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925B1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4925B1 KR100574925B1 KR1019990039551A KR19990039551A KR100574925B1 KR 100574925 B1 KR100574925 B1 KR 100574925B1 KR 1019990039551 A KR1019990039551 A KR 1019990039551A KR 19990039551 A KR19990039551 A KR 19990039551A KR 100574925 B1 KR100574925 B1 KR 1005749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harge
- input
- signal
- line pairs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11C5/063—Voltage and signal distribution in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access lines, e.g. word-line, bit-line, cross-over resistance, propagation dela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06—Sense amplifier related aspects
- G11C2207/063—Current sense amplifier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출 동작시 정확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과,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칼럼선택선 회로들과, 상기 제1 및 제2 칼럼선택선 회로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과,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을 프리차아지시키는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회로들과,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의 전류를 감지 및 증폭하는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 및 외부로부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가 제1 전압 레벨일 때 상기 제1 프리차아지 신호 및 제1 감지 증폭 신호를 액티브시키고,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가 제2 전압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제2 프리차아지 신호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를 액티브시키며, 이 때 상기 제2 프리차아지 신호를 펄스로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2 입출력 라인쌍들에 실린 유효 데이터는 시간 지연 없이 출력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reads accurate data during a read opera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it line pairs are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memory bank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bit line pairs. First and second column select line circui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 select line circuits,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precharge signal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 select line circu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precharge circuits for precharging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and output lines,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s in response to first and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e amplifiers for sensing and amplifying pairs of currents, and a column address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to output the first and second precharge sig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And a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Activate the first precharge signal and the first sense amplified signal when a rum address signal is at a first voltage level, and the second precharge signal and a second when the column address signal transitions to a second voltage level. By activating the sense amplified signal, the second precharge signal is generated as a pulse so that valid data carried on the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is output without time delay.
Descrip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1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2;
도 4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4 is a timing diagram of signals shown in FIGS. 2 and 3.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라인에 연결된 회로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는 디램 반도체 장치가 있다. 디램에 저장된 데이 터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외부로 출력되는 방법 중에 4비트의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되는 ×4 모드가 있고, 8비트의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되는 ×8 모드가 있다. 여기서, 디램 반도체 장치가 2개의 디램 뱅크(bank)를 구비하며 각 디램 뱅크는 4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4 모드와 ×8 모드를 하나의 디램 반도체 장치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8 모드에서는 2개의 디램 뱅크에 연결된 8개의 입출력 라인들로부터 8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4 모드에서는 어드레스 한 개를 추가하여 2개의 디램 뱅크 중 한 개의 디램 뱅크에 연결된 입출력 라인들을 선택하여 4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re are many kind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but there is a DRAM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There is a x4 mode in which 4 bits of data are simultaneously output and a x8 mode in which 8 bits of data are simultaneously output. Here, assuming that the DRAM semiconductor device has two DRAM banks and each DRAM bank outputs 4 bits of data, in order to implement the x4 mode and the x8 mode in one DRAM semiconductor device, the x8 mode is used. Outputs 8 bits of data from 8 I / O lines connected to two DRAM banks, and in 4x mode, adds one address to select I / O lines connected to one DRAM bank of two DRAM banks. Output the data.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출력 라인에 연결된 회로들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는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111,112), 제1 및 제2 비트라인(bitline)쌍들(BL1/BLB1,BL2/BLB2) 제1 및 제2 칼럼 선택선 회로들(121,122),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IO1/IOB1, IO2/IOB2),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precharge) 회로들(131,132), 제1 및 제2 전류 공급 회로들(141,142) 및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151,152)을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가 ×8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BL1/BLB1, BL2/BLB2)은 각각 4개씩이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IO1/IOB1, IO2/IOB2)도 각각 4개씩이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각각 한 개씩만 도시되어있다.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circuits connected to input and output lines of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ferring to FIG. 1, the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가 ×4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이 선택되면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은 선택되지 않는다.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이 선택되면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는 논리 하이(lofgic high)로 액티브(active)되어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을 통해 제1 메모리 뱅크(111)에 저장된 데이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는 논리 로우(low)로 되므로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는 비활성화된다. 즉,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에서 전류 분배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로 인하여 제2 입출력 라인(IO2)과 제2 상보 입출력 라인(IOB2)간의 전위 차이가 더 커지게 된다. 이 때, 독출-인터럽트(interrupt)-독출 동작에 의해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가 액티브되어 트랜지스터(161)가 턴온(turn-on)되면 순간적으로 트랜지스터(162)쪽으로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어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압 증폭단(미도시)에 버스트(burst) 동작때보다 더 큰 전압차가 입력되게 된다. When the
