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989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93B1
KR100569893B1 KR1020030075900A KR20030075900A KR100569893B1 KR 100569893 B1 KR100569893 B1 KR 100569893B1 KR 1020030075900 A KR1020030075900 A KR 1020030075900A KR 20030075900 A KR20030075900 A KR 20030075900A KR 100569893 B1 KR100569893 B1 KR 10056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d
rapid cooling
refrigerator
cooling devic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037A (ko
Inventor
오승환
이명렬
이욱용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가진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의 급속냉각장치를 적용하므로서, 이에 따른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속냉각장치를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를 통한 피냉각물의 가속 냉각방식과 더불어 고내의 냉기 역시 피냉각물 냉각의 또 다른 매개체로 작용하므로 인해 피냉각물을 빨리 냉각시키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종래 급속냉각장치에 비해 상기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냉장고, 급속냉각장치, 가진수단, 회전수단, 교번 회전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 은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급속냉각장치가 고내에 설치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3 은 종래 또 다른 급속냉각장치가 고내에 설치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작동 원리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
도 8 은 도 7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
도 10 은 도 9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3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4 는 도 10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5 는 도 12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8 은 도 17 의 냉기분사수단에 대한 실시예도.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를 통한 피냉각물의 냉각과정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냉동실 12. 냉장실
14. 냉동실 도어 16. 냉장실 도어
20, 20a. 급속냉각장치 23. 축냉제통
24. 축냉제 25. 투입공
27. 음료수납바스켓 28. 음료회전롤러
40, 40a, 140, 140a, 240, 340. 급속냉각장치
41, 141, 341. 케이스 241. 상부 케이스
241a. 하부 케이스 42, 142, 242, 342. 축냉체
43, 143, 343. 수납부재 343a. 중공홀
44. 진동자 144, 244, 344. 구동모터
45, 145, 245, 345. 연결바 46. 진동방지부재
146, 246. 로울러부재 48, 148, 248, 348. 지지부재
47, 147, 347. 급속냉각장치 도어 400. 노즐
410. 팬 A. 용기(피냉각물, 음료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진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는 급속냉각장치를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 구성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0) 및 냉장실(12)이 베리어(11)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동실(10) 및 냉장실(12)을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냉동 사이클 장치가 장착된 본체(1)와, 상기 냉동실(10)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냉동실 도어(14)와,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냉장실 도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외부 공기로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미도시)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감압되는 팽창기(미도시)와, 상기 팽창기에서 팽창된 냉매가 냉동실(10) 및 냉장실(12)의 열을 빼앗아 증발되는 증발기(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러나, 실온 상태의 피냉각물 즉, 음료수(A)를 차게 마시기 위한 방법으로 냉동실(10) 또는 냉장실(12)에 음료수(A)를 넣어 둔 후, 소정시간을 기다린 다음 고내 냉기에 의해 차거워진 음료수(A)를 꺼내 마시는게 보통인데, 이와 같이 고내의 냉기만을 이용해 음료수(A)를 차게 하는데는 장시간(3-4시간)이 소비됨에 따라 갈증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차가운 음료수(A)를 마시기에 기다리는 시간(약 2분)의 한계를 넘어 음료수(A)의 냉각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8년 7월 29일자로 선출원된 음료수 급속냉각장치(실용신안 출원번호: 1998-14148호)(20)가 제공된 바 있는데, 상기한 급속냉각장치(2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30)에 설치되면서 음료용기가 넣어지는 공간부(21)를 가지며, 도어(30) 선반(22)에 안착되는 축냉제통(23)과, 그 축냉제통(23)의 공간부(21)에 채워지는 축냉제(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냉제통(23)의 상단에는 공간부(21)로 음료용기(A)를 투입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투입공(25)이 형성되며, 전면부는 내부로 공기 유통이 원활하도록 공기순환 망사(26)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20)를 이용할 경우, 축냉제(24)의 흡열작용을 통해 음료용기(A) 내의 음료수가 1차로 냉각되고, 고내의 냉기에 의해 상기 용기(A) 내의 음료수와 냉기간의 열전달을 통해 2차로 냉각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냥 냉기만을 이용한 음료수 냉각시간 보다는 단축될 순 있지만, 상기 축냉제(24)를 이용한 냉각방식의 경우, 음료용기(A)를 진동이나 회전시켜 음료수가 용기(A) 내에 서 유동되는 대류작용 없이 유동이 정지된 상태의 음료수와 축냉제(24) 간의 열전달 즉, 상기 축냉제(24)의 흡열작용만을 가지고는 상기 음료용기(A)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시간이 길어(약 1-2시간)지게 되며, 더욱이 상기한 냉각방식에 냉기를 더하여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냉각시간에서 몇분 정도 단축시킬 뿐 전체적인 음료수의 냉각시간이 갈증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기다릴 수 있는 시간(약 2분)의 한계를 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과 함께, 차가운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1999년 11월 26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음료 급속냉각장치(출원번호: 1999-52965호)(20a)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한 급속냉각장치(20a)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30)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음료수납바스켓(27)과, 그 음료수납바스켓(27)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음료를 회전시키기 위한 음료회전롤러(28)와, 상기 음료수납바스켓(27)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음료회전롤러(28)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20a)를 이용할 경우, 전술한 음료수 급속냉각장치(실용신안 출원번호: 1998-14148호)(20)의 문제점 즉, 용기(A) 내 음료수의 대류작용이 없었던 부분을 해소하여 상기 음료회전롤러(28)를 통해 음료(음료수)가 담겨 있는 캔이나 병등의 용기(A)를 회전시켜 음료가 용기(A) 내에서 순환하는 대류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용기(A)에 분사되는 냉기에 의해 균일 냉각됨에 따라 상기 음료의 냉각시간이 전술한 종래 급속냉각장치(20) 보다는 단축될 순 있지만, 상기 롤러(28) 회전을 이용한 냉각방식의 경우, 용기(A) 내의 음료를 냉각시키는 매개체가 고내의 냉기이며, 특히 상기 용기(A) 내부의 액체(음료)열을 흡수할 수 있는 매개체 즉, 축냉제 없이 상기 용기(A) 내부의 액체(음료)열을 냉기로 열전달하기 때문에, 이 역시 갈증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기다릴 수 있는 시간(약 2분)의 한계를 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과 함께, 차가운 음료수(A)를 