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720B1 -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 Google Patents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4720B1 KR100564720B1 KR1020050072553A KR20050072553A KR100564720B1 KR 100564720 B1 KR100564720 B1 KR 100564720B1 KR 1020050072553 A KR1020050072553 A KR 1020050072553A KR 20050072553 A KR20050072553 A KR 20050072553A KR 100564720 B1 KR100564720 B1 KR 100564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ion hole
- head restraint
- head
- fixed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은 사용자의 머리가 안치되며 회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삽입공이 형성된 회동고정부가 설치된 머리안치부와, 상부에는 상기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에서 이어진 축부가 형성된 힌지고정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타원형의 걸림턱이 종방향으로 요(凹)설되고 종방향으로 요설된 걸림턱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승강홈이 형성된 승강대와, 의자의 등받이판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대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대의 걸림턱에 삽입이탈되면서 상기 승강대를 정지 또는 가동되도록 하는 조정부가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로 구성되고, 승강대의 힌지고정축의 일측인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를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 삽입공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일측 삽입부가 회동고정부에 고정되는 단계와, 타측의 일측인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를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 삽입공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타측 삽입 부가 회동고정부에 고정되는 단계로 구성되어, 머리안치부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머리안치부의 힌지고정으로 인하여 쉽게 회동작동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키가 큰 사람은 높게 작은 사람은 작게 하여 사용하게 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높이조절의 단계가 다단계로 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thod for fixing the head restraint of the head restraint and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ead restraint portion is installed and the rotatable fixing portion is installed rotatably operated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restraint portion of the rotation fixing portion inserted An insertion part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ll and having a shrinkage slit in the middle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a hinged fixed axis formed with a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art, and a plurality of elliptical locking jaws in the lower direction are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Iii) a lifting platform having a lifting groov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locking jaw that is installed and longitudinally recessed, and is fixed to the backrest plate of the chair, and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platform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lifting platform. The adjusting unit for stopping or operating the platform is composed of a fixed base installed on the upper, the hinge fixed shaft of the platform Arranging the insertion part formed with the shrinkage slit, which is one side of the hea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pivot fixing part, and forcibly press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hinge fixing shaf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ivot fixing part by As the diameter of the insert temporarily contracts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contraction slit, i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s a result, one side of the insert is fixed to the rotation fixing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ert is formed with the contraction slit. Arranging the insertion holes of the hinge fixing shaft in a straight line, and forc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hinge fixing shaf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pivot fixing member to force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inge fixing shaft to temporarily contract the shrinkage slit. Due to the contraction, i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t is composed of steps fixed to the government, which makes it easy to assemble the head restraint, which improves productivity, reduces manpower, and is easily rotated by the hinge of the head restraint for convenient use and easy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to suit the user's body, so that the taller people are smaller and the smaller ones are used, and the height adjustment is easy to use. .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후방에서 본사시도1 is a headquarters view from the rear of the head restrain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2b,2c,2d,2e 및 2f는 본 발명의 머리안치부와 머리받침대의 승강대와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Figures 2a, 2b, 2c, 2d, 2e and 2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assembling state of the head restraint and the platform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3b는 머리안치부와 결합전후의 머리받침대의 사시도Figure 3a,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restraint before and after coupling with the head set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전방에서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of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의 작동을 설명하는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머리안치부 2. 승강대1.
3. 고정대 11. 삽입공3. Fixture 11. Insertion hole
12. 회동고정부 20. 힌지고정축12. Hoejeonggo Government 20. Hinge Fixed
21. 수축슬릿 22. 삽입부21. Shrinkage
23. 축부 31. 조정부23. Shaft
본 발명은 의자용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머리받침대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안치되는 머리안치부의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머 용이하게 머리안치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의자용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ixing a head restraint of a head restraint and a head restraint for a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he assembly of the head restraint where the user's head is placed in the head rest is very easy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and a method for fixing a head restraint for a chair and a head restraint of the head restraint which are convenient to use.