반도체 메모리 장치(101)의 독출 동작시 데이터 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칼럼 선택선 회로들(121,122)을 활성화시키는 시점보다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151,152)을 활성화시키는 시점이 더 빠르기 때문에 처음 나오는 데이터는 유효한 데이터가 아니다. 그러므로, 뒤에 출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역전되어야할 경우에는 일반 동작때보다 큰 전압차를 보이기 때문에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즉, 독출 동작시 유효 데이터의 출력 속도가 지연된다. To activate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독출 동작시 유효 데이터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reventing a delay of valid data during a read opera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 상기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칼럼선택선 회로들; 상기 제1 및 제2 칼럼선택선 회로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을 프리차아지시키는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회로들;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의 전류를 감지 및 증폭하는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회로들과 상기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가 제1 전압 레벨일 때 상기 제1 프리차아지 신호 및 제1 감지 증폭 신호를 액티브시키고,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가 제2 전압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제2 프리차아지 신호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를 액티브시키며, 이 때 상기 제2 프리차아지 신호는 펄스로써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First and second memory banks; First and second bit line pai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emory bank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lumn select line circui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it line pair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lumn select line circuit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precharge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respectively, and precharge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in response to first and second precharge signals, respectively. Azi circuits; First and second curren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respectively, for sensing and amplifying current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in response to first and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respectively. Sense amplifiers; And the first and second precharge circuits and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e amplifie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recharge circuits, and input a column address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to the first and second precharge sig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precharge circuit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wherein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first precharge signal and the first sense amplified signal when the column address signal is at a first voltage level. The second precharge signal and the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 are activated when the transition to the second voltage level, wherein the second precharge signal is generated as a pulse.
바람직하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이 액티브될 때 활성화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전류 공급 회로들을 더 구비한다. Advantageously,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line pairs, respectively, and is activa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are activated to provide current to the first and second current sense amplifiers. Further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urrent supply circuits for supplying.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제어부는 뱅크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뱅 크 인에이블 신호가 액티브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증폭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신호들을 출력한다. Preferably, the control unit inputs a bank enable signal and when the bank enable signal is active, the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column address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e signals. Output second precharge signals.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독출 동작시 유효 데이터의 지연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lay of valid data during a read operation is prevent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는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111,112),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BL1/BLB1, BL2/BLB2), 제1 및 제2 칼럼 선택선 회로들(121,122),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IO1/IOB1, IO2/IOB2),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회로들(131,132), 제1 및 제2 전류 공급 회로들(141,142), 제1 및 제2 전류 감지 증폭기들(151,152) 및 제어부(211)를 구비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가 ×8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비트라인쌍들(BL1/BLB1, BL2/BLB2)은 각각 4개씩이며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IO1/IOB1, IO2/IOB2)도 각각 4개씩이어야 하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각각 한 개씩만 도시되어있다. 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제어부(211)의 회로가 도 3에 도시되어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11)는 인버터 체인(Inverter Chain)들(311,312), 노아 게이트(NOR Gate)들(321,322), 낸드(NAND) 게이트들(331∼336), 앤드(AND) 게이트(341), 인버터들(351∼356)을 구비한다. 제어부(211)는 칼럼 어드레스(Column Address) 신호(CAi)와 뱅크 인에이블(Bank Enable) 신호(BANK)를 입력하고 제1 및 제2 프리차아지 제어 신호들(PIOPRB1,PIOPRB2)을 발생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호들의 타이밍도가 도 4에 도시되어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회로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circuit of the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들(111,112)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뱅크 인에이블 신호(BANK)가 논리 하이(logic high)로 액티브(active)된다.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는 제1 및 제2 입출력 라인쌍들(IO1/IOB1, IO2/IOB2)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예컨대,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하이이면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을 통해서 제1 메모리 뱅크(111)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되고,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로우(logic low)이면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을 통해서 제2 메모리 뱅크(112)에 저장된 데이터가 독출된다.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하이이면 입출력 제어 신호(CHIO)는 논리 로우로 되고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는 논리 하이로 된다.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가 논리 하이이면 트랜지스터(163)가 턴온(turn_on)되므로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가 활성화된다. 이 때,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가 논리 하이이므로 제1 전류 공급 회로(141)가 활성화되어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에 전류를 공급한다. In order for the first and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가 활성화되면 제1 메모리 뱅크(111)로부터 출력 되는 데이터는 제1 비트라인쌍(BL1/BLB1)을 통해서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으로 전달되고,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에 전달된 데이터는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를 통해서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 때, 제1 칼럼 선택선 회로(121)는 활성화되어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하이인 동안,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는 논리 로우로 유지되며, 트랜지스터(161)는 턴오프(turn-off)되므로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는 비활성화된다.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가 논리 로우이면 제2 입출력 제어 회로(142)가 활성화되어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을 프리차아지시킨다. 따라서,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을 통해서는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다. When the first