마시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롤러 회전방식의 급속냉각장치(1999-52965호)(20a)의 경우, 상기 급속냉각장치(20a)에 적용된 음료회전롤러(28)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용기(A)내 음료의 대류작용이 원활하지 못해 용기(A)와 접촉하고 있는 음료만 냉기와의 열전달이 이루어질 뿐 음료 전체가 대류를 통해 냉기와의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 역시 갈증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기다릴 수 있는 시간(약 2분)의 한계를 넘게 되는 등, 용기(A) 내의 음료 냉각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가진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의 급속냉각장치를 적용하므로서, 이에 따른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속냉각장치를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를 통한 피냉각물의 가속 냉각방식과 더불어 고내의 냉기 역시 피냉각물 냉각의 또 다른 매개체로 작용하므로 인해 피냉각물을 빨리 냉각시키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종래 급속냉각장치에 비해 상기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진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는 급속냉각장치를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 구성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작동 원리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40)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냉장고로서, 가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가진시켜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40a)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냉장고로서,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1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1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140)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냉장고로서, 회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교번 회전시켜 축냉체(1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140a)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과 전술한 종래와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부인 냉동실(10) 및/또는 냉장실(12)과;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고내를 밀폐시키는 도어(30)와;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되며,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의 흡열작용을 통해 피냉각물(A)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급속냉각장치(40)와; 상기 급속냉각장치(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30) 내측으로부터 고내측으로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48)와; 상기 지지부재(48)와 대응되어 급속냉각장치(40)에 피냉각물(A)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이 포함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급속냉각장치(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가진시키되, 상기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A)을 가속 냉각시키거나, 또는 피냉각물(A)만을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A)을 가속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급속냉각장치(40)의 작동원리 중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되도록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켜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되도록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A)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42)와; 상기 케이스(41)에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키는 가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은 케이스(41) 내의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가진시키는 진동자(44)와; 상기 진동자(44)에 의해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이 가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44)와 케이스(41) 간에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4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 중 진동자(44)의 경우, 상기 진동자(44)의 가진상태가 냉장고 도어(30) 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방지부재(46)에 삽착되어 도어(30) 내측으로부터 고내측으로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48)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방지부재(46)는 탄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축냉체(42)는 축냉백과 축냉액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축냉액이 수용된 상태에서 축냉백을 완전히 밀봉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때 축냉액의 경우 피냉각물(A)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소금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과 소금의 혼합비가 달라지면 축냉액의 상변화가 일어나는 온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축냉체(42)의 흡열작용온도(-20℃)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물과 소금의 혼합비를 질량기준으로 4:1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의 경우, 진동자(44)에 의한 가진력이 상기 진동자(44)와 케이스(41)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45)를 거쳐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이 내삽된 케이스(41)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을 포함한 케이스(41) 전체가 진동(도 5 참조)하면서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현상이 상호 촉진되고, 이로 인한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 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게 되면서 상기 피냉각물(A)과 접촉된 축냉체(42)로 피냉각물(A)의 내부 열이 흡수되는 흡열작용을 통해 짧은 시간(약 2분 내외) 내에 피냉각물(A)이 냉각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냉각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로서, 가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가진시켜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 어진 급속냉각장치(40a)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1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1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140)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교번 회전시켜 축냉체(1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급속냉각장치(140a)가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이루고 있는데, 이하 설시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선 서로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세부구성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30) 내측에 설치된 급속냉각장치 즉, 작동원리가 서로 다른 급속냉각장치(40a,140,140a)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이고, 도 8 은 도 7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이다.