일반적으로,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고급형의자에 부착되어 의자사용자들이 업무중이나 휴식중에 머리를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높이가 조절할 수 없이 일정높이로 의자의 등받이의 상부에 고정되어 의자의 사용자들이 높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의자의 사용자의 앉은 키가 클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시 머리받침대의 높이가 낮으므로 머리받침대가 목부분에 걸려 불편하고 의자사용자의 앉은 키가 작을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시 머리받침대의 높이가 사용자의 머리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역시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의자의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대단히 조잡하여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없으며 조절하더라도 약 3단정도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역시 사용자가 사용이 대단히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chair headrests are attached to high-end chairs so that chair users can lean their heads while working or resting.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hair headres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chair to a certain height without height adjustment has a problem that users of the chair can not adjust the height arbitrarily, it is inconvenient to use. In other words, if the user's sitting height of the chair is large,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is low when sitting on the chair. Since the position is higher than the user's hea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use becomes inconvenient. In addition, even though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can be adjusted, the structur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chair is very coarse, and the height cannot be easily adjus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is very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안치부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머리안치부의 힌지고정으로 인하여 쉽게 회동작동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머리안치부를 갖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및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assembly of the head set is easy to improve productivity, reduce the manpower and easy rotational operation due to the hinge of the head set for the chair having a convenient head set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fixing the head restraint and head restrai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시버튼을 눌러 승강대를 올리고 내리는 간단한 작동만으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키가 큰 사람은 높게 작은 사람은 작게 하여 사용하게 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높이조절의 단계가 다단계로 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restraint simply by pressing the push button to raise and lower the platform to adjust the height to suit the user's body, tall people are small and small people are small It is easy to use as it is easy to use, and the height adjustment stage is multi-stage, so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its structure is simpler,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provides a fixing method of the head restraint of the head restraint and the head rest It is.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가 안치되며 회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삽입공이 형성된 회동고정부가 설치된 머리안치부와, 상부에는 상기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에서 이어진 축부가 형성된 힌지고정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타원형의 걸림턱이 종방향으로 요(凹)설되고 종방향으로 요설된 걸림턱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승강공이 형성된 승강대와, 의자의 등받이판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대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대의 걸림턱에 삽입이탈되면서 상기 승강대를 정지 또는 가동되도록 하는 조정부가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This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r's head is settled and rotatably operated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head fixing portion is installed, the upper portion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on fixing portion of the head set portion and the shrinkage slit in the middle The formed insertion portion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and a hinged fixed shaft having a shaft portion form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elliptical locking jaws ar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thereof. An elevator platform having a lifting hole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middle of the locking jaw, and an adjustment unit fixed to a back plate of a chair an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platform to stop or operate the platform while being remov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platform. It is achieved by a head restrai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sisting of a fixture installed on it.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방법은 이하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method of fixing the head restraint and the head restraint portion of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안치되며 회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삽입공(11)이 형성된 회동고정부(12)가 후면에 설치된 머리안치부(1)와, 상부에는 상기 머리안치부(1)의 회동고정부(12)의 삽입공(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외향으로 개방된 수축슬릿(21)이 형성된 삽입부(22)와 상기 삽입공(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22)에서 이어진 축부(23)가 형성된 힌지고정축(2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타원형의 걸림턱(24)이 종방향으로 요(凹)설되고 종방향으로 요설된 걸림턱(24)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승강공(25)이 형성된 승강대(2)와, 의자의 등받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대(2)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대(2)의 걸림턱(24)에 삽입이탈되면서 상기 승강대(2)를 정지 또는 가동되도록 하는 조정부(31)가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3)로 구성되어 있다.Head restrain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s head is settled and rotatably operated and the
상기 머리안치부(1)의 회동고정부(12)의 외측에는 슬릿홈(13)이 형성되어 힌지고정축(20)의 삽입부(22)의 삽입시 어느 정도 삽입공(11)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A