그러다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천이되면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는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천이되고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는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로 천이된다. 제1 감지 증폭 신호(IOSE1)가 논리 로우로 되면 트랜지스터(163)가 턴오프되어 제1 전류 감지 증폭기(151)는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제1 입출력 라인쌍(IO1/IOB1)을 통해서는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다.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가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로 천이되면 입출력 제어 신호(CHIO)가 하이 펄스(High Pulse)로써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리차아지 신호(PIOPRB2)도 로우 펄스(Low Pulse)로써 발생된다. 제2 프리차아지 신호(PIOPRB2)가 로우 펄스로써 발생됨에 따라 제2 입출력 라인(IO2)과 제2 상보 입출력 라인(IOB2)에 발생되는 전위차가 완전히 없어지고 제2 입출력 라인(IO2)과 제2 상보 입출력 라인(IOB2)은 동일 전압으로 프리차아지된다. Then, when the column address signal CAi transitions from logic high to logic low, the first sense amplified signal IOSE1 transitions from logic high to logic low and the second sense amplified signal IOSE2 transitions from logic low to logic high. . When the first sense amplified signal IOSE1 is logic low, the
이 상태에서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가 논리 하이로 됨에 따라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가 활성화되어 제2 메모리 뱅크(112)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2 비트라인쌍(BL2/BLB2)을 통해서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으로 전달되고,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의 데이터는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된다.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가 논리 하이이면 제2 전류 공급 회로(142)가 활성화되어 제2 전류 감지 증폭기(152)에 전류를 공급한다. 제2 감지 증폭 신호(IOSE2)가 논리 하이일 때 제2 칼럼 선택선 신호(CSL2)가 논리 하이로 액티브되어 제2 칼럼 선택선 회로(122)가 활성화되며 그에 의해 제2 비트라인쌍(BL2/BLB2)에 실린 데이터는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메모리 뱅크(112)로부터 출력되어 제2 입출력 라인쌍(IO2/IOB2)에 전달된 유효 데이터는 시간 지연 없이 곧바로 출력된다. In this state, as the second sense amplification signal IOSE2 goes to the logic high, the second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출력 모드가 ×4 모드와 ×8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이상의 모드 예컨대, ×8 모드와 ×16 모드, ×16 모드와 ×32 모드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output mode of the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201)의 출력 모드가 두 가지인 경우 데이터를 독출 할 때 선택되지 않는 일부 입출력 라인쌍들이 칼럼 어드레스 신호(CAi)에 의해 선택될 경우 유효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이 지연 없이 빠른 시간에 출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two output modes of th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9551A KR100574925B1 (en) | 1999-09-15 | 1999-09-1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19990039551A KR100574925B1 (en) | 1999-09-15 | 1999-09-1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27681A KR20010027681A (en) | 2001-04-06 |
| KR100574925B1 true KR100574925B1 (en) | 2006-04-28 |
Family
ID=196116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199900395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74925B1 (en) | 1999-09-15 | 1999-09-15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749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20644B1 (en) * | 2005-11-17 | 2007-05-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mory device and memory how it works |
-
1999
- 1999-09-15 KR KR1019990039551A patent/KR1005749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10027681A (en) | 2001-04-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55568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local sense amplification circuit capable of on / off control | |
| US7457181B2 (en) |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KR100271626B1 (en) | Over driving method of bit line sense amplifier | |
| KR0166044B1 (en) | Sense Amplifier Array | |
| KR100295048B1 (en) | Memory device for minimizing write time and method for writing data using the same | |
| JP2001043678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0263256B1 (en) | Self cut-off type sense amplifier operable over a wide range of power supply voltage | |
| KR20010048993A (en) | Method of prefetch and restor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ircuit thereof | |
| KR19980085565A (en) | Semiconductor memory | |
| KR100597791B1 (en) |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ocal data line pairs that are delayed in precharge voltage change time. | |
| KR100434515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ctive load circuit for current sense amplifier | |
| KR100574925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utputting valid data without time delay during read operation | |
| KR100562335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reduce noise during operation | |
| KR0184480B1 (en) | Data output buffer control circuit | |
| KR100200919B1 (en) | Write road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address transition sensor | |
| KR100732287B1 (en) | Packet Instruction Driv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0191460B1 (en) | Data sensing circuit control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KR100301820B1 (en) | Sense amplifier | |
| KR20050059790A (en) | Circuit for controlling over-driving of sense amplifier | |
| KR100481827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circuits for controlling data input/output buffer circuit | |
| KR100564557B1 (en) | Memory Device with Current Sense Amplifier | |
| KR100234371B1 (en) | Synchronou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 |
| KR100498186B1 (en) | Pseudo SRAM with page active circuit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data reading | |
| KR950008456B1 (en) | Data Output Buffer Enable Signal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
| KR20000044569A (en) | Local input/output driver of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2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