그 다음으로, 급속냉각장치의 작동원리 중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가진시켜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되도록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A)만을 가진시켜 축냉체(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되도록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a)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A)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42)와; 상기 축냉체(42)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피냉각물(A)의 독립적인 가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냉각물(A)을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부재(43)와; 상기 수납부재(43)와 연결되어 피냉각물(A)만 가진시키는 가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은 축냉체(42) 내에 수납된 피냉각물(A)만 가진시키는 진동자(44)와; 상기 진동자(44)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44)와 수납부재(4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4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 중 진동자(44)의 경우, 상기 진동자(44)의 가진상태가 냉장고 도어(30) 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방지부재(46)에 삽착되어 도어(30) 내측으로부터 고내측으로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48)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방지부재(46)는 탄성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40a)의 경우, 진동자(44)에 의한 가진력이 상기 진동자(44)와 수납부재(43)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45)를 거쳐 상기 수납부재(43)와 상기 수납부재(43)에 삽입된 피냉각물(A)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케이스(41) 및 축냉체(42)는 움직이지 않고, 상기 수납부재(43)와 피냉각물(A)만 진동(도 7 참조)하면서 상기 피냉각물(A) 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등 상기 피냉각물(A) 내부만의 대류현상이 촉진되면서 상기 피냉각물(A)과 접촉된 축냉체(42)로 피냉각물(A)의 내부 열이 흡수되는 흡열작용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피냉각물(A)이 냉각되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이고, 도 10 은 도 9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41)와; 상기 케이스(141)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A)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142)와; 상기 케이스(141)에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1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144)와;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이 교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44)와 케이스(141)를 연결하는 연결바(14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급속냉각장치(140)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144)에 의한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을 모터(144)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140)의 경우, 구동모터(144)에 의한 교번 회전력이 상기 구동모터(144)와 케이스(141)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145)를 거쳐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이 내삽된 케이스(141)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을 포함한 케이스(141) 전체가 구동모터(144)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교번 회전(도 9 참조)하면서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 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한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현상이 상호 촉진되게 되면서 상기 피냉각물(A)과 접촉된 축냉체(142)로 피냉각물(A)의 내부 열이 흡수되는 흡열작용을 통해 짧은 시간(약 2분 내외) 내에 피냉각물(A)이 냉각되게 되며, 이 역시 구동모터(144)를 통해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을 포함한 케이스(141) 전체를 교번 회전시켜 피냉각물(A)을 냉각하는 방식에 있어 상기한 냉각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작동 원리도이고, 도 12 는 도 11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도 11 및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41)와; 상기 케이스(141)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A)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142)와; 상기 축냉체(142)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피냉각물(A)의 독립적인 교번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냉각물(A)을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부재(143)와; 상기 수납부재(143)와 연결되어 피냉각물(A)만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144)와; 상기 축냉체(142) 및 피냉각물(A)이 교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44)와 수납부재(143)를 연결하는 연결바(14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급속냉각장치(140a)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144)에 의한 피냉각물(A)만을 모터(144)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교번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급속냉각장치(140a)의 경우, 구동모터(144)에 의한 교번 회전력이 상기 구동모터(144)와 수납부재(143)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145)를 거쳐 상기 수납부재(143)와 상기 수납부재(143)에 삽입된 피냉각물(A)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케이스(141) 및 축냉체(142)는 움직이지 않고, 상기 수납부재(143)와 피냉각물(A)만 구동모터(144)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교번 회전(도 11 참조)하면서 상기 피 냉각물(A) 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는 등 상기 피냉각물(A) 내부만의 대류현상이 촉진되면서 상기 피냉각물(A)과 접촉된 축냉체(142)로 피냉각물(A)의 내부 열이 흡수되는 