상기 승강대(2)의 힌지고정축(20)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부(22)의 최대직경(D1)은 상기 삽입공(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일단 삽입부(22)가 삽입될 경우 삽입부(22)의 이탈은 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고정축(20)의 삽입부(22)가 머리안치부(1)의 삽입공(11)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삽입부(22)의 직경이 수축되거나 삽입공(11)의 직경이 늘어나거나 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22)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축소되도록 삽입부(22)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수축슬릿(22)을 형성시켜 일시적으로 삽입부(22)가 삽입공(11)에 삽입되면서 압박을 받게 되어 수축슬릿(22)의 두께(D2)만큼 수축되므로 삽입부(22)의 직경이 줄어들어 D1-D2가 되므로 삽입공(11)의 직경보다 작아져서 삽입공(11)을 통과하면서 압박이 풀리게 되어 수축되었던 수축슬릿(22)의 두께가 원상태로 회복되므로 삽입된 일측 삽입부(22)는 회동고정부(12)에서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어 회동고정부(1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 후, 힌지고정축(20)의 다른 삽입부(22)를 다른 회동고정부(12)에 일직선상으로 위치시키고 삽입부(22)를 삽입시키면 삽입부(22)가 삽입공(11)에 삽입되면서 압박을 받게 되어 수축슬릿(22)의 두께(D2)만큼 수축되므로 삽입부(22)의 직경이 줄어들어 D1-D2가 되므로 삽입공(11)의 직경보다 작아져서 삽입공(11)을 통과하면서 압박이 풀리게 되어 수축되었던 수축슬릿(22)의 두께가 원상태로 회복되므로 양측의 삽입부(22)가 모두 회동고정부(12)에 고정되고 회동고정부(12)에서 이탈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힌지고정축(20)의 축부(23)가 삽입공(11)내에 삽입되어 머리안치부(1)는 항상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축(2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maximum diameter (D1) of the
상기 고정대(3)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고정되며 중간에 종방향으로 승강대(2)가 삽입되며 승하강되는 승강공간(33)이 형성되게 암수로 조립되며 일측 상단에 는 조정부(31)의 푸쉬버튼이 돌출되는 돌출공(34)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단에는 조정부(31)의 푸쉬버튼이 안치되는 안치돌조홈(35)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본체(32)를 갖는다. 상기 고정대본체(32)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고리(321)와 결합테(322)에 의하여 결합고리(321)가 결합테(322)상에 끼워맞춤결합 된다.The holder (3) is fixed to the upper back of the chair and is assembled in the male and female to form a lifting space 33 is inserted into the
상기 고정대(3)의 조정부(31)는 상기 승강대(2)의 타원형의 걸림턱(24)에 걸리며 고정대본체(32)의 안치돌조홈(35)에 배치되는 타원형의 걸림턱(311a)과 사용자가 누르며 고정대본체(32)의 돌출공(34)에 돌출되는 압압부(311b)의 2단으로 이루어진 푸시버튼(311)과, 상기 고정대본체(32)의 안치돌조홈(35)상에 배치되며 상기 푸시버튼(311)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1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adjusting
또한, 머리안치부(1)의 고정방법은 위에 약간 기술된 바와 같이, 승강대(2)의 힌지고정축(20)의 일측인 수축슬릿(21)이 형성된 삽입부(22)를 머리안치부(1)의 회동고정부(12)의 삽입공(11)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도2a에 도시)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12)의 삽입공(11)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도2b에 도시)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 삽입공(11)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도2c에 도시)되면서 일측 삽입부(22)가 회동고정부(12)에 고정되는 단계와, 타측의 수축슬릿(21)이 형성된 삽입부(22)를 머리안치부(1)의 회동고정부(12)의 삽입공(11)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도2d에 도시)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12)의 삽입공(11)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도2e에 도시) 삽입공(11) 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타측 삽입부(22)가 회동고정부(12)에 고정되는 단계(도2f에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thod of the head restraint (1), as described slightly above, the
본 발명의 머리받침대(A)는 머리안치부(1)를 힌지고정축(20)의 삽입부(22)를 강제로 압입시키는 방법만으로 대단히 간단하게 승강대(2)의 힌지고정축(20)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및 작업인력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단순하게 조정부(31)의 푸시버튼(311)만을 누르면 승강대(2)의 걸림턱(24)에 맞물려 있어 승강대(2)를 고정시키던 푸시버튼(311)의 타원형의 걸림턱(311a)이 후퇴되면서 고정대본체(32)의 안치돌조홈(35)상에 밀착되면서 승강대(2)의 걸림턱(24)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승강대(2)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적정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적정한 높이를 설정하면 푸시버튼(311)의 누름을 해제시키면 스프링(312)에 의하여 푸시버튼(311)은 다시 이동되면서 푸시버튼(311)의 타원형의 걸림턱(311a)이 승강대(2)의 걸림턱(24)에 맞물리게 되면서 높이의 고정작업이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머리받침대는 단순히 푸시버튼(311)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높이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대단히 사용이 편리하게 되었다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머리받침대의 고정대본체는 양측에 대향되게 각기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홈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조립 및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역시 제조가 편리하여 사용인력이 절감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것이다.The head restraint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y on the hinge fixed shaft (20) of the lifting platform (2) only by the method of forcing the head restraint (1) by pressing the inser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 및 머리받침대의 머리안치부의 고정 방법은 사용자의 머리가 안치되며 회동가능하게 작동되고 삽입공이 형성된 회동고정부가 설치된 머리안치부와, 상부에는 상기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에서 이어진 축부가 형성된 힌지고정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다수의 타원형의 걸림턱이 종방향으로 요(凹)설되고 종방향으로 요설된 걸림턱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승강홈이 형성된 승강대와, 의자의 등받이판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대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대의 걸림턱에 삽입이탈되면서 상기 승강대를 정지 또는 가동되도록 하는 조정부가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로 구성되고, 승강대의 힌지고정축의 일측인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를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 삽입공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일측 삽입부가 회동고정부에 고정되는 단계와, 타측의 일측인 수축슬릿이 형성된 삽입부를 머리안치부의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와,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를 회동고정부의 삽입공에 강제로 압입시켜 힌지고정축의 삽입부의 직경이 일시적으로 수축슬릿의 수축으로 인하여 수축되면서 삽입공을 통과하고 통과즉시 다신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타측 삽입부가 회동고정부에 고정되는 단계로 구성되어, 머리안치부의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사용인력이 절감되며 머리안치부의 힌지고정으로 인하여 쉽게 회동작동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키가 큰 사람은 높게 작은 사람은 작게 하여 사용하게 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높이조절의 단계가 다단계로 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fixing