구성된다. The
상기 흡입그릴(14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이러한 상기 흡입그릴(140)은 필터프레임(160)의 흡입구(150) 상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40)은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180)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장착된다.The
상기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에는 필터(18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필터(180)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5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The filter 180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즉 상기 필터(180)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20)과 전면패널(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전면부(182)와, 상기 전면부(182)의 상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흡입그릴(1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상면부(184)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샤시(110)의 후면흡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후면부(18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8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은 물론 메인샤시(110)의 상단부에 이르는 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filter 180 is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he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방에는 열교환기(19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90)는 상기 흡입그릴(14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흡입구(150)와 대응되도록 다수 절곡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열교환기(190)의 후방에는 횡류팬(192)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92)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횡류팬(192)은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5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The
상기 횡류팬(192)의 우측에는 횡류팬(192)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94)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샤시(110)의 전면은 상기 횡류팬(19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횡류팬(19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ight side of the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 내측에는 토출그릴(20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200)에는 실내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202)가 형성된다. The discharge grill 200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상기 토출그릴(200)에는 상기 토출유로(2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204)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20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루버(20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206)는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The discharge grill 200 is provided with a
상기 토출그릴(200)의 우측단에는 상기 베인(204)과 더불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보조베인(208)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베인(208)의 일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보조베인(208)의 회동을 강제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베인(208)의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An auxiliary vane 208 is further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discharge grill 200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ogether with the
한편 도 5에는 상기 메인샤시(110)의 후면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시(110)의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건물의 벽면과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rea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110)의 상단부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후면흡입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흡입구(116)는 메인샤시(11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가 내부 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좌우로 나란히 다수개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6 as follows.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횡류팬(192)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팬모터(194)가 동작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횡류팬(192)이 회전한다.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by the
상기 횡류팬(192)이 회전하면, 흡인력이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140)과, 상기 전면패널(130)과 전면프레임(120) 사이의 틈새 및 상기 메인샤시(110)의 후면흡입구(116)를 통해 외부(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180)와 고성능필터(180)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이물이 걸러지며, 연이어 상기 열교환기(190)를 통과한다. 열교환기(190)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190) 내부를 흐르는 작동유체(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냉방모드의 경우, 이하 냉방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상기 열교환기(190)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되어 상기 횡류팬(192)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횡류팬(192)으로 흡입되는 횡류팬(192)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다음 하방으로 안내된다.The air heat-exchanged in the
그리고 하방으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토출그릴(200)의 토출유로(202)를 통과하며, 이때 토출유로(20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베인(204)과 루버(206)에 의해 토출방향이 조절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The air guided downward passes through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전면프레임과 전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와 흡입그릴 그리고 메인샤시의 후면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air and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frame and the front panel, the suction grill, and the rear suction port of the main chassi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방과 상방 및 후방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하방으로 토출되므로, 전체적으로 실내공간(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ir is introduced from the front, upper and rear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discharged downward, the air circulation of the indoor spac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moothed as a whol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expec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43877A KR100564440B1 (en) | 2004-06-15 | 2004-06-15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US11/151,237 US7685833B2 (en) | 2004-06-15 | 2005-06-14 | Air conditioner |
| ES05253716.4T ES2545640T3 (en) | 2004-06-15 | 2005-06-15 | Air conditioner |
| EP05253716.4A EP1607692B1 (en) | 2004-06-15 | 2005-06-15 | Air conditioner |
| CNB2005100878549A CN100439802C (en) | 2004-06-15 | 2005-06-15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43877A KR100564440B1 (en) | 2004-06-15 | 2004-06-15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118783A KR20050118783A (en) | 2005-12-20 |
| KR100564440B1 true KR100564440B1 (en) | 2006-03-29 |
Family
ID=357185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438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440B1 (en) | 2004-06-15 | 2004-06-15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64440B1 (en) |
| CN (1) | CN100439802C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588189A (en) * | 2015-02-15 | 2016-05-18 |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15604B1 (en) * | 2006-01-16 | 2013-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US8505327B2 (en) | 2006-01-16 | 2013-08-13 | Lg Electronics Inc.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819632B1 (en) * | 2006-12-07 | 2008-04-04 | 캐리어 주식회사 | Case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
| KR101608981B1 (en) * | 2007-10-22 | 2016-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KR101399080B1 (en) * | 2014-01-13 | 2014-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EP3168604B1 (en) * | 2015-11-10 | 2021-12-01 | LG Electronics Inc. | Device for measuring floating micro-organisms |
| CN109186070A (en) * | 2018-09-11 | 2019-01-11 | 贵州全世通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ilter core for air humidifier |
Family Cites Familie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55184A (en) * | 1993-08-06 | 1995-03-03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JPH10185232A (en) * | 1996-12-20 | 1998-07-14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grill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
| JP3317203B2 (en) * | 1997-08-05 | 2002-08-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 NL1007379C2 (en) * | 1997-10-28 | 1999-04-29 | Norbert Peter Vroege | Air handling unit. |
| JP3006590B2 (en) * | 1998-06-08 | 2000-02-07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JP3168266B1 (en) * | 1999-12-27 | 2001-05-2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Air conditioner |
| JP3807344B2 (en) * | 2002-05-21 | 2006-08-09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Air conditioner |
| JP2004138310A (en) * | 2002-10-17 | 2004-05-13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
2004
- 2004-06-15 KR KR1020040043877A patent/KR1005644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6-15 CN CNB2005100878549A patent/CN10043980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588189A (en) * | 2015-02-15 | 2016-05-18 |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0439802C (en) | 2008-12-03 |
| CN1712800A (en) | 2005-12-28 |
| KR20050118783A (en) | 2005-12-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594411B2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 KR100596254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EP1607689B1 (en) | Air conditioner | |
| CN210832255U (en) | Floor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
| KR101192107B1 (en) | Structure of discharge grille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 |
| KR100564440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 US7685833B2 (en) | Air conditioner | |
| KR101101636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100626446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101158124B1 (en) | Air-conditioner | |
| KR101101576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101250159B1 (en) | Split typ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7535A (en) | Main chassis structure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2425A (en) | Discharge grill structure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7529A (en) | Discharge vane structure of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7534A (en) | Louver fixing structure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7530A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50119734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 KR101155480B1 (en) | 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 KR20070077240A (en) | Vane driv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 |
| KR20080062784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20080010979A (en) | External air inlet device of air conditioner | |
| KR100925718B1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70053834A (en) |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 |
| KR20060027531A (en) | Filter structure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3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32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