흡열작용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피냉각물(A)이 냉각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어(30) 내측에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가 설치된 냉장고에 있어, 상기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에 피냉각물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8,148)와 대응되는 급속냉각장치 도어(47,147) 즉, 상기 도어(30) 내측에 힌지 결합된 급속냉각장치 도어(47,147)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만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도 10 의 급속냉각장치(140)가 적용된 냉장고에 있어, 상기 구동모터(144)를 통한 케이스(141) 자체의 교번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축냉체(142)에 의한 피냉각물(A)의 흡열작용이 더욱 촉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41) 외주면에 로울러부재(146)를 구비하되, 상기 로울러부재(146)가 상기 케이스(141) 외주면과 구름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는 도 10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240)는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전체가 구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 된 상/하부 케이스(241)(241a)와; 상기 하부 케이스(241a)에 수용되는 축냉체(242)와; 상기 하부 케이스(241a)와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2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하부 케이스(241a)의 교번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241a)에 구름 접촉된 로울러부재(246)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하부 케이스(241)(241a)는 힌지 결합에 의해 상부 케이스(24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 케이스를 개방하거나 또는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도 10 에 도시된 급속냉각장치(140)의 회전수단과 동일한 구동모터(244)와 연결바(245)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회전수단을 통한 급속냉각장치(240)의 작동원리 역시 상기 도 10 의 급속냉각장치(140)의 작동원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축냉체(242) 및 피냉각물(A)이 포함된 케이스(241)를 구동모터(244)의 회전축을 기점으로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242)에 의해 피냉각물(A)이 가속 냉각되게 된다.
도 15 는 도 12 에 따른 급속냉각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340)는 도 1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태의 축냉체(342)와; 상기 축냉체(342)를 수용하는 케이스(341)와; 상기 축냉체(342) 상단에 위치되며, 피냉각물(A)을 수용하기 위해 중공홀(343a)이 형성된 수용부재(343)와; 상기 수용부재(343) 일단에 연결된 회전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344)와, 상기 수용부재(343)의 일단과 구 동모터(344)가 링크 연결된 연결바(34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343)는 사각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피냉각물(A)이 삽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피냉각물(A) 보다 다소 크게 중공홀(343a)이 관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회전수단을 통한 급속냉각장치(340)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구동모터(344)의 회전축과 수용부재(343)의 일단에 링크로 연결된 연결바(345)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344)의 회전력이 수용부재(343)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모터(344)의 교번 회전시 상기 수용부재(343)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용부재(343)의 중공홀(343a)에 삽착된 피냉각물(A)은 상기 전/후로 이동하는 수용부재(343)에 의해 교번 회전하면서 접촉된 축냉체(342)의 흡열작용을 통해 가속 냉각되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도 6 내지 도 12 의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가 적용된 냉장고에 있어, 상기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가 냉장고 도어(30)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도 10 의 급속냉각장치(140)를 일예로 하여 도 16 에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급속냉각장치(140)의 탈부착 구조는 도 16 과 같이 상기 급속냉각장치(140)가 설치 고정된 지지부재(148)의 일단에 후크형태의 걸림돌기(149)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48)가 고정되는 냉장고 도어(30) 내측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지지부재(148)의 걸림돌기(149)와 대응되는 결착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재(148)의 걸림돌기(149)를 도어(30) 내측의 결착홈(31)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48)에 설치 고정된 급속냉각장치(140)가 상기 도어(30)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이루고,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30) 내측의 결착홈(31)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148)의 걸림돌기(149)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148)에 설치 고정된 급속냉각장치(140)가 상기 도어(30) 내측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18 은 도 17 의 냉기분사수단에 대한 실시예로서, 이는 도 6 내지 도 12 의 급속냉각장치(40,40a,140,140a)가 적용된 냉장고에 있어, 축냉체(42)에 의한 피냉각물(A)의 흡열작용이 더욱 촉진될 수 있도록 상기 급속냉각장치(40)에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에 냉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수단이 설치된 구성이며, 이 중 도 6 의 급속냉각장치(40)를 일예로 하여 도 17 및 도 18 에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급속냉각장치(40)의 경우,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가진시키되, 도 5 와 같이 상기 축냉체(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또는 도 7 과 같이 피냉각물(A)만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42)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A)을 가속 냉각시키는 