the head restraint and the head restraint of the head restr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restraint part installed with a rotatable fixing part in which a user's head is placed and is rotatably operated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an upper part of the head restraint part is rotated. It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hole of the government, and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shrinkage slit in the middle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sertion hole, and a hinged fixed shaft formed with a shaft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elliptical locking jaws ar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 lifting platform formed with a lifting groove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middle of the locking jaw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back plate of the chair, and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platform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of the lifting platform. The adjusting part for stopping or operating the platform while the insertion is removed is composed of a fixed base installed on the upper, Arranging the insertion part in which the shrinkage slit, which is one side of the hinge fixing shaft,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pivot fixing part of the head restraint;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fixed shaft is temporarily contracted by the contraction of the shrinkage sli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rranging in a straight line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on fixing part of the head set-up part, and forc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hinge fixing shaf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o force the insertion hole of the rotation fixing part to force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of the hinge fixing shaft to temporarily As it is contracted by the contraction, i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It is composed of the step fixed to the additional rotation fixing part, which makes it easy to assemble the head restraint, which improves productivity, reduces the manpower, and is easily rotated by the hinge of the head restrai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to suit the user's body, so that the taller people are smaller and the smaller ones are used, and the height adjustment is more convenient. It work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2553A KR100564720B1 (en) | 2005-08-09 | 2005-08-09 |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72553A KR100564720B1 (en) | 2005-08-09 | 2005-08-09 |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564720B1 true KR100564720B1 (en) | 2006-03-28 |
Family
ID=371799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725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4720B1 (en) | 2005-08-09 | 2005-08-09 |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64720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56788B1 (en) * | 2006-11-16 | 2008-09-05 | 김해용 | Headrest Frame Unit |
| KR100994822B1 (en) | 2009-02-19 | 2010-11-16 | 주식회사 리바인 | Chair headrest |
| WO2011087241A3 (en) * | 2010-01-12 | 2011-12-01 | Jung Keum Ja | Posture correction chair |
| KR101235147B1 (en) | 2011-04-12 | 2013-02-20 | (주)광일체어 | Head support apparatus for chair |
| KR101733981B1 (en) * | 2016-12-22 | 2017-05-10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
-
2005
- 2005-08-09 KR KR1020050072553A patent/KR1005647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56788B1 (en) * | 2006-11-16 | 2008-09-05 | 김해용 | Headrest Frame Unit |
| KR100994822B1 (en) | 2009-02-19 | 2010-11-16 | 주식회사 리바인 | Chair headrest |
| WO2011087241A3 (en) * | 2010-01-12 | 2011-12-01 | Jung Keum Ja | Posture correction chair |
| KR101235147B1 (en) | 2011-04-12 | 2013-02-20 | (주)광일체어 | Head support apparatus for chair |
| KR101733981B1 (en) * | 2016-12-22 | 2017-05-10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020934B2 (en) | Chair backrest elevating device | |
| US6007032A (en) | Foldable stand assembly for microphones | |
| JP2008535595A (en) | Especially armchairs for office chairs | |
| KR100564720B1 (en) | How to fix the head restraint for chairs and head restraints | |
| JP4160742B2 (en) | Rocking chair | |
| US6957867B1 (en) | Height-adjustable armrest | |
| US20220175142A1 (en) | Cam adjustmen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rm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 |
| KR102243987B1 (en) | Desk for student capable of height control and stool | |
| US7419219B2 (en) | Adjustable arm assembly for a chair | |
| KR200439158Y1 (en) | Height and rotation control structure of armrest for chair | |
| KR200292591Y1 (en) | an easy chair's back is linked with seat plate and it's locking structure | |
| KR200442728Y1 (en) | Height adjustment | |
| KR102301233B1 (en) | Turning Apparatus of Sofa Armrest | |
| GB2455116A (en) | Base structure of a baby mesh bed | |
| CN113180400A (en) | Seat base and seat thereof | |
| JP4350025B2 (en) | Lever device for chair and chair provided with the same | |
| KR100721128B1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bookshelf | |
| KR102726717B1 (en) | Ergonomic multifunctional chair | |
| KR200484461Y1 (en) | Rotation type bench | |
| CN221980442U (en) | Chair, chair parts and locking and fixing mechanisms thereof | |
| KR200411915Y1 (en) | Chair Armrest Height Adjuster | |
| KR200401454Y1 (en) | Supporter of key board | |
| KR200299201Y1 (en) | Device for folding back support of office chair | |
| CN2413567Y (en) | Seat armrest adjustment device | |
| KR102270058B1 (en) | Height adjustment tab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3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32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