작동원리와,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142)와 피냉각물(A)을 교번 회전시키되, 도 9 와 같이 상기 축냉체(142)와 피냉각물(A)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거나, 또는 도 11 과 같이 피냉각물(A)만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142)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A)을 가속 냉각시키는 작동원리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분사수단은 도 18 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냉체(42)에 의한 피냉각물(A)의 흡열작용이 더욱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에 냉기를 분사하는 노즐(40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18 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에 냉기를 불어주는 팬(4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급속냉각장치(40)에 설치된 냉기분사수단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진동자(44)에 의해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이 동시에 가진되는 상태를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자(44)에 의한 가진력이 상기 진동자(44)와 케이스(41)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45)를 거쳐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이 내삽된 케이스(41)에 전달되어 상기 축냉체(42) 및 피냉각물(A)을 포함한 케이스(41) 전체가 진동하면서 상기 피냉각물(A)의 내부 열이 축냉체(42)로 흡수되는 흡열작용이 이루어질 때, 도 18 의 (a),(b)처럼 냉기를 분사(400)하거나 또는 냉기를 불어(410)주게 되면 상기 피냉각물(A)과 축냉체(42)간의 흡열작용과 함께, 상기 피냉각물(A)과 냉기간의 열교환과 상기 축냉체(42)와 냉기간의 열교환이 더 작용되어 결과적으론 축냉체(42)의 흡열작용이 더욱 빨리 진행되면서 짧은 시간 내에 피냉각물(A)이 냉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 상태는 종래에 기술한 냉장고의 작용 상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작용 설명은 급속냉각장치(40)를 통한 피냉각물(A)의 냉각과정으로 설명한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냉각장치를 통한 피냉각물의 냉각과정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시원한 피냉각물 즉, 음료수(A)를 마시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30)를 열은 다음, 상기 도어(30)의 내측에 설치된 급속냉각장치(40)의 개폐수단인 급속냉각장치 도어(47)를 오픈시켜 급속냉각장치(40)를 개방시킨 후, 상기 개방된 급속냉각장치(40) 내에 냉각시키고자 하는 음료수(A)를 수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음료수(A)의 경우 상기 급속냉각장치(40)의 구성요소인 축냉체(42) 즉,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1) 내에 설치된 축냉체(42)에 접촉되도록 수납시킨 다음, 상기 오픈된 급속냉각장치 도어(47)를 닫아 급속냉각장치(40)를 밀폐시킨 후, 상기 냉장고 도어(30)를 닫으므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40)를 통해 음료수(A)를 냉각시키기 위한 전(前)단계 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 후, 급속냉각장치(40)를 구동시키기 위해 냉장고 도어(3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구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마이콤(미도시) 제어에 의해 상기 급속냉각장치(4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진동자(44)를 가진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가진되는 진동자(44)에 의해 축냉체(42) 및 음료수(A)가 내삽된 케이스(41) 즉, 상 기 진동자(44)와 케이스(41)에 직접 연결된 연결바(45)를 거쳐 상기 축냉체(42) 및 음료수(A)가 내삽된 케이스(41)에 진동자(44)의 가진력이 전달되어 상기 축냉체(42) 및 음료수(A)를 포함한 케이스(41) 전체가 도 2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자(44)에 의해 케이스(41)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축냉체(42) 및 음료수(A) 내의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상기 축냉체(42) 및 음료수(A)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현상이 촉진되어 상기 음료수(A)의 열이 축냉체(42)로 흡수되는 흡열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한 흡열작용을 통해 음료수(A) 내의 온도가 저하되면서 짧은 시간(약 2분 내외) 내에 음료수(A)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후, 음료수(A)의 냉각이 종료되면 정지버튼을 누른 다음, 상기 냉장고 도어(30)를 열은 후, 상기 도어(30) 내측에 설치된 급속냉각장치(40)의 개폐수단인 상기 급속냉각장치 도어(47)를 다시 오픈시켜 상기 급속냉각장치(40) 내에 있는 냉각된 음료수(A)를 꺼낸 후, 이를 마시므로서 사용자의 갈증이 해소되게 되며, 상기한 음료수 즉, 피냉각물(A)의 냉각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냉동실(10)과 냉장실(12)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 뿐만 아니라, 냉동실(10)과 냉장실(12)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냉장실(12)과 냉동실(10)이 상/하로 구획된 바텀 타입의 냉장고, 냉동고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진수단 또는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거나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의 흡열작용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의 급속냉각장치를 적용하므로서, 이에 따른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속냉각장치를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 구성하므로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를 통한 피냉각물의 가속 냉각방식과 더불어 고내의 냉기 역시 피냉각물 냉각의 또 다른 매개체로 작용하므로 인해 피냉각물을 빨리 냉각시키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종래 급속냉각장치에 비해 상기 피냉각물의 냉각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21)

  1. 가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켜 상기 축냉체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고,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급속냉각장치와;
    상기 급속냉각장치에 피냉각물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 급속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가진시키는 가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수단은 케이스 내의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가진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에 의해 축냉체 및 피냉각물이 가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와 케이스 간에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가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만을 가진시켜 축냉체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고,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급속냉각장치와;
    상기 급속냉각장치에 피냉각물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 급속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와;
    상기 축냉체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피냉각물의 독립적인 가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냉각물을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와 연결되어 피냉각물만 가진시키는 가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수단은 축냉체 내에 수납된 피냉각물만 가진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진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자와 수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회전수단을 통해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켜 상기 축냉체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고,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급속냉각장치와;
    상기 급속냉각장치에 피냉각물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 급속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축냉체 및 피냉각물이 교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외부 전체가 구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용되는 축냉체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축냉체와 피냉각물을 동시에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교번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름 접촉된 로울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회전수단을 통해 피냉각물만을 교번 회전시켜 축냉체에 의해 피냉각물이 가속 냉각되도록 하고, 고내와 인접하는 냉장고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급속냉각장치와;
    상기 급속냉각장치에 피냉각물을 삽입시키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도어의 내측에 급속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소정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흡열작용을 통해 접촉된 피냉각물을 급속히 냉각시키는 축냉체와;
    상기 축냉체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피냉각물의 독립적인 교번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냉각물을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와 연결되어 피냉각물만 교번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피냉각물이 교번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수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평면상태의 축냉체와;
    상기 축냉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축냉체 상단에 위치되며, 피냉각물을 수용하기 위해 중공홀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수용부재 일단에 연결된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는 냉장고 도어 내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8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냉각장치가 설치된 도어 내측에 축냉체 및 피냉각물에 냉기를 분사하기 위한 냉기분사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사수단은 상기 축냉체 및 피냉각물에 냉기를 분사시키는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사수단은 상기 축냉체 및 피냉각물에 냉기를 불어주는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30075900A 2003-10-29 2003-10-29 냉장고 Expired - Fee Related KR10056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900A KR100569893B1 (ko) 2003-10-29 2003-10-2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900A KR100569893B1 (ko) 2003-10-29 2003-10-2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037A KR20050041037A (ko) 2005-05-04
KR100569893B1 true KR100569893B1 (ko) 2006-04-10

Family

ID=3724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9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9893B1 (ko) 2003-10-29 2003-10-2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98B1 (ko) * 2009-10-08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037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2165B2 (en) Rapid cryocooler utilizing spray holes to cool a beverage
KR100569892B1 (ko) 냉장고
CN102985772B (zh) 冰箱以及冷却装置
US6691530B2 (en) Rapid cooling apparatus
EP2444761A2 (en) Refrigerator
JPH10148411A (ja) スターリング冷凍装置
KR20060029097A (ko) 냉장고
KR100569893B1 (ko) 냉장고
KR100377751B1 (ko) 급속냉각장치 및 급속냉각방법
KR100569894B1 (ko) 냉장고
KR100676973B1 (ko) 냉장고의 급속 냉각 장치 및 그 급속 냉각 방법
JPH074807A (ja) 冷蔵庫の蓄冷装置
JP2012229866A (ja) 保冷庫
KR100854843B1 (ko) 축냉재를 이용한 왕복 가진식 순간 냉각기
KR20110032609A (ko) 냉장고
KR100895355B1 (ko) 순간 냉각기
KR100519336B1 (ko) 급속 냉각장치
KR102092161B1 (ko) 슬러시 제조용 냉각고와 이를 이용한 슬러시 제조방법
KR20100007018U (ko) 급속 냉각기
JP2002295971A (ja) 冷蔵庫の缶冷却装置
KR200235377Y1 (ko) 냉장고의고내냉각장치
KR100229664B1 (ko) 냉장고의 냉기 토출 방향 제어장치
KR100657557B1 (ko) 냉장고의 정온 제어 장치 및 방법
JP2581848B2 (ja) 製氷装置
US20190331384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4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40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